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208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208B1
KR101626208B1 KR1020140112365A KR20140112365A KR101626208B1 KR 101626208 B1 KR101626208 B1 KR 101626208B1 KR 1020140112365 A KR1020140112365 A KR 1020140112365A KR 20140112365 A KR20140112365 A KR 20140112365A KR 101626208 B1 KR101626208 B1 KR 10162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container body
coupled
protrusion
closed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674A (ko
Inventor
정송은
유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1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208B1/ko
Priority to CN201520655326.8U priority patent/CN205030688U/zh
Publication of KR2016002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체결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제1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에 결합되는 제2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장식부 중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는 장식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장식부에는 상기 장식 돌기에 대응되는 장식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장식부는 상기 장식 홈에 상기 장식 돌기가 인입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장식부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센스, 로션, 크림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하고, 외부의 해로운 공해나 기온차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에 진정 효과를 부여하므로,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에센스나 로션 등과 같이 점도가 약해 쉽게 흐르는 화장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용기는 화장품이 담겨진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출구에 마련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주둥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뚜껑은 주둥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뚜껑을 돌려서 출구를 개방한 뒤 용기 본체를 기울여서 화장품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뚜껑은 나사산 방식 외에도 주둥이에 맞물리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용기 본체는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출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뚜껑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 등의 결합 구조를 갖는 주둥이 역시 사출 방식에 의해 한꺼번에 제작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가 사출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에 별도의 장식부를 결합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용기 본체에 장식부를 결합하는 구조가 복잡하였기 때문에, 장식부로 인한 제조 단가 상승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특히 2가지 이상의 색상이나 재질을 갖는 장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최소 4개 이상의 세부 구성이 수반되고, 이로 인해 조립 과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장식부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가 형성되는 제1 장식부와, 돌기를 감싸며 돌기와 상이한 재질 또는 색상을 갖는 제2 장식부를 구비하고,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결합한 장식부가 간단히 용기 본체에 체결되도록 하여, 제조 및 조립에 소요되는 공수나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체결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제1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에 결합되는 제2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장식부 중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는 장식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장식부에는 상기 장식 돌기에 대응되는 장식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장식부는 상기 장식 홈에 상기 장식 돌기가 인입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장식부는, 상기 장식 돌기가 형성되는 장식면; 및 상기 장식면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둘레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단면이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 상에 또는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은, 상기 제2 장식부가 형성하는 폐곡선과 동일하거나 닮은 꼴이거나 또는 동종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내부로 상기 둘레부를 통과시켜 상기 장식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제2 장식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부로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을 통과시켜 상기 장식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둘레부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한 뒤,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장식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장식 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장식 돌기와 상이한 재질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글자 또는 무늬, 기호 등을 표현하여 외관의 고급스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부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서로 다른 재질이나 색상을 이용한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마련하고, 어느 하나에 구비된 장식 돌기가 다른 하나에 구비된 장식 홈에 맞물려서, 장식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글자 등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하되, 장식부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 장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2 장식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 장식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2 장식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장식부(20), 뚜껑(30)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이때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액상일 수 있으며, 화장품의 용도나 조성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화장품은 고형 분말일 수도 있으며, 용기 본체(10)에 수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화장품이든 선택 가능하다.
용기 본체(10)는 일측에 출구(11)가 구비된다. 이때 출구(11)가 구비되는 일측은 돌출되어 주둥이(1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둥이(12)에는 나사산(12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121)은 뚜껑(30)을 나사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물론 뚜껑(30)과 용기 본체(10)의 결합을 나사 결합 외의 방식으로 한다면, 나사산(121)은 생략 가능하다.
용기 본체(10)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용기 본체(1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후술할 장식부(20)가 결합되는 부분은 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는 화장품이 수용되므로, 용기 본체(10)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할 경우 햇빛 등에 의해 화장품의 변질이 일어날 수 있다. 다만 변질 우려가 없는 화장품을 용기 본체(10)에 수용한다면, 용기 본체(1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에서 장식부(20)가 결합되는 부분을 강체로 하는 것은, 장식부(20)와 용기 본체(10)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용기 본체(10)와 장식부(20) 간의 결합력이 구조적으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면, 용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은, 사용자가 용기 본체(10)를 기울였을 때 주둥이(12)의 출구(11)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는 중력에 의해 화장품을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용기 본체(10)는 이와 달리 내부에 별도의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펌프를 작동시킴에 따라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배출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용기 본체(10)는 장식부(20)가 결합되는 일측에 단차(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장식부(20)의 결합 시 용기 본체(10)의 외면과 장식부(20)의 외면간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도면은 장식부(20)가 용기 본체(10)의 상부, 즉 주둥이(12)가 마련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장식부(20)는 용기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면 충분하고, 주둥이(12)가 마련되는 부분으로 한정하여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장식부(20)의 결합 시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본체 돌기(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체 돌기(14)에는 후술할 제1 장식부(21)의 본체결합 홈(215)이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본체 돌기(14)와 함께 본체 홈(15)을 구비하고, 본체 홈(15)에 후술할 제2 장식부(22)의 본체결합 돌기(222)가 맞물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장품의 배출을 위해 용기 본체(10)를 기울였을 때 중력에 의해 장식부(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홈 구조를 통해 장식부(20)의 불필요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만 용기 본체(10)와 장식부(20)에 각각 마련되는 돌기와 홈은 서로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돌기와 홈 외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장식부(20)는, 용기 본체(10)에 체결되어 화장품 용기(1)의 외관의 수려함을 높인다. 장식부(20)는 일정한 글자나 기호, 기타 모양 등을 외부로 나타냄으로써 화장품 용기(1)의 명칭이나 상표명, 브랜드명 등을 나타낼 수 있고, 화장품 용기(1)에 식별력을 부여할 수 있다.
장식부(20)는 제1 장식부(21)와 제2 장식부(22)를 포함하며, 제1 장식부(21)와 제2 장식부(22)는 서로 상이한 재질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장식부(21)에 형성하는 장식 돌기(212)가, 제2 장식부(22)의 장식 홈(221)에 인입되었을 때 더욱 돋보이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제2 장식부(22)는 장식 홈(221)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장식부(21)의 장식 돌기(212)와 상이한 재질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장식부(21)는, 장식면(211), 둘레부(213), 커버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면(211)은 장식 돌기(212)가 형성되며, 장식 돌기(212)는 글자나 기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식면(211)에 양각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돌출된 장식 돌기(212)가 후술할 제2 장식부(22)의 장식 홈(221)에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식면(211)은 용기 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면 또는 곡면 형태일 수 있으며, 장식 돌기(212) 외의 부분은 제2 장식부(22)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장식면(211)은 장식 돌기(212)가 형성되고 제2 장식부(22)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를 가지면 충분하고, 둘레부(213)의 적어도 일부분에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장식면(211)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제2 장식부(22)가 제1 장식부(21)에 결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레부(213)는, 장식면(211)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된다. 둘레부(213)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용기 본체(10)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폐곡선은 단일 폐곡선(simple closed curve)을 의미하며,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둘레부(213)는 타원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둘레부(213)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본체결합 홈(2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체결합 홈(215)은, 용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본체 돌기(14)에 맞물릴 수 있다. 본체결합 홈(215)은 용기 본체(10)의 본체 돌기(14)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일례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둘레부(213)는, 일측에 체결 홈(216)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 홈(216)은 후술할 제2 장식부(22)의 체결 돌기(223)가 맞물리는 구성으로, 제2 장식부(22)가 장식면(211)을 커버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둘레부(213)는 용기 본체(10)에서 단차진 부분에 안착될 수 있으며, 단차(13)의 폭만큼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외면과 장식부(20)의 외면이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둘레부(213)는 용기 본체(10)의 단면이 형성하는 형태에 대응됨에 따라 용기 본체(10)의 외면을 안정적으로 두를 수 있으며, 둘레부(213)의 형태는 용기 본체(10)의 단면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커버부(214)는, 장식면(211)을 기준으로 둘레부(213)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커버부(214)는 용기 본체(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일례로 본 실시예의 커버부(214)는 주둥이(12)의 주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4)에는 주둥이(12)가 통과되도록 하는 개방구(217)가 마련되어, 주둥이(12)에 뚜껑(30)의 결합이 문제없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장식부(20)가 용기 본체(10)에서 출구(11)가 마련되지 않은 일측에 결합될 경우에는 커버부(214)는 개방구(217)가 없는 닫힌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커버부(214)는 둘레부(213)와 동일/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둘레부(213)는 개방구(217)가 형성된 면 형태인 반면 둘레부(213)는 폭이 매우 얇은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둘레부(213)의 경우 용기 본체(10)를 두르면서 결합되는 반면, 커버부(214)는 용기 본체(10)의 일측을 커버하면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술할 제2 장식부(22)는 장식면(211)에 결합되면서 둘레부(213)와 커버부(214)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때 커버부(214)는 둘레부(213)와 마찬가지로 제2 장식부(22)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체결 홈(216)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214)에 형성되는 체결 홈(216)은 둘레부(213)에 형성되는 체결 홈(216)과 상하 나란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식부(22)에 마련되는 체결 돌기(223) 역시 상하 나란한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214)의 외측 테두리와 둘레부(213)의 외측 테두리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장식부(22)의 외측 테두리는 커버부(214) 및 둘레부(213)의 외측 테두리와 동일/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214) 및 둘레부(213)와, 제2 장식부(22) 간의 외측 테두리를 동일하게 한다면, 외면이 부드럽게 이어지는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외측 테두리가 불일치하게 한다면, 장식 돌기(212)가 형성되는 부분이 부각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214)는 출구(11)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지만, 출구(11)가 마련되지 않은 용기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방부(217)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커버부(214)의 결합 위치는 장식부(20)의 결합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 것과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장식부(22)는, 제1 장식부(21)에 결합된다. 제1 장식부(21)에는 장식 돌기(212)가 형성되는 반면, 제2 장식부(22)에는 장식 돌기(212)에 대응되는 장식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식 홈(221)은 장식 돌기(212)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장식 돌기(212)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장식 돌기(212)의 돌출 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2 장식부(22)에서 적어도 장식 홈(221)이 형성되는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일 경우에는, 장식 홈(221)은 음각 형태로 내부에 장식 돌기(212)가 삽입되는 형태이고 완전히 관통되지 않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장식 돌기(212)가 장식 홈(221)에 덮여 있어도 장식 홈(221)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므로 외부에서 육안으로 장식 돌기(212)의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2 장식부(22)는 장식 홈(221)에 장식 돌기(212)가 인입되도록 제1 장식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장식부(22)는 장식 돌기(212)가 돌출된 장식면(211)에 안착되어 제1 장식부(21)에 결합되며, 제2 장식부(22)는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장식부(22)는, 단면이 용기 본체(10)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의 일측면은 커버부(214)에 의해 커버되므로, 제2 장식부(22)와 둘레부(213)는 용기 본체(10)의 외면을 두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장식부(22)는 제1 장식부(21)의 장식면(211)을 충분히 커버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장식부(22)는 장식면(211)과 동일하거나 장식면(21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제2 장식부(22)가 장식면(211)보다 큰 높이를 갖게 될 경우 둘레부(213)와 커버부(214) 사이에 안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 장식부(22)는,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 상에 결합되거나,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장식부(22)가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 상에 결합되는 것은, 제2 장식부(22)가 장식면(211)의 장식 돌기(212)를 장식 홈(221)으로 커버하면서, 둘레부(213)와 밀착되는 경우이다. 반면 제2 장식부(22)가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은, 제2 장식부(22)가 장식면(211)의 장식 돌기(212)를 장식 홈(221)으로 커버하면서, 둘레부(213)와 이격되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제2 장식부(22)의 높이는 장식면(2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장식면(21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제2 장식부(22)의 높이는 장식면(21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장식부(22)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폐곡선과 동일하거나 닮은 꼴이거나 또는 동종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장식부(21)의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폐곡선이 타원일 경우 제2 장식부(22)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 역시 타원일 수 있다. 또는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폐곡선이 사각형이면, 제2 장식부(22)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도 사각형일 수 있다.
동일하다는 것은 크기와 모양이 모두 동일하다는 것이고, 닮은 꼴이라는 것은 모양이 동일하다는 것이며, 동종 형태라는 것은 두 폐곡선이 모두 타원이거나 또는 모두 사각형이거나 하는 등을 의미한다. 이 경우 크기와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다만 제2 장식부(22)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폐곡선과 동일하거나 닮은 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장식부(20)의 전체적인 외면이 부드럽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장식부(22)에서 제1 장식부(21)의 장식면(211)을 커버하는 부분, 즉 장식 홈(221)이 형성되는 일부분은, 장식면(211)과 동일한 형태의 평면일 수 있다. 즉 장식면(211)이 평면이면 제2 장식부(22)에서 장식 홈(221)이 형성되는 부분 역시 평면이며, 장식면(211)이 곡면이면 제2 장식부(22)에서 장식 홈(221)이 형성되는 부분 역시 곡면일 수 있다.
다만 장식면(211)이 곡면일 경우, 장식 홈(221)이 형성되는 부분은 장식면(211)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장식면(211)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장식면(211)에서 장식 돌기(212)가 형성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장식 홈(221)이 마련되는 부분의 곡률 반경이 장식면(211)의 평균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장식면(211)과 장식 홈(221)이 마련되는 제2 장식부(22)의 일부분은 면으로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식면(211)과 제2 장식부(22)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제2 장식부(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부(214)와 둘레부(213) 사이에 위치하여 장식면(211)을 커버한다. 이때 제2 장식부(22)는, 내부로 둘레부(213)를 통과시켜서 장식면(211)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2 장식부(22)는 제2 장식부(22)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부로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폐곡선을 통과시켜서 장식면(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제2 장식부(22)가 일정 각도 기울어짐으로써 가능하다. 즉 제2 장식부(22)는,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서 둘레부(213)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2 장식부(22)는, 둘레부(213)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하게 마련됨에 따라, 둘레부(213)와 커버부(214) 사이에 안착되어 장식면(211)에 결합됨으로써 장식면(211)의 장식 돌기(212)가 장식 홈(221)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폐곡선의 단면을 갖는 제2 장식부(22)가 폐곡선 형태의 둘레부(213)를 거쳐서 장식면(21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제2 장식부(22)의 폐곡선과 둘레부(213)의 폐곡선은 원이 아닐 수 있다. 원인 경우 제2 장식부(22)의 폐곡선이 둘레부(213)의 폐곡선보다 크지 않은 이상, 둘레부(213)가 제2 장식부(22)의 내부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둘레부(213)의 단면 크기가 제2 장식부(22)의 단면 크기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장식부(22)는, 둘레부(213)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한 뒤 커버부(214)와 둘레부(213) 사이에서 장식면(211)을 커버하도록 안착되며, 이때 제2 장식부(22)에는 둘레부(213) 및 커버부(214)와의 고정을 위한 체결 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223)는 둘레부(213)의 체결 홈(216) 및 커버부(214)의 체결 홈(216)에 결합되기 위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장식부(22)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체결 돌기(223)는 장식 홈(221)이 마련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체결 홈(216)은 체결 돌기(22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식부(22)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본체결합 돌기(2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결합 돌기(222)는 용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본체 홈(15)에 인입되어 장식부(20)의 분리를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본체결합 돌기(222)는 제2 장식부(22) 외에, 장식면(211)의 내측에도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용기 본체(10)에는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본체 홈(15)이 마련되어, 장식부(20)가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때 한 쌍의 본체 홈(15)에 한 쌍의 본체결합 돌기(222)가 맞물림으로써, 장식부(20)와 용기 본체(1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뚜껑(30)은, 용기 본체(10)의 출구(11)를 개폐한다. 뚜껑(30)은 용기 본체(10)에서 돌출되는 주둥이(12)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일례로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주둥이(12)에 나사산(121)이 마련될 경우 뚜껑(30)의 내측에도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뚜껑(30)은 주둥이(1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으나, 주둥이(12)의 내측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주둥이(12)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2중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뚜껑(30)은 출구(11)를 개폐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글자 등과 같은 장식 돌기(212)가 형성된 제1 장식부(21)의 장식면(211)에 장식 홈(221)을 갖는 제2 장식부(22)가 결합되도록 하되, 제2 장식부(22)의 폐곡선에 제1 장식부(21)의 폐곡선이 통과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장식부(21)와 제2 장식부(22)를 결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는 장식면(211)에 제2 장식부(22)를 결합하고 장식면(211)과는 별도로 마련되는 커버부(214)와 둘레부(213)를 장식면(211)의 상하에 결합하는 방식이나, 장식면(211)에 커버부(214) 또는 둘레부(213) 중 어느 하나만 일체로 구비하고 제2 장식부(22)를 장식면(211)에 결합한 뒤, 장식면(211)에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둘레부(213) 또는 커버부(214)를 장식면(211)에 결합하는 방식 등과 대비하여 볼 때, 각 구성의 제조 공정이나 조립 공정, 조립 완성도, 제조 단가 등의 측면에서 충분히 진보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본체
11: 출구 12: 주둥이
121: 나사산 13: 본체 돌기
14: 본체 홈 15: 단차
20: 장식부 21: 제1 장식부
211: 장식면 212: 장식 돌기
213: 둘레부 214: 커버부
215: 본체결합 홈 216: 체결 홈
217: 개방구 22: 제2 장식부
221: 장식 홈 222: 본체결합 돌기
223: 체결 돌기 30: 뚜껑

Claims (10)

  1. 화장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체결되는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는,
    제1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에 결합되는 제2 장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장식부 중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는 장식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장식부에는 상기 장식 돌기에 대응되는 장식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장식부는 상기 장식 홈에 상기 장식 돌기가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장식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부는,
    상기 장식 돌기가 형성되는 장식면; 및
    상기 장식면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단면이 상기 용기 본체의 외면을 두르는 폐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 상에 또는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은,
    상기 제2 장식부가 형성하는 폐곡선과 동일하거나 닮은 꼴이거나 또는 동종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내부로 상기 둘레부를 통과시켜 상기 장식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제2 장식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부로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폐곡선을 통과시켜 상기 장식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둘레부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한 뒤, 상기 둘레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장식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장식 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장식 돌기와 상이한 재질 또는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40112365A 2014-08-27 2014-08-27 화장품 용기 KR10162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65A KR101626208B1 (ko) 2014-08-27 2014-08-27 화장품 용기
CN201520655326.8U CN205030688U (zh) 2014-08-27 2015-08-27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65A KR101626208B1 (ko) 2014-08-27 2014-08-2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74A KR20160025674A (ko) 2016-03-09
KR101626208B1 true KR101626208B1 (ko) 2016-06-01

Family

ID=5528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365A KR101626208B1 (ko) 2014-08-27 2014-08-2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6208B1 (ko)
CN (1) CN20503068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65Y1 (ko) 2002-12-31 2003-06-11 주식회사 태평양 장식물을 갖는 립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9792B2 (ja) * 1997-01-31 2006-12-20 竹内工業株式会社 化粧品用容器
JPH11278490A (ja) * 1998-03-25 1999-10-12 Kamaya Kagaku Kogyo Co Ltd 外装体付き容器
KR200453355Y1 (ko) * 2008-07-15 2011-04-25 이충배 화장품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65Y1 (ko) 2002-12-31 2003-06-11 주식회사 태평양 장식물을 갖는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74A (ko) 2016-03-09
CN205030688U (zh)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9743A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MX2011000976A (es) Tapas y sistemas para contenedor.
KR200483309Y1 (ko)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한 확산분배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20230107932A1 (en) Casing for a refillable container device for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container device
EP3305126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KR20200000033U (ko) 화장품 용기
US20160081453A1 (en) Fluid Container
WO2015101358A1 (zh) 化妆品包装
KR20160002144U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JP2018058650A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101626208B1 (ko) 화장품 용기
KR101900028B1 (ko) 장식성을 갖는 용기
JP2004106939A (ja) 二重容器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242527B1 (ko) 심미감이 증대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63639Y1 (ko) 화장품 용기
ES2699969T3 (es) Conjunto que comprende un recipiente y un elemento de cierre
KR102549913B1 (ko) 튜브형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60133138A (ko) 인몰드 필름이 부착된 콤팩트 용기
KR200478287Y1 (ko) 외용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뚜껑이 삽입되는 화장품 용기
CN206482190U (zh) 化妆品容器
KR101906160B1 (ko) 원터치 캡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5726B1 (ja) チューブ容器の口頸体のスリット構造
KR101886139B1 (ko) 색상 혼합이 용이한 매니큐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