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503Y1 - 벤치 프레스 - Google Patents

벤치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03Y1
KR200380503Y1 KR20-2005-0000021U KR20050000021U KR200380503Y1 KR 200380503 Y1 KR200380503 Y1 KR 200380503Y1 KR 20050000021 U KR20050000021 U KR 20050000021U KR 200380503 Y1 KR200380503 Y1 KR 200380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ll
cable
user
bench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욱
Original Assignee
배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욱 filed Critical 배상욱
Priority to KR20-2005-0000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03Y1/ko
Priority to US11/068,352 priority patent/US2006014862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스스로 중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어 최대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는 벤치(11) 및 바벨(13)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12)를 구비한 프레임(10)과; 일단이 상기 바벨(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14)를 통하여 상기 바벨(11)을 매달 수 있는 제1 케이블(20)과; 상기 제1 케이블(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풀리(15)와; 상기 제2 풀리(15)와 함께 회전하는 캠 타입 풀리(16)와; 일단이 상기 캠 타입 풀리(16)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케이블(30)과; 상기 제2 케이블(3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3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되는 발판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벤치 프레스{Bench press}
본 고안은 가슴 및 팔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스스로 중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어 최대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벤치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벤치 위에 누워 적당한 간격으로 팔을 벌려 받침대에 걸쳐져 있는 바벨을 잡고, 이 바벨을 위로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 및 팔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종래의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다가 팔 힘이 약해져 바벨을 지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운동을 끝낸 사용자가 바벨을 받침대에 올려놓는 도중에, 바벨이 사용자의 안면이나 목, 가슴 등으로 낙하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일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벤치 프레스로서, 바벨이 사용자의 안면이나 목, 가슴 등으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벤치 위에 보호대를 설치한 벤치 프레스가 미국 특허공보 제 5,217,42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바벨을 로프나 체인의 일단에 연결시켜 매달고, 추를 로프나 체인의 타단에 연결시켜 매달고, 로프나 체인의 중간에 클러치 수단을 개재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수단이 로프나 체인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벤치 프레스가 미국 특허공보 제 4,253,66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는 있어도, 보조자 없이는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배가시키지는 못한다.
벤치 프레스 사용자의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근육을 수축 및 이완시키는 운동을 소정 횟수만큼 반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근육 강화를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운동을 반복하는 동안에 중량을 가변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벤치 프레스를 사용하여 근육 강화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수행하려면 보조자가 옆에서 바벨의 중량을 가변 시켜야 한다.
하지만, 벤치 프레스의 사용자가 항상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운동할 수 있는 것인 아니므로, 종래의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배가시키는 장치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스스로 바벨 중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어 최대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벤치 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따르면, 가슴 및 팔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벤치 프레스로서, 사용자가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는 벤치 및 바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구비한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바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를 통하여 상기 바벨을 매달 수 있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캠 타입 풀리와; 일단이 상기 캠 타입 풀리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발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가 제공된다.
청구항 2의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벤치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발판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 케이블의 타단이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이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의 고안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벤치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발판장치의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바벨이 사용자에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4의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벤치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벤치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벤치 프레스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사용자가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는 벤치(11; 도 1에서는 은선으로 표시)를 구비한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벤치(11)는 사용자의 상반신과 머리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바벨(13)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체(1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12)들은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바벨(13)을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제1 풀리(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제2 풀리(15)가 회전축(17)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블(20)의 일단은 상기 바벨(13)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제2 풀리(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블(20)은 제1 풀리(15)를 통하여 프레임(10)에 바벨(13)을 매달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20)은 밧줄, 체인 등 부하가 걸렸을 때 거의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14)와 상기 제2 풀리(15)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케이블(20)을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1 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케이블(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풀리(15)는 프레임(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풀리(15)의 회전축(17)에는 캠 타입 풀리(16)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풀리(15)와 상기 캠 타입 풀리(16)는 공통의 회전축(17)을 가진다.
제2 케이블(30)의 일단은 상기 캠 타입 풀리(16)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발판장치(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케이블(30)은, 상기 제1 케이블(20)과 마찬가지로, 밧줄, 체인 등 부하가 걸렸을 때 거의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캠 타입 풀리(16)와 상기 발판장치(40)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케이블(30)을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2 롤러(19)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케이블(3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발판장치(40)는,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프레임(10) 부분에 마련된다. 즉, 상기 발판장치(40)는 도 2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좌측 끝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발판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에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41)와, 상기 가이드 부재(41)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에는 상기 제2 케이블(30)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는 상기 제2 케이블(30)이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부재(44)에 의해서 상기 제2 케이블(3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42)에는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한 쌍의 디딤판(43)이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다리에 힘을 주어 상기 디딤판(43)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는 상기 가이드 부재(41)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는 제2 케이블(30), 캠 타입 풀리(16), 회전축(17), 제2 풀리(19) 및 제1 케이블(20)을 통하여 상기 바벨(13)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벨(13)을 들어올릴 수 있으며, 역으로 상기 바벨(13)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발판장치의 가이드 부재(41)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도시생략)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2)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42)와 연결되어 있는 바벨(13)이 사용자의 안면이나 목, 가슴 등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 프레스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 벤치(11) 상에 누운 후 지지체(12)에 지지되어 있는 바벨(13)을 이 지지체(12)로부터 들어올린다. 상기 바벨(13)이 위쪽으로 움직이면, 제1 케이블(20), 제2 풀리(15), 회전축(17), 캠 타입 풀리(16) 및 제2 케이블(30)을 통하여 상기 바벨(13)과 연결되는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는, 사용자가 다리에 힘을 주어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를 가압하지 않더라도, 스프링 부재(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42)가 가이드 부재(41)를 따라서 이동함에 있어서 좌측방향을 후퇴방향이라 하고 우측방향을 전진방향이라고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바벨(13)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스프링 부재(44)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는 후퇴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바벨(13)을 아래쪽으로 내리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는 전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바벨(13)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 상기 스프링 부재(44)에 의해 제1 및 제2 케이블(20, 30)에 대하여 적절한 인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케이블(20, 30)이 제1 및 제2 풀리(14, 15), 캠 타입 풀리(16), 혹은 제1 및 제2 롤러(18, 19)로부터 이탈되어 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의 초기 단계(즉, 근육이 지나치게 피로해지기 전의 단계)에서는 상기 발판장치(40)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발판장치의 디딤판(43)에 발을 올려놓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 초기 단계에서도 상기 발판장치의 디딤판(43)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바벨(13)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다가 사용자의 근육이 피로해져 더 이상 바벨(13)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기 발판장치의 디딤판(43)에 발을 올리고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후퇴시키면서 바벨(13)을 들어올린다.
이와 같이 팔과 가슴, 그리고 다리의 근육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바벨(13)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벨(13)을 들어올리기 위해 필요한 팔 힘이 다리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후퇴시키는 힘만큼 감소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바벨의 무게가 소정의 중량만큼 감소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바벨(13)을 이용하여 운동을 지속할 수 있어 가슴 및 팔 근육의 강화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후퇴시키는 힘은 상기 캠 타입 풀리(16)를 통하여 상기 바벨(13)로 전달되기 때문에, 통상의 원형 풀리를 통하여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확실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캠 타입 풀리(16)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운동효과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바벨(13)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도중에, 혹은 운동을 마치고 바벨(13)을 지지체(12) 상에 올려놓는 도중에 힘이 약해져 우발적으로 바벨(13)을 떨어뜨리더라도, 다리로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바벨(13)이 떨어져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가이드 부재(41)에 마련한 경우에는, 다리로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지 않더라도 바벨(13)이 떨어져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벤치(11)는 프레임(10)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롤러(19)가 벤치(11)의 하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벤치(11)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벤치(11)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때에는 상기 제2 롤러(19)가 벤치(11)의 하부표면에 부착되는 대신에 프레임(10)의 고정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타인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스스로 바벨 중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어 최대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벤치 프레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발판장치의 디딤판(43)에 발을 올리고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후퇴시키면서 바벨(13)을 들어올릴 수 있어, 근육 성장의 중요 요건인 마지막 2 ~ 3회의 반복을 위한 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 스스로 바벨(13)의 중량을 감소시켜 운동을 계속함에 의해 가슴 및 팔 근육의 강화효과를 최대한 향상시켜 최대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마지막 반복에 실패하거나 우발적으로 바벨(13)을 떨어뜨리더라도, 다리로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바벨(13)이 떨어져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4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가이드 부재(41)에 마련한 경우에는, 다리로 상기 발판장치의 슬라이드 부재(42)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지 않더라도 바벨(13)이 떨어져 부상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벤치 프레스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가슴 및 팔 근육에 의해서 바벨(13)을 더 이상 들어올리지 못하게 되더라도 다리근육을 이용하여 바벨(13)을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상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끝까지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42)를 후퇴시키는 힘은 상기 캠 타입 풀리(16)를 통하여 상기 바벨(13)로 전달되기 때문에, 통상의 원형 풀리를 통하여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확실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치 프레스의 측면도이다.

Claims (4)

  1. 가슴 및 팔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벤치 프레스로서,
    사용자가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는 벤치(11) 및 바벨(13)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12)를 구비한 프레임(10)과;
    일단이 상기 바벨(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14)를 통하여 상기 바벨(11)을 매달 수 있는 제1 케이블(20)과;
    상기 제1 케이블(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 풀리(15)와;
    상기 제2 풀리(15)와 함께 회전하는 캠 타입 풀리(16)와;
    일단이 상기 캠 타입 풀리(16)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케이블(30)과;
    상기 제2 케이블(3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3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되는 발판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에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41)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41)를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42)와, 상기 제2 케이블(30)의 타단이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42)가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30)이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장치의 가이드 부재(41)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2)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42)와 연결되어 있는 바벨(13)이 사용자에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11)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프레스.
KR20-2005-0000021U 2005-01-03 2005-01-03 벤치 프레스 KR200380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021U KR200380503Y1 (ko) 2005-01-03 2005-01-03 벤치 프레스
US11/068,352 US20060148624A1 (en) 2005-01-03 2005-02-28 Bench pr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021U KR200380503Y1 (ko) 2005-01-03 2005-01-03 벤치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03Y1 true KR200380503Y1 (ko) 2005-03-30

Family

ID=3775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021U KR200380503Y1 (ko) 2005-01-03 2005-01-03 벤치 프레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48624A1 (ko)
KR (1) KR2003805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363A2 (ko) * 2009-03-13 2010-09-16 Kim Seongil 복합 벤치프레스
KR101293450B1 (ko) 2012-04-19 2013-08-06 허재영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KR20160031603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6400B1 (en) * 2003-05-19 2007-06-05 Maxime Gedeon-Janvier Weight bench apparatus
US9327160B2 (en) * 2011-03-22 2016-05-03 Jake Samuel Tauriainen Modular self-spotting safety device for weightlifting
CN108371782B (zh) * 2018-04-27 2023-06-16 武汉轻工大学 一种多功能健身器材
US10926125B1 (en) * 2019-01-07 2021-02-23 Kevin M. Candler Self-spotting bench press
US20220323812A1 (en) * 2021-04-09 2022-10-13 Christopher S. O'CONNOR Weightlifting apparatus with dynamic assist
CN113577685A (zh) * 2021-08-12 2021-11-02 丽水学院 一种多功能体育锻炼装置及使用方法
CN114931717B (zh) * 2021-12-07 2024-02-23 湖南慕容时尚家居有限公司 辅助健身沙发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662A (en) * 1979-02-05 1981-03-03 Podolak Wayne S Accessory apparatus for weight lifting
US4256301A (en) * 1979-08-27 1981-03-17 Goyette Richard G Solo-operable bench press device
US4252314A (en) * 1979-12-31 1981-02-24 Louis Ceppo Device for performing weight-lifting exercises
US4407495A (en) * 1980-09-12 1983-10-04 Wilson Ronald A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4650186A (en) * 1984-05-15 1987-03-17 Mccreery Michael J Supine bench with leg operated free weight catch
US4875676A (en) * 1987-04-13 1989-10-24 Zimmer Karl A Weight lifting machine for safe free-bar bench press exercising
US4815746A (en) * 1987-11-17 1989-03-28 Ward Jr Walter F Bench press frame with barbell assist
US5217421A (en) * 1992-01-23 1993-06-08 Rocky Mountain Gym Equipment Co., Inc. Portable safety device for weight training
US5549531A (en) * 1995-02-28 1996-08-27 Campbell; Matthew W. Weightlifting machine with safety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363A2 (ko) * 2009-03-13 2010-09-16 Kim Seongil 복합 벤치프레스
WO2010104363A3 (ko) * 2009-03-13 2010-12-23 Kim Seongil 복합 벤치프레스
US8066622B2 (en) 2009-03-13 2011-11-29 Seongil Kim Complex bench press
KR101293450B1 (ko) 2012-04-19 2013-08-06 허재영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KR20160031603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KR101637678B1 (ko) 2014-09-12 2016-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8624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7709A (en) Unassisted lower torso strengthening and stretching device
US7585259B2 (en) Weightlifting spotting machine
US4252314A (en) Device for performing weight-lifting exercises
US5261865A (en) Back strengthening device and method
US5989166A (en) Adjustable barbell press apparatus
US4598908A (en) Weight lifting gym
US4875676A (en) Weight lifting machine for safe free-bar bench press exercising
US4445684A (en) Leg stretching machine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CN1218703A (zh) 健身器
US20050277524A1 (en) Bench press apparatus
KR200380503Y1 (ko) 벤치 프레스
US7192389B2 (en) Adjustable load dynamic active resistance training system
US5190510A (en) Bench press apparatus
US9327157B1 (en) Manually controlled and driven resistance exercise machine
CN109938982B (zh) 一种足部麻木快速恢复装置
KR200450173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11110301A (ja) 歩行訓練装置
CN111888125B (zh) 一种辅助病人下肢康复训练的护理床
CN114081776A (zh) 一种用于老年科手臂康复的辅助抬臂训练装置
CN210138409U (zh) 一种腿部锻炼器械以及神经内科护理用锻炼装置
CN214596983U (zh) 一种偏瘫患者上肢功能恢复训练装置
CN218980367U (zh) 一种腿部康复运动设备
CN216703283U (zh) 一种仰卧起坐器
US11517787B2 (en) Exercise device for alternating movement of arms and le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