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373B1 -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373B1
KR101623373B1 KR1020140058562A KR20140058562A KR101623373B1 KR 101623373 B1 KR101623373 B1 KR 101623373B1 KR 1020140058562 A KR1020140058562 A KR 1020140058562A KR 20140058562 A KR20140058562 A KR 20140058562A KR 101623373 B1 KR101623373 B1 KR 10162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yoke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block
magne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627A (ko
Inventor
박정수
전영민
심규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37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radioactive materia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e.g. in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8Lamps in which a screen or coat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radioactive material located inside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 시 전자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 내부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감싸고 개구를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의 본체부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열을 전도받는 방열블록 및 상기 방열블록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방열블록은 상기 개구 방향에서 보아, 상기 요크의 개구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MAGNETRON ASSEMBLY AND PLASMA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와 무전극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극 조명기기는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가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에 전달되고, 상기 공진기의 내부에 구비된 무전극전구의 충전물질을 여기시키며, 이 과정에서 상기 무전극전구의 충전가스가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되어 빛이 발생되는 장치이다.
상기 무전극 조명기기는 전구의 내부에 전극이나 필라멘트가 없는 무전극전구로 수명이 매우 길거나 반영구적이며, 아울러 상기 무전극전구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질이 플라즈마화 되면서 발광하게 되어 자연광과 같은 빛을 발광시키게 된다.
마그네트론은 작동 중에 고열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마그네트론에 히트싱크를 조립하게 위해서, 마그네트론의 조립과정에서 히트싱크를 같이 조립하거나, 마그네트론의 일부 부품을 분해하고 히트싱크를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마그네트론의 요크를 분해하지 않고 히트싱크를 조립하기 위해서, 방열블록을 한 쌍으로 만들어 볼트로 조립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데, 이 방법은 조립과정에서 결합볼트가 마그네트론의 본체부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마그네트론에 방열블록 및 히트싱크의 조립이 용이하고,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전극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 시 전자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 내부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감싸고 개구를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의 본체부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열을 전도받는 방열블록 및 상기 방열블록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방열블록은 상기 개구 방향에서 보아, 상기 요크의 개구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결합볼트가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된 방열블록의 세그먼트들의 양단을 개구 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여 결합되어서, 마그네트론과 방열블록을 용이하게(요크를 분해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블록을 조립할 때 본체부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방열블록을 본체부와 접촉시키고, 히트싱크를 본체부와 인접하여 위치시켜서, 마그네트론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실시예는 방열블록과 히트싱크가 개구방향에서 보아 요크의 개구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어서, 히트싱크가 마그네트론의 양측방에만 위치되므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상하공간의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싱과 고전압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무전극 조명기기(10)는 내부에 다수의 전장부품이 위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00, 800)에 의해 외관을 이루는 본체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0, 8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결합에 의해 본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0, 80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케이싱(100)과, 제2케이싱(800)의 결합에 의해 외관을 이루는 본체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케이싱(100)과 제2케이싱(8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제1케이싱(100)과 제2케이싱(800)은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적인 무전극 조명기기(10)의 본체 형상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케이싱(100) 및 제2케이싱(800)의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본체를 외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55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50)는 케이싱(100)(80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싱과 고전압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무전극 조명기기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무전극 조명기기(10)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7)와 타측에 유입구(12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를 가지는 제1케이싱(100),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기(200), 고전압발생기(200)가 내부에 위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제2케이싱(800), 제1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고전압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 결합되어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안내하는 도파관(400), 도파관(400)의 출구 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하는 공진기(500), 공진기(5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물질이 구비되는 무전극전구(600),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 접촉되어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케이싱(100)은 일측에 개구(130)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케이싱(100)은 적어도 2개의 케이싱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케이싱(100)은 상부 케이싱 부재(110)와 하부 케이싱 부재(120)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 부재(110)는 일 측방과 하방으로 오픈된 형태이고, 하방의 테두리는 외부 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 형태이다.
하부 케이싱 부재(120)는 일 측방과 상방으로 오픈된 형태이고, 상방의 테두리는 외부 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 형태이다.
상부 케이싱 부재(110)와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테두리는 상방에서 봤을 때, 일측에 개구(130)가 형성된 대략적인 사각형 형태이고, 상부 케이싱 부재(110)의 테두리와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테두리가 결합되어 제1케이싱(100)을 형성하게 된다.
제1케이싱(100)은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7)와 타측에 유입구(12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27)는 제1케이싱(100)의 측방향에 형성된 개구(130) 일부 영역이 제2케이싱(800)에 의해 차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케이싱(100)의 측방향에 형성된 개구(130)가 제2케이싱(800) 일 측면에 의해 차폐되면서 하부 케이싱 부재(120)의 측방향에 인접한 하부 일부에 유입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팬(150)은 제1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127) 방향에서 유출구(122)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고전압발생기(200)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고전압발생기(200)는 구동회로와 전원을 승압시키는 승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회로와 승압부는 피시비(PCB)에 실장될 수 있다. 피시비는 메인피시비(210)와 서브피시비(220)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피시비(210)와 서브피시비(220)는 다수의 피시비브라켓(250,260)에 의해 제2케이싱(8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전압발생기(200)는 제1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고전압발생기(200)는 인가되는 전류를 정류하는 필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터(230)를 고정하는 필터 브라켓(270)을 구비할 수 잇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케이싱(800)은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 부재가 서로 밀착되어 적어도 한 개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케이싱(800)은 상부 하우징 부재(810)와 하부 하우징 부재(820)의 결합에 의해 고전압발생기(200)가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부재(810)와 하부 하우징 부재(820)의 테두리에는 실링부재(860)가 위치될 수 있다.
제2케이싱(800)의 외면에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 공간과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다수의 히트싱크(830)이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은 제1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전압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킬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200)에 구동 신호를 입력하면, 그 고전압발생기(200)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승압된 고전압을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 공급하고,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은 고전압에 의해 발진하면서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한다.
이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의 출력부(310c)를 통해 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의 외부로 방출되고, 이 방출된 마이크로파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의 마이크로파 정합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면서 도파관(400)으로 안내된다.
도파관(400)은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 결합되어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공진기(500) 내부로 안내한다.
도파관(400)은 내부에 마이크로파가 안내되는 도파공간(S)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파관(400)의 일측 방향 하부에는 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는 도파공간(S)을 통해 전달된 마이크로파가 공진기(5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공진기(500)는 도파관(400)의 출구 측에 결합되어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한다.
공진기(500)는 적어도 도파관(400)의 출구를 감싸게 도파관(400)의 외면에 결합된다.
또한, 공진기(500)는 내부에 공진공간(510)이 형성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공진기(500)는 그 내부에 무전극전구(6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진공간(510)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 즉 전방단(광축(Ax)방향)은 닫히고 그 타단, 즉 후방단은 공진공간(510)에서의 공진모드가 TE모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진기(500)의 일측, 즉 무전극전구(600)가 수용되는 부위는 마이크로파는 가두는 반면 빛은 방출할 수 있도록 그물형상으로 메시부(510)가 형성되고, 공진기(500)의 타측, 즉 도파관(400)에 고정되는 부위는 메시가 없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고정부(520)가 형성된다.
공진공간(510)과 도파공간(S)은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파관(400)에 형성된 출구에 의해 도파공간(S)과, 공진공간(510)이 연통된다.
무전극전구(600)는 공진기(5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물질이 구비된다.
이때, 무전극전구(60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방광물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긴 파장의 가시광선의 발광을 원하는 경우의 발광물질과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발광을 원하는 경우의 발광물질을 달리하여 무전극전구(600)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선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케이싱(100)의 내부에는 무전극전구(600)를 회전시키는 모터(M)가 위치될 수 있다.
모터(M)는 회전축(620)에 의해 무전극전구(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케이싱(100)의 외면에는 무전극전구(600)에서 생성된 빛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반사갓(700)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갓(700)은 상부가 공진기(500)의 외면을 감싸게 형성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직경이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갓(700)은 전체적으로 보면, 하면의 지름이 상면의 지름보다 크고,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갓(700)의 상부 중앙을 통해 무전극전구(600)가 반사갓(7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사갓(700)은 개방된 하면이 상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무전극전구(600)에서 발광되는 빛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더 확산시키게 되어 더 넓은 면적을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사갓(700)의 내면에는 무전극전구(600)에서 발광되는 빛을 더 잘 반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물질이 도포되기도 한다.
반사갓(70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반사갓(700)의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플랜지(720)가 형성되고, 플랜지(720)의 하면에는 무전극전구(60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하여 원하는 공간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전면유리(710)가 위치하게 된다.
전면유리(7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견디면서 무전극전구(600) 및 반사갓(7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강도를 가지는 유리가 사용되며, 그 면적은 적어도 반사갓(700) 하면의 전체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는 마그네트론(310)과, 방열블록(320)과, 히트싱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전원 인가 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도파관(400)의 도파공간(S)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론(310)은 전원 인가 시 전자파를 생성하는 본체부(311)와, 본체부(3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312)와, 본체부(311)의 타측에 구비되어 본체부(311)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 내부로 공급하는 출력부(313)와, 본체와 이격되어 본체부(311)를 감싸고 개구(315d)를 가지는 요크(3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1)는 그 내부에 음극을 이루는 필라멘트와 양극을 이루는 베인을 함께 수용하여 고주파에너지를 생성하는 아노드실린더(314)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311)는 입력부(312)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입력부(312)는 본체부(31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전압발생기(200)에서 생성된 전원을 입력 받는다. 입력부(312)는 고전압발생기(200)에서 입력된 전원을 본체부(311)에 입력하게 된다.
출력부(313)는 본체부(311)의 타측에 구비되어 본체부(311)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400)을 통해 공진기(500) 내부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313)는 도파관(400)의 도파공간(S)으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도파관(400)의 내부의 도파공간(S)에 노출될 수 있다.
요크(315)는 본체와 이격되어 본체부(311)를 감싸게 배치된다. 요크(315)의 내부에는 개구(315d)가 형성되고, 개구(315d) 내에는 본체부(311)가 위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본체부(311)의 일측에는 입력부(312)가 구비되고, 본체부(311)의 타측에는 출력부(313)가 구비되며, 요크(315)는 본체부(311)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1)의 축방향(Bx)을 따라 입력부(312), 본체부(311), 출력부(313)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크(315)는 양 방향이 개구(315d)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요크(315)는 본체부(311)와 입력부(312) 또는 출력부(313) 사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315)는 본체부(311)와 입력부(312)의 경계부위에 위치되는 상판요크(315a), 본체부(311)와 출력부(313)의 경계부위에 위치되는 하판요크(315b), 상판요크(315a)와 하판요크(315b)를 연결하고 상판요크(315a)와 하판요크(315b) 사이에 양 방향이 개구(315d)된 공간을 형성하는 측판요크(315c)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315d)가 형성되는 방향은 본체부(311)의 축방향(Bx)과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320)은 마그네트론(310)의 본체부(311)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본체부(311)에서 열을 전도 받는다. 방열블록(320)은 열전달률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블록(320)의 일부는 요크(315)의 내부에 위치되고, 방열블록(320)의 다른 일부는 요크(315)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열블록(320)은 요크(315)의 개구(315d)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방열블록(320)의 중앙은 요크(315)의 개구(315d) 내에 위치되고, 방열블록(320)의 양단은 요크(315)의 개구(315d)를 통해 요크(31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방열블록(320)은 본체부(311)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320)은 마그네트론(310)과 열전달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블록(320)은 마그네트론(310)의 본체부(311)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열블록(320)은 본체부(311)가 내삽되는 결합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블록(320)은 한 쌍의 세그먼트(320a)(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를 도시하고 있다.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는 개구(315d)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방열블록(320)은 한 쌍의 세그먼트(320a)(320b)들이 결합되어 본체부(311)가 결합되는 결합홀(323)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세그먼트(320a)에는 반원형상의 제1결합홈(323a)이 형성되고, 제2세그먼트(320b)에는 반원형상의 제2결합홈(323b)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323a)과 제2결합홈(323b)이 결합되어 결합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23)의 방열블록(3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홈(323a)과 제2결합홈(323b)이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게 된다.
세그먼트(320a)(320b)들은 결합볼트(3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트(350)가 요크(315)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결합볼트(350)에 의해 본체부(311)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결합볼트(350)는 요크(315)의 외부에 위치된 세그먼트(320a)(320b)들을 개구(315d) 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할 수 있다. 결합볼트(350)가 요크(315)의 외부에 위치된 세그먼트(320a)(320b)들을 개구(315d) 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면, 결합볼트(35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본체부(3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323)의 내주면에 본체부(311)의 외주면이 결합되고,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양단은 요크(315)의 개구(315d)를 통해 요크(315)의 외부로 노출되며,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양단에는 볼트홀(329a)(329b)이 형성되게 된다.
볼트홀(329a)(329b)은 개구(315d)방향과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고, 볼트홀(329a)(329b)에 결합볼트(350)가 삽입되어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를 고정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열블록(320)은 개구(315d) 방향에서 보아, 요크(315)의 개구(315d)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히트싱크(330)는 방열블록(320)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방열블록(320)에서 전달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예를 들면, 히트싱크(330)는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다수개의 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열핀(335)과 방열핀(335)을 지지하는 지지판(331)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판(331)이 방열블록(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싱크(330)는 공기와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330)는 요크(315)의 외부에 위치되는 방열블록(32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싱크(330)는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히트싱크(330)는 방열블록(320)의 면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블록(320)은 본체부(3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히트싱크(330)는 외부공기와 접촉을 통해 열을 발산하게 되는 데, 히트싱크(330)가 방열블록(320)의 면 중 가장 넓은 면적에 결합되게 되면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상면(325a)(325b)과 하면이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히트싱크(330)는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상면 상면(325a)(325b) 및/또는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트싱크(330)의 방열핀(335)은 히트싱크(330)가 결합되는 방열블록(320)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핀(335)은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상면(325a)(325b) 및 하면과 수직한 방향(본체부(311)의 축방향(B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무전극 조명기기(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전류를 음극인 필라멘트(미도시)에 인가하면, 필라멘트에서는 열전자를 방출하고, 이 열전자는 필라멘트와 양극인 베인(미도시) 및 아노드실린더(314) 사이에 인가된 강한 전계와 자계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를 방출하여 도파관(400)을 통해 공진기(500)로 공급하며, 공진기(500)에 공급된 전자파는 무전극 전구(600)에 봉입된 물질을 플라즈마화시켜 발광하도록 한다. 이때, 아노드실린더(314)에서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하나, 팬(150)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강제대류에 의해서도 방열되는 동시에 아노드실린더(314)에 방열블록(320)을 결합하여 생기는 열전도에 의해서도 방열되면서 마그네트론(310)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와 같이, 방열블록(320)과 히트싱크(330)가 개구(315d)방향에서 보아 요크(315)의 개구(315d)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면, 아노드실린더(314)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블록(320) 및 히트싱크(330)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고, 히트싱크(330)가 마그네트론(310)의 양측방에만 위치되므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의 다양한 공간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존재한다. 즉,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의 높이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마그네트론(310)에 방열블록(320)을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요크(315)의 개구(315d)의 외부에서 요크(315)의 개구(315d)의 내부로 방열블록(320)의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를 삽입한다.
마그네트론(10)의 본체부(311)의 외주면, 보다 정확하게는 아노드실린더(314)의 외주면에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결합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홀(323)에 결합한다. 이때,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양단은 요크(315)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결합볼트(350)가 요크(315)의 외부에 위치된 세그먼트(320a)(320b)들의 양단을 개구(315d) 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마그네트론(310)과 방열블록(320)을 용이하게(요크(315)를 분해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블록(320)을 조립할 때 본체부(311)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어셈블리(300A)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방열블록(320A)의 형상과, 히트싱크(330)의 결합위치에 차이가 존재한다.
실시예에 방열블록(320)은 제1세그먼트(320a-1)와 제2세그먼트(320b-1)의 측면(327a)(327b)이 상면(325a)(325b) 및 하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이 때, 히트싱크(330)는 제1세그먼트(320a)와 제2세그먼트(320b)의 측면(327a)(327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전극 조명기기
100: 케이싱
200: 고전압 발생기
300: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Claims (7)

  1. 전원 인가 시 전자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 내부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감싸고 개구를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의 본체부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열을 전도받는 방열블록; 및
    상기 방열블록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방열블록은,
    상기 개구 방향에서 보아, 상기 요크의 개구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방열블록의 일부는 상기 요크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방열블록의 다른 일부는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방열블록의 일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방열핀은 상기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블록은 상기 본체부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블록은 한 쌍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들은 상기 요크의 개구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개구 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7.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상기 마그네트론 어셈블리에서 생성된 마이크로파의 외부 방출을 차폐하여 공진모드를 형성하는 공진기; 및
    상기 공진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크로파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물질이 구비되는 무전극전구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론 어셈블리는,
    전원 인가 시 전자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 내부로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감싸고 개구를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의 본체부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열을 전도받는 방열블록; 및
    상기 방열블록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 및 상기 방열블록은,
    상기 개구방향에서 보아, 상기 요크의 개구의 내부에 중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방열블록의 일부는 상기 요크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방열블록의 다른 일부는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요크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방열블록의 일면에 결합되는 무전극 조명기기.

KR1020140058562A 2014-05-15 2014-05-15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KR10162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62A KR101623373B1 (ko) 2014-05-15 2014-05-15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62A KR101623373B1 (ko) 2014-05-15 2014-05-15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27A KR20150131627A (ko) 2015-11-25
KR101623373B1 true KR101623373B1 (ko) 2016-05-23

Family

ID=5484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62A KR101623373B1 (ko) 2014-05-15 2014-05-15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3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27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2084B2 (ja) 無電極照明機器
KR101623373B1 (ko)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39191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677533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마그네트론 냉각장치
KR20170007981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464058B1 (ko) 무전극 램프 시스템
KR100531905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전구구조
KR100823933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690675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임피던스 매칭 조절 장치
KR100455206B1 (ko) 무전극 조명기기 마이크로웨이브 차폐 장치
KR20160097925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690651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595541B1 (ko) 무전극 조명기기의 공진기구조
KR101432594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823932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1661571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724463B1 (ko) 케이스 일체형 마그네트론을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KR20160010191A (ko) 무전극 조명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67624B1 (ko) 무전극 조명기기
KR100867625B1 (ko) 가로등용 무전극 조명기기
KR100641116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무전극 조명기기
KR100498396B1 (ko) 무전극 조명기기용 전구회전모터의 모터축 연결구조
KR20170009343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20170014585A (ko) 무전극 조명기기
KR20030064110A (ko) 무전극 조명 시스템의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