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973B1 -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3973B1 KR101623973B1 KR1020140105192A KR20140105192A KR101623973B1 KR 101623973 B1 KR101623973 B1 KR 101623973B1 KR 1020140105192 A KR1020140105192 A KR 1020140105192A KR 20140105192 A KR20140105192 A KR 20140105192A KR 101623973 B1 KR101623973 B1 KR 1016239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consumption
- power
- doppler shift
- moving object
- wireless l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2—Provisions or arrangements for saving power, e.g. by allowing a sleep mode, using lower supply voltage for downstream stages, using multiple clock domains or by selectively turning on stages when need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3—Labelling using text of road map data items, e.g. road names, POI nam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3—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by measuring Doppler frequency shif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감지하여 댁내에 배치된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 모드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무빙 오브젝트를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식별하고 그 식별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에 대응하도록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타겟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 패턴 정보를 식별하여 그에 따라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댁내에 배치된 전력소비 장치를 관리하는 것이어서 기존 댁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를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이나 타겟 오브젝트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서 전력 소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감지하여 댁내에 배치된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 모드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무빙 오브젝트를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식별하고 그 식별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에 대응하도록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타겟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 패턴 정보를 식별하여 그에 따라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댁내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인 전등, 선풍기, 에어컨, 전기보일러, 식기세척기, 냉장고,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박스, 세탁기, 컴퓨터 등과 같은 가전기기는 점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대형화되는 추세여서 댁내의 전력 사용량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 중 항상 사용하는 냉장고나 특정 필요시에만 사용하는 세탁기, 식기세척기는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사용을 제어할 필요성이 낮다. 하지만, 그 외의 가전기기, 예컨대 전등,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박스, 선풍기, 에어컨 등의 전력소비 장치는 해당 공간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을 턴오프하거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이러한 가전기기(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내로 사람이 들어오거나 특정의 정해진 동작을 하는 경우 해당 전력소비 장치를 선별적으로 턴온 시키거나 세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전력소비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전력을 관리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기존에는 전력소비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여 사람이 각자 알아서 제어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전력 소비의 관리 수준이 낮아서 전력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보다는 개선된 기술로서 사람이 출입할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여 그에 따라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종래로 제공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력관리 시스템은 개별 전력소비 장치에 대응하는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수요자가 실질적으로 설치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20774호 "댁내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7020035호 "댁내의 전력 사용량 관리 시스템"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11092호 "댁내 계량 및 전력감시 홈네트워크 시스템"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118931호 "댁내 소비전력 최소화를 위한 상황인지(Context-aware) 미들웨어 기반 댁내 거주자의 상황 및 환경을 고려한 소비자 전력공급 서비스 시스템"
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88253호 "네트워크용 전력 사용량 관리 장치"
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52283호 "전력 수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7.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29828호 "공중 IP망을 공유하는 AMI 게이트웨이 및 이를 통한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20774호 "댁내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7020035호 "댁내의 전력 사용량 관리 시스템"
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11092호 "댁내 계량 및 전력감시 홈네트워크 시스템"
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118931호 "댁내 소비전력 최소화를 위한 상황인지(Context-aware) 미들웨어 기반 댁내 거주자의 상황 및 환경을 고려한 소비자 전력공급 서비스 시스템"
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88253호 "네트워크용 전력 사용량 관리 장치"
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52283호 "전력 수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7.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29828호 "공중 IP망을 공유하는 AMI 게이트웨이 및 이를 통한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는 무선랜 기술을 활용하여 댁내에 배치된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 모드를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무빙 오브젝트를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식별하고 그 식별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에 대응하도록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댁내에 배치되는 각종 전력소비 장치의 개별적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타겟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 패턴 정보를 식별하여 그에 따라 해당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은 전력관리 장치가 무선랜의 도플러 쉬프트를 검출함으로써 일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기술로서, (a)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파악하는 단계; (b) 무선랜 신호에서 발생하는 도플러 쉬프트를 감지하는 단계; (c) 그 감지한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하는 단계; (d) 그 추적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과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비교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단계 (d)는,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한 결과 무빙 오브젝트가 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외에 위치함을 식별하는 단계; 무빙 오브젝트가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해당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전력소비 장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한 결과 무빙 오브젝트가 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함을 식별하는 단계; 무빙 오브젝트가 전력소비 장치의 해당 커버리지 내로 들어온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전력소비 장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 (d) 이후에 수행되는, 무선랜 신호에서 발생하는 도플러 쉬프트를 감지하는 단계; 그 감지한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한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을 조회하여 식별한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과 일치하는 미리 설정한 동작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동작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 (a) 이전에 수행되는, 전력소비 장치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식별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때 단계 (a)는 인식한 전력소비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파악하고, 단계 (d)에서 추적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과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비교한 후 식별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를 통해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 (a) 이전에 수행되는, 일정 영역의 지도 데이터 및 지도 데이터에 대한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때 단계 (a)는 지도 데이터 및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댁내에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댁내에 배치된 전력소비 장치를 관리하는 것이어서 기존 댁내 전력 관리 시스템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를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이나 타겟 오브젝트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서 전력 소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전력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의 전력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의 전력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전력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리 장치(100)는 무선랜 신호처리부(110)와 전력 제어부(120)를 구비하며,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예: 디지털 TV, 에어컨, 전등)의 배치를 미리 파악해 둔다.
이를 위해, 댁내에 설치되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에는 개별적으로 식별제어 디바이스(예: 만능 리모컨, 스마트 콘센트)를 장착하고 무선랜 신호처리부(110)가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와 통신함으로써 전력관리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배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식별제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력관리 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배치를 자동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식별제어 디바이스(예: 만능 리모컨, 스마트 콘센트)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를 제작할 때 미리 장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기존에 판매되어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에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력관리 장치(100)가 개별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배치를 인식한 상태에서 개별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커버리지 내에 무빙 오브젝트의 출입이 감지되거나 타겟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전력 제어부(120)는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를 통해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를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한다.
여기서, 전력 제어부(120)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동작 제어가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소비 장치가 디지털 TV(21)인 경우에 온/오프 제어는 물론 볼륨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채널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력소비 장치가 전등(23, 24)인 경우 전등을 온/오프 제어함은 물론 전등의 밝기나 디밍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120)가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력관리 장치(100)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커버리지에서 무빙 오브젝트의 출입을 감지하거나 또는 타겟 오브젝트를 식별하여야 한다.
전력관리 장치(100)는 무선랜 공유기와 같은 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전력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로부터 무선랜 신호(비콘 프레임)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출한 후 무선랜 신호처리부(110)가 외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무선랜 수신신호에서 나타나는 현상, 즉 도플러 쉬프트를 통해 무빙 오브젝트(예: 사람)의 위치추적이나 타겟 오브젝트(예: 미리 정한 동작 패턴)의 동작인식을 수행한다.
이처럼, 무빙 오브젝트의 위치추적이나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인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출원인이 2014.07.17 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4-0090665호 "무선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및 동작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식별번호 [0036] 내지 [0065]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의 전력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리 장치(100)는 무선랜 신호처리부(110), 전력 제어부(120), 메모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전력관리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예: 디지털 TV, 에어컨, 전등)의 배치를 미리 파악하여 저장해 둔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130)에 댁내 영역의 지도 데이터와 댁내에 설치되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배치, 종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입력해 둘 수 있다.
이렇게 메모리부(130)에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력관리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배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무선랜 신호처리부(1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력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로부터 무선랜 신호(비콘 프레임)의 송출에 따른 외부 물체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그 무선랜 수신신호에서 나타나는 현상(도플러 쉬프트)을 통해 무빙 오브젝트(예: 사람)의 위치추적이나 타겟 오브젝트(예: 미리 정한 동작 패턴)의 동작인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120)는 [도 1]에서와 같이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를 통해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동작(예:온/오프, 밝기 조절, 볼륨 조절)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직접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0 : 먼저, 전력관리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전력소비 장치(예: 디지털 TV, 에어컨, 전등)의 배치를 미리 파악해 둔다.
[도 1]에서와 같이 전력관리 장치(100)가 개별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에 부착된 식별제어 디바이스(11, 12, 13, 14)와 통신하여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배치를 자동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전력관리 장치(100)의 메모리부(130)에 각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나 배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입력함으로써 전력관리 장치(100)는 댁내의 각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배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S120, S130 : 전력관리 장치(100)는 안테나로부터 무선랜 신호(비콘 프레임)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출력한 후, 무빙 오브젝트(예: 이동중인 사람)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어서, 감지한 무선랜 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무빙 오브젝트(예: 사람)의 동선을 추적한다.
이와 같은 무선랜 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는 과정과 이를 통해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하는 과정의 일 구현예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2014.07.17 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4-0090665호 "무선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및 동작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식별번호 [0036] 내지 [0048]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S140, S150 : 이어서, 전력관리 장치(100)는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하여 자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댁내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배치와 비교하여 무빙 오브젝트가 특정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커버리지 외에 위치하는지 식별한다.
S160, S170 : 무빙 오브젝트가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커버리지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전력 제어부(120)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를 턴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가 애초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빙 오브젝트가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커버리지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애초의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될 것이다.
S180 : 무빙 오브젝트가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전력 제어부(120)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를 턴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가 애초 턴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빙 오브젝트가 해당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의 커버리지 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애초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면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또 다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0, S220 : [도 3]의 단계 S120에서와 같이 전력관리 장치(100)는 이 전력관리 장치(100)에 부착된 안테나로부터 무선랜 신호(비콘 프레임)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출력한 후, 타겟 오브젝트(예: 미리 정한 동작 패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어서, 감지한 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타겟 오브젝트(예: 미리 정한 동작 패턴)를 식별한다.
S230, S240 : 그리고, 식별한 타켓 오브젝트의 동작을 전력관리 장치(100)에 조회하여 식별한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과 일치하는 미리 설정한 동작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전력관리 장치(100)가 댁내에 설치되어 미리 인식하는 있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 중에서 상기 획득한 동작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를 특정한다.
S250 : 이어서, 획득한 동작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댁내의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 중에서 특정한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 25)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력 제어부(120)는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 전력소비 장치(21, 22, 23, 24)의 동작 제어가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소비 장치가 디지털 TV(21)인 경우에 온/오프 제어함은 물론 볼륨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채널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력소비 장치가 전등(23, 24)인 경우 전등을 온/오프 제어함은 물론 전등의 밝기나 디밍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례로, 댁내에 있는 사람이 팔을 들어 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교번하여 2번 흔드는 동작 패턴 정보에 대해 전등1(23)을 끄는 것으로 미리 설정해 둔 경우 해당 전력소비 장치(23)의 커버리지 내에서 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교번하여 2번 흔드는 동작 패턴 정보가 식별되면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부(120)가 전등1(23)을 턴오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댁내에 있는 사람이 팔을 들어 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교번하여 3번 흔드는 동작 패턴 정보에 대해 전등1(23)을 켜는 것으로 미리 설정해 둔 경우 해당 전력소비 장치(23)의 커버리지 내에서 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교번하여 3번 흔드는 동작 패턴 정보가 식별되면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부(120)가 전등1(23)을 턴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랜 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는 과정과 이를 통해 타겟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2014.07.17 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4-0090665호 "무선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및 동작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식별번호 [0049] 내지 [0065]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1 : 식별제어 디바이스 1
12 : 식별제어 디바이스 2
13 : 식별제어 디바이스 3
14 : 식별제어 디바이스 4
21 : 디지털 TV
22 : 에어컨
23 : 전등 1
24 : 전등 2
25 : 전등 3
100 : 전력관리 장치
110 : 무선랜 신호처리부
120 : 전력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2 : 식별제어 디바이스 2
13 : 식별제어 디바이스 3
14 : 식별제어 디바이스 4
21 : 디지털 TV
22 : 에어컨
23 : 전등 1
24 : 전등 2
25 : 전등 3
100 : 전력관리 장치
110 : 무선랜 신호처리부
120 : 전력 제어부
130 : 메모리부
Claims (7)
- 전력관리 장치가 그 구비한 안테나를 통해 무선랜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하고 그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랜 신호를 수신하여 그 무선랜 신호에 발행하는 도플러 쉬프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전력관리 장치 주변의 일정 영역에 대하여 무빙 오브젝트를 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력관리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장치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식별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자동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관리 장치가 그 구비한 안테나를 통해 무선랜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출하고 상기 일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빙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빙 오브젝트로 인해 상기 무선랜 신호에 발행하는 도플러 쉬프트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전력관리 장치가 상기 검출한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상기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하는 단계;
(d) 상기 전력관리 장치가 상기 일정 영역 내에서 상기 추적된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장치의 배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특정의 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e) 상기 커버리지 내의 위치 여부에 대한 식별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관리 장치가 상기 식별제어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력소비 장치에 대한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속성에 따라 전력 소모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고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커버리지를 이탈한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전력 소비를 증감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한 결과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외에 위치함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e)는,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해당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전력소비 장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무빙 오브젝트의 동선을 추적한 결과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함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e)는,
상기 무빙 오브젝트가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해당 커버리지 내로 들어온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전력소비 장치를 턴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이후,
무선랜 신호에서 발생하는 도플러 쉬프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도플러 쉬프트를 분석하여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한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을 조회하여 상기 식별한 타겟 오브젝트의 동작과 일치하는 미리 설정한 동작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작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소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 삭제
- 삭제
-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5192A KR101623973B1 (ko) | 2014-08-13 | 2014-08-13 |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5192A KR101623973B1 (ko) | 2014-08-13 | 2014-08-13 |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175A KR20160020175A (ko) | 2016-02-23 |
KR101623973B1 true KR101623973B1 (ko) | 2016-06-07 |
Family
ID=5544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5192A KR101623973B1 (ko) | 2014-08-13 | 2014-08-13 |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39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02601B (zh) * | 2017-02-21 | 2018-08-03 | 国网山东省电力公司邹城市供电公司 | 用电情况检测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5842B1 (ko) * | 2011-10-05 | 2012-12-31 | 이민환 | 인체 감지에 의한 콘센트의 전력 자동 제어 방법 |
JP2013252073A (ja) * | 2012-06-05 | 2013-12-19 | Kubota Corp | 対地作業ユニットを装備した作業車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8253A (ko) | 2003-04-09 | 2004-10-1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전조등 시스템 |
KR100637951B1 (ko) | 2004-12-09 | 2006-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댁내의 전력 사용량 관리 시스템 |
KR20070011092A (ko) | 2005-07-20 | 2007-0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컨텐츠 부호화방법 및 장치와, 부호화된멀티미디어 컨텐츠 응용방법 및 시스템 |
JP4762824B2 (ja) | 2006-08-10 | 2011-08-31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電力変換回路 |
JP5031344B2 (ja) | 2006-12-06 | 2012-09-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
DE102008001855A1 (de) | 2008-05-19 | 2009-11-26 | Evonik Degussa Gmbh | Zweikomponenten-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flexiblen Polyurethan-Gelcoats |
KR101079674B1 (ko) | 2009-04-29 | 2011-11-03 | 디아이텍 주식회사 | 포장봉지의 절취선 형성장치 |
KR20120026673A (ko) * | 2010-09-10 | 2012-03-20 | 이윤섭 | 전등제어를 위한 분할형 물체감지센서 모듈 |
KR20140011921A (ko) * | 2012-07-18 | 2014-0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작 인식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8-13 KR KR1020140105192A patent/KR1016239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5842B1 (ko) * | 2011-10-05 | 2012-12-31 | 이민환 | 인체 감지에 의한 콘센트의 전력 자동 제어 방법 |
JP2013252073A (ja) * | 2012-06-05 | 2013-12-19 | Kubota Corp | 対地作業ユニットを装備した作業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175A (ko) | 2016-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60154B2 (en) | Commissioning load control systems | |
JP7527673B2 (ja) | スマートスペ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11262761B (zh) | 一种电子设备和用于操作电子设备的方法 | |
WO2020211465A1 (zh) |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介质、移动终端和装置 | |
US201401359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in home | |
US9204291B2 (en) |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 |
KR102390049B1 (ko) | 네트워크 장치와 원격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을 조율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구 | |
US20180351758A1 (en) | Home Automation System | |
TWI469581B (zh) |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 |
CN105744219A (zh) | 用于操作安全系统的方法和设备 | |
US20150145655A1 (en) | Dynamic Proximity Control System | |
US20140070919A1 (en) |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 |
US20120109397A1 (en) | Location-bas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 |
US20160020918A1 (en) | Smart household applian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 | |
US11343897B2 (en) |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wireless network to perform radiofrequency-based motion detection | |
US20170025861A1 (en) |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 |
CN104270518A (zh) | 一种遥控终端内操作界面的切换方法 | |
US20200295963A2 (en) | Communications adapter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n appliance controller | |
KR101623973B1 (ko) | 무선랜 반사신호의 도플러 쉬프트를 이용한 전력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
KR101239526B1 (ko) |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 |
CN108469789A (zh) | 一种基于智能家居的控制方法及其系统 | |
CN104661404A (zh) | 一种智能照明控制系统及智能照明控制方法 | |
EP3703426A1 (en) | Wireless device and device control system | |
KR100959098B1 (ko) |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 |
KR100789761B1 (ko) |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