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16B1 -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16B1
KR101625816B1 KR1020090131937A KR20090131937A KR101625816B1 KR 101625816 B1 KR101625816 B1 KR 101625816B1 KR 1020090131937 A KR1020090131937 A KR 1020090131937A KR 20090131937 A KR20090131937 A KR 20090131937A KR 101625816 B1 KR101625816 B1 KR 10162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thin film
film transistors
gamma voltag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476A (ko
Inventor
유상호
진은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공정의 편차 및 온도변화에 따라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소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아날로그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감마전압 생성부;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이외의 더미영역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복수의 감마 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마전압, 박막 트랜지스터(TFT), 공정편차, 온도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공정의 편차 및 온도변화에 따라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여러 종류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휴대용 정보기기 및 IT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는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구동 등의 장점으로 인해 휴대용으로 기기에 적합하여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제어용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액정셀의 광 투과량을 조절하여 표시패널의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유기전계 발광소자(O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표시패널의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 따라 표시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과,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부(20)와, 상기 데이터 구동 제어부(20)에 감마전압을 공급하는 감마전압 생성부(50) 및 외부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수직/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0)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을 턴온 시키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 및 표시패널(10)에 영상 데이터의 공급을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50)는 영상 데이터의 최대 감마 값을 생성하는 P-감마 생성부(52)와, 복수의 저항(R) 스티링(string)의 분기에 따라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저항부(54)를 포함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5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R, G, B)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 여 데이터 드라이버(2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5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최대 감마 데이터에 기초하여 P-감마 생성부(52)에서 R, G, B 영상 데이터 각각의 최대 감마전압(R, G, B Max Voltage)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최대 감마전압을 R, G, B 영상 데이터 각각의 감마 탭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마 탭 전압을 데이터 구동 제어부(2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저항부(54)의 저항(R) 스티링(string)의 분기를 통해 영상 데이터에 가중되는 감마전압의 감마 커브(Gamma curve)를 조정하게 되며, 각각의 감마전압 값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기능을 통해 최대 감마전압에 비례하여 설정되게 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제어부(20)는 타이밍 컨트롤러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10)에 공급함으로써, 표시패널(10)의 표시영역에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상기 표시패널(1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영역을 턴온(Turn On) / 턴오프(Turn Off) 시키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통해 형성되게 되는데, 동일한 제조공정을 통해 표시패널(10)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더라도, 각각의 표시패널(10)마다 제조공정의 편차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공정의 편차는 대화면 으로 갈수록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대화면의 경우에는 하나의 표시패널(10) 내에서도 표시영역의 상하, 좌우에 부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 간에도 제조공정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표시영역의 상하, 좌우에 부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 간에 동작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공정의 편차는 제품의 양산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과 아울러, 평판표시장치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된다.
상술한, 감마전압 값은 생산 초기에 설정되는 것으로, 제품이 출시된 이후에는 변경에 어려움이 있다. 제조공정의 편차로 인해 표시패널(10) 내에 동작 특성이 상이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경우, 전압 레벨이 매우 작은 저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때 표시패널(10)의 전체 표시영역 또는 일부 표시영역에서 원하는 휘도 값을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0 또는 1과 같이 매우 낮은 계조(Gray)를 제외하고는 각 휘도에 따라 감마전압이 상승하게 되는데, 최대 휘도(Peak Luminescent)의 구현 시 박막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이 상이함으로 인해 표시패널(10)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원하는 감마전압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표시패널(10)의 동작에 따라서,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는 온도에 따라서 동작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설정된 감마전압으로는 표시패널(10)의 온도가 상승되거나 하강됨으로 인해 유발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 특히, 초기에 감마전압이 설정되므로, 표시패널(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 구동 능력의 차이로 인한 휘도 불균일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은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떨어드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정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휘도 밸런스 및 감마전압의 편차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표시장치의 구동에 따른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휘도 편차에 따라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소 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아날로그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감마전압 생성부;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이외의 더미영역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복수의 감마 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압을 평균화시키고,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감마 탭은 상기 표시패널의 더미영역의 상부 및 하부의 좌우측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은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접속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R, G, B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동일 제조공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표시영역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표시영역 이외의 더미영역에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 들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구동 전류에 따른 피드백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아날로그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소 영역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및 구동방법은 공정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휘도 밸런스 및 감마전압의 편차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 및 구동방법은 구동에 따른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휘도 편차에 따라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 제어부(130), 타이밍 컨트롤러(140), 감마전압 생성부(150), 및 감마 탭 전류 생성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수직/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 제어부(130)에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에 외부부터의 영상신호를 변환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 G, B) 및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감마전압 생성부(150)에서 감마전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최대 감마전압 정보(Gamma Max Data)를 감마전압 생성부(150)에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 제어부(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표시패널(110)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신호를 표시패널(110)의 게이트 라인(G1 내지 Gn)에 공급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표시영역(112)과 더미영역(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기 표시영역(112)에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n)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m)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턴온(Turn On) / 턴오프(Turn Off) 시키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화소영역에는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OLED)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 G, B)와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아날로그 전압)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 터를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 상기 스캔신호에 의해 턴온된 표시패널(110)의 화소영역에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면 표시영역(112)에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상기 표시패널(110)의 더미영역(114)에는 일정 개수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dummy TFT)들이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감마 탭(116a~d)들이 형성되며, 상기 감마 탭(116a~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상단부의 좌측 및 우측과, 하단부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마 탭(116a~d)에 형성되는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의 R, G, G 별 감마 탭(tap) 포인트(point)의 개수에 따라서 다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의 R, G, G 별 감마 탭(tap) 포인트(point)가 10 포인트인 경우, 각각의 감마 탭(116a~d)은 10개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가 3열로(10×3=30) 배열되어 총 30개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R, G, B 화소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감마 탭(116a~d)은 표시영역(1120)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 동작 특성의 센싱을 위한 것으로, 제조공정에 편차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의 편차 및 평판표시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온도 변화에 따른 동작 특성의 편차를 센싱할 수 있도록 더미영역(114)의 상, 하, 좌, 우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감마 탭(116a~d)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표시영역(112)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는 제조공정 중에 동일하게 상기 더미영역(114)에 형성된다. 따라서, 감마 탭(116a~d)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표시영역(112)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112)을 중앙부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나누어 제 1 내지 제 4(112a~112d)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 더미영역(114)의 상단 좌측부에 형성된 제 1 감마 탭(116a)은 표시영역(112)의 상단 좌측부에 형성된 제 1 표시영역(112a)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1 감마 탭(116a)을 구성하는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제 1 표시영역(112a)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동일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동일하게, 더미영역(114)의 상단 우측부에 형성된 제 2 감마 탭(116b)은 표시영역(112)의 상단 우측부에 형성된 제 2 표시영역(112b)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2 감마 탭(116b)을 구성하는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제 2 표시영역(112b)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동일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감마 탭(116a, 116b)과 제 1 및 제 2 표시영역(112a, 112b)과 동일하게 제 3 및 제 4 감마 탭(116c, 116d)은 제 3 및 제 4 표시영역(112c, 112d)와 대응되고, 각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고정확(High Accuracy) 전류원을 발생시키는 감마 탭 전류 생성부(160)를 통해 더미영역(114)의 상, 하, 좌, 우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에 전류를 인가하고,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으로부터의 감마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표시영역(112)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동작 특성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동작 특성의 편차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감마전압의 계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류를 인가하고,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 각각의 인가된 데이터 전류에 따른 피드백 전압을 센싱 하면 제 1 내지 제 4(112a~112d) 표시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동작 특성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동작 특성의 편차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15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최대 감마전압 정보(Gamma Max Data)를 공급받아,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 G, B)의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을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에 공급한다. 이때, 감마전압 생성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저항 스트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저항 스트링에 입력된 전압 값을 분기시켜 각 영상 데이터의 휘도 값에 대응되는 감마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에 공급한다.
여기서, 감마전압 생성부(150)는 상기 감마전압의 생성 시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으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감마전압을 반영한다.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피드백 감마전압이 설정된 감마전압 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112)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제조공정에 시 제조 편차로 인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거나, 온도 변화로 인한 동작 특성에 편차가 발생된 것으 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최초 설정된 감마전압을 통해 표시패널(110)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따른 계조를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피드백 감마전압이 설정된 감마전압 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이를 반영하여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감마전압을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에 공급한다.
여기서, 더미영역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본딩(Bonding)으로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의 PCB의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더미영역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이 COF(Chip On Glass) IC 본딩으로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의 PCB의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본딩(Bonding)으로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와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를 접속시키는 경우, 고정확(High Accuracy) 전류원을 발생시키는 감마 탭 전류 생성부(160)를 사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감마 탭 전압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내부에 구비된 전류 카피(Current Copy) 회로를 통해 감마 탭 전압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에 따른 Current DAC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내부의 기준 전류(Reference Current)는 외부로부터의 전류를 카피(copy)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회로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에 해당 탭 전류가 인가되면, 다이오드 결선 구조에 따라서 인가된 전류에 따른 감마전압이 발생되고, 감마전압 생성부(150) 내부에 형성된 Unit Gain OP AMP를 통해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감마전압을 평균화(Average)하여 피드백 감마전압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피드백 감마전압을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로 공급한다.
제 1 내지 제 4 감마 탭(116a~116d) 각각의 피드백 감마전압을 수신한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감마전압을 반영하여 영상 데이터의 휘도 밸런스 및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감마전압을 통해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패널(110)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더미영역(114)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112)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동일 특성을 가지므로, 더미영역(114)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피드백 감마전압은 제조공정의 편차뿐만 아니라 평판표시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온도 변화의 특성이 반영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조공정 시 제조 편차 및 온도 변화로 인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에 편차를 반영하여 감마전압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평판표시장치(100)의 구동 신뢰도 및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10)이 대면적인 경우에는 더미영역(114)의 가장자리 부분뿐만 아니라, 표시패널(110)의 빈 영역에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감마 탭 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의 각 영역별 TFT의 변도(Variation) 편차 정보를 피드백하고, 발생된 동일 감마 탭 전압을 평균화하여 피드백 감마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감마전압을 데이터 구동 제어부(120)의 감마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의 P-감마 생성부를 적용하지 않고도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각각의 감마 탭 전압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피드백 감마전압을 생성할 수 있어, 제어 가능한 최대(peak)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저계조의 휘도를 더욱 낮추어 0 계조를 제외한 저계조 영역에서의 명암비(Contrast)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평판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2: 표시영역 114: 더미영역
116a~d: 감마 탭(더미 패턴 어레이) 120: 데이터 구동 제어부
130: 게이트 구동 제어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150: 감마전압 생성부 160: 감마 탭 전류 생성부

Claims (10)

  1.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화소영역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아날로그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감마전압 생성부;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압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이외의 더미영역에 형성된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복수의 감마 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의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 압을 평균화시키고,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마 탭은
    상기 표시패널의 더미영역의 상부 및 하부의 좌우측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마 탭 각각은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접속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R, G, B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동일 제조공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7. 표시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표시영역 이외의 더미영역에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 피드백 감마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을 반영하여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영역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을 반영하여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로부터의 피드백 감마전압을 평균화시키고, 상기 피드백 감마전압의 평균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R, G, B 화소영역을 스위칭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의 구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동일 제조공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0131937A 2009-12-28 2009-12-28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2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937A KR101625816B1 (ko) 2009-12-28 2009-12-28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937A KR101625816B1 (ko) 2009-12-28 2009-12-28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476A KR20110075476A (ko) 2011-07-06
KR101625816B1 true KR101625816B1 (ko) 2016-06-01

Family

ID=4491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937A KR101625816B1 (ko) 2009-12-28 2009-12-28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461B2 (en) 2021-03-1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mma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31B1 (ko) 2013-10-01 2020-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감마 편차 보정 방법
KR20150086983A (ko) 2014-01-21 2015-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털 감마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20160012309A (ko) 2014-07-23 2016-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08B1 (ko) * 2006-08-23 2013-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35010B1 (ko) * 2006-11-21 200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461B2 (en) 2021-03-19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amma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476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314B1 (ko) 액정표시장치
US90191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FT compensation circuit
US9865217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8836733B2 (en) Gamma voltage controller, gradation voltage generat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m
KR101749751B1 (ko) 스캔 펄스 스위칭 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83157A (ko)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8304896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210007455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
KR20080097620A (ko) 구동칩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070024143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7007666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90038175A (ko) 멀티비젼 시스템
US11361720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grayscale voltage output unit that outputs corrected grayscale voltage to one signal line including disconnection location
CN111383599A (zh) 发光显示装置
KR101595464B1 (ko) 대화면 액정 표시장치
KR101438586B1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감마커브 보상방법
KR101625816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640951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4003437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230237958A1 (en) Display apparatus
US1196145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10072116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132362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타이밍 설정 방법
KR20190029053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92820B1 (ko) 감마 보정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감마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