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78Y1 -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 Google Patents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78Y1
KR200476978Y1 KR2020130007507U KR20130007507U KR200476978Y1 KR 200476978 Y1 KR200476978 Y1 KR 200476978Y1 KR 2020130007507 U KR2020130007507 U KR 2020130007507U KR 20130007507 U KR20130007507 U KR 20130007507U KR 200476978 Y1 KR200476978 Y1 KR 200476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s
present
attache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5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1131U (en
Inventor
임창선
Original Assignee
임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선 filed Critical 임창선
Priority to KR2020130007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78Y1/en
Publication of KR20150001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3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부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패드 내피 각각에 발열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여 목둘레를 균일하게 보온함으로써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패드 내부의 보온재가 발열수단의 열을 외부로 누출시키지 않고 보온함으로써 효율적인 방한효과를 가지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발열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내피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들을 일렬로 연결시키는 신축부재와; 상기 패드의 양 끝단에 부착되어 양 단의 패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ad inner peripherie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eat generating means, so that the sensible temperature can be raised by uniformly warming the neckline, and the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d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a hous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heat generating means; An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pads in a line; And attachment mean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pad to connect the pads of both ends to each other.

Description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본 고안은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을 감싸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의 내피에 발열수단인 핫팩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 cover which surrounds a neck and includes a heating means for forming a plurality of bags so as to accommodate a hot pack, Lt; / RTI >

일반적으로 보온을 위한 방한용 의류로 목도리나 모자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목도리나 모자는 외부의 한기를 차단하여 보온하는 역할은 하지만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보온층의 온도 자체가 매우 낮으므로 체온 유지 역할로는 한계가 있다. In general, warm clothing for winter is used as a shawl or hat. Such a shawl or hat shields the outside air to keep it warm.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rming layer is very low at a very low temperature, There is a limit.

이에 한국등록실용 제20-0262403호(2002년01월16일 등록)인 '귀마개'에 따르면, 지퍼에 의해 여닫히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양쪽 이부에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귀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귀덮개부 사이 위치에서 이들을 연결하게 되도록 구비되는 연결간과, 상기 쌍의 귀덮개부의 각 외측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각 자유단부들이 부착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 한 쌍의 연장단부와, 흔들릴 때 소정의 화학작용에 따라 열이 발생되는 밀봉된 팩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귀덮개부 내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262403 (registered on Jan. 16, 2002), an earplug is formed in a bag-like shape closed by a zipper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wearer A pair of ear lids, a pair of ear lids, a pair of ear lids, a pair of ear lids, a pair of ear lids, and a pair of ear lids, A pair of extension means formed in the form of a sealed pack in which heat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emical action when shaken, and a pair of heating means .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귀마개 부분에 발열수단을 부착시켜 귀 부분을 방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 가장 추위를 느끼는 목 부위는 보온이나 방한이 되지 못해 추위를 느끼는 체감온도에는 큰 영향이 없게 된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only for warming the ear portion by attaching a heating means to the ear piece portion. In fact, the neck portion which feels the coldest is not able to keep warm or cold, so that it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eeling of cold feeling.

한편, 한국등록실용 제20-0424161호(2006년08월09일 등록)의 '발열수단 목도리'는 목 부위를 방한하도록 목도리 중앙에 발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종래기술은 목도리에 신축성이 없어 착용감이 떨어지며, 목도리 중앙에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목 둘레에 균일한 보온이나 방한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열수단이 외피에 부착되어 있어 열이 빨리 식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20-0424161 (registered on Aug. 09, 2006) has a heating means at the center of the shawl for warming the neck, but this prior art has no elasticity on the shawl And the heating means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hawl, so that not only the uniform warmth or coldness is not caused around the neckline but also the heat genera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awl, so that the heat is quickly cooled.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축부재로 연결되는 복수개 패드의 내피에 발열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각각 구비하여 목둘레를 균일하게 보온하도록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ds connected to a stretchable member, each of which has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heating means, In order to provide a cover.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드 내부에 보온재를 구비하여 발열수단의 열을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ck cover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the pad and having a heating means for keeping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eans warm.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 목 덮개들의 부착수단을 서로 연접시키거나 벨트 형태의 탄성결합부재를 구비하여 허리에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attachment means of a plurality of neck covers to each other or attaching the attachment means to a waist with a belt-shaped elastic coupling membe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리에 부착된 패드의 외피에 손을 넣을 수 있는 호주머니를 부착하도록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 cover having a heating means for attaching a pocket for putting a hand on an outer surface of a pad attached to a waist.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내피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들을 일렬로 연결시키는 신축부재와; 상기 패드의 양 끝단에 부착되어 양 단의 패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ads, An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pads in a line; And attachment mean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pad to connect the pads at both ends to each other.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온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하나 혹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있는 중앙패드와; 상기 중앙패드의 양 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끝단에 부착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단부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d comprising: a central pad having one or more connected thereto; And an end pa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pad and having an attachment means at an end thereof.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중앙패드는 상부, 하부, 상하부 중 어느 하나가 확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ad has an expanded shape of any one of an upper portion,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단부패드는 중앙패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부착수단이 부착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ad has a shape in which its width becomes narrower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pad to the other end attached with the attachment means.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원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들 측부에서 신축성을 가지도록 주름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raw fabric including the pads, and is formed into a wrinkle so as to have elasticity at the pads sid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패드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신축소재의 원단으로 상기 패드들의 측부에 박음질된 독립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a stand-alone type which is stitched on the side of the pads with the raw elastic material so as to connect the pads.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ing means is a Velcro typ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외피에 부착되는 호주머니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가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호주머니의 개구된 상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further includes a pocket attached to the outer skin so that the pad can be put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pocket while the pad is worn on the waist.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부착수단은 그 양 단에 부착되는 벨트 타입의 탄성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가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means further includes a belt-type elastic coupling member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attachment means so that the pad can be worn on the waist.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는 신축부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패드 내피 각각에 발열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여 목둘레를 균일하게 보온함으로써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패드 내부의 보온재가 발열수단의 열을 외부로 누출시키지 않고 보온함으로써 효율적인 방한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neck cover with the he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eating mean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d inner film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thereby uniformly warming the necklin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the pad can keep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eans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t insulating effect can be effectively provided.

또한 복수개의 패드들을 서로 연접시키거나 벨트 형태로 허리에 부착시킬 수 있어 목 부분의 방한 용도 뿐만 아니라 허리 부분의 방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허리에 부착된 패드들의 외피에 부착된 호주머니에 손을 넣을 수 있어 손과 허리를 동시에 따뜻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발열수단의 방출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d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can be attached to the waist in the form of a belt,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for warming the neck but also for warming the waist portion. In addition, So that the hands and the waist can be wa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heat released from the heat generating means can be minimized and used efficiently.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목 부분에 착용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복수개 연접하여 허리 부분에 착용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사시도.
1 is a plan view of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neck cover having the heat generating means of FIG.
3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neck covers having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worn on the waist por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목 부분에 착용한 상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of FIG.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복수개 연접하여 허리 부분에 착용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neck covers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worn on the waist portion, FIG. 4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neck with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내피 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inner skin portion of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제1실시예는 목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발열수단인 발열수단을 부착한 패드들을 복수개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eck cover having the heat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ads having heating means, which are heat generating means, are connected so as to entirely surround the neckline.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중앙패드(20)와 상기 중앙패드(20)의 양 단에 각각 부착되는 단부패드(10)로 구성되는 패드, 상기 패드들의 내피에 부착되어 발열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11, 21),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어 일정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상기 패드들을 연결시키는 신축부재(30), 상기 패드의 내부에 수용되는 보온재(40), 양 단의 상기 단부패드(10)들을 연결시키도록 단부패드(10)의 각 끝단에 형성되는 부착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o this e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comprising a central pad 20 and end pads 10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pad 20, A heat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generating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stretching member 30 connecting the pads, a heat insulating material 40 accommodated in the pad, And attachment means 50 formed at each end of the end pads 10 to connect the end pads 10.

본 고안에 있어서, 패드는 중앙패드와 단부패드로 구분되어 이들 패드들이 신축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중앙패드와 단부패드 및 신축부재가 하나의 원단으로 형성되어 중앙패드와 단부패드 사이에서 신축부재가 신축성을 가지도록 주름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s are divided into center pads and end pads, and these pads are connected by the elastic memb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enter pads, the end pads,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made to be wrinkled so as to have elasticity between the end pads and the end pads.

또한 상기 패드는 천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피부와 맞닿는 내피로 구성되어 외피와 내피 사이에 오리털과 같은 보온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ad is formed of a cloth material and is composed of a ski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ner skin contacting the skin, so that a thermal insulating material such as duck hair can be filled between the skin and the inner skin.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앙패드가 1개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중앙패드는 단부패드 사이에서 서로 연접하게 부착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entral pad is described as being o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a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enter pad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units that are attached to each other between the end pads.

상기 중앙패드(20)는 가슴 상측을 포함한 목의 앞부분을 덮거나 혹은 등 상측을 포함한 목의 뒷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단부패드의 상부에 비하여 비교적 하부가 확장된 면적을 가진다. The center pad 20 has a relatively lower area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end pad so as to cover the front of the neck including the upper side of the chest or cover the back side of the neck including the upper side.

또는 상기 중앙패드(20)는 턱을 포함한 목의 앞부분을 덮거나 혹은 뒷덜미를 포함한 목의 뒷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단부패드의 하부에 비하여 비교적 상부가 확장된 면적을 가진다.Alternatively, the central pad 20 ma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neck including the jaws or have a relatively larger upper area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end pad so as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neck including the back.

또는 상기 중앙패드(20)는 턱과 가슴 상측을 포함한 목의 앞부분을 덮거나 혹은 뒷덜미와 등 상측을 포함한 목의 뒷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단부패드(10)의 상하부에 비하여 모두 확장된 면적을 가진다. Alternatively, the center pad 20 ma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neck inclu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hin and the chest, or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 pad 10 so as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neck including the back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이때 중앙패드(20) 및 단부패드(10)의 상부는 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목의 윗부분 방향을 지칭하며 하부는 목의 아랫부분 방향을 지칭한다.In this case,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pad 20 and the end pad 10 refers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neck while the pad is worn, and the lower part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neck.

상기 중앙패드(20)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피부가 닿는 내피로 구성되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온재(40)가 충진된 상태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그 테두리는 모두 박음질로 처리되어 있다. The center pad 20 is composed of an outer ski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ner skin contacted with the ski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are treated with a stitched material so that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40 can not escape while being filled.

상기 중앙패드(20)의 내피에는 중앙패드용 발열수단(22)을 수용할 수 있는 중앙패드용 수용부(21)가 박음질로 부착되어 있다. The central pad 20 has a central pad-receiving portion 21, which is capable of receiving the central heating means 22 for the central pad.

상기 발열수단(22)은 밀폐된 발열체를 가압하거나 마찰시켜 60~70℃로 6~8시간동안 발열시키는 일반적인 핫팩 혹은 손난로에 해당한다. The heating means 22 corresponds to a general hot pack or a hand warmer which pressurizes or rubs a closed heating element to generate heat at 60 to 70 ° C for 6 to 8 hours.

상기 중앙패드용 수용부(21) 역시 내피와 동일한 천부재를 가지며 중앙패드용 수용부(21)의 중앙에서 주머니 형태로 부착되어 있어, 중앙패드용 수용부(21)의 개구된 상부로 중앙패드용 발열수단을 집어넣어 수용시키도록 한다. The central pad accommodating portion 21 also has the same cloth member as the inner skin and is attached in the form of a bag at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for the center pad,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eans for the heat dissipating device is inserted.

이때 중앙패드용 수용부(21)의 수용공간은 중앙패드용 발열수단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하여 중앙패드용 발열수단이 중앙패드용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space of the central pad accommodating portion 21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eating means for the central pad so that the heating means for the central pad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the central pad.

또한 중앙패드용 수용부의 규격은 중앙패드(20) 내피 전면을 커버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중앙패드용 발열수단이 수용됨으로써 중앙패드(20) 전면으로부터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the central pad 20 is preferably such that it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central pad 20, so that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central pad 20 by accommodating the central heating means for the central pad 20 .

상기 단부패드(10)는 상기 중앙패드(20)의 양 측에 각각 부착되는 동일 형상의 패드이다.The end pads 10 are pads of the same shap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pad 20.

상기 단부패드(10)는 중앙패드(20)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The end pad 10 has a shape gradually narrowed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pad 20 to the other end where the attachment means is formed.

특히, 목과 어깨 사이에서 접히지 않도록, 어깨 부분은 노출시키고 목 측면만을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도록 중앙패드(20)에 비하여 비교적 하부가 좁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shoulder portion is exposed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narrower than the center pad 20 so as to naturally cover only the neck side so as not to be folded between the neck and the shoulder.

상기 단부패드(10)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피와 피부가 닿는 내피로 구성되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온재(40)가 충진된 상태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그 테두리는 모두 박음질로 처리되어 있다. The end pad 10 is composed of an outer ski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ner skin touching the skin. In order that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40 is filled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상기 단부패드(10)의 내피에는 단부패드용 발열수단(12)을 수용할 수 있는 단부패드용 수용부(11)가 박음질로 부착되어 있다. An end pad accommodating portion 11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eating means 12 for the end pads is af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ad 10 by means of a staple.

상기 단부패드용 수용부(11) 역시 내피와 동일한 천부재를 가지며 단부패드용 수용부(11)의 중앙에서 주머니 형태로 부착되어 있어, 단부패드용 수용부(11)의 개구된 상부로 단부패드용 발열수단을 집어넣어 수용시키도록 한다. The receiving part 11 for the end pads also has the same cloth material as the inner padding and is attached in the form of a bag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11 for the end pads.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eans for the heat dissipating device is inserted.

이때 단부패드용 수용부의 수용공간은 단부패드용 발열수단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하여 단부패드용 발열수단이 단부패드용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end pad accommodating portion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eat generating means for the end pad,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eans for the end pad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the end pad.

또한 단부패드용 수용부(11)의 규격은 단부패드(10) 내피 전면을 커버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부패드용 발열수단이 수용됨으로써 단부패드(10) 전면으로부터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for the end pads 10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nd pad 10 so that th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nd pad 10 by receiving the heat- .

상기 신축부재(30)는 중앙패드(20)와 중앙패드(20), 중앙패드(20)와 단부패드(10)를 연결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천부재이다.The stretchable member 30 is a stretchable cloth member connecting the center pad 20, the center pad 20, the center pad 20 and the end pad 10.

상기 신축부재(30)는 중앙패드(20) 및 단부패드(10)를 포함한 하나의 원단으로, 중앙패드(20)와 단부패드(10) 사이에서 주름을 형성하도록 바느질되어 신축성을 가지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The stretchable member 30 is constructed as one piece including a center pad 20 and an end pad 1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tretchable stitch to form a crease between the center pad 20 and the end pad 10 do.

또는 상기 신축부재(30)는 우레탄과 같은 신축소재의 원단으로, 분리된 중앙패드(20)와 단부패드(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박음질된 독립형으로 구성된다.Or the stretchable member 30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urethane, and is formed as a stand-alone, stitched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separated central pad 20 and the end pads 10. [

상기 신축부재(30) 역시 중앙패드(20) 및 단부패드(10)와 같이 외피 및 내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잡아당김에 의해 늘어났다가 다시 줄어드는 신축부재(30)의 특성상 그 내부에는 보온재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30 may be formed of a shell or an inner skin such as the center pad 20 and the end pad 10 but is stretched due to pulling and then shrunk again so that the elastic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thermal insulating material .

상기 보온재(40)는 중앙패드(20)와 단부패드(1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충진되는 솜이나 동물털 등에 해당된다.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40 corresponds to cotton or animal fur which is fil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ad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ad 10.

상기 부착수단(50)은 각 단부패드(10)의 끝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이다.The attachment means (50) is a pair of Velcro attached to the end of each end pad (10).

따라서 도 2의 착용 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패드의 수용부(11, 21)에 발열되고 있는 발열수단(12, 22)이 수용된 상태에서, 중앙패드(20)가 목의 앞부분에 오도록 하거나 목의 뒷부분에 가도록 한 후, 단부패드(10)는 목의 옆부분에 오도록 하여 단부패드(10)의 양 끝단에 부착된 부착수단을 서로 연결하여 목 전체를 감싸도록 한다. 2, in a state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means 12 and 22, which are generated in the receiving portions 11 and 21 of the respective pads, are accommodated, the central pad 2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neck, The end pads 10 are brought to the side of the neck so that the attachment mean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end pad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wrap the neck.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허리둘레에 맞게 복수개 연접시켜 이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neck covers having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tted to fit around the waist and worn on the waist.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제2실시예는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들을 복수개 연접하며, 패드들의 외피에 호주머니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eck cover having the he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eck covers having the he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surround the waist, and a pocke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ds .

이하, 상기 제2실시예의 패드, 수용부, 발열수단, 부착수단, 신축부재, 보온재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of the pad,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heat generating means, the attaching means, the stretching member, and the insulating materia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상기 패드들은 그 외피에 호주머니(70)를 부착하여 개구된 상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다. However, the pads may be provided with a pocket 7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s so that the user can put his / her hand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이때 각 패드들은 모두 호주머니가 부착될 수 있으나, 특히 중앙패드에만 호주머니가 부착되도록 하여 양 손을 각각 중앙패드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each of the pads may be attached to the pocket,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cket is attached to only the center pad, so that both hands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pad.

또한 본 고안의 패드들을 허리에 부착하기 위해 허리둘레에 맞게 복수개 연접시킬 경우, 단부패드(10)의 끝단에 구비된 부착수단(50)들을 서로 부착시키도록 한다.When a plurality of pa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the waist to fit the waist, the attachment means 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end pad 10 are attached to each other.

이때, 허리둘레는 목둘레의 두배 가량 되므로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들을 두 개 연접시켜 허리에 착용하고 호주머니(70)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waist circumference is twice that of the neck circumference, two neck covers having the he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worn on the waist and put their hands into the pocket 70.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를 도시하고 있다.4 shows a neck cover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패드들을 연접시키지 않고 한 개의 패드를 허리에 부착시키도록 부착수단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is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attachment means so as to attach one pad to the waist without connecting the pad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양 측 부착수단의 끝단에 박음질로 부착된 양측 연결부(61)와, 상기 연결부(61)의 각 타 단에 부착된 허리띠 형태의 벨트(62)와, 상기 벨트(62)의 타 단에 각각 부착된 걸림편(63)과 탄성편(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 connecting portions 61, which are stitched on the ends of both side attaching means, a belt 62 in the form of a waistband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1, And a retaining piece 63 and an elastic piece 64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belt 62, respectively.

이때 상기 연결부(61)는 부착수단(50)과 벨트(62)를 연결하되, 부착수단과 벨트의 상단, 중앙, 하단이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벨트보다 비교적 폭이 넓은 부착수단이 연결부(61)의 잡아 당김이 있어도 어느 일 측으로 힘이 쏠리지 않고 고르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61 connects the attaching means 50 and the belt 62 so that the attaching means and the upper end, the center and the lower end of the belt are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 Even if there is a tug of force to one side to be able to receive even force.

상기 벨트(62)는 인체의 배 측면에 맞닿게 되는 허리끈이며, 본 고안의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의 신축부재가 신축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신축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Since the elastic member of the neck cover having the he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etching function,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eparate elasticity.

또한 일 측 벨트(62)의 타 단에 부착되는 걸림편(63)에 타 측 벨트(62)의 타 단에 부착되는 탄성편(64)이 삽입되면서 탄성 결합하여 벨트 타단들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 elastic piece 64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side belt 62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63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ne-side belt 62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belt can be connected.

이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단부패드 11 : 단부패드용 수용부
12 : 단부패드용 발열수단 20 : 중앙패드
21 : 중앙패드용 수용부 22 : 중앙패드용 발열수단
30 : 신축부재 40 : 보온재
50 : 부착수단 60 : 탄성결합부재
61 : 연결부 62 : 벨트
63 : 걸림편 64 : 탄성편
70 : 호주머니
10: end pad 11: receiving pad for end pad
12: heating means for the end pads 20: central pad
21: accommodating portion for center pad 22: heating means for central pad
30: elastic member 40:
50: attachment means 60: elastic engagement member
61: connection part 62: belt
63: latching piece 64: elastic piece
70: Pocket

Claims (10)

하나 혹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있는 중앙패드와, 이 중앙패드의 양 단에 연결된 단부패드로 구성된 복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들을 일렬로 연결시키는 신축부재와;
상기 단부패드의 끝단에 부착되어 양 단의 단부패드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드들의 내피에는 발열수단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패드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원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들 측부에서 신축성을 가지도록 주름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A plurality of pads each having a center pad to which one or a plurality of pads are connected and an end pa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pad;
An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pads in a line;
And attachment means attached to an end of the end pad to connect the end pads of both ends to each other,
Wherein an inner portion of the pads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heating means,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end including the pads and formed as a wrinkle so as to have elasticity at the side portions of the pa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온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패드는 상부, 하부, 상하부 중 어느 하나가 확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pad is formed in an expanded shape of one of an upper portion,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패드는 중앙패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부착수단이 부착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ad has a shape that narrows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pad to the other end attached with the attachment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벨크로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achment means is of a Velcro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외피에 부착되는 호주머니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가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호주머니의 개구된 상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d further comprises a pocket attached to the outer skin so that the pad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top of the pocket while the pad is worn on the wai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그 양 단에 부착되는 벨트 타입의 탄성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가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achment means further comprises a belt-type elastic coupling member attached to both ends thereof, such that the pad can be worn on the waist.
KR2020130007507U 2013-09-06 2013-09-06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KR2004769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07U KR200476978Y1 (en) 2013-09-06 2013-09-06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07U KR200476978Y1 (en) 2013-09-06 2013-09-06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31U KR20150001131U (en) 2015-03-16
KR200476978Y1 true KR200476978Y1 (en) 2015-04-21

Family

ID=5303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507U KR200476978Y1 (en) 2013-09-06 2013-09-06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7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49Y1 (en) * 2018-07-04 2020-03-09 윤정남 A winter clothes for livest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43Y1 (en) * 2005-11-22 2006-02-13 차현덕 a heat neckerchief
KR20090090172A (en) * 2008-02-20 2009-08-25 신현성 Functional band
KR20120003416U (en) * 2010-11-09 2012-05-17 신수범 Hotpack neckwar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43Y1 (en) * 2005-11-22 2006-02-13 차현덕 a heat neckerchief
KR20090090172A (en) * 2008-02-20 2009-08-25 신현성 Functional band
KR20120003416U (en) * 2010-11-09 2012-05-17 신수범 Hotpack neckwa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31U (en)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405B2 (en) Thermal therapy apparel
US5605144A (en) Heating garment with pouch for accommodating inserted heating packets
US20110231979A1 (en) Temperature Altering Gar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n
US20110162125A1 (en) Temperature Altering Gar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n
US20160286872A1 (en) Warm garments having convenient bodily access
US20100078452A1 (en) Portable Retainer Apparatus
JP5460718B2 (en) Neck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60750B1 (en) Thermal abdominal belt for removing side trapping of battery pack
KR200476978Y1 (en) Neck Cover Having Heat Emitting Member
US20200405533A1 (en) Wearable Therapy System
US20120167269A1 (en) Apron for storing heated hair care appliances
KR200464041Y1 (en) Well-being knee pads with heating function
US2018031812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therapeutic plush toy assembly
KR101905122B1 (en) Safety Pock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satile Poultice Device
GB2524395A (en) Thermal therapy apparel
KR101645592B1 (en) Mesh Type Scalp Cooling Cap
KR20150000645U (en) Belt fot supporting waist
KR200489449Y1 (en) Shoulder warmer
TWM431584U (en) All-weather electric heated clothing
KR20230129642A (en) Shoulder protector having elasticity
JP2019502840A (en) Knee support bag
KR200430610Y1 (en) Outer covering clothes for baby
US20100210984A1 (en) Electro-thermal protecting device for heat treatment
JPS6266855A (en) Portable heat taking device
KR20230129641A (en) Shoulder protector capable of thermo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