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828B1 -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 Google Patents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828B1
KR101626828B1 KR1020130163463A KR20130163463A KR101626828B1 KR 101626828 B1 KR101626828 B1 KR 101626828B1 KR 1020130163463 A KR1020130163463 A KR 1020130163463A KR 20130163463 A KR20130163463 A KR 20130163463A KR 101626828 B1 KR101626828 B1 KR 10162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unit
control signal
smart phone
dir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5470A (en
Inventor
이제명
김영형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제명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원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외부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ationary unit fixed or unlocked at a desired position, a stationary unit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stationary unit and to which a smartphone is mounted, a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wireless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terminal,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incorporated in the mounting unit such that the stationary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er and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하여 거치대에 장착된 다른 스마트폰의 촬영 방향을 원격에서 조정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that adjusts a direction of a cradle remotely using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moving object.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화면을 보기 편리하도록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원하는 방향으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smartphone holder fixes a smart phone and sets it in a desired direction so that the smartphone screen can be easily seen.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단순히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였기에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이 없었으며 사용자가 방향을 직접 조정해야 했다.The conventional smartphone cradle simply fixed the smartphone, so it did not have the ability to adjust the orientation and the user had to adjust the direction manually.

차량에 부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방향이 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방향을 맞추어 사용해야만 했다.The smartphone holder that is attached to the vehicle can be adjusted in direction, but the user had to use it by hand.

특히 원격에서는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할 수 없었으므로 손이 닿지 않은 곳이나 다른 장소에 거치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방향을 조정하기가 불가능했다.In particular, it was not 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radle in the remote place, so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if there was a cradle in a place that was out of reach or in another place.

또한 근래에는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를 촬영하여 원격에 존재하는 단말기에 전송하는 감시 기능으로 활용하였으나 좁은 영역을 감시 촬영하거나 감시하려는 영역이 모두 보이도록 감시 촬영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를 멀리 위치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as a surveillance function to capture a desired place using an unused smartphone and transmit it to a remote terminal, but a smart pho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older had to be located far awa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에서 무선으로 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 phone, which can provide a smartphone cradle that can freely control operation from a remote pl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과 방향 제어신호 전송을 단일 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 phone, which can be implemented using a single wire for power supply and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감지해야 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 phone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in a direction to be automatically detected using a detection sens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는, 원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외부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fixing unit fixed or unlocked at a desired position; a mount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unit,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a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xternal terminal from the smartphone;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incorporated in the mounting unit to rotate th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er according to a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er, and a power suppli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er and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martphone from being detached,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정역회전 모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to receive the power for freely rotat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에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unit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by wire.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외부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terminal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Bluetooth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는 소리 감지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detection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의하면 원격에서 거치대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cradle can be changed remotely according to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의하면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거치대의 방향 제어신호를 신호수신부에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direction control signal of a cradle via a power supply unit to a signal receiving unit by wire, according to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의하면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거치대의 방향이 감지된 방향을 향하여 자동으로 움직이므로 유효한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ement sensor is provided, the movement of the cradle is automatically moved toward the detected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a valid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와 외부 단말기에 전송되는 촬영 이미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자동 방향 제어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여러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3 is a plan view showing an automatic direction control of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하여 거치대에 장착된 다른 스마트폰의 촬영 방향을 원격에서 조정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that adjusts a direction of a cradle remotely using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moving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와 외부 단말기에 전송되는 촬영 이미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자동 방향 제어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여러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direction control of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pho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10)이 거치되는 거치부(200)와, 외부 단말기(20)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300)와,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200)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500)와, 상기 신호수신부(300)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스마트폰(1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phone 100 includes a fixing part 100 fixed or unfixed at a desired position, a mounting part 200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100 and to which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A signal receiving unit 300 for receiving a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terminal 20 to the smartphone 10,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a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a motor driving unit 500 for dr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built in the mount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600 coupled to the smartphone 10 to supply power.

고정부(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거치대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조임쇠를 돌출된 구조물에 물리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접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착식과 조임쇠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fixing unit 100 serves to fix or unlock the cradle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The fixing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astener is hung on a protruding structure, or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of adhesive, or may include both the adhesive and the fastener.

또한 벽 또는 천장을 천공한 후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 등이 포함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screws or the like can be fixed so that they can be fixed after the wall or the ceiling is perforated.

거치부(200)는 상기 고정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10)이 거치된다.The mounting part 200 is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smart phone 10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거치부(200)는 스마트폰(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201)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지지되는 지지부(202)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portion 200 of the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01 for preventing the smartphone 10 from being detached and a supporting portion 202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do.

이탈방지부(201)는 스마트폰(10)이 상기 거치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게 한다.The departure-avoiding portion 201 is fixed to prevent the smartphone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ounting portion 200, thereby enabling stable driving.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201)는 미끄럼 방지판이 포함된 스프링 집게 또는 프레임 또는 흡착고무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201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pring clamp, a frame, or a suction rubber including a slip prevention plate.

미끄럼 방지판은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마찰력이 높으면서도 탄력이 있어 스마트폰에 흠집이나 손상을 주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The slip prevention plate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frictional forc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p prevention plate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which has high frictional force and elasticity and does not cause scratches or damage to the smartphone.

또한 미끄럼 방지판의 표면에 복수개의 미세한 돌기가 포함되어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lip prevention plat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상기 이탈방지부(201)는 스마트폰이 촬영하는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정역회전 모터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201 may be coupled to a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so that a direction in which a smartphone is photographed can be freely adjusted.

지지부(202)는 스마트폰의 촬영 방향이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이탈방지부(201)를 지지하며 고정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202 is formed to support and fix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1 so tha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is freely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이탈방지부(201)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거치부(200) 내에 내장된 상기 정역회전 모터와 결합한다.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1 of the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incorporated in the mounting portion 200 for receiving the power for freely rotating in the up, do.

정역회전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할 수 있는 모터로서 정회전이 되고 있는 정역회전 모터의 전원 입력의 극성을 초기 입력 극성의 반대로 입력하면 회전 방향이 역으로 바뀌어 역회전하게 된다.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is a motor that can rotate forward and reverse. When the polarity of the power input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is reversed,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reversed and reversed.

상기 정역회전 모터를 상기 이탈방지부(201)와 결합하여 좌우 방향 전환과 상하 방향 전환을 얻을 수 있다.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can be combined with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1 to obtain the lateral direction switching and the vertical direction switching.

상기 이탈방지부(201)는 정역회전 모터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단일 정역회전 모터를 이용하여 상하좌우의 방향 전환을 모두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벨트나 기어 등의 동력전달 장치를 포함하여 동력 전달 및 회전 축을 변환한다.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201 may be physically directly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so as to transmit the power. However, in the case of outputting all the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using a sing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 Including power transmission and rotation axis.

상기 이탈방지부(201)의 여러 가지 형태는 이후에 설명할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Various shapes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신호수신부(300)는 외부 단말기(20)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받는다.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receive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10 from the smart phone 1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terminal 2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외부 단말기(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The external terminal 20 of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y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사용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이 촬영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의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 user can freely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artphone 10 is photographed by using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obtain a photographed image in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외부 단말기(20)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에 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한다.The external terminal 20 of the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10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Bluetooth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방향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스마트폰은 상기 신호수신부(300)의 매우 근거리에 존재하며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많지 않기에 소모 전력이 매우 작은 지그비가 이용될 수도 있다.
Also, the smartphone which receive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and since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not small, a ZigBee with a very low power consumption may be used.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300)가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유선으로 수신받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과 상기 신호수신부(300)를 연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하기에 설명할 전원공급부(60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A method of connecting the smartphone 10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cable is a method of receiving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by wire. There may be a method of using the power supply unit 600.

모터구동부(500)는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킨다.The motor driving unit 500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built in the mounting unit to rotate the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정역회전 모터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거치부(200)와 결합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is a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nd is freely rotatable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are coupled with the stationary part 200 and transmit power to rotate freely.

상기 거치부(200)와 정역회전 모터는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The stationary part 200 and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may be physically coupled directly o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device.

또한 상기 정역회전 모터는 상기 거치부(200) 내부에 복수 개 포함되어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a plurality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may be included in the mounting part 200, and the power may be transmitted freely in the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제어부(400)는 상기 신호수신부(300)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구동부(500)에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motor driving unit 500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otor.

사용자가 모터의 구동 속도나 구동 가속도를 조정하거나 자동 동작을 설정하면 제어부(400)는 조정된 값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모터구동부(500)에 전달하여 상기 모터구동부가 원하는 구동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user adjusts the driving speed or the driving acceleration of the motor or sets the automatic operation, the control unit 4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adjusted value to the motor driving unit 500 to control the motor driving unit to perform desired driving .

전원공급부(600)는 상기 모터구동부(500)와 스마트폰(1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600 supplies power to the motor driving unit 500 and the smartphone 10.

이를 위하여 근처의 전원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도록 연결 플러그를 포함해야 한다.To this end, a connection plug should be included to connect to a nearby power terminal to receive power.

상기 스마트폰(10)이 상시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전원의 소모가 크고 전원 소모 속도도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전원에 항상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smartphone 10 performs normal recor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rtphone 10 is alway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the power consumption rate is very fast.

스마트폰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마트폰 용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연결 단자가 연결되어야 하나 상기 거치부(200)에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연결 단자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할 것이다.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smartphone at all times, a power cable and a power connection terminal for a smart phone should be connected separately, but it is convenient to use a power cable and a power connection terminal in the mounting portion 20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상기 스마트폰(10)의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300)에 유선으로 전송한다.The power supply unit 600 of the cradle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control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10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by wire.

상기 전원공급부(600)를 통해 스마트폰과 모터구동부(500)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을 공급하면서 방향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Not only the power for driving the smartphone and the motor driving unit 500 but also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600 to supply the power and transmit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방향 제어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무선 수신 방법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The station 200 may receive a directional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phone wirelessly or by wire. A wireless receiving method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방향 제어신호를 유선으로 수신받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통신 케이블을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방법이 있지만 상기 전원공급부(600)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Although the method of receiving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by wire is a method of connecting a separate communication cable to a smartphone, the power supply unit 600 can transmit data,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스마트폰(10)은 사용자가 보유한 외부 단말기(20)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방향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신호수신부(300)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20)에 상기 스마트폰(10)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smartphone 10 receive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terminal 20 hel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300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of the smartphone 1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상기 촬영 이미지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마이크 기능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저장부에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웹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Audio data may be obtained using the microphone function of the smartphone as well as the captur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or audio data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included in the smartphone or may be stored in a web server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0)을 상기 거치부(200)에 거치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부(600) 또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방향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11)가 촬영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martphone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and a direc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using the power supply unit 600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camera 11 of the smartphone can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11 is photographed.

또한 도 2의 하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단말기(20)에 상기 스마트폰(10)의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20)에서 상기 스마트폰(10)이 촬영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2, a captured image of the smartphone 1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martphone 10 captures the image is freely controlled by the external terminal 20 can do.

상기 외부 단말기(20)에서 방향 제어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하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방향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며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전송받은 방향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구동부(500)가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하도록 한다.
When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20 to the smartphone 10 using the wireless network,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by wire or wireless, And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motor driving unit 500 drive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는 소리 감지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und detection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소리 감지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가 감지된 방향을 연산하기 위한 연산장치(연산부)-미도시됨- 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연산을 위하여 상기 소리 감지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가 복수 개 포함되어 각 센서의 감지 시각을 비교하여 감지된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소리를 감지하는 복수의 소리 감지 센서와, 복수의 소리 감지 센서의 소리감지 시간을 비교하여 감지된 방향을 추측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operation unit (not shown) for calcula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detection sensor or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may be further included. A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or motion detection sensors may be included for the calculation so that the sensed directions can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 detection times of the respective sensors. That is,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sounds, and an operation unit for comparing the sound detection times of the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and estimating the detected directions.

또한 스마트폰(10)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픽셀 구역을 추출하고 해당 구역이 촬영 이미지의 한가운데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변화된 픽셀 구역을 중심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된 픽셀 구역이 새로운 물체(사람)에 의해 발생 되었을 경우, 새로운 물체(사람)를 중심으로 촬영하게 된다.Also,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pixel region chang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martphone 10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frame and the corresponding reg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so as to photograph the center of the changed pixel region. Therefore, when the changed pixel area is generated by a new object (person), it is photographed around a new object (person).

또한 상기 소리 감지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가 소리 또는 동작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외부 단말기(20)에 감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거치부(200)가 감지 방향을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촬영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ound detection sensor or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a sound or an operation, it transmits a detection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xternal terminal 20, controls the mounting unit 200 to automatically rotate toward the sensing direc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의 여러 실시 예로서, 상기 거치부(200)의 이탈방지부(201)는 스프링 집게 또는 정 프레임 또는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iversion prevention unit 201 of the mounting unit 200 may include a spring clamp, a frame or a suction plate.

스프링 집게는 스프링이 포함된 집게 모양의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로서 스마트폰을 스프링의 복구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The spring tongs are spring-loaded tongue-shaped fixturing cradles that fix the smartphone with the spring's restoring force.

도 4의 첫 번째에 도시된 거치부(200)는 상기 스프링 집게가 상기 스마트폰의 아래와 위를 잡아주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스마트폰이 양 옆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 집게를 상기 스마트폰의 양 옆을 고정하도록 추가 배치할 수도 있다.4 is shown in the form of holding the spring clamps below and above the smartphone, but the spring clamp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It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to fix both sides.

또한 상기 스프링 집게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손상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스마트폰과 닿는 부분에 흠집이나 손상이 생길 수도 있고 상기 스프링 집게를 장시간 사용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떨어져 스마트폰이 빠질 수도 있으므로 미끄럼 방지판과 같이 마찰력이 높으면서도 탄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맞닿는 부분에 코팅하거나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forceps are formed of a rigid material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However, scratches or damage may occur o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smart phone. If the spring forceps are used for a long time,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a slip plate and a resilient material so as to coat or protrude on the portion contacting with the smartphone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도 4의 두 번째와 세 번째에 도시된 상기 거치부는 프레임 또는 흡착고무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형태이다.The mounting portions shown in the second and third figures in Fig. 4 are in the form of fixing the smart phone using a frame or a suction rubber.

상기 프레임은 어떠한 스마트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프레임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스마트폰(10)이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는 고정걸이 또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is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frame is adjusted so that it can be used in any smartphone. 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fixing hook or a fix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martphone 10 so as not to be detached.

흡착고무는 스마트폰에 흡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시간이 지나 흡착고무 내부와 스마트폰 사이에 형성된 저압 상태가 원상태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이 이탈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는 돌출 바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거치부(200)의 이탈방지부(201)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돌출 바와, 거치된 스마트폰의 후면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흡착고무는 6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돌출 바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The absorbent rubber is adsorbed on the smartphone and serves to fix the smartphone. If the low pressure stat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absorbent rubber and the smartphone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passage of time, the smartphone may be detached.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a protruding bar that can be mounted. That is,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1 of the mounting portion 200 may include a protruding bar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a plurality of adsorption rubber for absorb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ed smartphone. As shown in FIG. 4, six pieces of the adsorption rubber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rotrusion bars are protruded so a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ed smart pho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a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odify 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many of such variations.

10 : 스마트폰
11 : 스마트폰 카메라
20 : 외부 단말기
100 : 고정부
200 : 거치부
201:이탈방지부 202:지지부
300 : 신호수신부
400 : 제어부
500 : 모터구동부
600 : 전원공급부
10: Smartphone
11: Smartphone camera
20: External terminal
100:
200:
201: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202:
300:
400:
500:
600: Power supply

Claims (7)

원하는 위치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외부 단말기의 무선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되는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회전되도록 거치부에 내장된 정역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의 이탈방지부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돌출 바; 및 거치된 스마트폰의 후면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거치대는, 소리를 감지하는 복수의 소리 감지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소리 감지 센서의 소리감지 시간을 비교하여 감지된 방향을 추측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소리가 감지된 방향을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거치된 스마트폰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픽셀 구역을 추출하고, 해당 구역이 촬영 이미지의 한가운데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변화된 픽셀 구역을 중심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A fixing part fixed or unfixed at a desired position;
A mounting part for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to which the smart phone is mounted;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direc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smartphone through wireless remote control of the external terminal;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ors built in the mounting unit to rotate the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a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driver and the smartphon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martphone from being detached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ding bar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mounted smart phone; And a plurality of adsorptive rubbers that adsorb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ed smart phone,
The cradle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for sensing sound; And a calculator for comparing a sound detection time of the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and estimating a sensed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utomatic rotation of the sound sensor in a direction in which sound is sen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hoot the center of the changed pixel area by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changed pixel area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stationary smartphone and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the mounting part so that the corresponding are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hotographed image Characterized by
A cradle capable of motion control using a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terminal is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방향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에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transmit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by wi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방향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움직임 제어가 가능한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terminal transmits a dir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martphone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Bluetooth communication.
삭제delete
KR1020130163463A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KR101626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63A KR101626828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63A KR101626828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70A KR20150075470A (en) 2015-07-06
KR101626828B1 true KR101626828B1 (en) 2016-06-02

Family

ID=5378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63A KR101626828B1 (en) 2013-12-26 2013-12-26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17A1 (en)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쓰리아이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and image synthesis method
US11575840B2 (en) 2019-11-19 2023-02-07 3I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and composing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31B1 (en) * 2017-12-29 2018-06-21 신종환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2094493B1 (en) 2018-10-12 2020-03-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phone hold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67B1 (en) * 2007-07-11 2009-02-1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Mobile telephone support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tracking face of ca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30077372A (en) * 2011-12-29 2013-07-09 원혜숙 Rota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17A1 (en)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쓰리아이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and image synthesis method
US11575840B2 (en) 2019-11-19 2023-02-07 3I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and compos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70A (en)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3606B1 (en) Pole with smartphone support and shutter release
CN107438807B (en) Holding device control method, holding device, handheld cloud deck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26828B1 (en) Smart Phone Holder for Movement Control
CN110679144B (en) Intelligent support
US10356322B2 (en) Wearable device, control apparatus,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imaging apparatus
US979445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JP2022070939A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601980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CA2921992A1 (en) Digital camera utilizing surface for temporary mounting
CN104244045B (en) The method that control video pictures presents and device
US20170277221A1 (en) Head mounted display
EP2958315B1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CN102449986A (en) Multiple orientation apparatus
KR20160041677A (en) Suspension apparatus for smart-phone, security camera, remote-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smart-phone with suspension apparatus
KR20180025864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17147530A1 (en) Automated mobile device onboard camera recording
JP66242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140136278A (en) PTZ monitoring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PTZ monitoring system therefrom
CN205620670U (en) Cell -phone panorama automatic shooting device
US8520121B2 (en) Digital camera
KR101650413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phone
KR20160068453A (en) Remote Control Stand for Camer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829800B1 (en) Credle
KR101565421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6354145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lanc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