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900B1 -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 Google Patents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900B1
KR101623900B1 KR1020140075078A KR20140075078A KR101623900B1 KR 101623900 B1 KR101623900 B1 KR 101623900B1 KR 1020140075078 A KR1020140075078 A KR 1020140075078A KR 20140075078 A KR20140075078 A KR 20140075078A KR 101623900 B1 KR101623900 B1 KR 10162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motor shaft
secondary coi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474A (ko
Inventor
이지영
강도현
김종무
김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90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축을 가진 모터로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된 고정자;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모터 축 회전을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및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자를 회전자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연결 유닛은, 상기 회전자 전원에 연결된 1차 코일, 및 상기 1차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된 1차 코일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1차 코일부; 및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코일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2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축에 고정된 2차 코일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2차 코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Motor in which a ro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in a contactless manne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휠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모터 축에 결합된 회전자와 모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자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 구동을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얻는 장치이다.
다양한 종류의 모터들이 여러 분야 및 장치에 널리 사용되는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전기 에너지로부터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얻는 유형의 자동차의 휠 축에 연결되는 휠-축 모터(In-Axis motor)가 그 중 하나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권선형 휠-축 모터의 일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권선형 휠-축 모터(10)는 모터 하우징(11), 모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축(12), 모터 하우징(11)에 결합된 고정자(13), 및 모터 축(12)에 결합된 회전자(14)를 포함한다. 예로써, 고정자(13)는 교류 전압을 공급받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전기자(armature)로 구성되는 한편 회전자(14)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계자(field system)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13)와 회전자(14)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14)에 모터 축(12)의 구동을 위한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회전자(14)를 모터(10) 외부에 배치된 회전자 전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들로서, 모터 축(12)에 결합된 슬립링(15), 및 고정 부재(17)를 통해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된 한 쌍의 브러시(16a,16b)가 구비된다. 회전자(14)에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된 슬립링(15)과 회전자 전원(미도시)에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된 한 쌍의 브러시(17a, 17b)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회전자 전원으로부터 회전자(14)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런데 모터(10)를 가동하는 동안에 모터 축(12)과 함께 회전하는 슬립링(15)과 모터 하우징(11)에 고정된 브러시(16a,16b) 사이에 마찰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브러시(16a,16b)가 변형되거나 손상됨으로써 브러시(16a,16b)와 슬립링(15) 간의 접촉 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 오동작 또는 부품 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모터 축(12)의 후단에는 모터 축(12)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이 장착되어 있다. 예로써,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은 공지된 엔코더(encoder) 또는 레졸버(resolver)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을 사용함으로써, 모터 축(12)의 회전 변위에 따른 모터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엔코더나 레졸버와 같은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은 모터 축(12)의 후단에 장착되기 때문에 모터(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축에 결합된 회전자를 부품 간의 마찰 없이 외부 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방안, 및 모터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의 설치에 따른 모터의 길이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축을 가진 모터로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된 고정자;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모터 축 회전을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및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자를 회전자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연결 유닛은, 상기 회전자 전원에 연결된 1차 코일, 및 상기 1차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된 1차 코일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1차 코일부; 및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코일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2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축에 고정된 2차 코일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2차 코일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2차 코일부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된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2차 코일부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홈부가 규칙적으로 번갈아 배치된 형상을 가지며 자성체 물질로 제조되는 요철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한다.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된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코어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 사이를 지나가는 자속을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따른 검출 자속의 주기적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한다.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되는 갭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갭 센서는 소스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코일 및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의해 인덕턴스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서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갭 센서는 상기 서치 코일의 인덕턴스의 주기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한다.
상기 고정자는 전기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계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원 연결 유닛은, 상기 2차 코일이 출력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회전자에 제공하며 상기 모터 축에 고정되는 정류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는 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전기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자는 상기 2차 코일에 직접 연결되는 모터.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연결 유닛을 구성하는 1차 코일부와 2차 코일부 사이에 어떠한 접촉 및 마찰이 없으므로 그로 인한 스파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스파크 발생으로 인한 모터의 오작동 내지 부품 소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이 엔코더나 레졸버와 같은 종래의 감지 모듈들과 달리 모터 축의 후단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의 장착으로 의해 모터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는 점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의 소형화 요구를 저해함 없이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을 모터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휠 모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모터에 구비된 전원 연결 유닛이 모터 축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원 연결 유닛을 구성하는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모터에 구비된 회전 변위 감지 모듈 및 제2 코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회전 변위 감지 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과 모터 축의 회전 변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차량의 휠 축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휠-축 모터에 적용되기에 특히 적합하기는 하나,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휠-축 모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모터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우측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모터 하우징(110), 모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축(120), 모터 하우징(110)에 결합된 고정자(130), 및 모터 축(120)에 결합된 회전자(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 하우징(110)에 결합된 고정자(130)는 교류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전기자(armature)로 구성되는 한편 모터 축(120)에 결합된 회전자(140)는 직류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계자(field system)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고정자(130)와 회전자(140)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140)에 모터 축(120)의 회전을 위한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호 작용에 따른 전자기력의 발생 원리는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0)는 외부 전원(회전자 전원)에 회전자(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 유닛(145), 및 전원 연결 유닛(145)에 의해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여 회전자(140)에 제공하는 정류 회로 기판(17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모터(100)에 구비된 전원 연결 유닛(145)을 모터 축(120)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전원 연결 유닛(145)을 구성하는 제1 코일부(150) 및 제2 코일부(1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더불어 도 4 및 5를 추가로 참조하면서 전원 연결 유닛(145)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원 연결 유닛(145)은 1차 코일부(150) 및 2차 코일부(160)를 포함한다.
1차 코일부(150)는 회전자 전원(미도시)에 연결된 1차 코일(151), 및 1차 코일(151)을 지지하는 1차 코일 지지 부재(15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부(150)는 1차 코일 지지 부재(152)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1)을 통해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1차 코일 지지 부재(152)에는 1차 코일(151)을 수용 및 지지하는 코일 수용홈(1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1차 코일 지지 부재(152)의 중심부에는 모터 축(120)에 의해 관통되는 축홀(15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차 코일 지지 부재(152)의 축홀(152b)의 직경은 모터 축(12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1차 코일 지지 부재(152)는 회전하는 모터 축(120)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1차 코일 지지 부재(152)는 투자율이 높은 물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며, 예로써 페라이트(ferrite)로 제조될 수 있다.
2차 코일부(160)는 전술한 1차 코일(151)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2차 코일(161), 2차 코일(161)을 지지하는 2차 코일 지지 부재(162), 및 요철 부재(16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부(150)와 달리 2차 코일부(160)는 그것의 2차 코일 지지 부재(162)가 모터 축(120)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축(120)에 고정된다.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에는 2차 코일(161)을 수용 및 지지하는 코일 수용홈(162a)이 형성되어 있으며,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의 중심부에는 모터 축(120)에 의해 관통되는 축홀(16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의 축홀(162b)의 직경은 모터 축(120)의 직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2차 코일 지지 부재(162)는 모터 축(120)에 고정됨으로써 모터 축(12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2차 코일 지지 부재(162)는 1차 코일 지지 부재(152)와 같은 물질로 제조된다. 예로써,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은 높은 투자율을 나타내는 페라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부재(163)는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2차 코일부(1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부(163a)와 홈부(163b)가 주기적으로 번갈아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요철 부재(163)는 2차 코일 지지 부재(162)와 다른 물질로 제조되는데, 예로써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자성제 물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 부재(163)는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1차 코일(151)에는 회전자 전원(미도시)이 연결됨으로써 회전자 전원이 제공하는 1차 전압(교류 전압)이 입력된다. 1차 코일(151)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술한 2차 코일(161)에는 전자기 유도 원리(또는 변압기 원리)에 따라 2차 전압(교류 전압)이 발생된다. 2차 코일(161)에 유도된 2차 전압은 모터 축(120)에 고정된 정류 회로 기판(170)에 의해 직류 전압으로 정류되며, 그 직류 전압은 정류 회로 기판(170)에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된 회전자(14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유닛(145)은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2차 코일(162)에 2차 전압을 유도하는 방식을 통해 회전자(140)가 회전자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며, 이러한 경우 전원 연결 유닛(145)의 1차 및 2차 코일부(150, 160) 사이에는 어떠한 접촉 내지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슬립링(15)과 브러시(16a,16b)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이 발생될 여지가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립링(15)과 브러시(16a,16b)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전기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파크는 모터의 오작동 내지 부품 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원 연결 유닛(145)을 구성하는 1차 코일부(150)와 2차 코일부(160) 사이에 어떠한 접촉도 없으므로 마찰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을 더 포함한다.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된 브라켓 부재(111)에 장착됨으로써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전술한 2차 코일부(160)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이러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모터에 구비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 및 제2 코일부(16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과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2차 코일부(160)의 요철 부재(163)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요철 부재(163)에 인접 배치된다.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요철 부재(163)를 마주하도록 배치된 영구 자석(181)과, 영구 자석(181)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코어 부재(182,183)와, 한 쌍의 코어 부재(182,183) 사이에 배치된 홀 센서(184)를 포함한다. 여기서, 홀 센서(184)는 한 쌍의 코어 부재(182,18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영구 자석(181)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들 중에서 한 쌍의 코어 부재(182,183)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는 자속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철 부재(163)는 자성체 물질로 제조된 것이며 그 외주면에는 돌출부(163a)와 홈부(163b)가 주기적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터 축(120)이 회전하는 동안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도 요철 부재(163)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예로써,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센서(184)가 홈부(163b)의 중심선(C1)에 또는 돌출부(163a)의 중심선(C3)에 정렬된 배치의 경우,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은 최소가 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센서(184)가 전술한 두 중심선(C1,C3)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중심선(C2)에 정렬된 배치의 경우,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은 최대가 된다.
요철 부재(163)에 형성된 돌출부들(163a)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은 모터 축(120)이 회전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검출 자속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은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에 따라 정현파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검출 자속과 회전 변위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홀 센서(184)에 의해 검출되는 자속을 이용함으로써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에 의하면,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에 의해 모터(10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회전 변위는 모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엔코더나 레졸버와 같은 종래의 감지 모듈들과 달리 모터 축(12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의 설치로 인해 모터(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지 않는다. 즉,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모터의 소형화 요구를 저해함 없이 모터(100)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이 홀 센서(184)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돌출부(163a)와 홈부(163b)가 반복되는 요철 부재(163)의 형상에 기초하여 모터 축(12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로써, 회전 변위 감지 모듈(180)은 공지의 갭 센서(gap sensor)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모터(200)는 전술한 모터(100)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모터(100)의 경우 고정자(130)는 전기자로 구비되고 회전자(140)는 계자로 구비된 것과 반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의 경우 고정자(130)는 계자로 구비되고 회전자(140)는 전기자로 구비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의 경우, 전기자로 구비된 회전자(140)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회전자(140)는 전원 연결 유닛(145)의 2차 코일(161)(도 5 참조)에 전선(미도시)을 통해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모터(100)에 구비된 정류 회로 기판(170)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도 8에는 도 2에 도시된 정류 회로 기판(170)이 생략되어 있다.
100 : 모터(제1 실시예)
110 : 모터 하우징
120 : 모터 축
130 : 고정자
140 : 회전자
145 : 전원 연결 유닛
150 : 제1 코일부
151 : 제1 코일
160 : 제2 코일부
161 : 제2 코일
163 : 요철 부재
170 : 정류 회로 기판
180 : 회전 변위 감지 모듈
200 : 모터(제2 실시예)

Claims (6)

  1.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 축을 가진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된 고정자;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모터 축 회전을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 및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자를 회전자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연결 유닛은,
    상기 회전자 전원에 연결된 1차 코일(151), 및 상기 1차 코일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된 1차 코일 지지 부재(152)를 포함하는 1차 코일부(150); 및
    상기 회전자에 연결되며 상기 1차 코일(151)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2차 코일(161), 및 상기 2차 코일(161)을 지지하며 상기 모터 축에 고정된 2차 코일 지지 부재(162)를 포함하는 2차 코일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부(150)는, 상기 1차 코일(151)을 수용 및 지지하는 코일 수용홈(152a)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 축(120)에 의해 관통되는 축홀(152b)이 형성되며,
    상기 1차코일(151)은, 상기 축홀(152b) 내에서 상기 모터 축(12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권선되며,
    상기 2차 코일부(160)는, 상기 2차 코일(161)을 수용 및 지지하는 코일 수용홈(162a)이 상기 1차 코일(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 축(120)에 의해 관통되는 축홀(162b)이 형성되며,
    상기 2차코일(161)은, 상기 축홀(162b) 내에서 상기 모터 축(12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2차 코일부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된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2차 코일부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홈부가 규칙적으로 번갈아 배치된 형상을 가지며 자성체 물질로 제조되는 요철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된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코어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코어 부재 사이를 지나가는 자속을 검출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따른 검출 자속의 주기적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변위 감지 모듈은 상기 요철 부재의 외주면에 인접 배치되는 갭 센서로 구비되며, 상기 갭 센서는 소스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코일 및 상기 요철 부재의 형상에 의해 인덕턴스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서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갭 센서는 상기 서치 코일의 인덕턴스의 주기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축의 회전 변위를 감지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전기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계자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 연결 유닛은,
    상기 2차 코일이 출력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여 상기 회전자에 제공하며 상기 모터 축에 고정되는 정류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전기자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2차 코일에 직접 연결되는 모터.
KR1020140075078A 2014-06-19 2014-06-19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KR10162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78A KR101623900B1 (ko) 2014-06-19 2014-06-19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78A KR101623900B1 (ko) 2014-06-19 2014-06-19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74A KR20150145474A (ko) 2015-12-30
KR101623900B1 true KR101623900B1 (ko) 2016-05-24

Family

ID=5508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078A KR101623900B1 (ko) 2014-06-19 2014-06-19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174B1 (ko) 2023-08-04 2024-01-15 김홍환 레이어드 모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93B1 (ko) * 2010-04-28 2011-10-27 이한철 정지 자기장을 이용한 로터 위치 검출 구조를 구비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93B1 (ko) * 2010-04-28 2011-10-27 이한철 정지 자기장을 이용한 로터 위치 검출 구조를 구비하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74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9147A1 (en) Sta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CN108631477B (zh) 电动机
JP200722197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7106899A (ja) 回転子シャフトの軸線方向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回転機械に対してのそれの応用
CN108631473B (zh) 电动机
US10753771B2 (en) Brushless resolver and rotation-angle detection device
CN114977666A (zh) 用于电动机器的转子以及具有转子的电动机器
CN114977662A (zh) 用于电动机器的转子以及具有转子的电动机器
WO2017033570A1 (ja) 磁気浮上姿勢制御装置
EP1094300A1 (en) Inductive position detector
CN114270673A (zh) 旋转检测器和具有该旋转检测器的电动机
KR101623900B1 (ko) 회전자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에 연결되는 모터
JP2018132432A (ja) エンコーダ装置、駆動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CN114977661A (zh) 用于电动机器的转子以及具有转子的电动机器
JP2017050942A (ja) 回転電機
JP5411084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US20230054067A1 (en) Motor
KR20160010820A (ko) 접촉하는 전기공급체가 필요 없는 직류 모터
KR101403460B1 (ko) 영구자석 전동기
JP2006090501A (ja) 発電機付き転がり軸受装置
CN107645223B (zh) 电机总成
JP2012230104A (ja) 回転シャフトの軸方向位置検出装置とそのターボ分子ポンプ用途
CN111788647B (zh) 用于无线地给旋转装置供应以电能的系统
JP6265824B2 (ja) モータジェネレータ
US20220286003A1 (e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