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770B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770B1
KR101626770B1 KR1020160008240A KR20160008240A KR101626770B1 KR 101626770 B1 KR101626770 B1 KR 101626770B1 KR 1020160008240 A KR1020160008240 A KR 1020160008240A KR 20160008240 A KR20160008240 A KR 20160008240A KR 101626770 B1 KR101626770 B1 KR 10162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ail
slider
dispos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파워
Priority to KR102016000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7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8223 priority patent/WO20171267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상부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경사지고,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관체(17,19)로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9,11)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를 이루는 한 쌍의 관체(17,19)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구름접촉함으로써 레일부를 따라 대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롤러조립체(Roller;5,6)와;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3,7)와; 일측은 한 쌍의 레일부(9,1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더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더를 상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한 쌍의 탄성부재(11,13)와; 한 쌍의 레일부(9,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21,2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등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양 다리를 양측 대각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체의 근력 운동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레저생활에 대한 관심과, 직장인들의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대두 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등산, 레크레이션, 스포츠, 헬스 등 다양한 활동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헬스클럽 등에서는 다양한 운동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자 신체특성에 적합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는 바, 그 일예로서 아래의 선행기술이 제안된다.
즉, 도 7에는 한국 특허등록 제10-1415655호(명칭: 다기능 하체운동기구)에도 이러한 운동기구가 도시된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경사지는 제 1 및 제 2지지대(4,5)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대(4,5)의 경사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대를 따라 대각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6a,6b)와; 한 쌍의 슬라이더(6a,6b)를 제 1 및 제 2지지대(4,5)의 상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각각 당기는 탄성부재(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6a,6b)는 제 1 및 제 2슬라이더로 구성되고, 각각의 슬라이더(6a,6b)는 브래킷 부재(15)가 지지대(4,5)를 감싸고, 이 브래킷 부재(15)에 복수개의 베어링이 장착되어 지지대(4,5)에 구름접촉을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선행기술은 슬라이드 지지대(4,5)의 외면에 3개의 롤러(r1,r2,r3)에 하중이 작용할 때, 이 하중은 각 롤러(r1,r2,r3)에서 수평분력(F1) 및 수직분력(F2)으로 구분되는 바, 각 수직분력(F2)은 지지대를 중심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롤러(r1,r2,r3)가 지지대상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롤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롤러가 3개 이상 구비되어야 슬라이더가 안정적으로 승하강을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롤러의 추가로 인하여 제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5412호(명칭:족답식 운동기)에도 이러한 운동기구가 제시되는 바, 양 발판이 상부 중앙의 도르래에 걸린 연결끈에 연결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양 발판이 연결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으로 양 다리가 동시에 하강 혹은 상승하는 운동이 불가능하여 교대로 승하강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 발판이 연결끈에 의하여 연동이 되며 운동을 하기 위하여 다리를 오므리고 펼 때 다리의 근육에 기구에 의한 저항이 거의 걸리지 않으므로 기구 없이 제자리뛰기하는 것과 운동효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기구 없이도 제자리 뛰기를 하는 것만으로 기구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이다.
미국 특허 6796928호(명칭: 다리 운동기구)에는 2개의 발판과, 이 발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제시된다.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양 다리가 단순히 수직방향을 따라 상하로만 운동할 수 있으며, 대각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의 스프링과 연결된 반대편이 힌지로 구성되어 운동을 하는 동안 발뒤꿈치부분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발 앞부분을 밟아내려 운동을 하므로 허벅지운동은 거의 되지 않고 종아리 근육만 운동되므로 운동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그리고,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109665호(명칭: 발 운동구)에는 주축과 보조주축이 힌지결합되고 발판이 주축상에 고정되며, 스프링이 장착된 구조가 제시된다. 이 종래기술의 경우, 양 다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을 하므로, 양 다리가 교대로 대각방향을 따라 운동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국등록 10-783744호(명칭:운동기구)에도 이러한 운동기구가 제시된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베이스바 상에 회전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좌우 측방향으로 양발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된다. 이 종래기술의 경우, 스프링이 장착됨으로써 양 다리를 대각방향으로 동시 혹은 교대로 벌리거나 오무릴 수는 있으나, 다리가 놓여지는 거치대 및 회전아암이 내외측으로 회전운동을 할 때 벌어지는 각도가 항상 다를 수 밖에 없어서 일정한 각도로 대각선 방향의 상하운동을 하는 것이 어려워서 동일한 패턴의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어렵고, 회전중심이 아래에 위치하므로 전복에 따른 부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회전암이 수직인 상태에서 운동을 하기 위하여 회전암을 아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발을 아래로 내딛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닌 옆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며,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동작하였을 경우에는 무릎관절에 비틀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무릎관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빠른 속도의 반복운동 또한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35412호(명칭:족답식 운동기) 2. 미국 특허 6796928호(명칭:다리 운동기구) 3.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2-109665호(명칭:발 운동구) 4. 한국등록 10-783744호(명칭:운동기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양 다리를 양측 대각방향으로 빠른 속도의 왕복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운동중 근육에 지속적인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하체의 근력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구조로 함으로써 접거나 펼칠 수 있어서 이동이 용이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바, 이러한 운동기구는,
상부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경사지고,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관체(17,19)로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9,11)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를 이루는 한 쌍의 관체(17,19)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구름접촉함으로써 레일부를 따라 대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롤러조립체(Roller;5,6)와;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3,7)와;
일측은 한 쌍의 레일부(9,1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더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더를 상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한 쌍의 탄성부재(11,13)와;
한 쌍의 레일부(9,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21,2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슬라이더를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롤러를 동일선상에 배치하고, 또한 한 쌍의 관체의 사이에 배치하여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하여 가압하는 경우,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바, 이러한 수직하중이 각각의 롤러에 전달될 때 수평분력은 슬라이더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수직분력은 롤러가 대각 하부방향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크므로 수평분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음으로 롤러의 진행에 적은 영향을 미치므로 적은 마찰력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소음도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더가 하강할 때, 복수의 롤러중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롤러는 아래에 위치한 관체의 상면에 구름접촉하여 하중을 주로 받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롤러는 상부에 위치한 관체의 하면에 구름접촉을 하므로 롤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각 롤러간의 역할이 분담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둘째, 한 쌍의 레일부가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갖으며, 상부에는 힌지부재가 장착되어 각 레일부를 힌지결합함으로써 필요시 한 쌍의 레일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서 이동이 쉬운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기구에서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다리를 펴고 오므리면서 운동을 하는 동안 탄성부재의 당김힘에 따라 지속적으로 근육이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단시간 운동으로 많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슬라이딩 운동시 롤러가 관체에 구름접촉할 때 하중에 대한 수평분력 및 수직분력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일측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단면도로서 슬라이더의 롤러가 제 1 및 제 2관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름접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운동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기능 운동기구(1)는 발판이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더(3,7)(Slider;)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다리를 양측 대각선 방향으로 상하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다리의 근력운동을 실시하거나, 사용자가 업드린 상태에서 손으로 슬라이더의 상부를 집고 푸쉬업(Push up)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팔의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서 다목적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다기능 운동기구(1)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기능 운동기구(1)는 양측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경사지며,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관체(17,19)로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9,11)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를 이루는 한 쌍의 관체(17,19) 사이에 각각 구름접촉함으로써 레일부를 따라 대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롤러조립체(Roller;5,6)와;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3,7)와;
일측은 한 쌍의 레일부(9,1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슬라이더(3,7)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더(3,7)를 상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한 쌍의 탄성부재(11,13)와;
한 쌍의 레일부(9,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2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는 제 1 및 제 2레일부(9,11)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부가 상부 힌지부재(46) 및 핸들(4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양측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각각 벌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레일부(9,11)는 상부 힌지부재(46)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핸들(47)을 잡고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레일부(9,11)의 하부에는 상기한 받침대(21,23)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레일부(9,11)는 삼각형상의 구조를 갖음으로써 직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 1플레이트(23a)에 올라선 상태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레일부(9,11)는 하나의 받침대(21,23)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레일부(9,11)는 일측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레일부(9)와, 제 1레일부(9)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 1레일부(9)와 상부가 힌지연결되는 제 2레일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레일부(9) 및 제 2레일부(11)는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레일부(9)는 한 쌍의 관체(17,19)가 상하로 배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진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제 1관체(19)와; 제 1관체(19)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관체(19)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제 2관체(17)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관체(19,17)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원형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롤러(R1,R2)가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표면에 원활하게 구름접촉할 수 있다. 물론, 원형단면 뿐만 아니라 소정 곡률의 타원단면과 같이 롤러(R1,R2)가 구름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면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부나 하부는 볼트나 핀과 같은 체결부재(61,6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레일부(11)도 제 1레일부(9)와 동일하게 제 3 및 제 4관체(36,38)로 이루어지며, 제 3 및 제 4관체(36,38)는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부와,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상부는 상기한 상부 힌지부재(46)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힌지부재(46)는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부를 같이 고정하는 제 1고정브래킷(48)과;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상부를 같이 고정하는 제 2고정브래킷(49)과; 제 1 및 제 2고정브래킷(48,49)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45)와; 커넥터(45)에 제 1 및 제 2고정브래킷(48,49)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힌지핀(40,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부 힌지부재(46)에 있어서, 제 1고정브래킷(48)은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4)이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단이 이 한 쌍의 삽입홈(74)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 1고정브래킷(48)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 1턱(71)이 돌출되며, 한 쌍의 제 1턱(71)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 1턱(71) 사이 공간에는 커넥터(45)의 일측에 돌출된 제 1노브(73)가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제 1턱(71)에는 측방향으로 제 1관통홀(h5)이 각각 형성되며, 제 1관통홀(h5)은 커넥터(45)의 제 1노브(73)에 형성된 제 1힌지홀(h6)과 대응된다.
그리고, 커넥터(45)의 제 1노브(73)가 한 쌍의 제 1턱(71) 사이에 삽입되어 제 1관통홀(h5)과 제 1힌지홀(h6)이 서로 연통되면, 제 1힌지핀(40)이 제 1관통홀(h5) 및 제 1힌지홀(h6)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관체(19,17)는 제 1고정브래킷(48)에 의하여 커넥터(4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 2고정브래킷(49)은 제 1고정브래킷(48)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2고정브래킷(49)은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4)이 형성됨으로써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상단이 이 한 쌍의 삽입홈(74)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 2고정브래킷(49)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 2턱(72)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이 사이 공간에는 커넥터(45)의 일측에 돌출된 제 2노브(74)가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제 2턱(72)에는 측방향으로 제 2관통홀(h7)이 각각 형성되며, 제 2관통홀(h7)은 커넥터(45)의 제 2노브(74)에 형성된 제 2힌지홀(h8)과 대응된다.
따라서, 커넥터(45)의 제 2노브(74)가 한 쌍의 제 2턱(72) 사이에 삽입되어 제 2관통홀(h7)과 제 2힌지홀(h8)이 서로 연통되면, 제 2힌지핀(42)이 제 2 및 제 2힌지홀(h8)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제 3 및 제 4관체(36,38)는 제 2고정브래킷(49)에 의하여 커넥터(4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부가 연결된 제 1고정브래킷(48)과,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상부가 연결된 제 2고정브래킷(49)은 커넥터(45)에 제 1 및 제 2힌지핀(40,4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필요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5)의 상부에는 핸들(47)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핸들(47)을 잡아서 운동기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하부와,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하부는 하부 힌지부재(78)에 의하여 각각 제 1 및 제 2받침대(21,23)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레일부(9,11)를 펴거나 접었을 때 받침대(21,23)가 제 1 및 제 2레일부(9,11)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가변됨으로써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힌지부재(78)는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3고정 브래킷(50)과,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4고정 브래킷(52)을 포함한다.
제 3고정 브래킷(50)은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4)이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하단이 이 한 쌍의 삽입홈(74)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 3고정 브래킷(50)에는 측방향으로 제 3관통홀(h9)이 형성되며, 제 3관통홀(h9)은 제 1받침대(21,23)에 돌출된 한 쌍의 지지 브래킷(60)에 형성된 제 3힌지홀(h10)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3고정 브래킷(50)이 한 쌍의 지지 브래킷(6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 3관통홀(h9)과 제 3힌지홀(h10)이 서로 연통되며, 제 3힌지핀(62)이 제 3관통홀(h9) 및 제 3힌지홀(h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관체(19,17)는 제 3고정 브래킷(50)에 의하여 제 1받침대(21,23)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 4고정 브래킷(52)은 제 3고정 브래킷(5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4고정브래킷(52)은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4)이 형성됨으로써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하단이 이 한 쌍의 삽입홈(74)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 4고정 브래킷(52)에는 측방향으로 제 4관통홀(h11)이 형성되며, 제 4관통홀(h11)은 제 2받침대(23)의 제 2지지 브래킷(60a)에 형성된 제 4힌지홀(h12)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4고정 브래킷(52)이 한 쌍의 제 2지지 브래킷(60a)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 4관통홀(h11)과 제 4힌지홀(h12)이 서로 연통되면, 제 4힌지핀(79)이 제 4관통홀(h11) 및 제 4힌지홀(h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제 3 및 제 4관체(36,38)는 제 4고정 브래킷(52)에 의하여 제 2받침대(23)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하부가 연결된 제 3고정 브래킷(50)과,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하부가 연결된 제 4고정 브래킷(52)은 각각 제 1 및 제 2받침대(21,23)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필요시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조립체(5,6)는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롤러(R1,R2)와;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3 및 제 4롤러(R3,R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롤러(R1,R2)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제 1롤러(R1)는 제 2롤러(R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롤러(R1,R2)는 통상적인 롤러 구조, 즉 외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정 곡률의 곡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롤러(R1,R2)의 축방향으로는 제 1 및 제 2체결홀(29,31)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 1축(S1) 및 제 2축(S2)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체결홀(29,31)을 관통하는 제 1축(S1) 및 제 2축(S2)은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양단은 후술하는 제 1슬라이더(3)의 제 1지지브래킷의 제 2결합홀(h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 1슬라이더(3)가 대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 제 1슬라이더(3)와 제 1 및 제 2축(S1,S2)에 의하여 연결된 제 1 및 제 2롤러(R1,R2)도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사이에서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같이 대각방향으로 승하강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롤러(R1,R2)가 제 1관체(19)와 제 2관체(17)에 접촉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롤러(R1)가 제 1관체(19)의 하면에 접촉하고, 제 2롤러(R2)는 제 2관체(17)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더의 제 1플레이트(23a)는 제 1 및 제 2롤러(R1,R2)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더의 제 1플레이트(23a)에 탑승하여 아래로 가압하는 경우,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바, 이러한 수직하중(F)이 제 1 및 제 2롤러(R1,R2)에 전달될 때 제 1롤러(R1)와 제 2롤러(R2)의 사이에 전달되므로 제 2롤러(R2)는 이 수직하중(F)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 2관체(17)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 1롤러(R1)는 상대적으로 제 1관체(19)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 1롤러(R1) 및 제 2롤러(R2)는 제 1레일부(9)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수직방향의 하중(F)이 제 1 및 제 2롤러(R1,R2)에 작용할 때, 각 롤러(R1,R2)에 작용하는 하중의 수평분력(F1)은 제 1레일부(9)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수직분력(F2)은 롤러(R1,R2)가 대각방향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크므로 이러한 수평분력(F1)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갖음으로 롤러(R1,R2)의 진행에 적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제 1슬라이더(3)가 하강할 때,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제 2롤러(R2)가 제 2관체(17)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하여 하강하고, 제 1롤러(R1)는 제 1관체(19)의 하부 표면에 구름접촉함으로써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롤러(R1,R2)는 승하강시 제 1레일부(9)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수직하중(F)이 진행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내지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진행을 방해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레일부(9,11)에 장착되는 제 3 및 제 4롤러(R3,R4)는 제 1 및 제 2롤러(R1,R2)와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제 3롤러(R3)는 제 4롤러(R4)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서로 일정 걸이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및 제 4롤러(R3,R4)의 축방향으로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 3 및 제 4축(S3,S4)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 3 및 제 4축(S3,S4)은 체결홀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양단은 후술하는 제 2슬라이더(7)의 제 2지지브래킷(27a)의 제 2결합홀(h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 2슬라이더(7)가 대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 제 2슬라이더(7)와 제 3 및 제 4축(S3,S4)에 의하여 연결된 제 3 및 제 4롤러(R3,R4)도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사이에서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같이 대각방향으로 승하강한다.
그리고, 제 3롤러(R3)가 제 3관체(38)의 하면에 접촉하고, 제 4롤러(R4)는 제 4관체(36)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슬라이더(7)의 제 1플레이트(23a)가 제 3 및 제 4롤러(R3,R4)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더의 제 1플레이트(23a)에 탑승하여 아래로 가압하는 경우,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바, 이 수직하중(F)에 의하여 제 4롤러(R4)가 가압되어 제 4관체(36)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 3롤러(R3)는 상대적으로 제 3관체(38)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슬라이더(3,7)는 제 1레일부(9)에 장착되는 제 1슬라이더(3)와, 제 1 및 제 2레일부(9,11)에 장착되는 제 2슬라이더(7)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라이더에 있어서, 제 1슬라이더(3)는 제 1레일부(9)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측에 제 1결합홀(h1)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25)(Housing)과; 제 1하우징(25)의 하부에 돌출되며 제 2결합홀(h2)이 형성되는 제 1지지 브래킷(27a)과; 제 1하우징(25)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누룰수 있는 제 1플레이트(23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슬라이더(3)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하우징(25)은 제 1수평판과, 이 제 1수평판의 양단에서 하부로 각각 절곡된 한 쌍의 제 1수직판(25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 형상을 갖는다.
한 쌍의 제 1수직판(25b)은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제 1레일부(9)가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더가 대각선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 1수직판(25b)의 상부에는 제 1결합홀(h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 1지지 브래킷(27a)이 돌출된다. 그리고 제 1지지브래킷(27a)에는 제 2결합홀(h2)이 형성된다.
이때, 제 1결합홀(h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롤러(R1)를 관통한 제 1축(S1)이 결합되며, 제 2결합홀(h2)에는 제 2롤러(R2)를 관통한 제 2축(S2)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롤러(R1,R2)가 제 1 및 제 2축(S1,S2)에 의하여 제 1하우징(25)에 결합되며, 이때 제 1 및 제 2롤러(R1,R2)의 오목부에 제 1 및 제 2관체(19,17)가 삽입되어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 1슬라이더(3)는 제 1레일부(9)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23a)는 제 1수평판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사용자가 밟고서 탑승하거나, 손으로 짚어서 푸쉬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플레이트(23a)는 그 상면이 편평한 형상일 수도 있지만,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슬라이더(7)는 제 1슬라이더(3)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제 2슬라이더(7)도 상측에 제 2결합홀(h2)이 형성되는 제 2하우징(25b)(Housing)과; 제 2하우징(25b)의 하부에 돌출되며 제 2결합홀(h2)이 형성되는 제 2지지 브래킷(27b)과; 제 2하우징(25b)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누룰수 있는 제 2플레이트(2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하우징(25b)은 제 2수평판(26a)과, 제 2수평판(26a)의 양단에서 하부로 각각 절곡된 한 쌍의 제 2수직판(26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결합홀(h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롤러(R3)를 관통한 제 3축(S3)이 결합되며, 제 2결합홀(h2)에는 제 4롤러(R4)를 관통한 제 4축(S4)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4롤러(R3,R4)가 제 3 및 제 4축(S3,S4)에 의하여 제 2하우징(25b)에 결합되며, 이때 제 3 및 제 4롤러(R3,R4)의 오목부에 제 3 및 제 관체(36,38)가 삽입되어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 2슬라이더(7)는 제 2레일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는 상기한 탄성부재(13,1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대각방향을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13,15)는 제 1레일부(9)의 인접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1슬라이더(3)를 상향으로 당기는 제 1탄성부재(13)와; 제 2레일부(11)의 인접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2슬라이더(7)를 상향으로 당기는 제 2탄성부재(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탄성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탄성부재(13,15)는 스프링, 고무, 공압 실린더,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탄성부재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13)는 한 쌍의 스프링(32,34)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스프링(32,34)은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프링(32,34)의 일단(상단)은 제 1힌지핀(40)의 양측에 각각 걸리며, 타단(하단)은 제 1슬라이더(3)에 구비된 제 2축(S2)의 양단에 각각 걸린다.
따라서, 제 1탄성부재(13)의 상단이 제 1힌지핀(40)의 양측에 각각 걸린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제 2축(S2)을 대각방향의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당기게 된다.
결국, 제 1슬라이더(3)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탄성부재(13)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하여 발로 밟는 경우에 레일부의 하부로 대각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제 2탄성부재(15)도 제 1탄성부재(1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제 1탄성부재(13)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즉, 제 2탄성부재(15)도 한 쌍의 스프링(32,34)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스프링(32,34)은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프링(32,34)의 일단(상단)은 제 3힌지핀(42)의 양측에 각각 걸리며, 타단(하단)은 제 2슬라이더(7)에 구비된 제 4축(S4)의 양단에 각각 걸린다.
따라서, 제 2탄성부재(15)의 상단이 제 2힌지핀(42)의 양측에 각각 걸린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제 4축(S4)을 대각방향의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당기게 된다.
결국, 제 2슬라이더(7)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일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하여 발로 밟는 경우에 레일부의 하부로 대각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제 1슬라이더(3) 및 제 2슬라이더(7)는 제 1 및 제 2레일부(9,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 1커버(24a)와 제 2커버(24b)에 의하여 외관이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커버(24a) 및 제 2커버(24b)는 내측의 롤러와, 탄성부재 등의 구성요소를 감쌈으로써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의 상하부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토퍼(Stopp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제 1레일부(9)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상부 스토퍼(54)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 1하부 스토퍼(56)와; 제 2레일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상부 스토퍼(80)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 2하부 스토퍼(8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상부 스토퍼(54)는 제 1고정브래킷(48)의 하부에 돌출되며,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제 1하부스토퍼(56)는 제 3고정 브래킷(50)의 상부에 돌출되며,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슬라이더(3)가 대각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 1상부 스토퍼(54)에 완충적으로 접촉하여 상승 범위가 제한되고,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 1하부 스토퍼(56)에 완충적으로 접촉하여 하강 범위가 제한된다.
제 2상부 및 하부 스토퍼(80,82)도 제 1상부 및 하부 스토퍼(54,56)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배치 방향만 다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운동기구에 의하여 다양한 동작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가 제 1 및 제 2탄성부재(15)가 수축된 상태이므로 상승하여 제 1 및 제 2상부 스토퍼(54,8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 측 발을 제 1슬라이더(3)의 제 1플레이트(23a)에 올려놓고 밟게 되며, 제 1슬라이더(3)는 밟는 힘에 의하여 제 1레일부(9)의 경사를 따라 대각 외측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제 1탄성부재(13)는 밟는 힘만큼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슬라이더(3)가 하강함에 따라 제 1롤러(R1) 및 제 2롤러(R2)도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 1롤러(R1) 및 제 2롤러(R2)는 제 1레일부(9)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수직방향의 하중(F)이 제 1 및 제 2롤러(R1,R2)에 작용할 때, 각 롤러에 작용하는 하중의 수평분력(F1)은 제 1레일부(9)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수직분력(F2)은 롤러가 대각방향으로 진행하려는 힘이 크므로 이러한 수평분력(F1)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갖음으로 롤러의 진행에 적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제 1롤러(R1)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관체(19)의 하면에 구름접촉하고, 제 2롤러(R2)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 2관체(17)의 상면에 구름접촉한다.
즉, 제 1슬라이더(3)가 하강할 때,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제 2롤러(R2)가 제 2관체(17)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하여 하강하고, 제 1롤러(R1)는 제 1관체(19)의 하부 표면에 구름접촉함으로써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롤러(R1,R2)는 승하강시 제 1레일부(9)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수직하중(F)이 진행방향에 대하여 역방향 내지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진행을 방해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롤러(R1,R2)가 동일선상에서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사이에 배치되어 승하강시 원활하게 슬라이딩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롤러 배치구조와는 효과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종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의 상부에 롤러가 배치되고, 하부에 복수의 롤러가 배치되어 3각형상을 이루는 경우, 각 롤러에 작용하는 수평 및 수직분력(F1,F2)들이 레일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레일을 감싸는 결과가 되어 마찰력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동시에 수평 및 수직분력(F1,F2)이 레일에 대하여 회전 모멘트로 작용하게 되어 롤러의 진행을 방해하는 구조인 바, 이러한 구조는 마찰력 및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측의 발을 제 1슬라이더(3)의 제 1플레이트(23a)에 올려놓은 후, 타측 발을 제 2슬라이더(7)의 제 2플레이트(23b)에 올려놓고 밟게 된다. 따라서, 제 2슬라이더(7)도 제 1슬라이더(3)와 같은 과정으로 제 2레일부(11)를 따라 대각 외측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제 1 및 제 2탄성부재(13,15)도 같이 대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인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 상에 올라선 경우, 제 1 및 제 2탄성부재(13,15)는 체중에 의하여 충분히 탄력적으로 인장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다리에 힘을 주어서 내측 상부방향으로 점프하듯이 오므리는 경우,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에 작용하는 힘도 감소되므로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에 작용하던 제 1 및 제 2탄성부재(13,15)도 수축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는 대각방향을 따라 상부로 상승함으로써 사용자의 양 발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가 상부의 최고점에 도달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 다리는 가운데로 모인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양 다리를 펴 아래로 밀어내리는 경우,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는 제 1 및 제 2레일부(9,11)를 따라 양측 외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대각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양 다리를 오므리거나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도 탄성력에 의하여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므로 하체 운동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레일부(9,11)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삼각형상을 이루므로 사용자는 양 발이 모두 제 1 및 제 2슬라이더(3,7)상에 올라선 경우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양 다리를 반복적으로 오므리거나 벌리는 운동할 때 매우 안정적인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주므로 근육의 무리를 유발하지 않아서 운동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양 다리를 오므리거나 펴는 운동을 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양쪽다리에 지속적으로 당김힘을 작용시키므로 다리근육은 항상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운동효과 또한 증가된다.
상기에서는 양 다리를 동시에 펴거나 오므리는 운동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운동 외에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양 다리를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차적으로 펴거나 오므려서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혹은 양 다리를 동시에 승하강시키거나, 교차적으로 승하강 시키면서, 허리를 회전시키는 운동도 가능하다.

Claims (6)

  1. 상부가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경사지고,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관체(17,19)로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9,11)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를 이루는 한 쌍의 관체(17,19)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각 구름접촉함으로써 레일부를 따라 대각방향으로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롤러조립체(Roller;5,6)와;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레일부를 따라 승하강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3,7)와;
    일측은 한 쌍의 레일부(9,1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더에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더를 상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기는 한 쌍의 탄성부재(11,13)와;
    한 쌍의 레일부(9,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21,23)를 포함하며,
    한 쌍의 레일부(9,11)는 일측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레일부(9)와, 제 1레일부(9)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 1레일부(9)와 상부가 힌지연결되는 제 2레일부(11)를 포함하며,
    제 1레일부(9)는 상부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제 1관체(19)와; 제 1관체(19)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1관체(19)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제 2관체(17)를 포함하며,
    제 2레일부(11)는 상부에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제 3관체(38)와; 제 3관체(38)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 3관체(38)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제 4관체(36)를 포함하고,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는 제 1관체(19) 및 제 2관체(17)의 사이와, 제 3관체(38) 및 제 4관체(36)의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롤러 조립체(5,6)는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롤러(R1,R2)와;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3 및 제 4롤러(R3,R4)와; 제 1 및 제 2롤러(R1,R2)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축(S1) 및 제 2축(S2)과; 제 3 및 제 4롤러(R3,R4)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3 및 제 4축(S3,S4)을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4롤러(R1,R2,R3,R4)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외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정 곡률의 곡면이 형성되며,
    제 1롤러(R1)는 제 1관체(19)의 하면에 구름접촉하고, 제 2롤러(R2)는 제 2관체(17)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하며,
    제 3롤러(R3)는 제 3관체(38)의 하면에 구름접촉하고, 제 4롤러(R4)는 제 4관체(36)의 상면에 구름접촉을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슬라이더(3,7)는 제 1레일부(9)에 장착되는 제 1슬라이더(3)와, 제 2레일부(11)에 장착되는 제 2슬라이더(7)를 포함하며,
    제 1슬라이더(3)는 제 1레일부(9)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측에 제 1결합홀(h1)이 형성되어 제 1축(S1)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하우징(25)과; 제 1하우징(25)의 하부에 돌출되며 제 2축(S2)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2결합홀(h2)이 형성되는 제 1지지 브래킷(27a)과; 제 1하우징(25)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플레이트(23a)를 포함하며,
    제 2슬라이더(7)는 제 2레일부(11)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측에 제 3축(S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제 3결합홀(h3)이 형성되는 제 2하우징(25b)과; 제 2하우징(25b)의 하부에 돌출되며 제 4축(S4)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4결합홀(h4)이 형성되는 제 2지지 브래킷(27b)과; 제 2하우징(25b)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플레이트(23b)를 포함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부(9,11)의 상부를 서로 힌지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레일부(9,11)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힌지부재(46) 및 핸들(47)을 추가로 포함하며,
    힌지부재(46)는,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4)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상부를 고정하는 제 1고정브래킷(48)과; 상하부에 각각 삽입홈(76)이 형성되어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상부를 고정하는 제 2고정브래킷(49)과; 제 1 및 제 2고정브래킷(48,49)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45)와; 커넥터(45)에 제 1 및 제 2고정브래킷(48,49)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힌지핀(40,42)을 포함하며,
    제 1고정브래킷(48)은 상부에 돌출되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제 1관통홀(h5)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턱(71)과; 커넥터(45)의 일측에 돌출되어 한 쌍의 제 1턱(71) 사이 공간에 결합되며 제 1힌지홀(h6)이 형성되는 제 1노브(73)를 포함하며,
    제 2고정브래킷(49)은 상부에 돌출되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제 2관통홀(h7)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턱(72)과; 커넥터(45)의 타측에 돌출되어 한 쌍의 제 2턱(72) 사이 공간에 결합되며 제 2힌지홀(h8)에 형성되는 제 2노브(74)를 포함하며,
    제 1힌지핀(40)이 제 1관통홀(h5)과 제 1힌지홀(h6)을 통과하고, 제 2힌지핀(42)이 제 2관통홀(h7)과 제 2힌지홀(h8)을 통과함으로써 제 1 및 제 2레일부(9,11)는 힌지부재(46)에 의하여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제 1레일부(9)의 인접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1슬라이더(3)를 상향으로 당기는 제 1탄성부재(13)와; 제 2레일부(11)의 인접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 2슬라이더(7)를 상향으로 당기는 제 2탄성부재(15)를 포함하며,
    제 1탄성부재(13)는 한 쌍의 스프링(32,34)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관체(19,17)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스프링의 상단은 제 1힌지핀(40)의 양측에 각각 걸리며, 하단은 제 1슬라이더(3)에 구비된 제 2축(S2)의 양단에 각각 걸리고,
    제 2탄성부재(15)는 한 쌍의 스프링(32,34)으로 이루어지며, 제 3 및 제 4관체(36,3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스프링의 상단은 제 2힌지핀(42)의 양측에 각각 걸리며, 하단은 제 2슬라이더(7)에 구비된 제 4축(S4)의 양단에 각각 걸리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60008240A 2016-01-22 2016-01-22 다기능 운동기구 KR10162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40A KR101626770B1 (ko) 2016-01-22 2016-01-22 다기능 운동기구
PCT/KR2016/008223 WO2017126756A1 (ko) 2016-01-22 2016-07-27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40A KR101626770B1 (ko) 2016-01-22 2016-01-22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770B1 true KR101626770B1 (ko) 2016-06-02

Family

ID=5613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40A KR101626770B1 (ko) 2016-01-22 2016-01-22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6770B1 (ko)
WO (1) WO20171267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49B1 (ko) 2020-04-17 2020-11-18 나진옥 시소 작용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240074428A (ko) 2022-11-21 2024-05-28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 왕복 기구를 이용한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9752A (zh) * 2022-07-04 2024-01-12 北京觅淘智联科技有限公司 健身设备的摆臂连接结构和具有其的健身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9665A (ja) 1988-10-19 1990-04-23 Toyota Motor Corp 自律分散生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83744B2 (ja) 1987-06-02 1995-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X線断層撮影装置
US6224521B1 (en) * 1998-06-08 2001-05-01 MISSION SANTé BOIS-FRANCS INC. Orthopedic exerciser
WO2004076000A2 (en) * 2003-02-26 2004-09-10 Magic Schwarz Leg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6796928B1 (en) 2002-10-21 2004-09-28 Gilman O. Christopher Foot and lower leg exercise apparatus
JP3135412U (ja) 2007-07-04 2007-09-13 清山 呂 足踏み式健康器
JP2010069064A (ja) * 2008-09-19 2010-04-02 Ishigaki Seiko:Kk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15655B1 (ko) * 2012-04-25 2014-07-04 김강식 다기능 하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744B2 (ja) 1987-06-02 1995-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X線断層撮影装置
JPH02109665A (ja) 1988-10-19 1990-04-23 Toyota Motor Corp 自律分散生産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224521B1 (en) * 1998-06-08 2001-05-01 MISSION SANTé BOIS-FRANCS INC. Orthopedic exerciser
US6796928B1 (en) 2002-10-21 2004-09-28 Gilman O. Christopher Foot and lower leg exercise apparatus
WO2004076000A2 (en) * 2003-02-26 2004-09-10 Magic Schwarz Leg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JP3135412U (ja) 2007-07-04 2007-09-13 清山 呂 足踏み式健康器
JP2010069064A (ja) * 2008-09-19 2010-04-02 Ishigaki Seiko:Kk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15655B1 (ko) * 2012-04-25 2014-07-04 김강식 다기능 하체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49B1 (ko) 2020-04-17 2020-11-18 나진옥 시소 작용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240074428A (ko) 2022-11-21 2024-05-28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일 왕복 기구를 이용한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756A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218B2 (en)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a bent-elbow plank position push-up and method of using same
US6991588B1 (en) Standing single leg press exercise machine
US5964684A (en)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KR100995230B1 (ko) 운동 기구
US8100815B2 (en) Exercise device
US20110275499A1 (en) Push-up and dip assist exercise apparatus
US7981011B1 (en) Combination exercise machin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JP6920772B2 (ja) ウエイト運動器具
EP1832316A1 (en) Training apparatus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KR101626770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4195834A (en) Vertical shoulder and lateral shoulder exercise machine
US20130210593A1 (en) Exercise system and method
CN1816372A (zh) 具有弹性足部支撑件的锻炼器械
US20070287602A1 (en) Training apparatus simulating skiing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US9114271B1 (en) Multiple exercise apparatus for 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CN201186128Y (zh) 连动式劈腿机
KR200380503Y1 (ko) 벤치 프레스
CN211328001U (zh) 一种普拉提运动训练器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415655B1 (ko) 다기능 하체 운동기구
CN21226233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健身器材
CN211327999U (zh) 一种蹬杆可调节的普拉提锻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