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834B1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834B1 KR101621834B1 KR1020147034886A KR20147034886A KR101621834B1 KR 101621834 B1 KR101621834 B1 KR 101621834B1 KR 1020147034886 A KR1020147034886 A KR 1020147034886A KR 20147034886 A KR20147034886 A KR 20147034886A KR 101621834 B1 KR101621834 B1 KR 101621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
- pin
- stopper
- lens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62—Pin, post an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이 개시되며, 상기 핀 락 장치는 맞물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홈의 바닥면에 제1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핀부 및 상기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맞물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의 단부면에 제2 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실드에 형성된 락 끼움 홀을 통해 상기 제1 핀부와 체결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핀부와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가 회전 방향에 대해 맞물림 접촉되는 경우 함께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헬멧 본체부와 체결되는 실드를 지지하는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운행 시 헬멧의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운행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헬멧 본체부 전면의 개방부에 실드가 형성되어 있다.
헬멧은 내부가 외부와 잘 통기되지 않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특성에 의해 착용자의 호흡에 따라 실드 내부에 습기가 차고, 헬멧 외부로 노출되는 실드는 통상 시야 확보를 위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해 실드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드의 내측에는 습기 방지 렌즈를 체결하고 실드의 외측에는 실드 보호 렌즈를 체결할 수 있도록 실드에 장착되는 핀 락 장치 및 전술한 핀 락 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이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헬멧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3160호(2011.07.26)에 개시된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헬멧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핀 락 장치는 실드의 외측에 체결되는 실드 보호 렌즈가 체결되는 정도를 착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었지만, 실드의 내측에 체결되는 습기 방지 렌즈는 내측 핀부에 단순 체결될 뿐이어서 체결되는 정도를 외측의 실드 보호 렌즈와 같이 조절할 수는 없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드의 내외측에 렌즈를 각각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측면에 따른 핀 락 장치는, 맞물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홈의 바닥면에 제1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핀부 및 상기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맞물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의 단부면에 제2 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실드에 형성된 락 끼움 홀을 통해 상기 제1 핀부와 체결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핀부와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가 회전 방향에 대해 맞물림 접촉되는 경우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2측면에 따른 헬멧은 헬멧 본체부, 실드 및 본원의 제1측면에 따른 핀 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의 맞물림 접촉 여부에 따라, 제1 핀부 및 제2 핀부 중 하나만이 회전되거나, 제1 핀부 및 제2 핀부가 함께 회전될 수 있어, 실드 내외측의 렌즈 각각이 핀 락 장치에 체결되는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드 내외측의 렌즈의 체결이 착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의 선단면이 제2 핀부에 구비된 관입제한면과 맞닿도록 체결됨으로써, 제1 핀부에 회전 조작을 위한 힘을 가했을 때 제2 핀부가 회전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핀부와 제2 핀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정도의 적정한 조임을 만족하도록 체결부재를 제1 핀부 및 제2 핀부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핀부 이탈 방지부에 편심 방향이 표시됨으로써, 편심축의 위치를 알 수 있어 렌즈의 체결되는 정도의 조절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 편심축의 길이가 제1 핀부 편심축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핀부를 회전시켜 제1 핀부 편심축에 체결되는 렌즈에 인장력을 가하여 렌즈의 단부에 발생된 압착력으로 인해 렌즈의 단부가 들뜨게 되므로 렌즈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에 포함되는 제1 핀부 및 제2 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및 (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가 실드의 내외측에 렌즈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핀 락 장치와 실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에 포함되는 제1 핀부 및 제2 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및 (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가 실드의 내외측에 렌즈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핀 락 장치와 실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10)(이하 '본 핀 락 장치'라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핀 락 장치(10)는 실드(50)의 내부와 외부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핀 락 장치(10)는 제1 핀부(11)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핀 락 장치(10)는 제2 핀부(13)를 포함한다. 제2 핀부(13)는 실드(50)에 형성된 락 끼움 홀(51)을 통해 제1 핀부(11)와 체결된다.
락 끼움 홀(51)은 본 핀 락 장치(10)가 구비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헬멧의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실드(50)의 양측에 핀 락 장치(1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락 끼움 홀(51)은 실드(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핀부(11)는 실드(50)를 기준으로 헬멧 본체부(30)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외측 핀부가 될 수 있고, 제2 핀부(13)는 실드(50)를 기준으로 헬멧 본체부(30)의 내측에서 체결되는 내측 핀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핀부(11)를 외측 핀부로, 제2 핀부(13)를 내측 핀부로 가정한다.
제1 핀부(11)에는 맞물림홈(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에서는 제1 스토퍼(112)가 돌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맞물림홈(111)은 제1 핀부(11)의 단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스토퍼(132)와 맞물림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2)는 양측면이 연직면을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2 핀부(13)에는 맞물림돌기(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맞물림돌기(131)는 맞물림홈(111)과 맞물린다. 또한, 맞물림돌기(131)의 단부면에서는 제2 스토퍼(132)가 돌출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맞물림돌기(131)는 맞물림홈(1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 때, 맞물림돌기(131)는 맞물림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맞물림돌기는 원형돌기이고, 맞물림홈은 원형홈일 수 있다.
제2 스토퍼(1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12)와 맞물림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스토퍼(132)는 양측면이 연직면을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는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가 회전 방향에 대해 맞물림 접촉되는 경우 함께 회전된다.
외측 핀부인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는 경우 돌출된 제1 스토퍼(112)의 측면이 돌출된 제2 스토퍼(132)의 측면과 맞물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112)와 함께 제2 스토퍼(132)가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의 회전 시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된다.
여기서, 맞물림 접촉은 제1 스토퍼(112)의 측면과 제2 스토퍼(132)의 측면이 면 접촉되거나, 제1 스토퍼(112)의 측면과 제2 스토퍼(132)의 측면 중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이와 마주보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끼움 접촉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면 접촉이라 함은, 면끼리 접촉되었을 때 소정의 정지 마찰력이 작용하여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정도의 경사를 갖는 면끼리의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2)가 A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이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과 면 접촉이 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제1 스토퍼(112)가 A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고,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이 맞물림 접촉되어 제1 스토퍼(112)와 함께 제2 스토퍼(132)가 회전된다. 즉, 이와 같이 면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까지 함께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만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 제1 스토퍼(112)가 B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의 면 접촉이 해제되므로 제1 핀부(11)만 회전되고, 제2 핀부(13)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이 면 접촉이 해제되는 구간에서는,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는 함께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는 그대로 두고,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만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제1 핀부(11)를 계속 B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스토퍼(112)가 계속 B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이 다시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과 면 접촉하게 되고, 제1 핀부(11)를 계속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도 같이 회전된다. 즉, 이와 같이 면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까지 함께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만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3의 (c)에서 제 1 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과의 면 접촉이 해제되므로, 도 3의 (a) 상태가 될 때까지 제1 핀부(11)만 회전되고 제2 핀부(13)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이 면 접촉이 해제되는 구간에서는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는 함께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는 그대로 두고,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만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와 제2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를 조절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가 맞물림 접촉된 상태로 제1 핀부(1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되는데, 먼저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착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실드(50)의 내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기준으로 조절한다.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의 조절이 끝나면,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이 해제된 상태로 제1 핀부(1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1 핀부(11)만이 회전되고 제2 핀부(13)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를 착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실드(50)의 외측에 체결되도록 조절한다.
다시 말해,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가 맞물림 접촉되는 구간에서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2 핀부(13)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먼저 조절한 후,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이 해제되는 구간에서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의 맞물림 접촉 여부에 따라, 실드(50)의 내외측에 체결된 렌즈(70)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제1 스토퍼(112)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도록 제2 스토퍼(132)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스토퍼(112)에 형성된 돌기가 제2 스토퍼(132)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맞물림 접촉하게 되면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된다. 반면,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스토퍼(112)에 형성된 돌기가 제2 스토퍼(132)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이탈되면 제1 핀부(11)만 회전되고, 제2 핀부(13)는 회전되지 않는다.
제1 핀부(11)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제1 핀부 편심축(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부 편심축(113)은 렌즈(70)가 체결되는 곳이다.
예시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부 편심축(113)은 렌즈(7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핀부 편심축(113)에는 하나 이상의 렌즈(7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핀부 편심축(113)이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의 회전축인 체결부재(15)가 체결되는 체결홀(115)을 기준으로 헬멧(1)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된 렌즈(70)에 헬멧(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도 4의 (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져 렌즈(70)가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 편심축(113)이 체결홀(115)을 기준으로 헬멧(1)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조작함으로써,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된 렌즈(70)가 실드(50)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70)가 체결된다는 것은 렌즈(70)에 홀이 형성되어 제1 핀부 편심축(113)이 홀을 통과하는 것과, 렌즈(70)에 홈이 형성되어 렌즈(70)를 제1 핀부 편심축(113)에 끼우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된 렌즈(70)를 실드(50)의 외측의 볼록한 면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렌즈(70)의 양단에 인장력을 가해 렌즈(70)의 양단을 헬멧(1)의 후방을 향해 당겨야 한다. 이와 같은 인장력을 렌즈(70)의 양단에 가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핀부 편심축(113)이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의 회전축인 체결부재(15)가 체결되는 체결홀(115)을 기준으로 헬멧(1)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렌즈(70)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홀에 제1 핀부 편심축(113)이 끼워져야 제1 핀부 편심축(113)이 홀을 당기면서 렌즈(70)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핀부(11)가 실드(50)를 기준으로 헬멧(1)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렌즈(70)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홀을 통해 제1 핀부 편심축(113)에 렌즈(70)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사이클 등과 같은 레이싱 경기에서는 이물질들이 고속으로 렌즈(70)에 충돌하게 되므로 렌즈(70)의 손상이 심해 금방 시야가 가려지므로 한 장의 렌즈(70)로는 경기를 버틸 수 없다. 따라서, 복수의 렌즈(70)를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시킴으로써, 최외측의 렌즈(70)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렌즈(70)를 떼어내면 새로운 렌즈(70)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밝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렌즈(70)는 실드(50)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렌즈(7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렌즈(70)는 실드(50)가 외부의 먼지 등으로 인해 때가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핀부 편심축(113)의 길이는 하나 이상의 렌즈(70)의 두께보다 긴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핀부 편심축(113)의 길이란 제1 핀부 편심축(113)의 길이 방향으로 적층된 총 렌즈(70)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다.
제1 핀부 편심 회전축(113)의 길이가 제1 핀부 편심 회전축(113)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7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 편심 회전축(113)에 체결하고자 하는 렌즈(70)에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그 반대 방향으로 렌즈(70)의 단부에 가해지는 압착력으로 인해 렌즈(70)의 단부가 들뜨게 되므로 렌즈(7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핀부(11)는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는 제1 핀부 편심축(113)에 렌즈(70)의 체결 시, 렌즈(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렌즈(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는 제1 핀부 편심축(113)에 비해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는 헬멧(1)의 착용자가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렌즈(70)를 체결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는 착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핀부(13)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제2 핀부 편심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 핀부 편심축(133)이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의 회전축인 체결부재(15)가 체결되는 체결홈(135)을 기준으로 헬멧(1)의 전방에 치우치도록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된 렌즈(70)에 헬멧(1)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도 4의 (b)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압착력이 가해져 렌즈(70)가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2 핀부 편심축(133)의 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된 렌즈(70)가 실드(50)에 압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렌즈(70)를 실드(50)의 내측의 오목한 면에 압착시키기 위해서는 렌즈(70)의 양단에 헬멧(1)의 전방을 향한 힘을 가해 렌즈(70)의 양단을 밀어야 한다. 따라서,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렌즈(7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되어 있어, 홈을 통해 제2 핀부 편심축(133)에 렌즈(70)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렌즈(70)는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실드(50)에 습기가 차게 되어 뿌옇게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렌즈(7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렌즈(70)는 주간에 태양 빛이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며, 강한 햇빛이나 반사광 속에서도 충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차광 성능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핀부(13)는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는 제2 핀부 편심축(133)에 렌즈(70)의 체결 시, 렌즈(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핀부 편심축(133)에 체결되는 렌즈(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는 제2 핀부 편심축(133)에 비해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는 제2 핀부(13)가 실드(50)를 기준으로 헬멧 본체부(30)의 내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헬멧 본체부(3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는 헬멧(1)의 착용자가 제2 핀부(13)를 회전시켜 렌즈(70)를 체결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는 착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에는 편심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핀부(13)는 제1 핀부(11)에 비해 크기가 작다. 이는 제2 핀부(13)에 형성된 맞물림돌기(131)를 제1 핀부(11)에 형성된 맞물림홈(111)이 수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크기가 작아 편심축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제2 핀부(13)에 대해, 착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로서 제2 핀부(13)의 구성 중 가장 단부 측에 위치하는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에 편심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착용자가 편심축의 위치를 알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렌즈(7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본 핀 락 장치(10)는 체결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5)는 실드(50)에 형성된 락 끼움 홀(51)을 통해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를 일체로 체결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15)는,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핀부(11)에 회전을 위한 힘을 가했을 때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 시 제2 핀부(13)가 회전되고, 맞물림 접촉 해제 시 제2 핀부(13)가 회전되지 않을정도로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를 일체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체결부재(15)를 통해, 제1 스토퍼(112)의 단부가 제2 핀부(13)에 닿거나 제2 스토퍼(132)의 단부가 제1 핀부(11)에 닿아 마찰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가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재(15)가 나사인 경우 제2 핀부(13)에 나사 물림량이 최소 3턴 이상 확보됨으로써 나사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핀부(11)는 체결부재(15)가 통과되는 체결홀(11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핀부(13)는 체결부재(15)가 체결되는 체결홈(13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5)가 제1 핀부(11)를 통과하여 제2 핀부(13)의 체결홈(135)과 체결됨으로써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를 일체로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5)는 체결홀(115)과도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핀부(11)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부 이탈 방지부(114)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나사 풀림이 방지되는 두께, 이를테면 최소 3턴 이상의 나사 물림량이 확보되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홈(135)의 바닥면은 체결홈(135)에 관입되는 체결부재(15)의 길이를 제한하는 관입 제한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재(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핀부(11)를 회전시켰을 때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 시 제2 핀부(13)가 회전되고, 맞물림 접촉 해제 시 제2 핀부(13)가 회전되지 않는 정도로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범위의 조임은, 체결부재(15)의 둘레가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와 둘레 접촉되고, 체결부재(15)의 선단면이 제2 핀부(13)에 형성된 관입제한면과 선단 접촉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 접촉이란, 예시적으로 체결부재(15)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1 핀부(11)의 체결홀(115)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 및 제2 핀부(13)의 체결홈(135)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암수 결합을 통해 접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접촉이란, 체결부재(15)가 관입제한면과 접촉되되, 관입제한면이 체결부재(15)가 체결홈(135)에 관입되는 정도를 제한시켜 관입제한면과 체결부재(15)의 선단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도록 접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선단 접촉은 전술한 둘레 접촉에 추가적으로 관입제한면과 체결부재(15)의 선단면 사이의 선단 마찰을 더하여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스토퍼(112) 및 제2 스토퍼(132)가 전술한 경우와 다른 형태를 가지며 돌출되는 경우의 본 핀 락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토퍼(112)는 일측면이 제2 스토퍼(132)와 맞물림 접촉되는 면이고, 타측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면이다. 또한, 제2 스토퍼(132)는 일측면이 원주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면이고, 타측면이 제1 스토퍼(112)와 맞물림 접촉되는 면이다.
이 때, 도 5를 참조하면, 원주 방향 및 반대 방향이라 함은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측(도 5에서 보았을 때 위쪽)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어느 일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이 원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 맞물림 접촉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면 접촉 또는 끼움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은 제1 스토퍼(112)의 경사면을 따라 제2 스토퍼(132)의 경사면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핀부(11)가 B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는 경우, 제1 핀부(11)가 제2 핀부(13)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은 탄성 이완될 수 있다.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이 탄성 이완되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이 면 접촉하게 되어 제2 핀부(13)가 제1 핀부(11)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핀부(11)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까지 함께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만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핀부(11)가 A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핀부(11)가 제2 핀부(13)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은 탄성 압축될 수 있다.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이 탄성 압축되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의 면 접촉이 해제되어 제1 핀부(11)만 회전되고 제2 핀부(13)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핀부(11)만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만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이 제1 핀부(11)의 회전에 따라 탄성 이동(압축 및 이완)되는 쿠션 역할을 함으로써, 제1 핀부(11)를 B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핀부(13)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먼저 조절한 후,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 각각에 체결된 렌즈(70)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스토퍼(112) 및 제2 스토퍼(132)의 경우,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가 맞물림 접촉되는 구간에서는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되고,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이 해제되는 구간에서는 제1 핀부(11)만이 회전된다. 즉, 제1 핀부(11)의 회전 구간에 따라 제2 핀부(13)의 회전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스토퍼(112) 및 제2 스토퍼(132)의 경우, 제1 핀부(11)가 제2 핀부(13)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핀부(11)만 회전되고, 제1 핀부(11)가 제2 핀부(13)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된다. 즉, 제1 핀부(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핀부(13)의 회전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핀부(11)는 맞물림홈(111)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바닥유닛(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유닛(116)은 둘레에 회전제한돌기(1161)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홈(111)은 둘레에 바닥유닛(116)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회전제한돌기(1161)와 맞물리는 회전제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11)는 바닥유닛(116)을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부재(117)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핀부(11)를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제한돌기(1161)가 회전제한홈에 맞물리므로 바닥유닛(116)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돌기(116)와 회전제한홈을 통해 제1 핀부(11)와 바닥유닛(1161)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제한돌기(1161)의 개수는 회전제한홈의 개수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제한돌기(1161)는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제한돌기(1161)가 맞물리도록 회전제한홈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핀부(11)을 B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바닥유닛(116)도 B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1 스토퍼(112)가 제2 스토퍼(132)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제1 핀부(11)를 B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이 맞물림 접촉되고, 탄성부재(117)가 이완되어 제2핀부(13)는 제1 핀부(11)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핀부(11)를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핀부(13)까지 함께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의 조작만으로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제1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바닥유닛(116)도 A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1 스토퍼(112)가 제2 스토퍼(132)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제1 스토퍼(112)의 연직면과 제2 스토퍼(132)의 연직면의 맞물림 접촉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17)가 압축되어 제1핀부(11)만 회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핀부(11)만 회전되므로,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체결된 렌즈(70)만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7)는 제1 핀부(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탄성 이동(압축 및 이완)됨으로써, 제1 핀부(11)를 B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핀부(13)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먼저 조절한 후, 제1 핀부(11)를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핀부(11)에 렌즈(70)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에 체결된 렌즈(70)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핀 락 장치(1)에 따르면, 제1 핀부(11)의 회전을 통해 제1 스토퍼(112)와 제2 스토퍼(132)의 맞물림 접촉 여부를 조절함으로써,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 중 하나만이 회전되거나,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가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실드(50) 내외측의 렌즈(70) 각각이 본 핀 락 장치(1)에 체결되는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11)의 회전을 통해 제1 핀부 편심축(113)과 제2 핀부 편심축(13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실드(50)의 내외측에 체결된 렌즈(70)가 실드(50)에 밀착 또는 압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50) 내외측의 렌즈(70)의 체결이 착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5)의 선단면이 제2 핀부(13)에 구비된 관입제한면과 맞닿도록 체결됨으로써, 제1 핀부(11)에 회전 조작을 위한 힘을 가했을 때 제2 핀부(13)가 회전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의 체결이 풀리지 않는 정도의 적정한 조임을 만족하도록 체결부재(15)를 제1 핀부(11) 및 제2 핀부(13)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핀부 이탈 방지부(134)에 편심 방향이 표시됨으로써, 편심축의 위치를 알 수 있어 렌즈의 체결되는 정도의 조절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 편심축(113)의 길이가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7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핀부(11)를 회전시켜 제1 핀부 편심축(113)에 체결되는 렌즈(70)에 인장력을 가하여 렌즈(70)의 단부에 발생된 압착력으로 인해 렌즈(70)의 단부가 들뜨게 되므로 렌즈(7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1 핀부(11)는 외측 핀부, 제2 핀부(13)는 내측 핀부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 핀부(11)는 내측 핀부, 제2 핀부(13)는 외측 핀부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이하 '본 헬멧'이라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앞서 살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락 장치(10)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헬멧(1)은 헬멧 본체부(3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헬멧 본체부(30)는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착용자의 머리형에 맞도록 밀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헬멧 본체부(30)는 전면에 시야 확보를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헬멧(1)은 실드(50)를 포함한다.
실드(50)는 주행 시 전방에서 전달되는 바람이나 비, 눈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개방부에 체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드(50)는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도 있고, 헬멧 본체부(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실드(5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실드(50)의 상부에는 헬멧 본체부(30)와 충돌되는 경우 실드(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고무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본 헬멧(1)은 본 핀 락 장치(1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핀 락 장치(10)는 락 끼움 홀(51)을 통해 실드(50)의 양측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락 끼움 홀(51)은 제2 핀부(13)가 관통되어 제1 핀부(11)에 수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 홀을 지칭한다.
락 끼움 홀(51)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베어링은 핀 락 장치(1)가 실드(50)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흡수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핀 락 장치(10)는 실드(50)의 상, 하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때, 핀 락 장치(10)는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위치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헬멧(1)은 착용자가 헬멧(1)을 착용하고 실드(50)의 내외측에 렌즈(70)를 각각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본 헬멧(1)은 제1 핀부(11)에 체결되는 렌즈(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헬멧(1)은 제2 핀부(13)에 체결되는 렌즈(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핀부(11)가 실드(50)를 기준으로 헬멧 본체부(3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핀부 편심축(113)에는 실드(50)의 손상을 방지하는 렌즈(70)가 하나 이상 체결될 수 있고, 제2 핀부 편심축(133)에는 습기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렌즈(70)가 하나 이상 체결될 수 있다.
제1 핀부(11)와 제2 핀부(13)에 체결되는 렌즈(7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 헬멧 본체부에 체결되는 실드의 핀 락 장치에 있어서,
맞물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홈의 바닥면에 제1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핀부; 및
상기 맞물림홈과 맞물리는 맞물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돌기의 단부면에 제2 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실드에 형성된 락 끼움 홀을 통해 상기 제1 핀부와 체결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핀부와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가 회전 방향에 대해 맞물림 접촉되는 경우 함께 회전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제1 핀부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 편심축에 하나 이상의 렌즈가 체결되고,
상기 제1 핀부 편심축의 길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렌즈의 두께보다 긴 것인 핀 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는,
상기 제1 핀부 편심축에 렌즈의 체결 시 상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핀부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부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제2 핀부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제2 핀부 편심축에 렌즈의 체결 시 상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핀부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부 이탈 방지부에는 편심 방향이 표시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 끼움 홀을 통해 상기 제1 핀부와 상기 제2 핀부를 일체로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핀 락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통과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핀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홈의 바닥면은,
상기 체결홈에 관입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길이를 제한하는 관입제한면인 것인 핀 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일측면이 상기 제2 스토퍼와 맞물림 접촉되는 면이고, 타측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면이며,
상기 제2 스토퍼는 일측면이 상기 원주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면이고, 타측면이 상기 제1 스토퍼와 맞물림 접촉되는 면이며,
상기 맞물림 홈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스토퍼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 스토퍼의 경사면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부는,
상기 맞물림홈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바닥유닛; 및
상기 바닥유닛을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핀 락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유닛은 둘레에 회전제한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맞물림홈은 상기 바닥유닛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둘레에 상기 회전제한돌기와 맞물리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는 것인 핀 락 장치. - 헬멧에 있어서,
헬멧 본체부;
실드; 및
제 1 항에 따른 핀 락 장치를 포함하는 헬멧.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부 및 상기 제2핀부 중 하나 이상에 체결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2/005523 WO2014010765A1 (ko) | 2012-07-12 | 2012-07-12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735A KR20150017735A (ko) | 2015-02-17 |
KR101621834B1 true KR101621834B1 (ko) | 2016-05-17 |
Family
ID=4991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4886A KR101621834B1 (ko) | 2012-07-12 | 2012-07-12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67725A1 (ko) |
KR (1) | KR101621834B1 (ko) |
DE (1) | DE112012006693T5 (ko) |
WO (1) | WO201401076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71478B2 (en) | 2016-09-26 | 2019-08-06 | Kimberley Beadie Sexton | Bench block to aid in disassembling and cleaning a handgu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160B1 (ko) | 2009-09-29 | 2011-08-02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69512A (en) * | 1975-05-12 | 1978-01-24 | Tore Georg Palmaer | Locating device for ear-muffs on helmets |
JP3891623B2 (ja) * | 1996-12-17 | 2007-03-14 | 株式会社Shoei |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取付け機構 |
KR100650994B1 (ko) * | 2005-03-16 | 2006-12-14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헬멧용 실딩 장치 |
DE602007011933D1 (de) * | 2007-09-18 | 2011-02-24 | Opticos Srl | Sicherheitshelm mit zusätzlichem Innenvisier |
-
2012
- 2012-07-12 US US14/413,389 patent/US201501677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7-12 WO PCT/KR2012/005523 patent/WO20140107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7-12 KR KR1020147034886A patent/KR1016218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7-12 DE DE201211006693 patent/DE112012006693T5/de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160B1 (ko) | 2009-09-29 | 2011-08-02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735A (ko) | 2015-02-17 |
US20150167725A1 (en) | 2015-06-18 |
WO2014010765A1 (ko) | 2014-01-16 |
DE112012006693T5 (de) | 2015-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1698B2 (en) | Mounting assembly for a face shield | |
US11744313B2 (en) | Protective helmet | |
US20110302701A1 (en) | Posi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hin guard and visor plate of helmet | |
KR101053160B1 (ko)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
US8635715B2 (en) | Helmet and visor locking mechanism | |
US9289879B2 (en) | Hinge assembly for an angle grinder dust shroud | |
CA3083089A1 (en) | Headband arrangement and welding helmet equipped with the same | |
US20120222199A1 (en) | Mounting Assembly for a Face Shield | |
KR101621834B1 (ko) |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
KR20200068372A (ko) |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 |
US6253386B1 (en) | Activating device of a visor for motorcyclist helmets | |
US7673349B2 (en) | Headwear with integrated spectacles | |
FR3041216A1 (fr) | Structure de casque jet avec une visiere integree | |
US4153952A (en) | Polarized face shield | |
JP2011045617A (ja) | 遊技機 | |
US20130036532A1 (en) | Dual lens helmet | |
EP2242388B1 (fr) |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la tête avec coque amovible | |
CA2802381A1 (en) | Mounting assembly for a face shield | |
KR101443259B1 (ko) | 헬멧 | |
US20030155192A1 (en) | Unidirectional adjustment mechanism for a disk used in a bicycle | |
EP4302625A1 (en) | Rotating means for helmet | |
KR100388726B1 (ko) |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 |
KR200295957Y1 (ko) | 차광 모자 | |
JP4480953B2 (ja) | ばね丁番 | |
AU2005100768A4 (en) | Positioning shaft of a dual direction cable r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