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896B1 -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896B1
KR101623896B1 KR1020150179821A KR20150179821A KR101623896B1 KR 101623896 B1 KR101623896 B1 KR 101623896B1 KR 1020150179821 A KR1020150179821 A KR 1020150179821A KR 20150179821 A KR20150179821 A KR 20150179821A KR 101623896 B1 KR101623896 B1 KR 10162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message
push
ship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흥
Original Assignee
(주)썬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썬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5017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통신에 최적화되어 과도한 위성통신비 발생을 억제하고 육상과 선박 간 실시간으로 데이터(SMS 혹은 파일 등)가 전송되고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실시간 푸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선과 IT 양대 산업은 전 세계를 막론하고 우리나라가 기술 및 환경 측면에서 최적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므로 개발기술 사업화를 통해 세계 표준화 및 기술 선점의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을 통해 2018년부터 시행되는 e-Navigation에서 핵심이 되는 해상통신지원 기술 채택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박, 육상 간 사물지능통신 솔루션(loT) 응용기술을 활용한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운항중 선박 및 선원대상 다양한 컨텐츠 시장을 구축할 수 있는 기초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Real-time push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Ship Smart Work}
본 발명은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통신에 최적화되어 과도한 위성통신비 발생을 억제하고 육상과 선박 간 실시간으로 데이터(SMS 혹은 파일 등)가 전송되고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실시간 푸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가 등장 및 보급되면서 기존 웹사이트 또는 App을 통해 각종 서비스의 알림을 SMS 또는 푸쉬시스템(Push System)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구글과 애플에서 푸쉬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앱들이 폭발적으로 확대되면서 이러한 서비스는 단순 메시지 전달 외 SNS, 뉴스, 주식 등 다양한 정보전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다에 운항중인 선박들은 육상과 각종 데이터를 교신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밖에 없으나 높은 위성통신비와 낮은 전송속도로 인하여 선박에서 인위적으로 육상에 접속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실시간을 받을 수가 없으며 이를 극복할 위성에 최적화된 실시간 푸쉬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현재, 선박과 육상 간은 위성전화 또는 단순 E-mail 형태로만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박이 대형화되고 내국 선원의 선박 승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육상에서 선박에서 실시간으로 중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이 가진 모바일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젊은 선원들은 육상에서 사용 중인 카카오톡과 같은 SNS 서비스를 바다 어느 곳에서라도 육상의 가족/지인과 연락이 되지 않는 선박에는 승선을 기피하고 육상과 언제라도 연락할 수 있는 선박을 선별하여 승선을 하고 있으며 국제노동기구(ILO)에서도 선원복지향상을 위하여 승선중인 선원들이 육상과 언제든지 연락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독려하고 있음에 따라 국내외 선사들이 선박과 육상 간 실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푸쉬 시스템 개발이 절실하다.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위성시스템을 1MB 사용시 10만원, 문자 1건에 600~1000원(140byte기준)정도 위성통신요금이 발생하고 있으며 현 위성시스템에 육상에 있는 카카오톡 같은 SNS서비스를 부가장치 없이 사용할 경우, 약 1억원 대의 위성통신장비(VSAT)를 설치한 후 매달 수 천만원 이상의 통신비용이 부담하여야 하며 선원들이 육상의 비인가자와 접속하여 사용 시 중요한 선박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육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선박에서 인위적으로 위성에 접속하지 않는 이상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작동할 수 없음에 따라 육상시스템을 현재 위성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업무효율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성통신에 최적화되어 과도한 위성통신비 발생을 억제하고 육상과 선박 간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실시간 푸쉬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5-0089057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통신에 최적화되어 과도한 위성통신비 발생을 억제하고 육상과 선박 간 실시간으로 데이터(SMS 혹은 파일 등)가 전송되고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실시간 푸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스마트워크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푸쉬에이젠트(1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메세지어플(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모바일(100)과;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용푸쉬브로커(210)와,
위성단말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200)와;
상기 위성단말기와 육상기지국(5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위성(400)과;
상기 육상기지국으로부터 선박에서 송출되는 SMS 및 파일을 수신받기 위하여 육상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600)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푸쉬에이젠트(7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메세지어플(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상용모바일(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선과 IT 양대 산업은 전 세계를 막론하고 우리나라가 기술 및 환경 측면에서 최적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므로 개발기술 사업화를 통해 세계 표준화 및 기술 선점의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을 통해 2018년부터 시행되는 e-Navigation에서 핵심이 되는 해상통신지원 기술 채택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박, 육상 간 사물지능통신 솔루션(loT) 응용기술을 활용한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운항중 선박 및 선원대상 다양한 컨텐츠 시장을 구축할 수 있는 기초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박에서 위성통신을 연결하여 스마트폰으로 개인적이고 편리하게 위성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선원 개인별로 요금정산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부가시장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박 내에서도 스마트워크가 가능해짐에 따라 업무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육상 및 선박 간 원격 협업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 세계 해상에서 선박과 육상 간 또는 선박과 선박 간 저렴한 통신비용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선사와 선원의 부담이 작아지게 되며 선원의 개별사용이 증가하여 위성통신사업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선박 운항중 주의사항과 점검 사항 등을 육상 및 선박 간 손쉽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음에 따라 해상안전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원은 육상에 있는 가족/친구/지인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에 따라 육상의 정보에 소외되어 있는 선원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선원의 복지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며, 도 2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푸쉬를 위한 위치 등록 플로우 챠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등록된 위치로 메시지 전송과 푸쉬를 위한 플로우 챠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푸쉬시스템은 인터넷상에서 특정 요청 중앙서버에서 시작되는 정보전달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방송처럼 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일일이 정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뉴스나 사용자가 원하는 특별한 정보를 제공한다.
푸쉬시스템을 통한 정보전달은 스마트폰을 이용할 때 수 없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과 같은 SNS이용시 페이스북 친구가 댓글을 달거나 게시물을 등록했을 때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스마트폰 내에 페이스북 App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계속 실행되고 있으면서 어떤 서비스의 상태가 바뀌거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즉시 그 이벤트를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olling서비스의 제한 사항을 극복하고 스마트폰 환경에 맞는 적절한 대안이 푸쉬시스템이다.
Polling으로 육상과 선박간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평소에는 5~8mA의 전력이 소비되지만, 약 10초간 네트워크로 Polling 서비스를 사용하면 180~200mA의 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Short Poll로 약 0.5mA의 Polling 서비스를 사용하면 하루 기준 시간당(H/Day) 소비량은 5분 간격일 경우, 약 144mA, 15분 간격일 경우, 48mA의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수치는 하드웨어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평소 전력 소비량과 비교한다면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다.
또한, 푸쉬시스템 개발 및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고객에게 정보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관련 앱이 지속적으로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통신망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박과 육상 간 각종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선박에서 인위적으로 위성에 접속하여야만 데이터 송수신 가능하며, 선사 및 선원에게 과도한 위성통신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 및 통신체계가 필요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해상에서 육상에 요청할 것이 있는데 육상 업무시간 외에는 담당자와 연락이 잘되지 않는데 편리하게 연락할 방법이 없으며, 운항한 지 오래되어 가족이나 친구들이랑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육상에서는 근무 중이나 퇴근하더라도 선박 상태를 주기적으로 보고 받고 긴급 공지사항을 편리하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회사를 통하지 않고 선원들이 어디쯤에 있는지를 알 수가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육상과 직접 연결하는 기술은 위성단말기와 육상 메신저 서버를 활용하게 되지만, 24시간 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으며, 선박 서버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푸쉬 미지원으로 양방향 실시간 정보 송수신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육상용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식이 아닌, 위성을 통해 선박과 육상 간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며, 도 2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은, 선박용모바일(100),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200), 위성단말기(300), 위성(400), 육상기지국(500),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600), 육상용모바일(70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선박용모바일(100)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푸쉬에이젠트(1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선박용메세지어플(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박푸쉬에이젠트(110)는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수단인데, MQTT는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의 약자이며, 도면에 기재된 M2M은 Machine-To-Machine의 약자이다.
그리고, 상기 선박용메세지어플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앱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어플을 이용하여 선원이 메세지를 육상으로 시간과 상관없이 언제든지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박용메세지어플(120) 혹은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메시지 전송시에는 HTTP 기반으로 선박용푸쉬브로커(210) 혹은 육상용푸쉬브로커(620)와 연동되며,
상기 선박용메세지어플(120) 혹은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Push 수신 시에는 MQTT 기반으로 선박용푸쉬브로커(210) 혹은 육상용푸쉬브로커(62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200)는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용푸쉬브로커(210)와,
위성단말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는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는 전원 스위치가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후면부에는 전원공급, 시리얼, 이더넷 등 총 3종류의 방수 포트와 AP 안테나가 위치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더넷 및 시리얼 포트를 이용하여 위성 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는 위성 IMARSAT C, D, F, FB 단말기와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대부분의 선박에서 별도의 안테나 추가 없이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제공할 수 있으며, AP 안테나는 반경 10m 까지 커버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소지한 선원이 반경 10m 내에 S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성(400)은 위성단말기와 육상기지국(5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해상과 통신하기 위하여 육상에도 동일한 구성수단을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600), 육상용모바일(700)을 구성하고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600)는 해상과 동일하게, 육상기지국으로부터 선박에서 송출되는 SMS 및 파일을 수신받기 위하여 육상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상용모바일(700)은 해상과 동일하게,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푸쉬에이젠트(7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어플의 경우에는 Push Registration ID 생성 및 전달, Message 수신 및 전달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로그인 및 사용권한에 따른 제어, SMS 및 파일전송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HTTP 기반으로 Registration ID 생성, MQTT 기반으로 Registration ID 전달 및 수신, HTTP 기반으로 Message 송수신, MQTT 기반으로 Message 전달 및 Notification을 어플에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선박에서는 선박용푸쉬브로커(210)를 통하여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부터 Registration ID를 받아와서 설정한다.
그리고, 육상에서는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부터 바로 Registration ID를 받아와서 설정한다.
이때, 선박에서는 선박용푸쉬브로커(210)를 통하여 육상의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며, 육상에서는 육상용푸쉬브로커(620)를 통하여 선박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푸쉬를 위한 위치 등록 플로우 챠트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를 위한 위치 등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선박 환경에서 SMS앱을 구동할 경우에는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100).
이후,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SOCKET)하게 된다(S11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SERIAL)하게 된다(S12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 의해 수신 전문(HTTP)을 가져오게 된다(S13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140).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디비(미도시)에 해당 선박용메세지어플(120)의 Registration ID의 생성 및 등록 처리(S150)하게 된다.
상기 디비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푸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디비를 구축하게 되는데, 상기 디비를 통해 서로 주고 받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SOCKET)하게 된다(S16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위성(400)을 통해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17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위성단말기로부터 Registration ID 전문을 수신(SERIAL)하게 된다(S18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190).
이후,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메세지어플(12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MQTT)하게 되며(S200),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Registration ID 등록 처리(S21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박 환경에서 푸쉬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하기에서는 육상 환경에서 메세지어플을 구동할 경우를 나타낸 플로우 예시이다.
즉, 육상 환경에서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을 구동할 경우에, 육상용메세지어플(72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300).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디비에 해당 육상용메세지어플의 Registration ID를 생성 및 등록 처리(S310)를 수행하게 되며,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서 육상용메세지어플(72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MQTT)하게 되며(S320),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Registration ID를 등록 처리(S330)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의 등록된 위치로 메시지 전송과 푸쉬를 위한 플로우 챠트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된 위치로 메시지 전송과 푸쉬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선박에서 육상으로 메세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400).
이후,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OCKET)하게 된다(S41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ERIAL)하게 된다(S42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 의해 수신 전문(HTTP)을 가져오게 된다(S43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440).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620)는 타겟 메세지어플 위치가 육상인지 선박인지를 확인하게 되며,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타겟인 육상메세지어플에 푸쉬 메세지를 전송(MQTT)하게 된다(S450).
이때, 육상메세지어플은 사용자에게 푸쉬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육상메세지어플이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 수신 메세지 요청 및 수신(HTTP)을 하게 된다(S460).
이후, 육상메세지어플이 수신된 메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처리(S470)하게 된다.
한편, 육상에서 선박으로 메세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육상용메세지어플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500).
이후, 육상용푸쉬브로커는 타겟 메세지어플 위치가 육상인지 선박인지를 확인 처리하게 되며, 육상용푸쉬브로커에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OCKET)하게 된다(S510).
이후,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52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위성단말기로부터 전송 메세지 전문을 수신(SERIAL)하게 된다(S530).
이후,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게 된다(S540).
이후, 선박용푸쉬브로커는 타겟 메세지어플에 푸쉬 메세지를 전송(MQTT)하게 된다(S550).
이때, 선박메세지어플은 사용자에게 푸쉬 알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선박메세지어플이 선박용푸쉬브로커에 수신 메세지 요청 및 수신(HTTP)을 하게 된다(S560).
이후, 선박메세지어플이 수신된 메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하게 된다.
현재, 선박과 육상 간 스마트워크 및 선원 복지 요구 증가에 따라 육상에서 선박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 니즈가 급증하는 추세이며, 국제해사기구 및 정부의 E-NAVIGATION이 본격 시행되는 추세에서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통신이 폭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현재 시장의 니즈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 선박용모바일
200 :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
300 : 위성단말기
400 : 위성
500 : 육상기지국
600 :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
700 : 육상용모바일

Claims (2)

  1.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에 있어서,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푸쉬에이젠트(1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선박용메세지어플(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모바일(100)과;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용푸쉬브로커(210)와,
    위성단말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푸쉬게이트웨이(200)와;
    상기 위성단말기와 육상기지국(5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위성(400)과;
    상기 육상기지국으로부터 선박에서 송출되는 SMS 및 파일을 수신받기 위하여 육상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상용푸쉬게이트웨이(600)와;
    MQTT 와 HTTP를 처리하기 위한 육상푸쉬에이젠트(710)와,
    IOT 기반 프로토콜인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를 처리하며, 실시간 SMS 및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상용모바일(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박용메세지어플(120) 혹은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메시지 전송시에는 HTTP 기반으로 선박용푸쉬브로커(210) 혹은 육상용푸쉬브로커(620)와 연동되며,
    상기 선박용메세지어플(120) 혹은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Push 수신 시에는 MQTT 기반으로 선박용푸쉬브로커(210) 혹은 육상용푸쉬브로커(62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2. 제 1 항에 기재된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을 이용하는 푸쉬방법에 있어서,

    푸쉬를 위한 위치 등록 단계;
    등록된 위치로 메시지 전송 및 푸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쉬를 위한 위치 등록 단계는,
    선박 환경에서 SMS앱을 구동할 경우,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100),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SOCKET)하는 단계(S11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SERIAL)하는 단계(S12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 의해 수신 전문(HTTP)을 가져오는 단계(S13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140),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디비에 해당 선박용메세지어플(120)의 Registration ID의 생성 및 등록 처리하는 단계(S150),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SOCKET)하는 단계(S16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위성(400)을 통해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17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위성단말기로부터 Registration ID 전문을 수신(SERIAL)하는 단계(S18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190),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메세지어플(12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MQTT)하는 단계(S200),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Registration ID 등록 처리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육상 환경에서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을 구동할 경우, 육상용메세지어플(72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Registration 요청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300),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디비에 해당 육상용메세지어플의 Registration ID를 생성 및 등록 처리하는 단계(S310),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서 육상용메세지어플(720)로 Registration ID 전문을 전송(MQTT)하는 단계(S320),
    육상용메세지어플(720)이 Registration ID를 등록 처리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등록된 위치로 메시지 전송 및 푸쉬를 수행하는 단계는,
    선박에서 육상으로 메세지를 전송할 경우,
    선박용메세지어플(120)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21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400),
    선박용푸쉬브로커(210)에서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OCKET)하는 단계(S41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220)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ERIAL)하는 단계(S42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 의해 수신 전문(HTTP)을 가져오는 단계(S43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610)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620)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440),
    육상용푸쉬브로커(620)는 타겟 메세지어플 위치가 육상인지 선박인지를 확인하여, 육상용푸쉬브로커(620)가 타겟인 육상메세지어플에 푸쉬 메세지를 전송(MQTT)하는 단계(S450),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육상메세지어플이 육상용푸쉬브로커(620)에 수신 메세지 요청 및 수신(HTTP)을 하는 단계(S460),
    육상메세지어플이 수신된 메세지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단계(S4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육상에서 선박으로 메세지를 전송할 경우,
    육상용메세지어플에서 육상용푸쉬브로커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500),
    육상용푸쉬브로커는 타겟 메세지어플 위치가 육상인지 선박인지를 확인 처리하여, 육상용푸쉬브로커에서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SOCKET)하는 단계(S510),
    육상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해당 정보를 위성단말기로 제공하고, 위성(400)을 통해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52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위성단말기로부터 전송 메세지 전문을 수신(SERIAL)하는 단계(S530),
    선박용위성게이트웨이에서 선박용푸쉬브로커로 전송 메세지 전문을 전송(HTTP)하는 단계(S540),
    선박용푸쉬브로커가 타겟 메세지어플에 푸쉬 메세지를 전송(MQTT)하는 단계(S550),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선박메세지어플이 선박용푸쉬브로커에 수신 메세지 요청 및 수신(HTTP)을 하는 단계(S5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방법.
KR1020150179821A 2015-12-16 2015-12-16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21A KR101623896B1 (ko) 2015-12-16 2015-12-16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21A KR101623896B1 (ko) 2015-12-16 2015-12-16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896B1 true KR101623896B1 (ko) 2016-05-24

Family

ID=5611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21A KR101623896B1 (ko) 2015-12-16 2015-12-16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8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5286A (zh) * 2019-01-18 2019-05-28 北京信成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火箭遥测系统及其实现方法
US11319039B2 (en) 2016-06-09 2022-05-03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Vessel data integration system
CN116095114A (zh) * 2023-01-11 2023-05-09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模式的船岸数据传输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44B1 (ko) * 2012-11-02 2013-06-24 (주)마린소프트 해상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538B1 (ko) * 2013-04-17 2014-06-17 현대해양서비스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선박 위성 통신에서의 서버 메시지 푸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44B1 (ko) * 2012-11-02 2013-06-24 (주)마린소프트 해상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408538B1 (ko) * 2013-04-17 2014-06-17 현대해양서비스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선박 위성 통신에서의 서버 메시지 푸시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039B2 (en) 2016-06-09 2022-05-03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Vessel data integration system
EP4177768A1 (en) * 2016-06-09 2023-05-10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Vessel data integration system and vessel comprising same
CN109815286A (zh) * 2019-01-18 2019-05-28 北京信成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火箭遥测系统及其实现方法
CN109815286B (zh) * 2019-01-18 2021-08-06 北京信成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火箭遥测系统及其实现方法
CN116095114A (zh) * 2023-01-11 2023-05-09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模式的船岸数据传输的方法
CN116095114B (zh) * 2023-01-11 2023-11-03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模式的船岸数据传输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510B2 (en) Multi-input and multi-output (MIM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tellite service
US10003651B2 (en) Maritim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354838B (zh) 一种用于船队管理的船载终端及船队管理方法
KR101623896B1 (ko) 선박스마트워크 구현을 위한 위성통신 실시간 모바일 푸쉬시스템 및 그 방법
US8634765B2 (en) Portable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CN104052539A (zh) 智能手机利用北斗终端使用卫星通讯的方法和装置
CN106358151A (zh) 一种定位方法及系统
CN102447488A (zh) 一种舰船用短信传输系统及其短信传输方法
CN202873065U (zh) 一种北斗基站
CN104270812A (zh) 用于群体通讯定位的移动终端、移动即时通讯方法及系统
US8670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atellite network utilization
CN108802775A (zh) 一种北斗多模终端信息交互系统
CN101494901B (zh) 移动终端的定位方法、定位系统及其通信设备
US20050055407A1 (en) Low earth orbit communication system
KR10140853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선박 위성 통신에서의 서버 메시지 푸시 시스템
Golaya et al. Maritime communication: From flags to the VHF data exchange system (VDES)
CN101404560B (zh) 一种岸端主控的船岸通信方法
KR10159439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귀가 서비스 방법
CN101404534A (zh) 一种由岸端经由卫星将指令发送至指定船端的传输系统
JP2008226259A (ja) 船舶運航管理システム
CN113596922B (zh) 一种基于5g基站定制化切片能力的自动通知系统及方法
JP2020016974A (ja) 船舶用安全管理情報システム
Zaghloul Modern architecture tracking system using modern GPS module
CN101577055B (zh) 手机文本调度系统及其文本调度方法
US10721792B2 (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procedures for emergency broadcasting on Wi-F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