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627B1 -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 Google Patents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627B1
KR101621627B1 KR1020140190275A KR20140190275A KR101621627B1 KR 101621627 B1 KR101621627 B1 KR 101621627B1 KR 1020140190275 A KR1020140190275 A KR 1020140190275A KR 20140190275 A KR20140190275 A KR 20140190275A KR 101621627 B1 KR101621627 B1 KR 10162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targ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우찬
신익섭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9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6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lated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and a policy providing server and a related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The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llects positional displacement information; and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ich receives the positional displac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stablishes an individualized area for offloading based on the positional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 policy corresponding to the established area for offloa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정책제공서버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receiving the network policy, a policy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정책제공서버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였다가 비주기적으로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주기적인 정보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를 경감시키며, 정책제공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 이력에 기반하여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달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 망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정책제공서버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a policy providing server, and a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policy providing server selects a region to be offloaded based on the movement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livers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receiving the network policy, a policy providing ser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network policy, which can reduce the load of the network b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네트워크 통신기술 및 디지털 전자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타인과 음성을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gital electronic technology, the user is able to easily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as well as the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erson at any tim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독창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비하여 커다란 장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great advantage over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at they can freely install an application desired by a user, thereby allowing a user to construct an original interface.

한편,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Wi-Fi) 등의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가입자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액세스 네트워크의 정책정보를 알려주며, 이동통신단말기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정책정보에 기반하여 최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rec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hen various access networks such as LTE (Long Term Evolution), Wi-Fi (Wi-Fi) are pres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s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lect the optimal access network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access network received from the system.

이와 같이 최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주기적으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시스템에 보고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액세스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책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알려주어야만 한다.In order to select the optimal access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iodically repor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According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olicy information related to all access networks must be notif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장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선택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주기적으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시스템에 보고하여야 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치정보의 전송은 망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책정보를 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망에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periodically reported to the system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selection of the access network is not required, the transmission of the frequently occurr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 burden on the network .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to infor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ll the policy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network, the amount of data used for providing the service is increased and the network is burden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1515호 (공개일자: 2012. 09. 13)Published Japanese Translation of PCT Application No. 10-2012-0101515 (Published on Mar. 13, 20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였다가 비주기적으로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주기적인 정보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를 경감시키며, 정책제공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 이력에 기반하여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달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 망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정책제공서버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llect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periodically to a server,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that can reduce an amount of data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ransmitting a polic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lecting an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a movement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for receiving the network policy, a policy providing serv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network polic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은,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정보를 수신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화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책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llect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a policy for receiving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n individual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olicy corresponding to the set off-load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ver.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집된 위치이동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cess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하는 이동정보기록부; 네트워크에 접속 시,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하는 이동정보전송부; 및 정책제공서버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하는 정책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for collecting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 mov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en accessing the network; And a polic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이동정보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하는 접속순위설정부; 및 접속순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rank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connection rank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wh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connectable; And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order set by the connection order setting unit.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지역판단부; 및 대상지역판단부에 의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정책제공서버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하는 오프로딩문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책수신부는 오프로딩문의부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로딩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정책을 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target are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offloading target area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an offloading inquiry unit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s offload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target area determining unit that the area is the offloading target area. In this case, the policy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olicy based on the offloading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inquiry by the offloading inquiry un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제공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네트워크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제공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이력정보수신부; 이력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는 대상지역설정부; 및 대상지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책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icy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network polic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target area setting unit for setting an off-loading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a policy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정책제공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하는 문의신호수신부; 및 문의신호수신부를 통해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대상지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책전송부는 응답신호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송한다.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cludes an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inquiry signal about whether or not to offloa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In this case, the policy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unit.

여기서, 대상지역설정부는 이력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설정된 횟수 이상 접속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한다.Here,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sets the area ac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에 있어서,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네트워크에 접속 시,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정책제공서버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eiving a network policy perform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 Transmitt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en accessing the network; And receiving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전술한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위치이동정보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접속순위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connection order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order of existing access history based on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ed by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step wh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connectable; And accessing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order set by the connection order setting step.

전술한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은,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프로딩 대상지역 판단단계에 의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정책제공서버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책 수신단계는 오프로딩 여부 문의단계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로딩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정책을 수신한다.The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area to be offloaded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querying the policy providing server for off-load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is the off-loading target region by the off-loading target region determining step. In this case, the policy receiving step receives the policy based on the offloading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inquiry by the inquiry step of offload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은, 정책제공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력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policie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n offloa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And transmitting th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문의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책 전송단계는 응답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송한다.The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an inquiry signal about offloading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ing step. In this case, the policy transmitting step transmits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step.

여기서,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는 이력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설정된 횟수 이상 접속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한다.Here,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sets an area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ccess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s an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였다가 비주기적으로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주기적인 정보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s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periodically to the server, thereby reducing the network load due to the periodic information transmission.

또한, 정책제공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 이력에 기반하여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달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전달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 망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licy providing server selects an offloading area based on the movement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network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제공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icy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network poli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network poli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정책제공서버 및 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a policy providing server, and a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정책제공서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policy providing server 20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그 변위에 따라 기록하며, 네트워크에 접속 시 기록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집 및 기록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네트워크에 접속 시에 비주기적으로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llect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ords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and transmits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recorded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iodically transmits the collected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when accessing the network.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위치이동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정책제공서버(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화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정책제공서버(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이동한 지역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한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의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the network. At this time, the policy providing server 100 sets an individual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a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 Lt; / RTI > In this case,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olicy providing server 100 may notify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moved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policy of th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set off-load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집된 위치이동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현재의 위치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가 복수 개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집 및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접속이력이 가장 많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access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hat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etworks connectabl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access the network having the largest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llected and record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정보기록부(110), 이동정보전송부(120), 정책수신부(130), 접속순위설정부(140), 네트워크접속부(150), 대상지역판단부(160) 및 오프로딩문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2,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110, a mov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a policy reception unit 130, a connection order setting unit 140, A destination area determination unit 160, and an offloading inquiry unit 170. [0034]

이동정보기록부(110)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한다. 즉, 이동정보기록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가 변위될 때마다 위치이동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기록한다.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110 collects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s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That is, 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110 collects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every tim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splaced, and records the position movement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이동정보전송부(120)는 네트워크에 접속 시,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한다. 즉, 이동정보전송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LTE망, 와이파이망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수집 및 기록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한다.The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0 transmits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en accessing the network.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the network such as the LTE network or the Wi-Fi network, the mov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 transmits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and recorded location movement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

정책수신부(130)는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한다. 즉, 정책수신부(130)는 이동정보전송부(120)에 의해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네트워크의 정책정보를 수신한다.The policy receiving unit 130 receives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 That is, in response to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by the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0, the policy receiving unit 130 receives the policy information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in the area set as the off- And receives policy information of the Korean network.

접속순위설정부(140)는 이동정보기록부(110)에 의해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한다. 즉, 정책수신부(130)가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정책정보는 AP 접속에 대한 정책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강제성은 없으며, 접속순위설정부(140)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범위 이내의 네트워크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AP(Access Point)가 복수인 경우에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접속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ranking setting unit 140 sets the access ranking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110. [ That is,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network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by the policy receiving unit 130 may include policy information for the AP connection, but there is no impossibility of the policy information, and the connection ranking setting unit 140 sets the current pos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Ps) tha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within a range in which connection is possible, the connection order can be set in the ascending order of connection history.

네트워크접속부(150)는 접속순위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때, 네트워크접속부(150)는 접속순위설정부(140)에 의해 설정된 네트워크의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현재의 위치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범위 이내의 네트워크 중 접속이력이 가장 많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The network connection unit 150 connects to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order set by the connection order setting unit 140. At this time,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50 can connect to the network having the largest connection history among the networks within the connection range from the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access ranking of the network set by the connection ranking setting unit 140. [

대상지역판단부(160)는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대상지역판단부(160)는 이전의 네트워크 접속 시에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정책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에 접속한 네트워크가 오프로딩 대상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rea is an off-loading area when accessing the network. At this time, the target area determination unit 160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offloading area,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network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t the previous network access.

오프로딩문의부(170)는 대상지역판단부(160)에 의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정책제공서버(200)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한다. 즉, 대상지역판단부(160)에 의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프로딩문의부(170)는 정책제공서버(200)에 오프로딩이 가능한 네트워크 정책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한다. 이 경우, 정책수신부(130)는 오프로딩문의부(170)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로딩 응답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의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The offloading inquiry unit 170 inquires of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bout whether or not the offloading inquiry unit 170 is to be offload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area determining unit 160 is the offloading target area.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currently connected by the target area determining unit 160 is an offloading target area, the offloading inquiry unit 170 inquires of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whether there is a network policy that can be offloaded do. In this case, the policy receiving unit 130 may receive the policy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ffloading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inquiry by the offloading inquiry unit 170.

이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이동의 이력을 수집 및 기록하며, 네트워크의 접속 시에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정책제공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줄여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llects and records the history of the location movement, and transmits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when the network is connec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unnecessarily The information can be reduced and the burden on the network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제공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제공서버는 도 1에 나타낸 정책제공서버(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icy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력정보수신부(210), 대상지역설정부(220), 정책전송부(230), 문의신호수신부(240) 및 응답신호전송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0, a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a policy transmitting unit 230, an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240, And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50.

이력정보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한다. 즉, 이력정보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어느 지역으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수신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0 receives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at is,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0 receives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대상지역설정부(220)는 이력정보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한다. 이때, 대상지역설정부(220)는 이력정보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설정된 횟수 이상 이동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대상지역설정부(220)는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정책이 존재하는 지역이 지역 A, 지역 B, 지역 C, 지역 D, 지역 E 및 지역 F라고 가정할 때, 이동통신단말기1이 설정된 횟수 이상 이동한 지역이 지역 A, 지역 B, 및 지역 C이고, 이동통신단말기2가 설정된 횟수 이상 이동한 지역이 지역 D, 지역 E, 및 지역 F라고 하면, 대상지역설정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1에 대해서는 지역 A, 지역 B, 및 지역 C를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이동통신단말기2에 대해서는 지역 D, 지역 E, 및 지역 F를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sets an offloading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0. [ At this time,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sets the area mov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s moved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0 . In this case, since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can set an off-loading area corresponding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o.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egion where the policy of the network exists is Region A, Region B, Region C, Region D, Region E and Region F, the region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oves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is the region A, B, and C, and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has moved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is the area D, the area E, and the area F,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sets the area A, , And the area C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s, an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the area D, the area E, and the area F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s.

정책전송부(230)는 대상지역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정책전송부(230)는 대상지역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책만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전술한 예의 경우, 정책전송부(230)는 이동통신단말기1에 지역 A, 지역 B, 및 지역 C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책만을 전송하며, 이동통신단말기2에 지역 D, 지역 E, 및 지역 F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책만을 전송할 수 있다.The policy transmitting unit 230 transmits th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at is, the policy transmission unit 230 transmits only the network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above example, the policy transmission unit 230 transmits only the network policies corresponding to the area A, the area B, and the area C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the area D, the area E, Only the corresponding network policy can be transmitted.

문의수신부(2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한다. 즉, 문의수신부(240)는 특정 지역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지역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책이 존재하는지의 문의신호를 수신한다.The inquiry receiving unit 240 receives an inquiry signal as to whether or no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ffloaded. That is, the inquiry receiving unit 240 receives an inquiry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in the specific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licy for the network in the corresponding area.

응답신호전송부(250)는 문의신호수신부(240)를 통해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대상지역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즉, 응답신호전송부(250)는 문의신호수신부(24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대상지역설정부(220)에 의해 해당 지역이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정책전송부(230)는 응답신호전송부(250)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정책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정책전송부(230)는 응답신호전송부(25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지역이 네트워크 정책이 존재하는 지역에 해당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해당 네트워크 지역에 접속한 횟수가 설정된 횟수에 부합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해당 네트워크 지역에 대한 정책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240,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unit 25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220. [ That is, 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240,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region is set as an offloading target region by the target region setting unit 220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perating. In this case, the policy transmitting unit 230 may transmit the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unit 250. That is, the policy transmiss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area of the network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by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unit 250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network policy exis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policy for the corresponding network area when the number of accesses to the area matches the set number of tim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은 도 2에 도시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network poli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policy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hown in FIG.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한다(S110).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llect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S11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한다(S120). 즉,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범위 이내의 네트워크에 대하여,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접속순위를 설정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connection order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record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S120).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connection order in the order of the highest connection history, for the networks within the range where connection is possible from the current position.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S130).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설정된 네트워크의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현재의 위치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범위 이내의 네트워크 중 접속이력이 가장 많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the network based on the set access ranking (S130).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connect to the network having the largest connection history among the networks within the connection range from the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connection rank of the established network.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전의 네트워크 접속 시에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정책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에 접속한 네트워크가 오프로딩 대상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the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n offloading area (S140).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the offloading area,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network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t the previous network connection.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 지역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S150), 정책제공서버(200)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한다(S160). 즉,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정책제공서버(200)에 오프로딩이 가능한 네트워크 정책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한다.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ly accessed network area is an offloading target area (S1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quires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bout whether to offload (S160).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is an offloading target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quires of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whether there is a network policy that can be offloaded.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 지역에 대한 정책이 존재하는 경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한다(S170). If there is a policy for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S170).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한다(S180). 즉,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정책제공서버(200)에 전송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대응하여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 지역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경우, 정책제공서버(200)로부터 해당 네트워크 접속지역을 포함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네트워크의 정책정보를 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the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at step S180. That is, when the currently accessed network area corresponds to the off-loa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policy- And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network for the area set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은 도 3에 나타낸 정책제공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network poli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shown in FIG.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한다(S210). 즉,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어느 지역으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10). That is,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정책제공서버(200)는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한다(S220). 이때, 정책제공서버(200)는 수신되는 위치이동의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설정된 횟수 이상 이동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이동의 이력정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책제공서버(200)는 각각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sets an offloading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the received history information (S220). At this time,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can set an area that is moved more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location movement. In this case, since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can set an offloading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정책제공서버(200)는 현재 네트워크에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한다(S230). 즉, 정책제공서버(200)는 특정 지역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지역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책이 존재하는지의 문의신호를 수신한다.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an inquiry signal about offload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urrently connected to the network (S230). That is,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an inquiry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nected through the specific area network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licy for the network in the area.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240). 즉, 정책제공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접속한 네트워크의 지역이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the set off-loading target area (S240). That is, when the inqui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rea of the network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is set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정책제공서버(200)는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50). 이때, 정책제공서버(200)는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정책만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문의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해당 네트워크 접속지역이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된 것으로 응답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해당 네트워크 지역을 포함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한 네트워크 정책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transmits th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set off-load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250). At this time, the policy providing server 200 can transmit only the network policy corresponding to the set off-loading target area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inquiry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a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the corresponding network connection area is set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And may transmit the network policy for the loa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laims (14)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화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책제공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집된 위치이동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정책제공 시스템.
A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llect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n individual off-load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 policy corresponding to the off-loading are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licy providing server;
/ RTI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llected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ccesses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하는 이동정보기록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동정보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하는 접속순위설정부;
상기 접속순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네트워크에 접속 시,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하는 이동정보전송부; 및
상기 정책제공서버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하는 정책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for collecting the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 connection orde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connection order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nectable access points;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order set by the connection order setting unit;
A mov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collec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en accessing the network; And
A polic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지역판단부; 및
상기 대상지역판단부에 의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책제공서버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하는 오프로딩문의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책수신부는 상기 오프로딩문의부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로딩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 target are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rea to be offloade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An offloading inquiry part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s offload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target area determining part that it is an offloading target area;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olicy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olicy based on an offloading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an inquiry by the offloading inquiry unit.
이동통신단말기에 네트워크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이력정보수신부;
상기 이력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는 대상지역설정부; 및
상기 대상지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정책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지역설정부는 상기 이력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설정된 횟수 이상 접속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제공서버.
A policy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network polic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rget area setting unit for setting an off-loading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A policy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policy corresponding to an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RTI >
Wherein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sets the area ac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s the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하는 문의신호수신부; 및
상기 문의신호수신부를 통해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대상지역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책전송부는 상기 응답신호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제공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 inquiry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quiry signal about whether to offloa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spons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n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target area setting unit when an inquiry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olicy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unit.
삭제delete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에 있어서,
위치이동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위치이동정보 기록단계에 의해 기록된 위치이동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접속이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접속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접속순위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접속순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네트워크에 접속 시, 수집되는 위치이동정보를 정책제공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책제공서버에 전송된 위치이동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개별화된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A method for receiving a network policy perform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llect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Setting a connection order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xisting connection history based on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ed by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rding step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nectable access points;
Connecting to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order set by the connection order setting step;
Transmitting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when accessing the network; And
Receiving an individualized policy corresponding to an area to be offload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olicy providing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접속 시, 오프로딩 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로딩 대상지역 판단단계에 의해 오프로딩 대상지역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책제공서버에 오프로딩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책 수신단계는 상기 오프로딩 여부 문의단계에 의한 문의에 대응하여 상기 정책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로딩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정책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정책 수신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etermining whether the area is an offloading area when connecting to a network; And
Inquiring the policy providing server for off-loading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off-loading target area by the off-loading target area determining step;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olicy receiving step receives the policy based on an offloading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policy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an inquiry by the inquiry step of the offloading.
정책제공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위치이동에 대한 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력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대상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대응하는 정책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는 상기 이력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설정된 횟수 이상 접속한 지역을 오프로딩 대상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
A network policy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policy providing server,
Receiving history information on location movem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ting an offloa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And
Transmitting a policy corresponding to an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RTI >
Wherein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sets the area ac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as an offloading target area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오프로딩 여부에 대한 문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신호 수신단계를 통해 문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오프로딩 대상지역 설정단계에 의해 설정된 오프로딩 대상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책 전송단계는 상기 응답신호 전송단계에 의해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정책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정책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an inquiry signal about whether or not to offloa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n off-loading target area set by the off-loading target area setting step when an inquiry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quiry signal receiving step;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policy transmission step transmits a polic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in the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step.
삭제delete
KR1020140190275A 2014-12-26 2014-12-26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KR101621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275A KR101621627B1 (en) 2014-12-26 2014-12-26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275A KR101621627B1 (en) 2014-12-26 2014-12-26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627B1 true KR101621627B1 (en) 2016-05-17

Family

ID=5610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275A KR101621627B1 (en) 2014-12-26 2014-12-26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6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2692A (en) * 2021-09-24 2021-12-28 中国移动通信集团陕西有限公司 Servic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3506A (en) 2010-07-13 2012-02-02 Sony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hange-over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3506A (en) 2010-07-13 2012-02-02 Sony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hange-over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2692A (en) * 2021-09-24 2021-12-28 中国移动通信集团陕西有限公司 Servic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852692B (en) * 2021-09-24 2024-01-30 中国移动通信集团陕西有限公司 Servic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7679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US10645698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assignment method
US11979786B2 (en) Network nodes for joint MEC host and UPF selection
KR20230016659A (en) Down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110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information related to mutual communication property between a terminal and access points of a wireless network to be used in connecting to the wireless network
US10237815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frequency assignment method
JPWO2010035805A1 (en)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KR20110111506A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1801259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resource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7014920A1 (en) Hierarchical spectrum offload
KR102341584B1 (en) Communication quality adjustment system
US20220183018A1 (en) Sidelink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US11444677B2 (en) Communication devices for efficient beam management
JP6455757B2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allocation method
EP1545147B1 (en) Method for avoiding database overflow in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KR101550192B1 (en) Method,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y selecting type of communicaton network
WO2015150717A1 (en) Access point selection depending on signal strength and load
JP6965945B2 (en) Base station equipment, service provision methods and programs
JP7488359B2 (en) Conditional Measurement Reporting Mode for Positioning
KR101621627B1 (en) Network Policy Providing System, Mobile and Policy Receiving Method, Policy Providing Server and Policy Providing Method
GB2491754A (en) Method and system for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2602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providing reference information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and utilizing said information
KR101243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s of a wireless network and utilizing said information
KR102578339B1 (en) Methods of signal reporting, terminal devices and network devices
US10750547B2 (en) Beamforming based on combined b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