KR20100003449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449A
KR20100003449A KR1020080063349A KR20080063349A KR20100003449A KR 20100003449 A KR20100003449 A KR 20100003449A KR 1020080063349 A KR1020080063349 A KR 1020080063349A KR 20080063349 A KR20080063349 A KR 20080063349A KR 20100003449 A KR20100003449 A KR 2010000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information
terminal
base station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혁
강현정
노원일
손중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449A/ko
Publication of KR2010000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면 모드(Idle mode)로의 천이를 원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짧은 지연으로 동작 모드를 천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휴면 모드(idle mode), DCD(Downlink Chnnel Descriptor), UCD(Uplink Chnnel Descriptor), 시스템 정보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초기 모드(initial mode) 또는 휴면 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단말은 기지국들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여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의 통신 시스템은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Downlink Chnnel Descriptor) 메시지와 UCD(Uplink Chnnel Descriptor) 메시지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DCD 메시지를 하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UCD 메시지는 상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3)에 접속된 단말(1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101)은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03)으로 전송한다(111단계).
상기 기지국(1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101)의 휴면 모드 천이 요청을 페이징 제어부(105)로 알리기 위해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105)로 전송한다(113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부(105)는 상기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을 확인한 후,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03)으로 전송한다(115단계).
상기 기지국(1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101)의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한다(117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1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의 정상적으로 수신을 알리기 위해 상태 천이 ACK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105)로 전송한다(119단계).
상기 단말(101)은 상기 기지국(103)의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에 따라 휴면 모드로 천이한다(121단계).
상기 단말들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105)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 모드(Activ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123단계, 127 단계).
상기 기지국(103)은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따라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 모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들로 전송한다(125단계, 129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103)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들에 대한 동작 천이 지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단말(101)은 휴면 모드로 동작할 때 주기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활성 모드로 천이할 것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1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125단계), 상기 단말(101)은 휴면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1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129단계), 상기 단말(101)은 상기 기지국(103)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103)이 방송하는 DCD/UCD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상기 단말(101)은 상기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가 수신되면(131단계), 상기 DCD메시지와 UCD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103)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133단계).
이후, 상기 단말(101)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103)으로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한다(135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모드 또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한다. 따라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은 동작 천이 지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네트워크 진입 시도를 대기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6 표준에서 DCD/UCD 메시지는 1초 ~ 2초의 주기로 전송된다. 따라서, 휴면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동작 천이를 지시받은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최대 1초 ~ 2초 동안 동작 천이를 대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시스템 정보를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만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활성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휴면 모드(Idle mode)로의 천이를 원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페이징 제어부로부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과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의 차이와 상기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2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페이징 제어부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한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휴면 모드(Idle mode)로의 천이를 원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는, 페이징 제어부로부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제 1 메시지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과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는 시스템 정보 비교기와, 상기 시스템 정보의 차이와 상기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2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한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짧은 지연으로 동작 모드를 천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휴면 모드(idle mode)로 동작하는 단말의 동작 천이 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로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단말(2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전 기지국(203)과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 기지국(203)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3)에 접속된 단말(2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201)은 상기 기지국(203)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211단계). 예를 들어, 상기 단말(201)은 상기 기지국(203)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DCD(Downlink Chnnel Descriptor) 메시지와 UCD(Uplink Chnnel Descriptor)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203)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DCD 메시지를 하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UCD 메시지는 상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201)은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203)으로 전송한다(213단계).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201)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단말(201)이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단말(201)의 휴면 모드 천이 요청을 페이징 제어부(205)로 알리기 위해 상기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로 전송한다(215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상기 기지국(203)으로부터 제공받은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를 통해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217단계). 이때,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활성 모드로 천이하는 각각의 단말들에 대한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203)으로 전송한다(219단계).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201)로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한다(221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의 정상적인 수신을 알리기 위해 상태 천이 ACK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로 전송한다(223단계).
상기 단말(201)은 상기 기지국(203)의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에 따라 휴면 모드로 천이한다(225단계).
상기 단말(201)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 모드(Active mode)로 천이시키기 위한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227단계, 231단계). 이때,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활성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을 포함하는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서비스 영역에 활성 모드로 천 이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227단계), 상기 기지국(203)은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의 단말들로 전송한다(229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으로 방송한다.
한편, 서비스 영역에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231단계), 상기 기지국(2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한다(233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203)은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201)에 대한 동작 천이 지시 정보 및 상기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201)로 전송한다(235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203)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으로 방송한다.
상기 단말(201)은 휴면 모드로 동작할 때 주기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활성 모드로 천이할 것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2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229단계), 상기 단말(201)은 휴면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2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235단계), 상기 단말(201)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237단계).
이후, 상기 단말(201)은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203)으로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한다(239단계).
상술한 실시 예에서 페이징 제어부(205)는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201)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201)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 시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상기 기지국(203)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201)의 휴면 모드 천이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205)는 휴면 모드 천이를 수락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2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 중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있는 경우에만 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2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의 활성 모드 천이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위치 갱신 이벤트 발생에 따라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로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들의 페이징 그룹이 변경되거나, 상기 단말의 위치 갱신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단말(3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전 기지국(303)과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 기지국(303)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3)에 접속된 단말(3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301)은 상기 기지국(303)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311단계).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1)은 상기 기지국(303)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303)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DCD 메시지를 하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UCD 메시지는 상향링크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301)은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303)으로 전송한다(313단계).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1)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단말(301)이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단말(301)의 휴면 모드 천이 요청을 페이징 제어부(305)로 알리기 위해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로 전송한다(315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기지국(303)으로부터 제공받은 상태 천이 요청 메시지를 통해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317단계). 이때,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활성 모드로 천이하는 각각 의 단말들에 대한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303)으로 전송한다(319단계).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301)로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한다(321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상태 천이 응답 메시지의 정상적인 수신을 알리기 위해 상태 천이 ACK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로 전송한다(323단계).
상기 단말(301)은 상기 기지국(303)의 휴면 모드 천이를 명령에 따라 휴면 모드로 천이한다(325단계).
상기 단말(301)이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면(327단계), 상기 단말(301)은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자신이 위치한 기지국(303)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1)은 상기 기지국(303)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DCD 메시지와 UCD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303)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단말(301)은 상기 획득한 상기 기지국(303)의 시스템 정보로 상기 311단계에서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329단계). 이때, 상기 단말(301)은 상기 311단계에서 저장한 시스템 정보와 획득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상기 두 시스템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단말(301)은 위치 갱신 정보를 상기 기지국(303)으로 전송한다(331단계).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1)은 임의의 채널을 통 해 상기 기지국(303)으로 레인징 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303)으로부터 레인징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는다. 이후, 상기 단말(301)은 상기 할당받은 자원을 통해 위치 갱신을 위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303)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위치 갱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1)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단말(301)이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단말(301)의 위치 갱신을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로 알리기 위해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갱신 요청 메시지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로 전송한다(333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기지국(303)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갱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317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335단계). 이때,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317단계에서 저장한 시스템 정보와 확인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상기 두 시스템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시스템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303)으로 전송한다(337단계).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갱신 정보 의 정상적인 수신을 알리기 위해 위치 갱신 정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301)로 전송한다(339단계).
상기 단말(301)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341단계, 345단계). 이때,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활성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을 포함하는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서비스 영역에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341단계), 상기 기지국(303)은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의 단말들로 전송한다(343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으로 방송한다.
한편, 서비스 영역에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345단계), 상기 기지국(3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한다(347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303)은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301)에 대한 동작 천이 지시 정보 및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301)로 전송한다(349단계). 이때, 상기 기지국(303)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으로 방송한다.
상기 단말(301)은 휴면 모드로 동작할 때 주기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활성 모드로 천이할 것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3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343단계), 상기 단말(301)은 휴면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301)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349단계), 상기 단말(301)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351단계).
이후, 상기 단말(301)은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303)으로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한다(353단계).
상술한 실시 예에서 페이징 제어부(305)는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301)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301)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상기 기지국(303)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301)의 휴면 모드 천이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305)는 휴면 모드 천이를 수락하는 단말의 시스템 정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3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 중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있는 경우에만 단말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3)은 페이징 지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의 활성 모드 천이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차이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진입할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듀플렉서(400), 수신기(410), 제어부(420) 및 송신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4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4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4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410)는 RF처리기(4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or)(413),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기(415), 복호화기(417) 및 메시지 처리기(4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411)는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3)는 상기 RF처리기(411)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415)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3)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 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OFDM복조기(415)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복호화기(417)는 상기 OFDM복조기(41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기(419)는 상기 복호화기(417)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42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419)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20)는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할 때, 서빙 기지국으로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하도록 상기 송신기(43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정보를 저장부(421)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419)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단말을 휴면 모드로 천이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로 동작할 때,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정보로 상기 저장부(421)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기지국의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메 시지 처리부(419)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자신에 대한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자신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휴면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자신의 동작 천이 지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21)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록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421)는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송신기(430)는 메시지 생성부(431), 부호화기(433), OFDM 변조기(43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or)(437) 및 RF처리기(4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431)는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송할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 또는 위치 갱신 메시지 또는 네트워크 진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기(433)는 전송 신호 또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431)로부터 제공받은 메시지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435)는 역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433)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 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OFDM 변조기(435)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7)는 상기 OFDM 변조기(43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439)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37)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 설명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듀플렉서(500), 수신기(510), 제어부(520) 및 송신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5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5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510)는 RF처리기(5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3), OFDM복조기(515), 복호화기(517) 및 메시지 처리기(5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511)는 상기 듀플렉서(5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3)는 상기 RF처리기(511)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 다. 상기 OFDM복조기(515)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13)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OFDM복조기(515)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복호화기(517)는 상기 OFDM복조기(51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기(519)는 상기 복호화기(517)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단말이 전송한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 또는 위치 갱신 메시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52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520)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의 휴면 모드 천이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519)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인터페이스 모듈(525)을 통해 상기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의 정보를 페이징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 정보와 함께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단말이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단말 정보와 함께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단말 정보와 함께 상기 확인한 상기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525)을 통해 페이징 제어부로부터 상기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의 정보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휴면 모드 천이를 지시하도록 상기 송신기(53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DCD메시지와 UCD메시지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기(530)를 제어한다. 만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525)을 통해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비교기(523)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페이징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활성 모드로 천이할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을 상기 시스템 정보 비교기(523)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시스템 정보 비교기(523)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기(530)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521)는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 비교기(523)는 상기 제어부(520)로부터 제공받은 활성 모 드로 천이시킬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저장부(521)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검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525)은 유선망을 통해 상기 페이징 제어부와 연결하여 상기 페이징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송신기(530)는 메시지 생성부(531), 부호화기(533), OFDM 변조기(53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or)(537) 및 RF처리기(5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531)는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단말로 전송할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기(533)는 전송 신호 또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531)로부터 제공받은 메시지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535)는 역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533)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OFDM 변조기(535)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는 상기 OFDM 변조기(535)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539)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 설명은 단말의 휴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페이징 제어부의 구성에 대 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징 제어부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징 제어부는 인터페이스 모듈(600), 휴면 모드 제어부(610), 시스템 정보 저장부(620) 및 메시지 생성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은 유선망을 통해 기지국과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단말 및 상기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는 상기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정보 저장부(62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갱신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는 상기 시스템 정보 저장부(620)에 저장된 단말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확인한 변경된 시스템 정보로 갱신한다.
또한,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 저장부(620)는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의 시스템 정 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630)는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에서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단말을 확인한 경우, 상기 메시지 생성부(630)는 휴면 모드 천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에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위치 갱신 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메시지 생성부(630)는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60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630)는 상기 휴면 모드 제어부(610)의 제어에 따라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중 전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생성부(630)는 상기 시스템 정보 저장부(620)에 저장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 중 활성 모드로 천이시키기 위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을 포함하는 페이징 지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징 제어부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3)

  1.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면 모드(Idle mode)로의 천이를 원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 정보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위치 갱신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 정보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위치 갱신 이벤트 발생에 따라 갱신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진입을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제어부로부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1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과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의 차이와 상기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2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주지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이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 부로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하는 단말들과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상기 단말들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부터 위치 갱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위치 갱신 정보를 전송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상기 단말들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시스템의 페이징 제어부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한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 후,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부터 위치 갱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갱신 정보에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시스템 정보로 상기 저장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에 대한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휴면 모드(Idle mode)로의 천이를 원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받는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단말의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 위치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상기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위치 갱신 이벤트 발생에 따라 갱신한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페이징 제어부로부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 는 제 1 메시지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제 1 메시지에서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활성 모드로 천이시킬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들과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차이를 확인하는 시스템 정보 비교기와,
    상기 시스템 정보의 차이와 상기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제 2 메시지를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휴면 모드 천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하는 단말들과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6항에 있어서,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로부터 위치 갱신 정보를 수신받 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위치 갱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부로 위치 갱신 정보를 전송한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휴면 모드 천이를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한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의 시스템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활성 모드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휴면 모드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들의 위치 갱신 정보 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치 갱신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로 상기 저장한 상기 단말들의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63349A 2008-07-01 2008-07-0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00003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49A KR20100003449A (ko) 2008-07-01 2008-07-0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49A KR20100003449A (ko) 2008-07-01 2008-07-0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49A true KR20100003449A (ko) 2010-01-11

Family

ID=4181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349A KR20100003449A (ko) 2008-07-01 2008-07-0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7738B2 (en) On-demand system information request message
CN109496457B (zh) Dci的接收方法、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53619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アイドルモード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859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48103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98924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을 제어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9161307B2 (en) Upper-layer base station, lower-layer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26123B (zh) 支持空闲模式期间移动站的短消息服务的方法和装置
US20110070881A1 (en) Anti-interference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230180A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efficient power saving of ue-relay operation using d2d discovery in cellular system
KR100872421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최적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0801251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40000A (ko) 기기간 통신을 위한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US893790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CN113015182A (zh) 一种确定dc位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30049685A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160177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5096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한방법 및 장치
CN110521273B (zh) 非授权频谱上的信道状态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02733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휴면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9440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512469B1 (ko)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CN110169092B (zh)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080101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signals of neighboring base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0344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