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991B1 -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 Google Patents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991B1
KR101621991B1 KR1020110040765A KR20110040765A KR101621991B1 KR 101621991 B1 KR101621991 B1 KR 101621991B1 KR 1020110040765 A KR1020110040765 A KR 1020110040765A KR 20110040765 A KR20110040765 A KR 20110040765A KR 101621991 B1 KR101621991 B1 KR 10162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epoxy resin
present
meth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541A (ko
Inventor
심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4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9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외부로부터 전지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성 및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공하여, 전지의 수명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지 제조 공정의 단순화, 제조 시간의 단축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Adhesive composition for encapsulating cell and adhesive film}
본 발명은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지(電池, cell)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직류전원(直流電源)을 말한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전지는 화학적 방법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고, 물리적인 전지는 특수한 분야에서만 사용되며, 1개의 전지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도 매우 적다. 화학적인 전지는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나누어진다. 1차 전지는 작용물질을 전극 가까이에 미리 넣어 두고, 이 물질의 화학변화에 의해 생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용물질의 화학변화가 끝나면 수명(壽命)을 다하여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건전지로서 널리 사용된다. 2차 전지는 전기에너지를 방출하여 작용물질이 변화한 후 전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즉 충전함으로써 작용물질이 재생되어 이를 되풀이할 수 있는 것으로, 축전지로서 많이 사용된다. 연료전지는 넓은 뜻의 1차 전지이며, 작용물질을 계속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형식이다.
물리작용을 이용하는 전지에는 태양전지·열전지·광전지(光電池) 등이 있다.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작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파우치형으로 만든 전지케이스에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전지이다.
파우치형 전지의 경우, 라미네이트 시트는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수지층은 외부로부터 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두께 대비 우수한 인장강도와 내후성 등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ONy(연신 나일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차단성 금속층은 공기, 습기 등이 전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하며,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내측 수지층은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상태에서 인가된 열과 압력에 의해 상호 열융착되어 밀봉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CPP(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라미네이트 구조의 전지케이스 시트는 실링부에서 내측 수지층이 서로 대면하는 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내측 수지층은 열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라미네이트 시트가 결합된 단부에서 내측 수지층이 외부에 노출되고, 주로 고분자 수지로 되어 있는 내측 수지층은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고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지 케이스는 전극조립체를 절연 상태로 밀봉함으로써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전지케이스의 라미네이트 시트 중 차단성 금속층은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전지의 조립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예기치 못하게 라미네이트 시트의 차단성 금속층이 전극리드, 접속부재로서의 니켈 플레이트와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 상태에서 이차전지의 충방전이 행해지면 차단성 금속층의 부식 현상이 진행된다. 따라서, 차단성 금속층의 손상이 유발되며, 그로 인해 전지의 수명이 급속히 짧아지고 전지의 안전성 역시 크게 위협을 받게 된다.
특히,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원으로서 중대형 전지팩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장기간의 수명이 필요하고 다수의 전지셀들이 밀집되는 특성상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수분의 침투 및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예기치 못한 상황 전개로 인해 전지케이스의 차단성 금속층이 접속부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벌크(bulk) 태양전지에 비해서 실리콘, 화합물 또는 유기물 박막(thin-film) 태양전지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수분의 침투에 약해서 효율(conversion efficiency)이 저하되어 장기 신뢰성에 단점이 있다.
실리콘이나 화합물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이면전극(back ontact)으로 사용되는 산화아연(ZnO)이나 은(Ag) 등이 고온에서 표면이나 입자경계(grain boundary)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쉽다. 이 경우 저항이 늘어나 곡선인자(FF; fill factor)가 감소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기물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이면전극도 문제지만, 유기물 그 자체가 수분에 매우 취약하여 태양전지 수명이 극단적으로 짧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박막 태양전지의 봉지(encapsulation)를 잘해서 수분 침투를 막는 것이 장기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박막 태양전지의 봉지는 셀 부분을 EVA(ethylvinyl acetate) 필름(film)과 백 시트(back sheet)로 덮은 후 라미네이션(lamination)에서 코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백 시트(back sheet) 대신 저철분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투광성 건자재일체형(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모듈을 제작하기도 한다.
모서리(edge) 부분은 실리콘(silicone), 테이프(tape), 부틸 고무(butyl rubber) 등으로 실링(sealing)해서 수분 침투를 막는다. 벌크 태양전지 모듈의 봉지에 쓰이는 백 시트(back sheet)의 경우는 PVF(Poly-VinylFluorid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VF(Poly-Vinyl Fluoride) 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된 TPT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TPT 구조의 PVF(Poly-Vinyl Fluoride)를 PVDF(Poly-VinyliDene Fluoride)로 대체하기도 한다. 박막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에는 내습성의 향상을 위해서 기본적인 TPT 구조에서 특별히 알루미늄 포일(Al foil)이 삽입되어 있는 백 시트(back sheet)를 사용하며, EVA의 경우에도 수분 침투를 잘 막을 수 있는 화학적 조성과 두께가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유기물인 경우는 능동 영역 자체가 수분에 치명적이고, 후면전극으로 사용되는 산화아연이나 은과 같은 금속 이면전극 등도 고온 분위기에서 습도에 취약하기 때문에, 장기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전지의 수분 침투와 전해액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경화성 수지 및 수분 흡착제를 포함하는 수분차단성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화성 수지 및 수분 흡착제를 포함하는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물, 반경화물 또는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가지는 전지 봉지용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외부로부터 전지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성 및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공하여, 전지의 수명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지 제조 공정의 단순화, 제조 시간의 단축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화성 수지 및 수분 흡착제를 포함하는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전지,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 자동차 배터리, 태양전지 등을 봉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수지는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경화성 수지는 경화 상태에서 투습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가 두께 100 ㎛의 필름에서 500 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g/m2·day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m2·day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지의 경화 상태」는 경화성 수지가 그 단독 또는 경화제 등의 다른 성분과의 반응 등을 통하여 경화 또는 가교되어, 봉지층에서 수분 흡착제 등을 유지하고, 기판 등에 대하여 접착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바인더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경화성 수지 경화물을 두께 100 ㎛의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하고, 38 ℃의 온도 및 100 %의 상대습도 하에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투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의 경화 상태에서의 투습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여, 전지 봉지 구조로의 수분, 습기 또는 산소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의 경화 상태에서의 투습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g/m2·day 이상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경화되어 접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의 예로는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디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로서, 에폭시계 수지의 예에는,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4관능성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알킬 변성 트리 페놀 메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성 수지 외에 수분 흡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분 흡착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반응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흡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흡착제 중 고상 입자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분을 합착한 후에도 봉지 구조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의 이동 경로를 길게 하여 그 침투를 억제할 수 있어서 수분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분 흡착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유기금속산화물, 금속염 또는 오산화인(P2O5)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금속 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리튬(Li2O), 산화나트륨(Na2O),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 있고, 유기금속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Al[OCOCH(C2H5)C4H9]3, Al[OCOCH(C2H5)C4H9]2 또는 Ba[OCOCH(C2H5)C4H9]2 등을 들 수 있으며, 금속염의 예로는,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4)2) 또는 황산니켈(NiSO4) 등과 같은 황산염,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스트론튬(SrCl2), 염화이트륨(YCl3), 염화구리(CuCl2), 불화세슘(CsF), 불화탄탈륨(TaF5), 불화니오븀(NbF5), 브롬화리튬(LiBr), 브롬화칼슘(CaBr2), 브롬화세슘(CeBr3), 브롬화셀레늄(SeBr4), 브롬화바나듐(VBr3), 브롬화마그네슘(MgBr2), 요오드화바륨(BaI2) 또는 요오드화마그네슘(MgI2) 등과 같은 금속할로겐화물; 또는 과염소산바륨(Ba(ClO4)2) 또는 과염소산마그네슘(Mg(ClO4)2) 등과 같은 금속염소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와 같은 수분 흡착제 중, BaO, CaO 및 Al[OCOCH(C2H5)C4H9]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수분 흡착제를, 상기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분 흡착제의 함량을 5 중량부 이상으로 제어하여, 경화물이 우수한 수분 및 습기 차단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분 흡착제의 함량을 50 중량부 이하로 제어하여, 박막의 봉지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경화물이 우수한 수분 차단 특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의 경우에는 광중합 또는 가교를 위하여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거나,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매트릭스(ex.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열경화성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광경화성 수지 또는 그 수지에 포함되는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싸이옥산톤계, 이오도늄계 및 설포늄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예를 들면,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함량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성 수지 종류에 따라 광개시제의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열경화성 경화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그 수지에 포함되는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경우, 경화제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종 아민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또는 산무수물계 화합물 등의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경화성 경화제를, 예를 들면,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함량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관능기의 종류 및 그 함량, 또는 구현하고자 하는 매트릭스 구조 또는 가교 밀도 등에 따라 경화제의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 등에, 성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인더 수지의 종류는 매트릭스 수지 등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할 수 있는 바인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녹시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고분자량 에폭시 수지, 초고분자량 에폭시 수지, 고극성(high polarity) 관능기 함유 고무 및 고극성(high polarity) 관능기 함유 반응성 고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인더 수지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인더 수지의 함량을 100 중량부 이하로 제어하여,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과의 상용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경화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필러;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광성 등의 개선을 위한 가소제; 접착력 향상을 위한 커플링제, 가소제, 자외선 안정제 및 산화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물, 반경화물 또는 경화물을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 봉지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이하, 「제 1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및 상기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또한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이하, 「제 2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상기 접착층상에 형성된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면에 나타난 접착 필름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예를 들면, 지지기재 없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건조물, 반경화물 또는 경화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단일층으로 포함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의 양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접착 필름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 1 필름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이 분야의 일반적인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기재 또는 이형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플로오루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적절한 이형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도 있다. 기재 필름의 이형 처리에 사용되는 이형제의 예로는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왁스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내열성 측면에서 알키드계,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 2 필름(이하, 「커버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종류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필름으로서, 전술한 제 1 필름에서 예시된 범주 내에서, 제 1 필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필름에도 역시 적절한 이형 처리가 수행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200 ㎛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 ㎛ 미만이면 제조 과정에서 기재 필름의 변형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고, 500 ㎛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필름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제 2 필름의 두께를 제 1 필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공정성 등을 고려하여 제 2 필름의 두께를 제 1 필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에 포함되는 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필름이 적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에 포함되는 접착층은, 예를 들면, 5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5 ㎛ 미만일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이 전지의 봉지재로 사용될 때,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취약할 우려가 있고, 200 ㎛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 상에 코팅하는 제 1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코팅된 코팅액을 건조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접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 건조된 코팅액 상에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을 추가적으로 압착하는 제 3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코팅액 내에 포함되는 상기 경화성 수지 등의 함량은 목적하는 수분 차단성 및 필름 성형성에 따라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에 바인더 수지가 포함될 경우,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 역시 필름 성형성 내지는 내충격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필름의 성형성 및 코팅액 점도 등을 고려하여, 바인더 수지의 분자량, 그 사용량, 용제의 종류 및 그 사용량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에 포함되는 용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용제의 사용량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액에 필러가 포함될 경우, 분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볼 밀(ball mill), 비드 밀(bead mill), 3개 롤(roll), 또는 고속 분쇄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볼이나 비드의 재질로는 유리,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늄 등이 있고, 입자의 분산성 측면에서는 지르코늄 재질의 볼이나 비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팅액 제조에 사용되는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용제의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거나, 혹은 고온에서의 건조가 필요할 경우, 작업성 또는 접착 필름의 내구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휘발 온도가 100℃ 이하인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필름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이상의 휘발 온도를 가지는 용제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제의 예로는,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메틸셀로솔브(MCS),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코팅액을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스프레이 코터, 그라비어 코터, 커튼 코터, 콤마 코터 또는 딥 코터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코팅된 코팅액을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단계에서는, 필름에 도포된 코팅액을 가열하여 용제를 건조 및 제거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건조는 7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제조방법에서는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 이어서, 필름 상에 형성된 접착층 상에 추가적인 기재 필름 또는 이형 필름을 압착하는 제 3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필름에 코팅된 후, 건조된 접착층에 추가적인 이형 필름 또는 기재 필름(커버 필름 또는 제 2 필름)을 핫 롤 라미네이트 또는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압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단계는, 연속 공정의 가능성 및 효율 측면에서 핫 롤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공정은 약 1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약 0.1 kgf/cm2 내지 10 kgf/cm2의 압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또는 태양전지 백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수분 차단 특성을 가지며, 상기 기판 및 커버 기판을 고정 및 지지하는 구조용 접착제로서 작용하여 봉지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접착 필름은, 전지에 우수한 기계적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온에서 반응기에 경화성 수지로 비스페놀 에폭시 수지(RE-310, 일본화약) 200 g, 수분흡착제로 산화바륨 30 g 및 바인더 수지로 페녹시 수지(YP-55, 국도화학(제)) 125 g를 투입한 후,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400 g을 넣었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 용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용액을 볼밀을 사용하여 1 시간 동안 수분 흡착제를 분산시키고, 다시 용액을 경화제로서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2PZCN, 시코쿠 화성) 4 g와 반응기에 투입하고, 1 시간을 추가로 교반하였다. 상기 접착 필름 제막을 위한 수지 조성물 용액을 두께 38 ㎛의 기재 필름(RS-21G, SKC)에 콤마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고온 건조기에서 120℃의 온도로 1 분 동안 건조하여, 도막 두께가 20 ㎛인 접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터(후지소크사)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과 동일 재질의 커버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접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상온에서 반응기에 페녹시 수지(YP-55, 국도화학(제)) 125 g, 산화칼슘 30 g 및 메틸에틸케톤 270 g의 수지 조성물 용액을 볼밀을 이용하여 수분 흡착제를 분산하고 메틸에틸케톤 130 g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에 50% 희석된 트리아릴 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0 g을 혼합한 용액과 함꼐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비스페놀 에폭시 수지(RE-310, 일본화약) 200 g을 투입하여 1시간을 교반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 용액을 상기 실시에 1과 같은 방법으로 도막 두께가 20 ㎛인 접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 바륨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도막 두께가 20 ㎛인 접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 수분 차단 특성 확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필름의 수분 차단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칼슘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0mm×100mm 크기의 글래스 기판상에 칼슘(Ca)을 8mm×8mm의 크기 및 100 nm의 두께로 9개(9 spot) 증착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필름이 전사된 커버 글라스를 각 칼슘 증착 개소에 진공 프레스(vacuum press)를 사용하여, 80℃에서 1분 간 가열 압착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경우에는 고온 건조기 내에서 100℃로 2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에, 10mm×10mm의 크기로 봉지된 칼슘(Ca) 시편을 각각 절단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압착 시편을 2000 mJ/cm2의 광량으로 UV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절단하였다. 얻어진 시편들을 항온 항습 챔버에서 85℃의 온도 및 85% R.H.의 환경에 방치한 후, 산화 반응에 의한 변색 정도를 평가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접착력 테스트
20mm×40mm 크기 및 3 mm 두께의 글라스판 2개를 직교한 후, 직경 5 mm로 절단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80℃의 온도에서 1 분 동안 200 kg으로 가열 압착한 다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필름을 사용한 시편의 경우에는 100℃의 온도에서 2 시간 경화시켰고, 실시예 2의 필름을 사용한 시편은 2000 mJ/cm2의 광량으로 UV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그 후, 제조된 시편에서 접착 필름의 접착력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구분 변색되는 시간(h) 접착력
(Kgf/cm2)
실시예 1 140 20
실시예 2 120 22
비교예 1 45 19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필름의 경우, 기존 에폭시계 봉지재에 해당하는 비교예 1 대비 동등한 접착력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수분 차단 특성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0)

  1. 경화성 수지, 수분 흡착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물인 접착층으로 구성된 전지 봉지용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는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 디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계 수지는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4관능성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알킬 변성 트리 페놀 메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제가 금속 산화물, 유기금속산화물, 금속염 또는 오산화인인 배터리 파우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제가 P2O5, Li2O, Na2O, BaO, CaO 및 Mg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제를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아세토페논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싸이옥산톤계, 이오도늄계 및 설포늄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배터리 파우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광개시제를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열경화성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경화제가 아민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또는 산무수물계 화합물인 배터리 파우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열경화성 경화제를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가 페녹시 수지 또는 아크릴레이트 수지인 배터리 파우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바인더 수지를 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배터리 파우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층은 두께가 5 ㎛ 내지 200 ㎛인 배터리 파우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40765A 2011-04-29 2011-04-29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KR10162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65A KR101621991B1 (ko) 2011-04-29 2011-04-29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65A KR101621991B1 (ko) 2011-04-29 2011-04-29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41A KR20120122541A (ko) 2012-11-07
KR101621991B1 true KR101621991B1 (ko) 2016-05-17

Family

ID=4750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765A KR101621991B1 (ko) 2011-04-29 2011-04-29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5327A3 (en) * 2018-02-12 2019-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compositions, articles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DE102018220163A1 (de) 2018-11-23 2020-05-28 Mahle International Gmbh Speichertemperier-Anordnung
WO202312099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부착력 및 그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 조성물, 이의 경화체, 및 상기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9619B (zh) * 2014-12-11 2017-07-14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一种胶黏剂组合物及太阳能电池背板
JP6378743B2 (ja) * 2016-12-07 2018-08-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池用粘着シート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10408350A (zh) * 2019-06-21 2019-11-05 合肥派森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封装的uv胶及其制备方法
KR102390762B1 (ko) * 2020-12-23 2022-04-27 율촌화학 주식회사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CN113563810A (zh) * 2021-08-24 2021-10-29 天津派森新材料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封装的uv胶及其制备方法
KR102633871B1 (ko) * 2022-02-14 2024-02-08 (주)아이컴포넌트 유기태양전지용 접착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839A (ja) * 2008-09-26 2010-05-06 Kanek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0839A (ja) * 2008-09-26 2010-05-06 Kanek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5327A3 (en) * 2018-02-12 2019-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compositions, articles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DE102018220163A1 (de) 2018-11-23 2020-05-28 Mahle International Gmbh Speichertemperier-Anordnung
WO202312099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부착력 및 그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 조성물, 이의 경화체, 및 상기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541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991B1 (ko) 전지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필름
US11142669B2 (en) Adhesive and method of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203383B2 (ja) 封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デバイスの封止方法
KR101404370B1 (ko) 접착 필름
KR101424401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US10626245B2 (en) Adhesive film and sealing product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0125292B2 (en) Adhesive film and product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40136901A (ko) 유기전자장치
KR101404361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1554378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101587378B1 (ko)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