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199B1 - 콘센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199B1
KR101623199B1 KR1020140153189A KR20140153189A KR101623199B1 KR 101623199 B1 KR101623199 B1 KR 101623199B1 KR 1020140153189 A KR1020140153189 A KR 1020140153189A KR 20140153189 A KR20140153189 A KR 20140153189A KR 101623199 B1 KR101623199 B1 KR 10162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ug
receptacle
termin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717A (ko
Inventor
이경열
Original Assignee
신우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원판형 안전커버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가 안전커버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이 가해지면, 안전커버의 가장자리의 맞은편 두 지점에 일체로 마련된 한 쌍의 활주 팔이 원통곡면형의 한 쌍의 측벽부 상부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홈을 타고 비스듬히 활주 하강한다. 그에 따라 한 쌍의 활주팔의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탄성다리가 변형되면서 압축응력이 증대하고 안전커버는 회전 하강하여,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콘센트 전극단자의 바로 위에 정렬되어 플러그단자가 콘센트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를 위로 뽑아 올리면, 한 쌍의 탄성다리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활주 팔이 안내 홈을 타고 경사지게 활주 상승함에 따라 안전커버는 회전 상승한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한 쌍의 콘센트 전극단자와 더 이격된 채 정렬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장치 {Safety device for plug receptacle}
본 발명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막대기를 삽입하여도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플러그를 정상적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만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전기단자의 정상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에는 전기 단자들이 내장되어 있어 영유아들이 쇠젓가락 등과 같은 도전성 막대로 콘센트단자구멍에 삽입하면 감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대로 그런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기존의 콘센트 안전장치들은 대개 외부에서 전도성 막대를 콘센트 구멍에 삽입하더라도 콘센트 단자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커버를 도입하고, 그 안전커버는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에만 외부에서 콘센트 단자에 대한 접촉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 안전커버를 도입함에 있어서 회전한 안전커버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 복원력은 안전커버와 별개로 구성된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얻는다. 그 경우 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그것의 탄성력을 안전커버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도입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코일스프링과 안전커버를 별도로 만들어야 하고, 코일스프링은 대개 금속재를 사용하는 점 때문에 제조 공수가 많아지고 제조원가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플러그단자 삽입공들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만 콘센트단자들과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러그단자 삽입공에 쇠막대기를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그 쇠막대기가 콘센트단자에 접촉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영유아의 장난에 의한 전기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필수요소인 안전커버와 탄성부재(탄성다리)을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조립성을 좋게 하고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포위하는 원통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곡면형의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안내 홈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보다 낮지 않은 높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회동안내부재; 및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형성된 원판형 안전커버의 가장자리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한 쌍의 활주 팔이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에 활주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탄성다리가 상기 한 쌍의 활주팔의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안전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콘센트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이 콘센트 안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가 상기 안전커버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활주 팔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을 타고 비스듬히 활주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가 변형되면서 압축응력이 증대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회전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의 바로 위에 정렬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몸체를 위로 뽑아 올리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활주 팔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을 타고 경사지게 활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전커버는 회전 상승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와 더 이격된 채 정렬이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콘센트 안전장치는, 측벽과 상면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상면의 가운데에 플러그몸체 삽입용 원통형 요홈을 제공하고, 상기 요홈의 바닥에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가 최저위로 회동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과 정렬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요홈의 측벽의 마주보는 두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활주팔의 회전 하강 및 회전 상승을 허용해주는 한 쌍의 회동용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요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요홈 안에서 회동 하강 및 회동 상승할 수 있게 수용된다.
상기 콘센트 안전장치의 상기 하우징 부재에는, 상기 요홈 내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 한 쌍의 접지단자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접지단자용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요홈의 바닥의 외측 저면에는 접지단자부재의 몸체부가 압입 고정되는 돌기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각각 포위하여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한 쌍의 콘센트단자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몸체 삽입용 상기 요홈의 높이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의 회동가능 최저위 지점에서 회동가능 최고위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안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안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해주고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걸림부가 마련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커버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 상기 한 쌍의 활주 팔,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는 아세탈을 원료로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는,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위에서 덮고 있는 제1 상태로 있다가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하강하면서 위에서 누르면 옆으로 밀려나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상태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로부터 빠져나가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는 콘센트단자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단자 커버부재는,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 그리고 결합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 각각은, 회동축공이 마련된 고리, 상기 고리의 일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콘센트단자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면이 경사면인 콘센트단자 커버, 그리고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측벽부를 소정 높이에서 휘감도록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리의 맞은편 쪽 상기 콘센트단자 커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일 지점에 지지되는 U자 또는 유사 U자형 탄성 팔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의 두 회동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를 상기 고리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주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팔의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지지기둥의 말단에 마련된 끼움 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의 두 콘센트단자 커버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덮고 있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하강하여 상기 두 콘센트단자 커버의 경사진 상면을 누르면 옆으로 밀려나면서 두 개의 상기 탄성 팔이 압축응력을 받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고,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승하면 두 개의 상기 탄성 팔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커버에 마련된 플러그단자 삽입공에 플러그단자를 삽입한 채 안전커버 전체를 밑으로 내려누르는 힘을 가해야만 안전커버가 회전하강하고 그에 따라 플러그단자도 회전하강하면서 콘센트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안전커버가 회전하강한 제2 상태에서 플러그단자를 뽑아내면 안전커버에 일체로 결합된 탄성다리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안전커버는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안전커버가 회전상승한 제1 상태에서는 안전커버의 플러그단자 삽입공은 콘센트단자들과 정렬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하우징 부재의 요홈 바닥에 의해 차단된다.
만약, 제1 상태에서 쇠막대를 단순히 콘센트단자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는 안전커버가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상태에서는 쇠막대가 콘센트단자와 정렬을 이루지 못하고 하우징 부재의 요홈 바닥에 의해 막혀 콘센트단자로 접근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영유아들이 쇠막대(예: 쇠젓가락 등)를 가지고 놀다가 콘센트 구멍에 삽입하더라도 감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외부에서 콘센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장치에 따르면, 안전커버 구조체의 안전커버와 이의 회전 하강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탄성다리)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안전커버와 코일스프링을 별개로 마련하여 이들을 각각 따로 조립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아래쪽 대각선방향과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아래쪽 대각선방향과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콘센트 안전장치의 안전커버구조체룰 아래쪽 대각선방향과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10)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콘센트 안전장치(10)는 하우징 부재(100)와 이에 내외장되는 안전커버 구조체(15)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는 조립상태의 안전커버 구조체(15)와 하우징 부재(100)가 분해된 상태를 하방 대각선 방향과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보았을 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안전커버 구조체(15)가 하우징 부재(100)와 조립된 상태를 방 대각선 방향과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보았을 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안전커버 구조체(15)의 구성과 이의 하우징 부재(100)에 대한 결합관계를 좀 더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하우징 부재(100)의 일부는 절단한 상태(일점쇄선으로 표시함)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안전커버 구조체(15)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안전커버 구조체(15)는 안전커버부재(20)와 회동안내부재(40)를 포함한다. 회동안내부재(4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원통곡면형의 한 쌍의 측벽부(42)를 포함한다. 그 두 측벽부(42) 사이에는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를 포위하는 원통형 수납공간(52)이 마련된다. 두 측벽부(42) 각각에는 안내 홈(50)이 상단에서 비스듬하게 아래로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보다 낮지 않은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42)에는 안내 홈(50) 바로 밑에서 반경방향으로 강도보강용 림(43)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회동안내부재(40)는 하우징 부재(100) 내에 수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동안내부재(40)의 한 쌍의 측벽부(42) 각각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부재(100)의 수납공간(140)의 천장에 밀착 고정되는 상면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44)에는 걸림홈(49a) 또는 걸림턱(49b)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홈(49a)과 걸림턱(49b)은 후술하는 하우징 부재(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기둥(132)과 맞물려 회동안내부재(40)의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해준다.
또한, 회동안내부재(40)는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측벽부(4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부(4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커버부재(20)는 원판형 안전커버(22), 한 쌍의 활주 팔(26), 그리고 한 쌍의 탄성다리(30)를 포함한다. 원판형 안전커버(22)의 가운데 두 지점에는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이 형성된다. 한 쌍의 활주 팔(26)은 이 안전커버(22)의 가장자리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한 쌍의 활주 팔(26)은 한 쌍의 안내 홈(50)에 활주가능하게 각각 삽입된다. 한 쌍의 탄성다리(30)는 한 쌍의 활주 팔(26) 각각의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한 쌍의 측벽부(42)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탄성다리(30)는 굴곡진 형상 예컨대 J자형 굴곡부(32)와 S자형 굴곡부(34)가 연결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탄성다리(30)의 말단부(36)는 회동안내부재(40)의 하부에 고정된다. 예컨대 회동안내부재(40)의 받침부(46)에 걸림부(45)가 마련되고, 탄성다리(30)의 말단부(36)는 이 걸림부(45)에 맞물려 고정된다. 원판형 안전커버(22)의 테두리의 맞은편 두 구간은 잘라내어 선형부(28)로 만든다. 안전커버(22)가 회동 시 접지전극(64)과의 부딪힘을 피하기 위함이다.
안전커버부재(20)를 이루는 원판형 안전커버(22), 한 쌍의 활주 팔(26), 한 쌍의 탄성다리(30)는 아세탈을 원료로 사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일체형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부재(100)는 측벽(110)과 상면(112)에 의해 규정되는 수납공간(140)과 그 상면(112)의 가운데에는 플러그몸체 삽입용 요홈(120)을 각각 제공한다. 이 요홈(120)은 원통형 측벽(123)과 바닥(122)에 의해 규정된다. 요홈(120)의 바닥(122)에는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이 마련된다. 이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은 원판형 안전커버(22)가 회동가능 최저위로 회동 하강하였을 때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과 정렬을 이루는 위치인 동시에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의 직상방 위치에 마련된다. 요홈(120)의 측벽(123)의 마주보는 두 부분에는 한 쌍의 활주 팔(26)의 회전 하강 및 회전 상승을 허용해주는 한 쌍의 회동용 개구(126)가 마련된다.
회동안내부재(40)는 하우징 부재(100) 내부의 수납공간(140)에서 요홈(1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회동안내부재(40)의 상면부(44)에는 다수의 결합공(47)이 형성되고, 하우징 부재(100)의 천장의 대응 지점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39)들이 마련되어, 결합공(47)에 결합돌기(139)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회동안내부재(40)가 하우징 부재(100)에 의해 고정된다.
원판형 안전커버(22)는 요홈(120) 안에 안치된다. 안전커버(22)는 그 요홈(120) 내부에서 회동하면서 하강하거나 또는 회동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수납된다. 요홈(120)의 높이는 원판형 안전커버(22)의 회동 하강으로 내려갈 수 있는 최저위 지점에서 회동 상승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위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더 큰 값을 갖는다.
하우징 부재(00)에는 접지단자부재(6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우선, 접지단자부재(60)는 직사각 판재의 양쪽 끝에서 수직 절곡된 형태의 몸체부(62)와, 이의 양단부에서 바깥 수평방향으로(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다 같이 상방으로 절곡되고 끝 부분 바깥으로 살짝 벌어진 형태로 된 접지단자부(64)를 포함한다. 접지단자부(64)의 수직부는 플러그(200)의 접지전극과의 접촉력이 좋게 하기 위해 안쪽으로 약간 굽은 형태로 만든다. 몸체부(62)에는 가운데에 제1 관통공(66)과 이의 좌우에 한 쌍의 제2 관통공(68)이 형성된다.
하우징 부재(100)에는, 요홈(120) 내의 바닥(122)과 측벽(123)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 한 쌍의 접지단자(64)의 노출을 허용해주는 한 쌍의 접지단자용 개구(128)가 마련된다. 접지단자부재(60)의 한 쌍의 접지단자부(64)가 이 한 쌍의 접지단자용 개구(128)를 통해 요홈(120) 안으로 노출된다. 하우징 부재(100)의 내부 모서리에는 콘센트 케이스(비도시)에 나사로 조립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피스(134)가 마련된다.
또한, 요홈(120)의 바닥(122)의 외측 저면에는 한 쌍의 돌기(138)와, 콘센트단자(250)를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해주는 한 쌍의 콘센트단자 지지부(130)가 마련된다. 이 한 쌍의 콘센트단자 지지부(130)는 꺾쇠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수평부에 열쇠구멍 모양의 콘센트단자 삽입공(131)이 마련된다. 한 쌍의 콘센트단자 지지부(130)는 접지단자부재(60)의 몸체부(62)의 한 쌍의 제2 관통공(68)에 압입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접지단자부재(60)는 하우징 부재(100)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된다.
안전커버구조체(15)는 콘센트단자 커버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콘센트단자 커버부재(80)는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81)와 결합 핀(9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81) 각각은, 회동축공이 마련된 고리(82)와, 이 고리(82)의 일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콘센트단자(250)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면이 경사면인 콘센트단자 커버(84)와, 회동안내부재(40)의 측벽부(42)를 소정 높이에서 휘감도록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고리(82)의 맞은편 쪽 콘센트단자 커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하우징 부재(100)의 일 지점에 지지되는 U자 또는 유사 U자형 탄성팔(86)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합 핀(90)은,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81)의 두 고리(82)의 두 회동축공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81)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주면서 요홈(120)의 바닥 외측 저면에 마련된 결합돌기(136)에 압입 고정된다. 탄성팔(86)의 말단부는 하우징 부재(100)의 상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지지기둥(132)의 말단에 마련된 끼움 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콘센트 안전장치(10)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콘센트 안전장치(1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다리(30)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충분히 신장되어 원판형 안전커버(22)가 요홈(120) 내에서 최상위 높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안전커버(22)의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은 요홈(120) 바닥(122)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플러그 삽입공(124)( 및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의 직상방이 아닌 위치, 즉 안전커버(22)의 최대 회동각 만큼 어긋난 위치에 있다. 여기서, 안전커버(22)의 최대 회동각은 한 쌍의 활주 팔(26)이 안내 홈(50)의 최상위 지점에서 최하위 지점까지 활주 이동하는 동안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런 상태에서는 예컨대 어린 아이가 전도성 막대(예: 쇠젓가락)을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삽입하더라도 요홈(120)의 바닥에 막혀 그 전도성 막대가 콘센트단자(250) 안으로 삽입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이 회동하여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와 정렬을 이루려면, 안전커버(22)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전도성 막대를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에 삽입하더라도 안전커버(22)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가하지 못한다면 안전커버(22)는 회동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그 전도성 막대는 요홈(120)의 바닥에 막혀 콘센트단자(250)와 접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영유아가 전도성 막대를 콘센트 구멍에 쑤셔 넣는 장난을 하더라도 감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사용자가 한 쌍의 플러그단자(220)를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플러그(200)의 몸체(210)를 아래로 누르면 플러그단자(220)가 콘센트단자(250)와 정상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플러그 몸체(210)를 아래로 누르면, 그 플러그 몸체(210)와 대면하면서 맞닿아 있는 원판형 안전커버(22)가 아래로 눌리는 외력을 받고, 그에 따라 한 쌍의 활주 팔(26)이 한 쌍의 안내 홈(50)을 타고 아래로 비스듬히 활주 하강한다. 그 과정에서, 한 쌍의 탄성다리(30)는 변형되면서 자체의 압축응력이 증대하고, 원판형 안전커버(22)는 회전하면서 끝까지 하강하면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이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 바로 위에 정렬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 바로 아래에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가 위치하므로, 한 쌍의 플러그단자(220)는 제1 및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24)(124)을 통과하여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플러그단자(220)가 콘센트 전극단자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플러그 몸체(210)를 위로 뽑아 올리면, 압축되어 있던 한 쌍의 탄성다리(30)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활주 팔(26)이 한 쌍의 안내 홈(50)을 타고 경사지게 활주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전커버(22)가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24)이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124) 및 한 쌍의 콘센트 전극단자와 더 이격된 채 이들과 이루었던 정렬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다.
콘센트 안전장치(10)가 콘센트단자 커버부재(80)까지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콘센트 안전장치(10)가 콘센트단자 커버부재(80)까지 구비한 구조인 경우에도, 플러그단자(220)는 이것(80)을 누르면서 옆으로 제칠 수 있어 콘센트단자(250)에 삽입되는 데 아무런 방해가 되지 못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이 콘센트단자 커버부재(80)는 두 콘센트단자 커버(84)가 일렬로 나열되어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를 위에서 덮고 있는 제1 상태로 있게 된다. 외부의 물체가 콘센트단자(250)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제1 상태에 있는 콘센트단자 커버(84)를 옆으로 제칠 수 있는 힘이 가해져야 한다. 예컨대 휨성이 좋은 철사나 구리선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콘센트단자 커버(84)를 옆으로 제칠 힘을 가하기 어려워 콘센트단자(250)와 접촉하기 어렵다. 반면에, 플러그단자(220)와 같이 휨성이 없는 물체가 제1 및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24, 124)에 삽입되면, 콘센트단자 커버(84)는 상면이 경사면이므로 그 누르는 힘에 의해 옆으로 밀려나면서 말단부가 지지기둥(1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두 개의 탄성팔(86)이 압축응력을 받는 제2 상태로 변화된다. 제2 상태는 두 콘센트단자 커버(84)가 고리(82)를 중심으로 넓은 V자형을 이룬 상태이다. 이 제2 상태에서는 한 쌍의 플러그단자(220)가 한 쌍의 콘센트단자(250)에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제2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러그 몸체(220)를 위로 뽑아 올리면, 한 쌍의 플러그단자(220)가 상승하고 두 개의 탄성팔(86)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플러그단자를 꽂아 전원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0: 콘센트 안전장치 15: 안전커버 구조체
20: 안전커버부재 26: 활주 팔
30: 탄성다리 40: 회동안내부재
42: 측벽부 44: 상면부
46: 받침부 50: 안내 홈
60: 접지단자부재 80: 콘센트단자 커버부재
100: 하우징 부재 120: 원통형 요홈
126: 회동용 개구 128: 접지단자용 개구
130: 콘센트단자 지지부

Claims (9)

  1.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포위하는 원통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곡면형의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안내 홈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보다 낮지 않은 높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회동안내부재; 및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형성된 원판형 안전커버의 가장자리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한 쌍의 활주 팔이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에 활주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탄성다리가 상기 한 쌍의 활주팔의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안전커버부재를 포함하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가 상기 안전커버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활주 팔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을 타고 비스듬히 활주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가 변형되면서 압축응력이 증대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회전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의 바로 위에 정렬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몸체를 위로 뽑아 올리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활주 팔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을 타고 경사지게 활주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전커버는 회전 상승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와 더 이격된 채 정렬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벽과 상면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상면의 가운데에 플러그몸체 삽입용 원통형 요홈을 제공하고, 상기 요홈의 바닥에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가 최저위로 회동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과 정렬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마련되고, 상기 요홈의 측벽의 마주보는 두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활주팔의 회전 하강 및 회전 상승을 허용해주는 한 쌍의 회동용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요홈을 둘러싸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안전커버는 상기 요홈 안에서 회동 하강 및 회동 상승할 수 있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는, 상기 요홈 내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 한 쌍의 접지단자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접지단자용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요홈의 바닥의 외측 저면에는 접지단자부재의 몸체부가 압입 고정되는 돌기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각각 포위하여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한 쌍의 콘센트단자 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높이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의 회동가능 최저위 지점에서 회동가능 최고위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해주고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걸림부가 마련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원판형 안전커버, 상기 한 쌍의 활주 팔, 상기 한 쌍의 탄성다리는 아세탈을 원료로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 구조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위에서 덮고 있는 제1 상태로 있다가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하강하면서 위에서 누르면 옆으로 밀려나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상태로 변형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로부터 빠져나가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는 콘센트단자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단자 커버부재는,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 그리고 결합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 각각은, 회동축공이 마련된 고리, 상기 고리의 일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콘센트단자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상면이 경사면인 콘센트단자 커버, 그리고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측벽부를 소정 높이에서 휘감도록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고리의 맞은편 쪽 상기 콘센트단자 커버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일 지점에 지지되는 U자 또는 유사 U자형 탄성 팔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의 두 회동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를 상기 고리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주면서 상기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팔의 말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지지기둥의 말단에 마련된 끼움 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센트단자 탄성커버부재의 두 콘센트단자 커버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덮고 있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하강하여 상기 두 콘센트단자 커버의 경사진 상면을 누르면 옆으로 밀려나면서 두 개의 상기 탄성 팔이 압축응력을 받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화되고,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가 상승하면 두 개의 상기 탄성 팔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KR1020140153189A 2014-11-05 2014-11-05 콘센트 안전장치 KR10162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89A KR101623199B1 (ko) 2014-11-05 2014-11-05 콘센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89A KR101623199B1 (ko) 2014-11-05 2014-11-05 콘센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17A KR20160053717A (ko) 2016-05-13
KR101623199B1 true KR101623199B1 (ko) 2016-05-20

Family

ID=5602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89A KR101623199B1 (ko) 2014-11-05 2014-11-05 콘센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18B1 (ko) * 2017-11-01 2019-05-23 박영선 생산성이 향상된 콘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265A (ja) 2000-02-24 2003-10-28 リー、チャン・ウー コンセント
JP2010251198A (ja) 2009-04-17 2010-11-04 Oki Data Corp コンセント
JP2012020517A (ja) 2010-07-15 2012-02-0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における準備動作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265A (ja) 2000-02-24 2003-10-28 リー、チャン・ウー コンセント
JP2010251198A (ja) 2009-04-17 2010-11-04 Oki Data Corp コンセント
JP2012020517A (ja) 2010-07-15 2012-02-0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における準備動作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17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4504C (en) Rotating plug adaptor
US8430679B1 (en) Rotatable power strip
JP6151443B2 (ja) 荷重支持可能なシャンデリア用ソケット及びプラグ
US7462074B1 (en) Rotating plug adapter with integral two blade and grounding post receptacle
US6935878B2 (en) Electrical plug with pivotable and retractable terminals
US7833030B1 (en) Safety shield for electrical receptacles
US7575436B1 (en) Rotating plug adapter with integral two blade receptacle
KR102245537B1 (ko) 셔터를 구비한 전기 소켓 커넥터
US9627900B2 (en) Power adapter
US20170085028A1 (en)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KR102292490B1 (ko) 전기 모듈
TW201725814A (zh) 旋轉插座
US7931482B2 (en) Safety socket structure
CN103606783A (zh) 公连接器、母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7866987B2 (en) Burn-in test socket having spring-biased latches facilitating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chips and socket when actuated
KR10162319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691718B1 (ko) 안전 콘센트
KR102204600B1 (ko) 이중 차단 구조를 갖는 전원접속장치
US20220407260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touch protection for electrical contacts
CN203589384U (zh) 插座
US20100243413A1 (en) Tilt switch
US20090308720A1 (en) Tilt switch
CN108092022B (zh) 排线连接器
KR101039101B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