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725B1 -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 Google Patents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725B1
KR101624725B1 KR1020160026595A KR20160026595A KR101624725B1 KR 101624725 B1 KR101624725 B1 KR 101624725B1 KR 1020160026595 A KR1020160026595 A KR 1020160026595A KR 20160026595 A KR20160026595 A KR 20160026595A KR 101624725 B1 KR101624725 B1 KR 10162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uel
oil
flam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16002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725B1/ko
Priority to PCT/KR2017/001862 priority patent/WO2017150835A1/ko
Priority to JP2018544046A priority patent/JP6705981B2/ja
Priority to CN201780009728.2A priority patent/CN10860365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01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before the burner outlet
    • F23D11/102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before the burner outlet in an internal mix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01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before the burner outlet
    • F23D11/102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before the burner outlet in an internal mixing chamber
    • F23D11/103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before the burner outlet in an internal mixing chamber with means creating a swirl inside the mixing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0Mixing tubes or chambers; Burner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여 착화효율을 높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의 제 1 챔버(10), 상기 제 1 챔버(10)의 일단부에 나란히 연결되는 동일형상의 제 2 챔버(20), 일단부가 상기 제 1 챔버(1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관된 형태로 마련되는 오일확산챔버(3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마련되어, 화염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화염가이드(40), 상기 제 2 챔버(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챔버(20) 내부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연소공기투입부(50),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가 통과되며, 연료를 분사공기와 함께 분사시키는 연료분사부(60),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및 화염가이드(4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 및 연료를 회전 혼합하는 스월러(7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형상의 점화봉레일파이프(80),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고전압점화봉(90),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점화봉(90)과 평행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100),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 후방에 마련되어, 자외선 감지형식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에서의 화염을 감지하는 제 1 화염검출기(110)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상부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내부에 삽입되어, 화염을 검출할 수 있는 플레임 로드 형식의 제 2 화염검출기(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Pilot oil burner for oil duct burner}
본 발명은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여 착화효율을 높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적용되는 버너의 경우, 가스연료의 사용이 제한되어, 오일(MDO(Marine Diesel Oil), MGO(Marine Gas Oil))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특수한 환경에 놓여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의 내부에 사용되는 오일버너는 액체상의 연료(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등)를 연소용 공기와 함께 고압 분사하여 착화시키는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는 버너의 챔버 내측에 상기 연료가 들러붙어 노즐이 막히거나 불순물이 챔버 내에 다수 형성되어 착화를 방해할 수 있고, 약한 화염으로는 덕트 내의 빠른 유속 또는 변동압력 하의 메인 덕트용 오일버너의 착화가 불안정하거나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오일연소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07164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오일버너의 초기 점화 시, 연소를 위한 온도가 불안정하여 미연소되는 유해가스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 초기의 점화 효율을 높이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07164 (1997.02.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내벽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점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의 제 1 챔버(10), 상기 제 1 챔버(10)의 일단부에 나란히 연결되는 동일형상의 제 2 챔버(20), 일단부가 상기 제 1 챔버(1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관된 형태로 마련되는 오일확산챔버(3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마련되어, 화염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화염가이드(40), 상기 제 2 챔버(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챔버(20) 내부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연소공기투입부(50),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가 통과되며, 연료를 분사공기와 함께 분사시키는 연료분사부(60),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및 화염가이드(4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 및 연료를 회전 혼합하는 스월러(7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형상의 점화봉레일파이프(80),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고전압점화봉(90),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점화봉(90)과 평행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100),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 후방에 마련되어, 자외선 감지형식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에서의 화염을 감지하는 제 1 화염검출기(110)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상부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내부에 삽입되어, 화염을 검출할 수 있는 플레임 로드 형식의 제 2 화염검출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는, 연소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분사되는 연료의 내벽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는, 오일버너의 초기 점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중 오일확산챔버, 스월러, 화염가이드의 결합전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중 제 1 화염검출기, 연소공기투입구, 제 2 챔버, 연료분사부의 결합전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부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의 제 1 챔버(10), 상기 제 1 챔버(10)의 일단부에 나란히 연결되는 동일형상의 제 2 챔버(20), 일단부가 상기 제 1 챔버(1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관된 형태로 마련되는 오일확산챔버(3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마련되어, 화염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화염가이드(40), 상기 제 2 챔버(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챔버(20) 내부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연소공기투입부(50),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가 통과되며, 연료를 분사공기와 함께 분사시키는 연료분사부(60),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및 화염가이드(4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 및 연료를 회전 혼합하는 스월러(70),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형상의 점화봉레일파이프(80),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고전압점화봉(90),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점화봉(90)과 평행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100),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 후방에 마련되어, 자외선 감지형식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에서의 화염을 감지하는 제 1 화염검출기(110)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상부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내부에 삽입되어, 화염을 검출할 수 있는 플레임 로드 형식의 제 2 화염검출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챔버(10)는, 관 형상으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챔버(20)는, 상기 제 1 챔버(10)의 일단부에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제 1 챔버(10)와 동일한 형상의 관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 내에서 연소공기 및 연료가 혼합되어 이동하는 관으로서,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단부에는 가스켓이 마련되어 상기 단부를 통한 누유를 방지하고, 부품들 간의 완충작용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오일확산챔버(30)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챔버(1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관된 형태의 관 형상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10)와 동일한 직경을 형성하는 관형태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연소공기의 흐름을 확산시켜 분무오일의 내벽접촉을 방지하고, 안정된 착화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소공기가 상기 오일챔버내의 확관된 내부를 지날 때에는 흐름속도가 감소하며 확산되어, 분무되는 오일의 내벽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는,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마련되어, 화염의 분사방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는, 착화된 화염이 분사되는 부분으로,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타단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연결되고, 단부에서 화염이 착화된다.
이때,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는, 단면에 수직한 중심축방향을 기준으로, 30~50°방향 버너의 일측을 향해 휘어지게 마련되어, 상기 단부의 방향을 조절하여 분사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휘어지는 방향각은 메인 오일 덕트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는, 상기 제 2 챔버(20)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챔버(20) 내부로 연소공기를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공기를 투입할 수 있는 에어노즐이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연소될 수 있는 연소공기가 상기 제 2 챔버(20) 내부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료분사부(60)는, 상기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가 통과되며, 연료를 분사공기와 함께 분사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분사부(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챔버(10) 및 제 2 챔버(20)의 연결부에 마련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투입부(61), 분사공기투입부(62), 연료관(63), 분사공기관(64), 혼합연료분사노즐(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투입부(61)는, 상기 연료분사부(6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구를 통해, 연료노즐이 삽입되어 연료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상기 연료는 상기 연료관(63)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10)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내부를 지나 상기 혼합연료분사노즐(65)을 통해 상기 화염가이드(40) 내부로 분사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공기투입부(62)는, 상기 연료분사부(60)의 일측에 상기 연료투입부(61)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분사공기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상기 연료분사부(60) 내부로 투입된다.
투입된 상기 분사공기는 상기 분사공기관(64)을 통해 상기 연료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챔버(10)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내부를 지나 상기 혼합연료분사노즐(65)을 통해 상기 연료와 함께 상기 화염가이드(40)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고압의 상기 분사공기와 상기 연료가 함께 분사됨으로 인해, 상기 연료의 스프레이 분사가 가능하다.
상기 연료는,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월러(70)는,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및 화염가이드(4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 및 연료를 회전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월러(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확산챔버(30) 및 화염가이드(4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선회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확관된 단부를 타고 흐르는 상기 연소공기를 선회시키면서 중심부에는 부압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착화가 가능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는,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하부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하기의 고전압점화봉(90)이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 내부에서 이동하며, 착화 시,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의 스파크가 발생되는 부분이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에 위치하고, 착화 후, 화염의 연소중에는 고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을 후진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은,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에 점화 가능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부에 고전압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되는 점화발생장치로,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8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착화시에는,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을 연료 및 연소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에 전진 후, 스파크를 발생시켜 착화를 실시하고, 상기 착화가 실시된 후에는, 고열에 의한 손상이 올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을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100)는,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점화봉(90)과 평행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100)는,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을 전진 및 후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화염검출기(110)는,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 후방에 마련되어, 자외선 감지형식으로 상기 화염가이드(40)에서의 화염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화염검출기(120)는,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상부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내부에 삽입되어, 화염을 검출할 수 있는 플레임 로드 형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화염검출기(110) 및 제 2 화염검출기(120)의 동시 사용을 통해, 화염검출 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연소공기투입부(50)로 연소공기가 투입된다. 투입된 상기 연소공기는 상기 제 2 챔버(20), 제 1 챔버(10), 오일확산챔버(30), 화염가이드(40) 순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오일확산챔버(30)의 확관된 타단부를 지날 시, 확관된 내주면을 타고 상기 연소공기가 이동하게 되어, 분사되는 연료의 내벽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스월러(70)에 의해, 상기 연소공기가 회전하며, 상기 화염가이드(40)로 진입하여 상기 연료와 용이하게 혼합된다.
또한, 상기 연료분사부(60)를 통해, 상기 연료 및 분사공기가 투입된다.
투입 된, 상기 연료 및 분사공기는 각각 상기 연료관(63) 및 분사공기관(64)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화염가이드(40) 내부에서 상기 혼합연료분사노즐(65)에 의해 함께 분사된다. 이때, 고압의 상기 분사공기에 의해, 상기 연료는 스프레이 분사되고, 상기 스월러(7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연소공기와 용이하게 혼합되어,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이 상기 실린더(100)에 의해, 전진이동을 하여,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에 접하게 되고, 스파크가 발생되면, 착화가 일어난다.
상기 화염가이드(40)의 단부에서 연소가 일어나게 되면, 상기 실린더(100)에 의해, 상기 고전압점화봉(90)을 후진하여 고온 연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 1 챔버 20 : 제 2 챔버
30 : 오일확산챔버 40 : 화염가이드
50 : 연소공기투입부 60 : 연료분사부
61 : 연료투입부 62 : 분사공기투입부
63 : 연료관 64 : 분사공기관
65 : 혼합연료분사노즐 70 : 스월러
80 : 점화봉레일파이프 90 : 고전압점화봉
100 : 실린더 110 : 제 1 화염검출기
120 : 제 2 화염검출기

Claims (5)

  1. 관형상의 제 1 챔버;
    상기 제 1 챔버의 일단부에 나란히 연결되는 동일형상의 제 2 챔버;
    일단부가 상기 제 1 챔버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관된 형태로 마련되는 오일확산챔버;
    상기 오일확산챔버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마련되어, 화염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화염가이드;
    상기 제 2 챔버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챔버 내부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연소공기투입부;
    상기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가 통과되며, 연료를 분사공기와 함께 분사시키는 연료분사부;
    상기 오일확산챔버 및 화염가이드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소공기 및 연료를 회전 혼합하는 스월러;
    상기 오일확산챔버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형상의 점화봉레일파이프;
    상기 점화봉레일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고전압점화봉;
    상기 고전압점화봉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점화봉과 평행하게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연소공기투입부 후방에 마련되어, 자외선 감지형식으로 상기 화염가이드에서의 화염을 감지하는 제 1 화염검출기; 및
    상기 오일확산챔버의 상부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화염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화염을 검출할 수 있는 플레임 로드 형식의 제 2 화염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가이드는,
    단부가, 단면에 수직한 중심축방향을 기준으로, 30~50°방향의 일측을 향해 휘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부는,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투입부;
    일측에 상기 연료투입부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분사공기가 투입되는 분사공기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부는,
    투입 된 상기 연료가 이동 및 배출되는 연료관;
    투입 된 상기 분사공기가 이동 및 배출하는 분사공기관;
    상기 연료관 및 분사공기관이 삽입 연결되어, 상기 연료 및 분사공기를 혼합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는 혼합연료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오일버너.
KR1020160026595A 2016-03-04 2016-03-04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KR10162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95A KR101624725B1 (ko) 2016-03-04 2016-03-04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PCT/KR2017/001862 WO2017150835A1 (ko) 2016-03-04 2017-02-20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JP2018544046A JP6705981B2 (ja) 2016-03-04 2017-02-20 ダクト用オイルバーナーのための着火用バーナー
CN201780009728.2A CN108603657B (zh) 2016-03-04 2017-02-20 用于管道式燃油燃烧器的点火用燃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595A KR101624725B1 (ko) 2016-03-04 2016-03-04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725B1 true KR101624725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595A KR101624725B1 (ko) 2016-03-04 2016-03-04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5981B2 (ko)
KR (1) KR101624725B1 (ko)
CN (1) CN108603657B (ko)
WO (1) WO20171508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06B1 (ko) * 2016-07-05 2017-03-08 이석우 덕트용 오일버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0847A1 (en) 2011-10-06 2013-04-11 Lincoln Global, Inc. Improved swirl combustion air fuel torch
KR101368360B1 (ko) 2013-01-30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버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7928B1 (fr) * 1990-10-16 1995-07-28 Air Liquide Procede de chauffe d'une enceinte thermique.
CN2296450Y (zh) * 1997-03-06 1998-11-04 程树新 柴油喷化燃烧机
JP4383364B2 (ja) * 2004-06-15 2009-12-16 ボルカノ株式会社 混焼用バーナ
KR101152001B1 (ko) * 2010-07-06 2012-06-01 한국지역난방공사 Dme 연료 연소용 버너 및 그를 위한 노즐셋
CN202125945U (zh) * 2011-05-18 2012-01-25 上海军剑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在电力工程中使用的油枪
CN202581307U (zh) * 2012-06-04 2012-12-05 清远市精旺环保设备有限公司 高效节能燃油燃烧机
KR101393032B1 (ko) * 2012-06-07 2014-05-08 자동차부품연구원 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0847A1 (en) 2011-10-06 2013-04-11 Lincoln Global, Inc. Improved swirl combustion air fuel torch
KR101368360B1 (ko) 2013-01-30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06B1 (ko) * 2016-07-05 2017-03-08 이석우 덕트용 오일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2659A (ja) 2019-05-16
CN108603657A (zh) 2018-09-28
CN108603657B (zh) 2019-10-01
JP6705981B2 (ja) 2020-06-03
WO2017150835A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626B2 (en) Ducted fuel injection
CN1316198C (zh) 带出口环的预混合引燃燃烧器
US10138855B2 (en) Ducted fuel injection with ignition assist
EP2199674B1 (en) Burner of a gas turbine having a special lance configuration
KR101279722B1 (ko) 가스토치 점화기 및 그를 구비한 연소기
US8919132B2 (en) Method of operating a gas turbine engine
CN106196051A (zh) 一种小管预混旋流低污染液化气燃烧器
CN107178437B (zh) 微型气和气双组元推进剂的燃烧器
JP2009052795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1050511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다단계 연소장치
KR101624725B1 (ko) 덕트용 오일버너를 위한 착화용 버너
CN108885003B (zh) 燃气轮机燃烧器
KR102318108B1 (ko) 혼소용 버너 장치
KR102096434B1 (ko) 연소기
KR20020033292A (ko) 연소촉진용 브라운가스 버너
KR20200043646A (ko) 냉각연료 분사관을 갖는 핀틀 분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체로켓 엔진
JP6039033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20180132615A (ko) 점화 보조를 갖는 도관형 연료 주입
EP3402980A1 (en) Ducted fuel injection
KR102220991B1 (ko) 대형 버너용 파일럿 버너
KR102143032B1 (ko) 화염 복합형 저공해 연소기
KR101741256B1 (ko) 기체 연료의 완전 연소 장치 및 방법
KR102586498B1 (ko) 수소연료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용 부분 예혼합형 버너
JP5982169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Olmstead et al. Cavity coupled aeroramp injector combusti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