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932B1 -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932B1
KR101620932B1 KR1020150188344A KR20150188344A KR101620932B1 KR 101620932 B1 KR101620932 B1 KR 101620932B1 KR 1020150188344 A KR1020150188344 A KR 1020150188344A KR 20150188344 A KR20150188344 A KR 20150188344A KR 101620932 B1 KR101620932 B1 KR 10162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ed
shaft
distributed power
oper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애
Original Assignee
(주)대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기술 filed Critical (주)대광기술
Priority to KR102015018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산전원에 지능형 전자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분산전원의 배전계통연결을 제어함으로써 분산전원을 통해 건전구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분산전원에 연결된 지능형 전자장치와 배전계통의 지능형 전자장치의 정보교환을 통해 인적자원 소모 없이도 건전구간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나아가 분산전원을 통해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변전설비의 예비율을 낮추는 한편 분산전원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Power control unit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계통 고장 발생시 불필요하게 정전을 경험하는 건전구간에 분산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정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Station Level의 중앙관리장치, Bay Level의 지능형 전자장치, 현장 배전 및 변전설비로부터 동작특성값을 획득하는 Process Level의 센서를 구비한다.
이 중 Bay Level의 지능형 전자장치는 Process Level의 센서로부터 전류, 전압 또는 제어값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Station Level의 중앙관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특히, 배전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전자동화 보호기기용 지능형 전자장치(FIED:Feeder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는 배전선로 고장발생시 리클로저 등의 보호기기를 통해 변전소로부터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고장발생정보를 Station Level의 중앙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이때 배전자동화 개폐기용 FIED는 고장 발생정보를 중앙관리 장치로 전송하면 시스템의 운영자가 고장발생정보를 분석하고, 개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배전자동화 개폐기용 IED로 전송함으로써, 고장구간을 계통에서 분리하여 정전이 광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에 있어서, 고장구간을 계통에서 분리하게 되면, 선로 사고로 인해 불필요하게 정전을 경험하는 건전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건전구간의 불필요한 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건전구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전구간에 필요한 전력량과 이 구간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여유 용량을 가지고 있는 연계선로를 시스템 운영자가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실제 고장 발생시 건전구간과 해당 연계선로간의 상시개방점을 투입하여 건전구간으로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즉, 종래 시스템에서 건전구간의 정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운영자가 배전자동화용 개폐기로 구분된 각 구간의 필요 부하량과 해당 선로들의 여유용량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실제 선로 사고 발생시, 운영자의 인지된 정보를 경험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언제 어느 구간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선로 사고에 적합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운영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거하여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운영상의 불안정함을 내포하는 것이고, 나아가 각 배전선로에는 정전에 대비하여 건전구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여유용량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배전계통의 설비 이용률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산전원을 배전계통과 연계하여 배전계통 사고로 인해 불필요하게 정전을 경험하는 건전구간의 전력을 분산전원을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력품질을 향상시키고, 배전계통의 설비 이용율을 증가시키며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66953호(2013.05.16.)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분산전원에 지능형 전자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분산전원의 배전계통연결을 제어함으로써 분산전원을 통해 건전구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분산전원에 연결된 지능형 전자장치와 배전계통의 지능형 전자장치의 정보교환을 통해 인적자원 소모 없이도 건전구간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나아가 분산전원을 통해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변전설비의 예비율을 낮추는 한편 분산전원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선로에 발생하는 고장전류로부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 및 고장조류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 및 고장조류의 방향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며, 분산전원에 연계된 각 배전선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량을 연산하는 배전자동화용 IED;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장정보를 토대로 건전구간을 판단하고, 상기 각 배전선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량 및 상기 분산전원의 공급가능 전력량을 토대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건전구간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상기 건전구간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토대로 상기 분산전원으로부터 상기 건전구간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분산전원의 상기 배전계통으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분산전원용 IED; 및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장구간이 상기 배전계통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에 연계된 개폐기의 투입·개방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장치를 갖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리클로저이며, 상기 리클로저는 케이싱(c)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베벨 기어(2a) 및 이에 교합되는 제2베벨 기어(2b)로 된 방향 절환 기어군(2)과; 상기 제2베벨 기어(2b)를 일측에 축 지지하여 일체로 연동되는 웜샤프트(3a) 및 이에 교합되는 웜휠(3b)로 된 웜 기어군(3)과; 상기 웜휠(3b)의 일측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정역 래칫(4) 및 상기 웜휠(3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끼움되는 것으로 일측에 정역 래칫(4)이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연동 회전되게 하는 정역 래치홈(5a)이 형성되는 샤프트(5)와; 상기 샤프트(5)의 일단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크랭크(6) 및 이 크랭크(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c)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7)과; 상기 샤프트(5)의 일측에 각형 끼움구조로 축결합되는 원판형의 부재로 일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8)와; 상기 샤프트(5)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면서 일측에는 조인트(8)의 돌출부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정역 연동되어 회전에 의한 스위칭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 끝단은 케이싱(c)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각으로 가공되는 아웃 샤프트(9)와; 상기 아웃 샤프트(9)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에 의해 승강되는 2절 링크(10) 및 이 2절 링크(1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트(b) 상에 구비되어 2절 링크(10)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접촉에 의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정역 리미트(11);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로저는 위치이동유닛(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은 상기 케이싱(c)이 설치되는 벽면 상에 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5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봉(52)에는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끼워져 활주 가능하도록 상부새들롤(54)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하부 개방형 상부케이스(56)와, 하부새들롤(58)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상부 개방형 하부케이스(60)가 결속커버(62)에 의해 구속되도록 조립되어 구성되며; 상기 결속커버(62)는 'ㄷ' 형상이며, 일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폭을 갖는 슬릿(6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56)의 하단은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상부플랜지(6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60)의 상단도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하부플랜지(6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롤(54)과 하부새들롤(58) 사이에 가이드봉(52)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66)와 결속커버(62)의 상단 사이 및 하부플랜지(68)와 결속커버(62)의 하단 사이에 각각 팽창스프링(70)을 개재시키고 결속볼트(72)를 각각 슬릿(64)을 관통하여 각각 상부플랜지(66) 및 하부플랜지(68)에 체결하여 가이드봉(52)을 탄압하면서 맞물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60)의 하단면에는 고정브라켓(7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76)에는 브라켓고정구멍(78)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고정구멍(78)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상기 케이싱(c)의 상면 앞,뒤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을 가이드봉(52)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위치고정을 위해 위치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스(56)의 길이방향 선단면에 고정되는 위치고정실린더(80)와, 상기 위치고정실린더(80)의 하단에 접속된 실린더로드(82)와, 상기 실린더로드(82)의 단부에 고정된 위치고정편(84)과, 상기 위치고정편(84)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52)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편삽입홈(8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전원에 지능형 전자장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분산전원의 계통연결을 제어함으로써, 분산전원을 통해 건전구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분산전원에 연결된 지능형 전자장치와, 배전계통의 지능형 전자장치의 정보교환을 통해, 인적자원 소모 없이도 건전구간에 전원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인적오류에 의한 실수를 최소화하는 한편, 정전사고 발생시 전자 장치에 의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이다.
도 2는 배전계통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IED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용 IED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의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를 구성하는 워엄휠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의 아웃 샤프트에 연동되는 요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의 아웃사프트에 연동되는 2절 링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40)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산전원(40)을 이용한 건전구간의 전원공급 시스템은, 배전자동화용 IED(100), 분산전원용 IED(200) 및 중앙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배전선로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며, 배전계통에서 선로 사고가 발생하면, 선로사고 이벤트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하여 배전자동화 시스템 운영자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단 일시고장이 발생하면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고장전류로부터 배전계통의 고장여부, 고장조류의 방향을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하는 경우 FI(Fault Indicator)정보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장치(300)는 일단 일시고장인 경우 배전자동화용 IED(100)들로부터 제공되는 고장정보로부터 고장구간을 판단하여 배전자동화용 IED(100)에 개폐기(30) 조작명령을 전송한다.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개폐기(30) 제어 수행 후 그 결과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고장처리절차를 진행한다.
즉,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배전선로의 과전류를 계측하여, 리클로저(Recloser)의 보호기기(20)를 통해 선로를 차단하고, 이를 통해 보호기기(20)의 부하단이 무전압이 되면 개폐기를 통해 배전선로의 고장을 검출하게 된다.
또한, 중앙관리장치(30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개폐기의 투입·개방을 제어함으로써, 고장구간이 배전계통에서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분산전원용 IED(200)로 고장발생정보를 송신하여, 분산전원용 IED(200)가 분산전원(40)을 통해 건전구간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분산전원(40)과 배전자동화용 IED(100) 사이에 존재하는 부하단에 대해 평균부하전류를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부하단에 대한 부하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평균부하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간대별 부하단이 소모하는 평균 전력량을 연산할 수 있고, 배전자동화용 IED(100)가 연산한 정보는 분산전원용 IED(200)로 전송되어, 배전계통의 고장 발생시 분산전원(40)을 통해 공급할 전력량을 산정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과 연결되어, 배전계통 고장 시 분산전원(40)이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정한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의 발전량과 배터리 저장량에 기초하여 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평균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폐기(30)로 구분되는 배전선로의 구간별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배전선로 상의 부하단으로의 전력 공급 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수의 구간에 걸쳐 소모전력량이 분산전원(40)이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초과하거나, 특정구간의 평균 전력 소모량이 너무 높아 분산전원(4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효과가 미미한 경우에는, 분산전원(40)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구간을 제한하고, 분산전원(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타 분산전원(40)과 연계하여 전력을 공급하거나, 중앙관리장치(300)에서 시스템 운영자의 상시 개방점 연계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분산전원(40)에 대해, 분산전원(40) 각각에 연결된 분산전원용 IED(200) 상호간은 분산전원(40)에서 공급 가능한 출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해당 분산전원(40)의 공급 능력에 따라 배전계통 고장 발생시 전력 수급 구간을 분배한다.
즉,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산전원(40)에 더 많은 구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배전계통의 고장 발생시 부하가 높은 곳에서도 충분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므로, 건전구간 전 구간에 걸쳐 분산전원(40)을 통한 전력 공급 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배전자동화용 IED(100)와 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되어,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배전선로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파악하고,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고장발생 정보를 수신한다.
나아가, 배전자동화용 IED(100)으로부터 고장발생과 고장조류 정보를 수신하면, 고장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정전을 경험하게 되는 건전구간을 파악하고, 분산전원(40)과 계통 사이의 개폐기를 제어하여, 건전구간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고장정보에 포함된 고장발생과 고장전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고장구간을 인식하거나, 고장정보를 전송하는 배전자동화용 IED(100)의 식별정보를 통해 고장발생 구간을 인지할 수 있다.
즉, 분산전원용 IED(200)는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고장발생정보를 수신한 경우, 고장발생정보를 분석하여 건전구간을 파악하고, 사고 발생 전 수신한 구간별 부하단의 평균전력소비량 정보 및 타 분산전원(40)의 공급능력에 기초하여 전력을 공급할 구간을 결정한다.
배전선로의 개폐기(30)를 제어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구간만이 배전계통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배전자동화용 IED(100)로 개폐기(30)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기(30)의 투입개방을 제어하여, 분산전원용 IED(200)가 결정한 구간에 한하여 분산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과 계통간의 스위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구간에 분산전원(40)이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로써,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이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과 개폐기(30)로 구분되는 각 구간별 부하단의 평균소모전력량을 저장하여, 중앙관리장치(300)에서의 시스템 운영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상시 개방점을 연계하여 건전구간을 회복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고, 또한, 타 배전선로에 여유용량을 고려하여 변압기를 운영할 필요도 없으므로, 배전 계통 설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앙관리장치(300)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수신된 배전계통의 고장정보를 분석하여 개폐기(30)의 투입·개방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하면, 중앙관리장치(300)는 고장정보를 분석하고, 개폐기(30)의 투입·개방을 제어하는 신호를 배전자동화용 IED(100)로 전송하여, 고장 선로가 계통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관리장치(300)는 분산전원용 IED(200)로부터 각 분산전원(40)의 전력 공급 능력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각 분산전원(40)에 연계된 부하단의 평균 소모 전력량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분산전원용 IED(200)와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분산전원(40)이 연계된 부하단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을 산정하여, 정전 복구 대책을 수립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배전계통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배전계통에서 A지점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배전자동화용 IED는 리클로저 RA3을 통해 배전변전소(S/S)로부터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한다.
주전원이 차단되면, 개폐기 S6은 고장전류를 경험하고, 보호기기 부하단의 무전압을 통해 고장을 검출하게 된다.
배전자동화용 IED는 RA3 과 S6의 사고발생정보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하고, 중앙관리장치(300)는 사고정보를 분석하여, S6과 S7을 개방함으로써 고장구간이 계통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Load 4는 리클로저의 재폐로를 통해 전원공급이 가능하지만, S7 이후의 부하단인 Load 5은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정전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건전 구간이 된다.
종래 시스템의 경우, 상기 건전구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운영자의 판단에 의거 상시 개방점을 제어함으로써, 건전구간의 부하단에 전원을 공급한다.
운영자가 고장 지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건전구간을 파악하고, 건전구간과 연계된 상시 개방점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건전구간에 연결된 부하단인 Load 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시개방점인 P2를 연계하여야 한다.
반면에, 분산전원(4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전자동화용 IED(100)와 분산전원용 IED(200)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전구간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고장발생정보를 분산전원용 IED(200)로 전송 하게 되고, 분산전원용 IED(200)는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수신한 고장발생정보를 기반으로 고장구간과 건전구간을 판단하게 된다.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과 배전선로 사이의 개폐기를 제어함으로써 분산전원(40)을 통한 계통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예기치 않게 정전을 경험하는 건전구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시 개방점인 P2를 제어하는 대신, 분산전원 3과 분산전원 4에 연결된 각각의 분산전원용 IED가 S11 및 S12를 투입하여 분산전원 3과 분산전원 4를 계통에 연결함으로써, Load 5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분산전원 2와 분산전원 3 각각에 연결된 분산전원용 IED(200)는 Load 5 에 연결된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시간대별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고장이 발생한 시점의 데이터를 로드하여 부하단으로의 전력 공급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각 부하단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정함에 있어서, 분산전원 3과 분산전원 4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규모가 고려될 수 있다.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분산전원에 더 많은 부하단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IED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전압/전류를 계측하여 배전선로를 감시하여(S310),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상시 감시한다(S320).
평상시에는 전압/전류 계측값을 통해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배전선로에 존재하는 각 구간의 부하단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평균소비전력을 연산하여(S330), 연산값을 분산전원용 IED(200)로 전송한다(S340).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배전선로의 평균소비전력을 연산함으로써, 배전선로 고장 발생시, 분산전원(40)이 계통으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인지 여부, 고장조류 방향 등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고(S350), 생성한 정보를 분산전원용 IED(200) 및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360).
배전자동화용 IED(100)는 중앙관리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기(30)를 제어하여, 사고가 발생한 구간을 배전계통과 분리한다(S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용 IED(200)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산전원용 IED(200)는 분산전원(40)의 전압/전류를 계측하고, 분산전원(40)의 발전량과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검출하여, 분산전원(40)이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연산한다(S410).
분산전원용 IED(200)는 각 구간별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S420), 타 분산전원용 IED(200)와 분산전원(40)에서 계통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여 저장한다(S430).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분산전원용 IED(200)는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하고, 고장정보를 분석하여, 고장구간을 인지한다(S440).
고장구간을 인지하면, 배전자동화용 IED(100)로부터 수신한 각 구간별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정보에 기반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건전구간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공급할 전력량을 산정하고(S450),
분산전원(40)과 계통사이의 개폐기(30)를 제어하여 분산전원(40)에서 연계된 부하단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460).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각 단계가 시간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S420과 S430, S440과 S450 단계의 선후가 바뀌어 진행될 수도 있고, 각 단계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40)을 이용한 건전구간 복구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공급능력판단단계는(S510) 분산전원(40)과 연결된 분산전원용 IED(200)가 분산전원(40)의 발전량 및 배터리의 잔존용량정보에 기초하여 분산전원(40)이 보유한 전력량을 산정하고, 배전자동화용 IED(100)가 연산한 분산전원(40)과 연계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 데이터와 타 분산전원(40)의 분산전원용 IED(200)로부터 타 분산전원(40)이 보유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고장정보 처리단계는(S520)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배전자동화용 IED(100)가 중앙관리장치(300) 및 분산전원용 IED(200)로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분산전원용 IED(200)는 고장정보를 분석하여 고장구간을 파악하여 건전구간을 인지하고, 인지된 건전구간에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연산하는 단계이다.
또한, 중앙관리장치(300)는 배전선로의 고장정보를 분석하여 배전자동화용 IED(100)로 개폐기(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고장구간이 계통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전력공급단계는(S530) 타 분산전원(40)의 전력 공급 능력, 건전구간 내 부하단의 평균소모전력량 등의 정보를 기초로 분산전원용 IED(200)가 건전구간으로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결정하고, 분산전원(40)과 계통을 연결하여 분산전원(40)을 통해 부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100)가 배전선로의 과전류를 계측하여 보호기기(20)의 리클로저를 개폐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클로저는 도 6 내지 도 11과 같은 구조를 갖고 동작되게 된다.
즉, 상기 리클로저는 등록특허 제0714458호에 개시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생성시키는 모터(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1)는 방향 절환 기어군(2)에 의해 회동력이 전달되는데, 상기 방향 절환 기어군(2)은 상기 모터(1)의 회전축에 축끼움되어 회전하는 제1베벨 기어(2a) 및 이 제1베벨기어(2a)에 교합되어 대략 90°각도로 방향 절환을 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베벨 기어(2b)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향 절환 기어군(2)은 웜 기어군(3)과 연결되는데, 상기 웜 기어군(3)은 상기 제2베벨 기어(2b)를 일측에 축 지지하여 일체로 연동되는 웜샤프트(3a) 및 이 웜샤프트(3a)에 치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웜휠(3b)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웜 기어군(3)을 구성하는 웜휠(3b)의 일측면에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역 래칫(4)이 구비되며, 상기 웜 기어군(3)을 구성하는 웜휠(3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끼움되는 것으로 일측에 정역 래칫(4)이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연동 회전되게 하는 정역 래치홈(5a)이 형성되는 샤프트(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5)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편심 회전되는 크랭크(6)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c)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7)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5)의 일측에 각형 끼움구조로 축결합되는 원판형의 부재로 일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8)도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샤프트(5)에는 동축상으로 배치되면서 일측에서 조인트(8)의 돌출부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회전에 의한 스위칭력을 제공하는 아웃 샤프트(9)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아웃 샤프트(9)의 일측 끝단은 케이싱(c)의 외부로 돌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가공된다.
특히, 상기 아웃 샤프트(9)의 일측에는 2절 링크(10)가 연결되는데, 상기 2절 링크(10)의 일단이 아웃 샤프트(9)에 연결되어 연동에 의해 승강되게 구성되며, 상기 2절 링크(10)의 타단은 브라켓트(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라켓트(b) 상에는 2절 링크(10)의 승강시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정역 리미트(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역 리미트(11)는 상기 2절 링크(10)와의 선택적인 접촉을 통해 모터(1)의 다음 기동시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은 모든 충전부가 접지된 케이싱(c) 내에 내장되어 6불화황(SF6) 가스로 격리되어 구성됨으로써 감전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게 되는 동시에 열화 또는 마모 등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성은 유니트(unit) 별로 완전 분리 조립되어 설치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지며, 염해, 먼지에 의한 오손, 기후 및 낙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 프레임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모터(1)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방향 회전력을 생성시키고, 이 모터(1)의 회전력은 모터(1)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베벨 기어(2a) 및 이 제1베벨 기어(2a)에 교합된 제2베벨 기어(2b)가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2베벨 기어(2b)가 축끼움된 웜 기어군(3)의 웜샤프트(3a)가 일체로 회전을 하여 웜휠(3b)을 일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웜휠(3b)이 회전하면서 웜휠(3b)에 고정되어 있는 정역 래칫(4)이 일체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정역 래칫(4)은 샤프트(5)의 일측에 형성된 정역 래칫홈(5a)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샤프트(5)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샤프트(5)는 크랭크(6)가 정점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5)가 회전하면서 상기 샤프트(5)에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6)가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 크랭크(6)가 회전함에 따라 인장 스프링이 인장되어 신장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6)가 회전하여 정점에 도달하게 되면 신장되었던 인장 스프링(7)은 탄성복귀를 이루면서 그 힘에 의해 샤프트(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샤프트(5)에 고정되어 있는 조인트(8)가 샤프트(5)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인트(8)상에는 아웃 샤프트(9)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돌출부를 형성하여 맞물리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 샤프트(9)는 그 일측이 케이싱(c)의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며 그 끝단은 사각으로 가공되어 이 끝단부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변전설비에 연결 결합됨으로써 회전에 의한 스위치 작용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 샤프트(9)의 일측에 연결되는 2절 링크(10)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정역 리미트(11)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정역 리미트(11)는 2절 링크(10)와의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를 기초로 상술한 모터(1)는 다음 구동시의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벨 기어군 및 웜 기어군(3)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5) 및 이에 연결된 크랭크(6) 및 2절 링크(10)가 연동하여 아웃포스트를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는 동작이 실시되므로 구성의 간소화에 따른 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클로저는 도 12와 같은 위치이동유닛(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은 케이싱(c)의 위치, 즉 설치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작업시 주변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의 원활성을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c)이 설치되는 벽면 상에는 가이드봉(52)이 별도의 고정브라켓에 의해 벽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52)에는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끼워져 활주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은 상부새들롤(54)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하부 개방형 상부케이스(56)와, 하부새들롤(58)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상부 개방형 하부케이스(60)가 결속커버(62)에 의해 구속되도록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속커버(62)는 대략 'ㄷ' 형상이며, 일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폭을 갖는 슬릿(6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56)의 하단은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상부플랜지(6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60)의 상단도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하부플랜지(68)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새들롤(54)과 하부새들롤(58) 사이에 가이드봉(52)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66)와 결속커버(62)의 상단 사이 및 하부플랜지(68)와 결속커버(62)의 하단 사이에 각각 팽창스프링(7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결속볼트(72)를 각각 슬릿(64)을 관통하여 각각 상부플랜지(66) 및 하부플랜지(68)에 체결하게 되면 각 새들롤은 팽창스프링(70)의 팽창력 때문에 가이드봉(52)을 강하게 탄압하면서 맞물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속볼트(72)는 슬릿(64)을 통과하면 안되므로 슬릿(64) 폭 보다 큰 헤드부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56)의 상단면 중앙에는 결속고리(74)가 돌출되어 필요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케이스(60)의 하단면에는 고정브라켓(7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76)에는 브라켓고정구멍(78)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고정구멍(78)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상기 케이싱(c)의 상면 앞,뒤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을 가이드봉(52)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위치고정을 위해 위치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도 1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56)의 길이방향 선단면에 고정되는 위치고정실린더(80)와, 상기 위치고정실린더(80)의 하단에 접속된 실린더로드(82)와, 상기 실린더로드(82)의 단부에 고정된 위치고정편(84)과, 상기 위치고정편(84)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52)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편삽입홈(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삽입홈(86)은 상기 상부새들롤(54)과 하부새들롤(58)과 접촉되지 않은 쪽 표면에 형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싱(c)에는 도 14의 (a)에서와 같이, 도어(90)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90)에는 록킹블럭(9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블럭(92)은 중앙에 록킹홈(92a)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92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92b), 특히 자력이 강한 네오븀 자석이 매립된 상태에서 파스너(92c)를 통해 상기 케이싱(c) 상에 체결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블럭(92)에는 일측 외측에서 록킹홈(92a)을 향해 관통하여 작동바설치공(92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은 당연히 영구자석(92b)을 회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은 록킹홈(92a) 쪽에 단차를 두고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프링걸림턱(92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에는 작동바(92f)가 끼워지는데, 상기 작동바(92f)는 일단에 상기 작동바설치공(92d) 보다 큰 직경의 작동바헤드(92g)를 갖춰 작동바(92f)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92f)에는 코일스프링(92h)이 끼워지는데, 상기 코일스프링(92h)은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바(92f)는 상기 코일스프링(92h)이 끼워진 채 함께 삽입된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92h)은 통상적인 스프링 구조가 아니라, 일단 일부의 감긴 반경이 더 큰 확경부(92i)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확경부(92i)는 상기 스프링걸림턱(92e)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걸림턱(92e)의 깊이는 상기 코일스프링(92h)의 굵기, 즉 스프링 자체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스프링(92h)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동되는 록커(96, 도 15 참조)와 간섭될 일은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바(92f)의 작동바헤드(92g) 인접측 외주면 일부에는 걸림핀(92j)이 돌출되어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92h)의 타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92f)는 상기 코일스프링(92h)이 당기는 힘에 의해 항상 록킹홈(92a) 상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c)의 록킹블럭(92) 대응측에는 록킹베이스(94) 및 상기 록킹베이스(94)에서 회전가능한 록커(96)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록킹베이스(94)는 판상의 부재로서, 길이방향 양측에는 베이스고정홀(94a)이 상기 록킹베이스(94)의 두께방향인 상하로 천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홀(94a) 사이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이드블럭(94b)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94b)을 폭방향으로 관통한 샤프트끼움구멍(94c)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커(96)의 하단은 상기 샤프트끼움구멍(94c)에 끼워지는 고정샤프트(96a)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럭(94b)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며, 회전방향은 앞서 설명한 록킹홈(92a)을 향한 방향이 된다.
이때, 필요하다면 상기 고정샤프트(96a)에 토션스프링(미도시)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상기 록커(96)가 상기 록킹홈(92a)을 향해 항상 회전되려고 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동작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록커(96)에는 일측을 관통하여 작동바(92f)가 끼워지는 작동바고정홈(96b)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록커(96)를 폴딩시켜 록킹홈(92a)에 끼우면 기본적으로 영구자석(92b)에 의해 흡착 고정되고, 동시에 작동바(92f)가 밀리면서 코일스프링(92h)을 늘리면서 작동바설치공(92d)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다가, 록커(96)가 완전히 삽입되어 작동바(92f)와 작동바고정홈(96b)이 일치되게 되면 코일스프링(92h)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작동바(92f)가 전진하여 그 선단이 작동바고정홈(96b) 속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이중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90)를 케이싱(c)에 쉽고 편리하게 잠글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10 : 배전변전소 20 : 보호기기
30 : 개폐기 40 : 분산전원
100 : 배전자동화용 IED 200 : 분산전원용 IED
300 : 중앙관리장치

Claims (1)

  1. 배전선로에 발생하는 고장전류로부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 및 고장조류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배전계통의 고장구간 및 고장조류의 방향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며, 분산전원에 연계된 각 배전선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량을 연산하는 배전자동화용 IED;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장정보를 토대로 건전구간을 판단하고, 상기 각 배전선로 부하단의 평균소비전력량 및 상기 분산전원의 공급가능 전력량을 토대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건전구간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하며, 상기 건전구간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토대로 상기 분산전원으로부터 상기 건전구간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분산전원의 상기 배전계통으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분산전원용 IED; 및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고장구간이 상기 배전계통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배전자동화용 IED에 연계된 개폐기의 투입·개방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장치를 갖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리클로저이며, 상기 리클로저는 케이싱(c)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베벨 기어(2a) 및 이에 교합되는 제2베벨 기어(2b)로 된 방향 절환 기어군(2)과; 상기 제2베벨 기어(2b)를 일측에 축 지지하여 일체로 연동되는 웜샤프트(3a) 및 이에 교합되는 웜휠(3b)로 된 웜 기어군(3)과; 상기 웜휠(3b)의 일측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정역 래칫(4) 및 상기 웜휠(3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끼움되는 것으로 일측에 정역 래칫(4)이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연동 회전되게 하는 정역 래치홈(5a)이 형성되는 샤프트(5)와; 상기 샤프트(5)의 일단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크랭크(6) 및 이 크랭크(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c)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7)과; 상기 샤프트(5)의 일측에 각형 끼움구조로 축결합되는 원판형의 부재로 일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8)와; 상기 샤프트(5)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면서 일측에는 조인트(8)의 돌출부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정역 연동되어 회전에 의한 스위칭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 끝단은 케이싱(c)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각으로 가공되는 아웃 샤프트(9)와; 상기 아웃 샤프트(9)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동에 의해 승강되는 2절 링크(10) 및 이 2절 링크(1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트(b) 상에 구비되어 2절 링크(10)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접촉에 의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정역 리미트(11);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로저는 위치이동유닛(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은 상기 케이싱(c)이 설치되는 벽면 상에 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이드봉(52)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봉(52)에는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끼워져 활주 가능하도록 상부새들롤(54)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하부 개방형 상부케이스(56)와, 하부새들롤(58)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상부 개방형 하부케이스(60)가 결속커버(62)에 의해 구속되도록 조립되어 구성되며; 상기 결속커버(62)는 'ㄷ' 형상이며, 일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폭을 갖는 슬릿(6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56)의 하단은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상부플랜지(6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60)의 상단도 바깥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연장된 하부플랜지(6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롤(54)과 하부새들롤(58) 사이에 가이드봉(52)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66)와 결속커버(62)의 상단 사이 및 하부플랜지(68)와 결속커버(62)의 하단 사이에 각각 팽창스프링(70)을 개재시키고 결속볼트(72)를 각각 슬릿(64)을 관통하여 각각 상부플랜지(66) 및 하부플랜지(68)에 체결하여 가이드봉(52)을 탄압하면서 맞물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60)의 하단면에는 고정브라켓(7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76)에는 브라켓고정구멍(78)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고정구멍(78)을 통해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이 상기 케이싱(c)의 상면 앞,뒤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위치이동유닛(50)을 가이드봉(52)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위치고정을 위해 위치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스(56)의 길이방향 선단면에 고정되는 위치고정실린더(80)와, 상기 위치고정실린더(80)의 하단에 접속된 실린더로드(82)와, 상기 실린더로드(82)의 단부에 고정된 위치고정편(84)과, 상기 위치고정편(84)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52)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편삽입홈(86)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c)에는 도어(90)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90)에는 록킹블럭(92)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블럭(92)은 중앙에 록킹홈(92a)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록킹홈(92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92b)이 매립된 상태에서 파스너(92c)를 통해 상기 케이싱(c) 상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록킹블럭(92)에는 일측 외측에서 록킹홈(92a)을 향해 관통하여 작동바설치공(92d)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은 록킹홈(92a) 쪽에 단차를 두고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프링걸림턱(92e)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에는 작동바(92f)가 끼워지며, 상기 작동바(92f)는 일단에 상기 작동바설치공(92d) 보다 큰 직경의 작동바헤드(92g)를 갖춰 작동바(92f)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바(92f)에는 코일스프링(92h)이 끼워지는데 상기 코일스프링(92h)은 상기 작동바설치공(92d)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바(92f)는 상기 코일스프링(92h)이 끼워진 채 함께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92h)은 일단 일부의 감긴 반경이 더 큰 확경부(92i)를 갖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확경부(92i)는 상기 스프링걸림턱(92e)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바(92f)의 작동바헤드(92g) 인접측 외주면 일부에는 걸림핀(92j)이 돌출되어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92h)의 타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바(92f)는 상기 코일스프링(92h)이 당기는 힘에 의해 항상 록킹홈(92a) 상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싱(c)의 록킹블럭(92) 대응측에는 록킹베이스(94) 및 상기 록킹베이스(94)에서 회전가능한 록커(96)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베이스(94)는 판상의 부재로서 길이방향 양측에는 베이스고정홀(94a)이 상기 록킹베이스(94)의 두께방향인 상하로 천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고정홀(94a) 사이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이드블럭(94b)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럭(94b)을 폭방향으로 관통한 샤프트끼움구멍(94c)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록커(96)의 하단은 상기 샤프트끼움구멍(94c)에 끼워지는 고정샤프트(96a)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럭(94b)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며, 회전방향은 앞서 설명한 록킹홈(92a)을 향한 방향이 되고, 상기 고정샤프트(96a)에 토션스프링이 끼워 설치되어 상기 록커(96)가 상기 록킹홈(92a)을 향해 항상 회전되려고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커(96)에는 일측을 관통하여 작동바(92f)가 끼워지는 작동바고정홈(96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KR1020150188344A 2015-12-29 2015-12-29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KR10162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44A KR101620932B1 (ko) 2015-12-29 2015-12-29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44A KR101620932B1 (ko) 2015-12-29 2015-12-29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932B1 true KR101620932B1 (ko) 2016-05-13

Family

ID=5602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44A KR101620932B1 (ko) 2015-12-29 2015-12-29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9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76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효성 Ess용 pcs 및 pcs 운전 방법
KR20210071645A (ko) * 2019-12-06 2021-06-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촉 커플러를 이용한 분산형 전원장치 제어 시스템
CN113447714A (zh) * 2021-06-23 2021-09-28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谐波电能计量功能的配电终端
CN113489064A (zh) * 2021-06-30 2021-10-08 国网山西省电力公司运城供电公司 一种考虑弹性距离的新能源消纳系数计算方法
CN113931097A (zh) * 2021-10-21 2022-01-14 燕山大学 一种具备防断电结构的道路桥梁施工警示装置
US11498215B2 (en) 2018-12-18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Robot arm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53B1 (ko) * 2011-02-23 2013-05-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13169025A (ja) 2012-02-14 2013-08-2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配電系統復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53B1 (ko) * 2011-02-23 2013-05-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13169025A (ja) 2012-02-14 2013-08-2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配電系統復旧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76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효성 Ess용 pcs 및 pcs 운전 방법
US11498215B2 (en) 2018-12-18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Robot arm apparatus
KR20210071645A (ko) * 2019-12-06 2021-06-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촉 커플러를 이용한 분산형 전원장치 제어 시스템
KR102318444B1 (ko) 2019-12-06 2021-11-0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비접촉 커플러를 이용한 분산형 전원장치 제어 시스템
CN113447714A (zh) * 2021-06-23 2021-09-28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谐波电能计量功能的配电终端
CN113447714B (zh) * 2021-06-23 2022-12-27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谐波电能计量功能的配电终端
CN113489064A (zh) * 2021-06-30 2021-10-08 国网山西省电力公司运城供电公司 一种考虑弹性距离的新能源消纳系数计算方法
CN113931097A (zh) * 2021-10-21 2022-01-14 燕山大学 一种具备防断电结构的道路桥梁施工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932B1 (ko)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US11063425B2 (en) Autonomous electric power fault detection, isolation and restoration systems
KR101266953B1 (ko) 분산전원을 이용한 건전구간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626141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JP4653238B2 (ja) Dc牽引力供給システム用のデルタi地絡保護リレー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022994B (zh) 一种实现渗透分布式电源的配电网故障隔离和恢复方法
CN100570987C (zh) 一种基于ems的电网备用电源自投控制方法
CN102299563B (zh) 一种智能配电网da保护方法
Greer et al.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s with advanced features
CN106208372B (zh) 基于全面可视化及防误拓扑分析的开关远程操作方法
KR101514999B1 (ko) 배전계통에서 스마트 보호기기를 이용한 자율적 고장구간 확인 및 분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7994551A (zh) 基于输配协同的故障快速恢复处理方法
CN103489673B (zh) 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04201657A (zh) 基于功率方向判断的配电线路双向闭锁保护方法
CN104184134A (zh) 基于主站决策识别的配电线路双向闭锁保护方法
CN105186471A (zh) 一种配电网线路故障检测装置及方法
Konarski et al. The use of power restoration systems for automation of medium voltage distribution grid
KR100920945B1 (ko) 배전 선로의 고장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203030B2 (ja) 電力系統の脱調分離方法及び装置
CN102243287B (zh) 磁浮定子线圈发生多点接地故障的监测方法
CN205753005U (zh) 一种开关柜二次回路监测装置
CN105471095B (zh) 一种低压交流环网回路电源监测方法
Allen Effects of wide-area control on the protection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Dey et al. Urban grid monitoring renewables integration
CN203456330U (zh) 一种双电源自动转换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