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078B1 -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 Google Patents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078B1
KR101622078B1 KR1020150101789A KR20150101789A KR101622078B1 KR 101622078 B1 KR101622078 B1 KR 101622078B1 KR 1020150101789 A KR1020150101789 A KR 1020150101789A KR 20150101789 A KR20150101789 A KR 20150101789A KR 101622078 B1 KR101622078 B1 KR 10162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heat dissipating
sided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춘자
Original Assignee
한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춘자 filed Critical 한춘자
Priority to KR102015010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0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ebrile towel used in alleviating fever of a child or an adult by being closely placed on his/her body part such as the forehead. In particular, a user may use both surfaces of one part selected from a first antifebrile part and a second antifebrile part which are produced to have different radiant heat temperatures according to his/her fevering state. In addition, a heat insulation part for covering the first antifebrile part or the second antifebrile part is disposed, so the coolness of an ice pack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tifebrile part or the second antifebrile part, and a loss of heat may be minimized.

Description

해열 수건{towels for fever alleviation}Towels for fever alleviation

본 발명은 어린이 또는 성인이 열이 나는 경우에 이마 등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열을 내릴 수 있게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방열 온도차가 다르게 형성된 제1 해열부 또는 제2 해열부를 선택하여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커버하는 단열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스팩의 냉기가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열 수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ld or an adult when the child or the adult feels heat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body part such as forehead so as to be able to lower the heat. Particularly,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covering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cool air of the ice pack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So that heat loss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의 열은 36~37℃를 평열(平熱)이라 하고, 37℃가 넘을 때를 발열, 또는 열이 있다고 한다. 체온조절 중추는 간뇌에 있는데, 자율신경과 호르몬에 의해서 열발생과 열방산의 평형이 이루어지고 있어 체온이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그런데 이 평형이 깨져 열 발생이 높아지고 열방산이 감소 되면 발열이 일어나게 된다.Generally, the heat of a human body is 36 to 37 degrees Celsius, and when it exceeds 37 degrees Celsius, it is said to have fever or fever. The body temperature control center is in the jaebyeong, the autonomic nerves and hormones are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and the heat balance is balanced, the body temperature remains almost constant. However, when this equilibrium is broken and heat generation is increased and heat dissipation is decreased, heat is generated.

발열성 질환으로는 감기를 비롯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성 감염증, 암 등 악성종양, 내분비질환, 교원병 등이 있다. 이것들은 열 발생이 높은 것이 발열의 원인이 되며, 열사병이나 일사병은 열의 방산이 적은 것이 원인이 된다.The febrile diseases include a cold, a bacterium, a viral infection, a malignant tumor such as a cancer, an endocrine disease, and a collagen disease. These are the causes of heat generation with high heat generation, and heat dissipation due to heat and sunstroke.

병에 따라서 특유한 발열 형식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열형이라고도 한다. 열이 나면 얼굴이 붉어지고 권태감, 두통 등이 나타나며 한기를 느끼게 된다. 노년층에게는 발열경향이 적고 열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는 데 비해 유아나 어린이는 발열하기 쉽다.Depending on the disease, you can see a distinctive form of fever, which is also called fever. When you get a fever, your face becomes red, you get a feeling of malaise, a headache, and you feel a chill. Older people tend to have less fever and less heat, while infants and children are more prone to fever.

특히, 유아의 경우 고열이 지속 될 경우 뇌손상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유아의 열을 내려주는 것이 중요하다.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heat of infants as soon as possible because infants can cause brain damage if high fever persists.

종래에는 머리나 몸에 열이 발생하면 급한 대로 열을 식히기 위하여 주로 수건에 찬물을 적셔서 열을 식히거나 또는 얼음을 수건으로 감싸서 머리에 올려놓는 등의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Conventionally, when the head or body develops heat, the traditional method has been used, such as cooling the heat by soaking cold water in a towel, or wrapping the ice with a towel and putting it on the head, in order to cool the heat quickly.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수건 등에 물을 적신 경우는 수건을 자주 물에 적셔야 하며, 얼음을 수건으로 감싸는 경우에는 얼음이 밖의 온도차이로 녹게되면서 물기가 생기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a towel is soaked with water, the towel must be frequently put in the water, and in the case of wrapping the ice with a towe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ce is melted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outside.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자의 머리나 몸에서 열이 날 때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을 사용한 팩을 직접 발열 부위에 올려두어 민감한 환자의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지 않게 열을 식히며 매거진을 구비해 복수 개의 팩을 수납하는 것에 관한 해열패치가 등록특허 제10-1363085호로 제안된 바 있다.Recently, when a patient feels heat from his / her head or body, a pack made of Phase Change Material (PCM) is placed directly on the fever region to heat the patient's skin so that the patient's skin does not have trouble. A heat dissipating patch relating to storing a plurality of packs has been prop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363085.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1363085호의 해열패치는 방열 온도차가 다르게 형성된 단열층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양면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팩의 외면을 커버하여 단열해 줄 수 있는 별도의 단열부가 구비되지 않아 냉매의 냉기가 상기 팩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eat-releasing patch of Patent No. 10-1363085 does not have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with a difference in temperature of heat dissipation, it can not be used on both sides because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heat generation state of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d air of the refrigerant easily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pack because no separate heat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등록특허 제10-1363085호Patent No. 10-136308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린이 또는 성인이 열이 나는 경우에 이마 등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열을 내릴 수 있게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제1 해열부 및 제 2해열부로 구성되는 양면 해열부에 단열정도가 다르게 형성된 단열층이 각각 구비되므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선택하여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커버하는 단열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스팩의 냉기가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열 수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ild or an adult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body part such as a forehead or the like to reduce heat,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can be selected and used on both sides depending on the user's heat generation state and further the heat dissipating unit can be used as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dissipating towel that can prevent the cold air of the ice pack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eat-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dissipating unit to minimize heat loss because the heat-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해열부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제1 해열부의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해열부와 단열정도가 다른 제2 해열부로 구성되는 양면 해열부와; 상기 양면 해열부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아이스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first heat dissipating unit, a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coupled to a rim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and having a heat dissipation degre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A two-sided heat dissipating unit; And an ice pack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여기서, 일단부가 상기 양면 해열부의 타단부에 접철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제2 해열부를 커버하여 단열하는 단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portion by a folding portion, and a heat insulating portion that covers the first dissecting portion or the second dissolving portion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 해열부는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내피와, 상기 내피 상에 형성된 제1 단열층과, 상기 제1 단열층 상에 형성되고 천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해열부는 천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와, 상기 외피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열층과 단열정도가 다른 제2 단열층과, 상기 제2 단열층 상에 형성되고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내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eat-dissipating unit includes an inner skin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film layer, a first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skin, and an outer skin formed of a cloth material on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heat insulation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and an inner skin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layer formed 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더불어, 상기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dge of the two-sided cleansing unit is formed to be opened.

또한, 상기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opening / closing one side edge of the two-sided heat dissipating part is provided.

나아가, 상기 제1 해열부의 외피 및 상기 제2 해열부의 외피에는 시온안료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zeotropy pigment print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leavag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leavage portion.

그리고, 상기 단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양면 해열부의 제1 해열부 또는 제2 해열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he first heat dissipating portion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portion.

본 발명은 어린이 또는 성인이 열이 나는 경우에 이마 등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열을 내릴 수 있게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제1 해열부 및 제 2해열부로 구성되는 양면 해열부에 단열정도가 다르게 형성된 단열층이 각각 구비되므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선택하여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solving heat in a body part such as forehead when a child or an adult feels heat, so that heat can be lowered. In particular, the degree of heat insulation is different between the first dissolving unit and the second dissolving unit The first heat dissipation unit or the second dissipation unit can be selected and us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heat generation state of the user.

또한,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커버하는 단열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스팩의 냉기가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dissipating unit that covers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l air of the ice pack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열 수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통해 아이스팩이 상기 양면 해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해열부를 일부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해열부를 일부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단열부가 제1 해열부 또는 제 2해열부를 커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해열 수건을 사용자의 이마에 사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decomposable t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e pack is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double-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heat-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heat-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portion covers the first heat dissipating portion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releasing tow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user's forehe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열 수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개폐부를 통해 아이스팩이 상기 양면 해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dissipating t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pack being received in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dou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열수건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양면 해열부(10) 및 아이스팩(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t-releasing t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sided heat-dissipating unit 10 and an ice pack 20.

먼저, 상기 양면 해열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해열부(110) 및 제2 해열부(130)로 구성된다.First, the double-sided cleansing unit 10 includes a first cleansing unit 110 and a second cleansing unit 130, as shown in FIGS.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1 해열부(110)의 테두리부는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2 해열부(130)의 테두리부와 결합된다.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heat dissipation unit 110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on unit 10 is formed in the second dissipation unit 130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on unit 10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formed inside the double-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해열부(110)의 타측 테두리부, 전측 테두리부, 후측 테두리부는 각각 상기 제2 해열부(130)의 타측 테두리부, 전측 테두리부, 후측 테두리부와 봉제 또는 융착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edge portion, the front edge portion,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first cleansing section 110 are respectively sewed or fused with the other edge portion, the front edge portion,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second cleansing portion 130 And are combined in various ways.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일측 테두리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edge of the double-sided heat-dissipating unit 10 may be opened.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일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일측 테두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5)가 구비될 수 있다.The one side edge of the double-sided heat-dissipating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unit 5 for opening / closing one side edge of the double-

상기 개폐부(5)는 지퍼, 지퍼락, 파스너, 벨크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part 5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zipper, a zipper lock, a fastener, and a velcro.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팩(20)은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일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상기 개폐부(5)를 통해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다.2, the ice pack 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double-sided heat-dissipating unit 10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unit 5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double- S).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해열부를 일부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해열부를 일부 확대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heat-dissipating unit,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heat-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1 해열부(110)는 내피(111), 제1 단열층(113) 및 외피(115)로 구성될 수 있다.3 to 5,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10 may include an inner skin 111, a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3, and a skin 115 .

상기 제1 해열부(110)의 내피(111)는 상기 아이스팩(20)의 냉기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kin 111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layer such as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in order to keep the cool air of the ice pack 20 efficiently.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제1 단열층(113)은 상기 내피(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3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1.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외피(115)는 상기 제1 단열층(113) 상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닿는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도록 직물, 부직포 등의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skin 115 of the first heat dissipation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heat insulation layer 113 and may be made of a fabric such as a fabric or a nonwoven fabric so as to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of touching the user's body.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2 해열부(130)는 외피(135), 제2 단열층(133) 및 내피(131)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10 may include a skin 135,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and an inner skin 131.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외피(135)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닿는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도록 직물, 부직포 등의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surface 135 of the second heat dissipation unit 130 may be made of a fabric such as a fabric or a nonwoven fabric so that the outer surface 135 of the second heat dissipation unit 130 may have a good fit to the user's body.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제2 단열층(133)은 상기 외피(135)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35.

상기 제2 해열부(130)의 내피(131)는 상기 제2 단열층(133)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팩(20)의 냉기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sheet 131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is formed 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and is made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or the like.

특히, 사용자가 발열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해열부(110) 또는 상기 제2 해열부(1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제2 단열층(133)은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제1 단열층(113)과 단열정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order to enable the user to selectively use the first cleansing unit 110 or the second cleansing unit 130 according to a heat generation state,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of the second cleansing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It is preferable that the degree of heat insul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3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이를 위해, 일예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제2 단열층(133)의 상하 두께(T2)는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제1 단열층(113)의 상하 두께(T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4 and 5,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T 2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0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113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 1 .

또는, 다른예로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제1 단열층(113)과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제2 단열층(133)은 강화스티로폼, 발포성 PE(polyethylene), 플라스틱 골판재, PVC 등의 다양한 종류 중에서 단열성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3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3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may be formed of reinforced styrofoam, foamed polyethylene, PVC, and the like.

도 6은 단열부가 제1 해열부 또는 제 2해열부를 커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해열 수건을 사용자의 이마에 사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portion covers the first heat dissipating portion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dissipating t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user's forehead.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해열부(110) 또는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해열부(110) 또는 상기 제2 해열부(130)를 커버하여 단열하는 단열부(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S. 1, 2 and 6,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loss of the first cleansing unit 110 or the second cleansing unit 130 and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portion 30 for covering the first or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110 or 130.

상기 단열부(30)의 일단부는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타단부에 접철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eat insulating portion 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portion 10 by a folded portion 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1 해열부(110)를 사용자의 이마 등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30)를 상기 제2 해열부(130)가 커버되도록 상기 제2 해열부(130)의 하부로 위치이동(도 6의 실선 화살표 참조) 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스팩(20)의 냉기가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7, when the user uses the first cleansing unit 11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such as the forehead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heat generation state, as shown in FIG. 6, (See the solid line in FIG. 6)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so that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is covered with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열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 해열부(130)를 사용자의 이마 등의 신체부위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30)를 상기 제1 해열부(110)가 커버되도록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상부로 위치이동(도 6의 점선 화살표 참조) 시킴으로써 상기 아이스팩(20)의 냉기가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uses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in close contact with a body part such as the forehead of a user according to a user's heat generation stat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so that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is covered by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see FIG. 6) Can be minimized.

상기 단열부(30)의 타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단열부(30)를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1 해열부(110) 또는 제2 해열부(1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7)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th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portion 30 for selectively fixing the heat insulating portion 30 to the first heat dissipating portion 110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130 of the dou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7 is provided.

또한, 상기 단열부(30)의 고정부재(7)와 대응되는 상기 양면 해열부(10)의 제1 해열부(110) 또는 제2 해열부(13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7)와 고정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부재(9)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7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110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1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7 of the heat insulating unit 30. [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9 fixedly coupled with the fixing member 9 may be provided.

상기 고정부재(7,9)는 벨크로, 파스너, 영구자석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members 7 and 9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Velcro, a fastener, and a permanent magnet.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팩(20)의 온도가 적정 온도를 벗어나는 것을 눈으로 쉽게 확인하여 상기 아이스팩(20)을 원활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해열부(110)의 외피(115) 및 상기 제2 해열부(130)의 외피(135)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온안료 인쇄층(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ce pack 20 deviates from the proper temperature and can smoothly replace the ice pack 20. In order to smoothly replace the ice pack 20, And the sheath 135 of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130 may be formed with a zeotropy pigment print layer 3 as shown in FIGS.

10; 양면 해열부, 110; 제1 해열부,
130; 제2 해열부, 20; 아이스팩,
30; 단열부, 40; 접철부.
10; Two-sided cleansing unit, 110; The first heat-
130; A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20; Ice pack,
30; A heat insulating portion, 40; Folded part.

Claims (7)

제1 해열부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제1 해열부의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해열부와 단열정도가 다른 제2 해열부로 구성되는 양면 해열부와;
상기 양면 해열부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아이스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양면 해열부의 타단부에 접철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해열부 또는 상기 제2 해열부를 커버하여 단열하는 단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A two-sided cleansing unit having a first cleansing unit, a second cleansing unit having a rim connected to a rim of the first cleansing unit and having a different degree of heat insulation from the first cleansing unit,
And an ice pack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unit,
And a heat insulat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part by a folding part and covering the first dissecting part or the second dissolving part to insulate the heat dissip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열부는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내피와, 상기 내피 상에 형성된 제1 단열층과, 상기 제1 단열층 상에 형성되고 천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해열부는 천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와, 상기 외피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열층과 단열정도가 다른 제2 단열층과, 상기 제2 단열층 상에 형성되고 합성수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내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dissipating unit comprises an inner skin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film layer, a first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skin, and a sheath formed of a cloth material on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second heat dissipating unit comprises a sheath made of a cloth material,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sheath and different in heat insulation degree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and an inner skin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layer formed 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Featuring a thermal tow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ne side edge of the two-sided cleansing unit is formed to be ope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해열부의 일측 테두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edge of the two-sided cleans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열부의 외피 및 상기 제2 해열부의 외피에는 시온안료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zeotropy pigment prin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issolving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issolv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양면 해열부의 제1 해열부 또는 제2 해열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열 수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o the first heat dissipating portion or the second heat dissipating portion of the double-sided heat dissipating portion.
삭제delete
KR1020150101789A 2015-07-17 2015-07-17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KR101622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89A KR101622078B1 (en) 2015-07-17 2015-07-17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89A KR101622078B1 (en) 2015-07-17 2015-07-17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078B1 true KR101622078B1 (en) 2016-05-17

Family

ID=5610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89A KR101622078B1 (en) 2015-07-17 2015-07-17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0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119A (en) * 2016-08-12 2018-02-21 왕춘호 Temperature responsive coa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14588A (en) * 2019-03-29 2020-10-07 최영하 Portable dual cold packs for cold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tching and pa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879A (en) 2001-05-24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kin cooling instrument for preparing depilation
JP4336012B2 (en) * 2000-01-24 2009-09-3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Immediate cooling type cooling package
KR200459264Y1 (en) 2011-08-23 2012-03-23 김광현 Glove for removal of fe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012B2 (en) * 2000-01-24 2009-09-3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Immediate cooling type cooling package
JP2002345879A (en) 2001-05-24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kin cooling instrument for preparing depilation
KR200459264Y1 (en) 2011-08-23 2012-03-23 김광현 Glove for removal of fev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119A (en) * 2016-08-12 2018-02-21 왕춘호 Temperature responsive coa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63921B1 (en) * 2016-08-12 2018-06-04 왕춘호 Temperature responsive coa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14588A (en) * 2019-03-29 2020-10-07 최영하 Portable dual cold packs for cold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tching and pain
KR102223907B1 (en) 2019-03-29 2021-03-04 최영하 Portable dual cold packs for cold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tching and p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62B2 (en) Article of clothing having additional coverings for a single individual
KR101622078B1 (en) towels for fever alleviation
US20210307439A1 (en) Easy-Fitting Coif for Scalp-Cooling Cap
US20120073031A1 (en) Ice Cap Or Ice Hat
US20140259423A1 (en) Helmet Pillow
KR101949960B1 (en) Cool and warm device of mask pack
KR101879713B1 (en) Hygienic cuts using a hair band
KR20120048070A (en) Ear warmer
KR101632433B1 (en) Heating vest
KR200459264Y1 (en) Glove for removal of fever
EP3542764B1 (en) Medical inner cap
JPH10211228A (en) Eye mask
KR200491107Y1 (en) Coat type warmer
JP7149451B2 (en) thermoregulatory garment
JP3175570U (en) Emergency hooded bag
JP3102454U (en) Hat with ear patch
JP3112744U (en) hat
KR200476978Y1 (en)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JP3175569U (en) Emergency hooded bag
KR200354952Y1 (en) Cooling Cap
JP3111146U (en) Cooling belt for thermal cooling
JP2000070075A (en) Holding pillow
KR200215421Y1 (en) abdomen cover clothing for infant
JP2008125708A (en) Face mask
KR200346783Y1 (en) Cool & Hot Fomentation eye-band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