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81B1 -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81B1
KR101620081B1 KR1020140035613A KR20140035613A KR101620081B1 KR 101620081 B1 KR101620081 B1 KR 101620081B1 KR 1020140035613 A KR1020140035613 A KR 1020140035613A KR 20140035613 A KR20140035613 A KR 20140035613A KR 101620081 B1 KR101620081 B1 KR 10162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yellow
activity
presen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143A (ko
Inventor
김현구
도정룡
손동화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산업적 이용가치 증대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Extract of P.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본 발명은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P.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대형 자실체를 이루고 있고 대부분이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는 고등균류이다(1).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버섯은 느타리, 표고, 양송이 및 송이버섯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1965년경부터 인공재배법이 널리 보급되면서 계절에 구애 받지 않고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 중 느타리 버섯은 거의 40종이 온대 및 열대지역에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현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버섯 중에 하나이다(2, 3).
노랑느타리는 담자균류 느타리과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느릅나무고목, 쓰러진 나무 또는 그루터기 등에 군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이다. 한국, 일본, 중국동북부, 소련의 극동, 유럽 및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주로 한국, 일본, 러시아세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노랑느타리의 일반성분으로는 유리 아미노산 30종, 무기질 12종, 비타민 D, 아라비톨, 만니톨, 글리세롤 등이 있으며, 당류는 글루코오스, 트레할로스,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리그닌, 렉틴, 효소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라아제, 산성 프로테아제 등이 있다(3). 노랑느타리 버섯은 부드러우면서도 섬유질이 많아 질긴 편이고 밀가루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으로 노란색의 플라보노이드는 감기치료, 변비완화 및 진정효과가 있으며, 항종양, 콜레스테롤 수치 강하, 면역증진 등에도 효과적이다(4).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산업적 이용가치 증대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을 위해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95% 에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이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P.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노랑느타리 버섯을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b) 상기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95% 에탄올,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헥산(hexa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조사하여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산업적 이용가치 증대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을 위해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도록 하는 최적 추출조건 확립하고자 노력한 결과,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95% 에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이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95% 에탄올,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헥산(hexane)을 처리한 다음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조사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용매 가운데 노랑느타리 버섯의 생리활성 물질을 증가시키고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데 작용하는 특정 추출용매를 채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증가된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추출용매로서 클로로포름을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 내 폴리페놀 함량이 현저히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증진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상기 항산화 활성은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ACE(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산화질소 생성 억제활성 또는 아질산염 소거 활성에 의해 유도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추출용매로서 95% 에탄올을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증가하고, 추출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며, 추출용매로서 95%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헥산을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하고, 추출용매로서 95%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헥산을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증가된 생리활성 물질 또는 증진된 생리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제공한다.
(ⅲ)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산업적 이용가치 증대 및 고부가가치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도 1은 추출용매(물, 에탄올)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이다. 결과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냄(n=3). 바(bar)에서 같은 문자를 갖는 값은 크게 다르지 않음(p<0.05).
도 2는 추출용매(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추출용매(물, 에탄올)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mg/g)을 측정한 결과이다. 결과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냄(n=3). 바(bar)에서 같은 문자를 갖는 값은 크게 다르지 않음(p<0.05).
도 4는 추출용매(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mg/g)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은 추출용매(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6은 추출용매(물, 에탄올)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ACE 억제능을 비교한 결과이다. 결과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냄(n=3). 바(bar)에서 같은 문자를 갖는 값은 크게 다르지 않음(p<0.05).
도 7은 추출용매(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8은 추출용매(물,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재료
본 발명에 이용된 노랑느타리 버섯은 연천에서 건조 상태로 구입하여 믹서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시료보관은 500 μM 메쉬(mesh)에 내려 분말입자를 균일화하여 0.2 mm PE 필름에 밀봉 포장하여 -20℃에서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장치(MAP, 프랑스)를 이용하여 건물 중량과 용매의 비율을 1:50으로 하고 물, 30%, 60%, 90%, 95%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을 추출용매로 각각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때,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은 에너지 용량 90W, 추출시간 5분의 동일조건으로 추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lois(5)의 방법에 준하여 전자공여효과로 나타나는 각 추출물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0.2 mL에 4×10-4M DPPH(1-1-diphenyl-2-picrylhyrazyl) 0.8 mL와 99.9% 에탄올 2 mL를 가하여 총액의 부피가 3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 반응액을 약 10초간 혼합하고 실온에 10분간 방치한다. 반응액은 분광광도계(Spectramax M2, 미국) Abs52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추출물의 첨가구와 첨가하지 않은 무첨가구의 흡광도를 통해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s-Denis(6)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0.5 mL에 1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가하여 혼합, 3분간 정치 후 2% Na2CO3 용액 10 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1시간 동안 반응 후 분광광도계(UV/VIS spectrometer, 일본)를 사용하여 Abs7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 타닌산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SOD 유사활성
SOD 유사활성은 과산화물에 의해 산화되는 피로갈롤의 산화속도를 억제시키는 원리로 Marklund와 Marklund(7)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추출물 0.2 mL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버퍼(50 mM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 10 mM EDTA) 3 mL와 7.2 mM 피로갈롤 0.2 mL를 가하도 실온에 10분간 방치 후 1 N HCl 0.2 mL로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 반응액을 분광광도계(Spectramax M2, 미국) A4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첨가 및 무첨가구 간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다.
ACE 저해 활성
ACE 저해 활성은 Cruhman 등의 방법(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ACE 저해 활성은 300 mM NaCl-100 mM 소듐 보레이트 버퍼(pH 8.3)에 토끼 폐 아세톤 파우더(Sigma, 미국)를 0.2 g/10 mL(w/v)의 농도로 4℃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4℃, 8,000 rpm, 70분)하여 ACE 조효소액을 얻었다. 각 추출물 50 μL에 450 mM NaCl-100 mM 소듐 보레이트 버퍼(pH 8.3) 100 μL를 가하고 5 mM HHL(hippuryl-histidyl-leusine)(300 mM NaCl-100 mM 소듐 보레이트 버퍼(pH 8.3)에 용해) 50 μL를 가한 후 37℃에서 10분간 전배양 하였다. 이 반응액에 ACE 조효소액 50 μL를 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75 N HCl 100 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 시켰다. 여기에 에틸 아세톤 1.5 mL을 가하여 섞어 준 후 상등액 1 mL를 취하였다. 분리시킨 상등액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증류수 1 mL를 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Abs228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첨가 및 무첨가구 간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다.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
쥐 대식세포인 RAW 264.7 대식세포를 2×106 세포/㎖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시간 배양 후 추출물을 농도별(25, 50, 100 μg/ml)로 전처리하고, 1시간 후 LPS(0.1 ㎍/㎖)를 처리하고 20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 50 ㎕와 Griess 시약 50 ㎕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5분 반응 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Abs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질산 나트륨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NO 함량을 산출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Nitrite- scavenging effect)은 Gray 등(9)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mM NaNO2 용액 0.1 mL에 각각의 추출물을 0.2 mL를 가하고 여기에 0.2 N 구연산 완충액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의 pH를 각각 1.2(0.1 N HCl), 3.0, 4.2 및 6.0으로 보정한 다음 반응용액의 부피를 1 mL로 하였다. 이를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다음 2% 아세트산 용액 5 mL, Griess 시약(30% 아세트산에 1% 설파닐산과 1% 나프틸라민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 0.4 mL을 가하여 잘 혼합시켰다. 이를 15분간 실온에 방치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Abs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추출액 첨가전후의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세포독성
쥐 대식세포인 RAW 264.7 대식세포를 2×106 세포/㎖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시간 배양 후 분획물을 농도별(25, 50, 100 μg/ml)로 전처리하고, 1시간 후 LPS(0.1 ㎍/㎖)를 처리(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 LPS를 처리함)하고 2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S 용액 20 ㎕를 첨가한 후 배양기(37℃, 5% CO2)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Abs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은 3반복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통계 분석 시스템(SAS version 8.0, 2004)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의 값을 산출하였고 던칸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은 짙은 보라색을 띄는 자유 라디칼로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면 지질 과산화 연쇄반응에 관여하는 산화성 자유 라디칼이 억제되어 안정한 형태로 돌아가면서 짙은 보라색이 옅어짐에 따라 흡광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10, 11). 노랑느타리 분말을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농도별로 녹인 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노랑느타리 분말 농도별(1, 2 및 4 mg/ml)로 각각 31.15%, 46.35% 및 70.22%였으며, 이는 30%, 60% 및 90%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
한편, 95%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노랑느타리 분말 농도별(25, 50 및 100 μg/ml)로 각각 23.4%, 28.9% 및 30.1% 였으며, 이는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노랑느타리 분말 농도별(25, 50 및 100 μg/ml)로 각각 22.3%, 23.9% 및 26.1%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총 폴리페놀 함량
추출용매에 따른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 3 및 도 4와 같다. 추출용매별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추출용매에 녹인 노랑느타리 분말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도 3).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물 추출물에 비해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높았으며, 클로로포름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경우 70.3 mg/g 으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측정되었다(도 4).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세포를 공격하는 유리라디칼(ROS, OH·, NO)의 산화작용을 억제, 소거하는 기능기를 포함하고 있다(15). 또한, Wang 등(16)에 의하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근거하여 노랑느타리 버섯의 전자공여능 활성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상관관계 성립을 예측할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
SOD(Superoxide dismutase)는 세포내 활성산소를 과산화산소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이 때, SOD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카탈라아제 또는 퍼록시다아제에 의해 물과 산소 분자로 전환되는 효소 중 하나이다(17). 도 5 및 도 6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실험 결과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OD 유사활성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SOD 유사 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추출용매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도 5).
ACE 저해 활성
ACE는 레닌에 의해 생성된 데카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Ⅰ로부터 C-말단의 디펩타이드를 가수분해 시켜 혈관수축 작용을 하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Ⅱ를 합성하는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즉, ACE 작용억제는 혈관수축을 막고 체내 수분저류를 막아 혈압강하효과를 나타낸다(19). 노랑느타리 버섯의 ACE 저해활성 측정 결과는 도 7과 같다. 모든 추출조건에서 농도별 ACE 저해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1 mg/mL 노랑느타리 추출물의 경우 35.99-57.42%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Song 등(20)의 능이버섯의 경우 52.89-57.63%의 활성으로 노랑느타리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ACE 저해 활성을 보였으나, 찔레 영지버섯 추출물(21)은 12%대의 낮은 활성으로 노랑느타리 버섯이 혈압강하작용에 효과가 우수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
쥐 대식세포인 RAW 264.7 대식세포에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추출용매에 따라 농도별(25, 50, 100 μg/ml)로 처리하고 질산 나트륨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NO 함량을 산출한 결과, 95%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헥산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에서 현저한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7).
아질산염 소거작용
아질산염은 식품이나 의약품 및 잔류 농약 등에 존재하는 아민류와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을 생성한다. 이러한 아민류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니트로화 반응으로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이 생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특히, 산성조건에서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23). 표 1은 노랑느타리 버섯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추출용매에 따라 6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아질산염 생성 억제 능력에 가장 우수하였고, 이때, 소거능은 1 mg/mL 농도일 때 36.56%로 나타났다. pH에 따라 산성에 가까울수록 아질산염 소거능 높게 나타났으며, 노랑느타리 버섯의 경우 pH 3.0일 때 가장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표준물질과 비교하였을 때, 1 mg/mL의 아스코르브산이 24.81%의 소거력을 보임에 따라 노랑느타리 버섯의 아질산염 소거력이 우수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Kwon(24)의 노루궁뎅이 버섯 경우 pH 1.2에서 82%의 높은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나, 버섯과 추출용매의 비율이 1:20이므로 본 발명에서 1:50 비율로 추출하였으므로 용매의 비율을 낮춘다면 노랑느타리도 노루궁뎅이 버섯과 같이 높은 소거력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노랑느타리 버섯은 낮은 산성조건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발암물질 생성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 용매에 따른 Pleurotus cornucopiae의 아질산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mg/ml pH 1.2 pH 3.0 pH 4.2 pH 6.0
Pleurotus cornucopiae
 
DW 1 31.86±1.38a 29.75±3.87a 29.24±0.76a 25.23±5.25a
2 31.52±2.93b 38.04±2.92a 31.45±1.06b 25.23±2.72c
4 47.11±1.24a 45.76±1.31a 37.32±0.90b 25.11±0.51c
30% EtOH 1 24.98±3.62c 35.39±2.17a 29.49±0.93b 24.48±0.96c
2 30.66±3.99ab 35.19±3.25a 30.71±1.89ab 26.88±2.17b
  4 43.07±1.95ab 49.22±3.23a 38.71±3.02b 27.63±4.68c
60% EtOH 1 24.18±0.69b 36.56±2.29a 28.56±1.14b 25.02±4.00b
2 31.86±2.53b 43.98±4.43a 32.96±4.02b 24.78±1.89c
4 45.62±2.78ab 54.35±2.97a 39.63±8.95b 24.31±8.52c
90% EtOH 1 22.26±0.77b 35.55±0.8a 27.55±5.36b 20.16±4.17b
2 28.61±1.28b 40.88±1.06a 28.2±1.58b 24.33±1.47c
  4 41.18±3.45b 52.54±2.81a 33.81±1.11c 20.75±5.10d
아스코르브산
 
0.1 6.25±1.49a 6.33±1.00a 5.27±2.11a 0.19±0.54b
1 24.81±5.19ab 21.53±12.11a 10.28±2.08bc 2.24±1.40c
  10 61.33±0.21a 63.97±0.51a 57.11±1.72b 36.58±3.19c
결과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냄(n=3). 바(bar)에서 같은 문자를 갖는 값은 크게 다르지 않음(p<0.05).
세포독성
쥐 대식세포인 RAW 264.7 대식세포에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을 추출용매에 따라 농도별(25, 50, 100 μg/ml)로 전처리하고 1시간 후 LPS(0.1 ㎍/㎖)를 처리한 다음 이들의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결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95%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클로로포름 추출물에서 70.3 mg/g 으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다른 추출용매 및 표준물질인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였을 때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헥산 추출물에서 활성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에서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추출물이 35.99%-57.42%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다. 노랑느타리 버섯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 3.0에서 높게 나타났고, 추출조건에 따라 60%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95%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헥산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노랑느타리 버섯 추출물에서 현저한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랑느타리의 다양한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기초자료로 한 천연물유래의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연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Kim HS, Ha HC. 2003. Research and prospects in new functional mushroom-Tremella fuciformis, Grofora frondosa, and Hypsizigus marmoreus. Food Sci Ind 36: 42-46.
2. Yang HC, Song CH, Kweon MH. 1996. Mycelial new material, food functional technology. Hanlimwon, Seoul, Korea. p 187-189.
3. Jo EK. 2012.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bcritical water exxtracts from gold oyster mushroom(Pleurotus cornucopiae Rolland var. citrinopileatus).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38-39.
4. Yoo BH. 2011. Production of β-glucan using mixed culture of mushroom mycelium and Trichoderma koningii. M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4-5.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120.
6.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7.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 Biochem 47: 468-474.
8. Cushman DW, Ch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9.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0. Choi ML, Lee DJ, You SG. 201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red seaweeds. Ocean and Polar Research 34: 445-451.
11.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io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12. Kang HW.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Cur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72-1078.
13. Kim HJ, Bae JT, Lee JW, Hwang Bo MH, Im HG, Lee IS.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ve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80-85.
14.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o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pista nud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09-1314.
15. Qi Y, Zhao X, Lim YL,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16. Wang SY, Chang HN, Lim KT, Lo CP, Yang NS, Shyur LF. 2003.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J Agric Food Chem 26: 1506-1512.
17. Ha JH, Jeong MH, Seo YC, Yong CW, Kim JS, Kim HH, Ahn JH,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421-428.
18. Kim DH, Park SR, Debnath T, MD Abul H, Mehnaz P, Lim BO. 2013.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Hericium erinaceus water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 112-117.
19. Cushman DW, Ondetti MA. 1980.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Biochem Pharmacol 29: 1871-1877.
20. Song JH, Lee HS, Hwang JK, Han JW, Keum DH,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y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Kor J Food Sci Animal Resour 23: 172-179.
21.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22. Park WM, Kim GH, Hyeon JW. 1995. New synthetic medium for growth of mycelium of Pleurotus species. Kor J Mycol 23: 275-283.
23. Leaf CD, Vecchio AJ, Roe DA, Hotchkiss JH. 1987. Influence of ascorbic acid dose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humans. Carcinogenesis 8: 791-795.
24. Kwon SC. 2011.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Mycelium on Angelica keiskei and Angelica keiskei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48-1653.

Claims (5)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증가된 폴리페놀(polyphenol) 또는 증진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노랑느타리 버섯(P.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클로로포름 추출물의 제조방법:
    (a) 노랑느타리 버섯을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
    (b) 상기 노랑느타리 버섯 분말에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조사하여 노랑느타리 버섯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활성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ACE(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산화질소 생성 억제활성 또는 아질산염 소거 활성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랑느타리 버섯(P.cornucopiae var. citrinopileatus) 클로로포름 추출물로서 상기 노랑느타리 버섯 클로로포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3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KR1020140035613A 2014-03-26 2014-03-26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2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13A KR101620081B1 (ko) 2014-03-26 2014-03-26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13A KR101620081B1 (ko) 2014-03-26 2014-03-26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143A KR20150112143A (ko) 2015-10-07
KR101620081B1 true KR101620081B1 (ko) 2016-05-13

Family

ID=5434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613A KR101620081B1 (ko) 2014-03-26 2014-03-26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0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775A (ja) 2004-04-21 2005-11-04 Three-B Co Ltd ペンチトールまたはヘキシトールを有効成分とする血圧降下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775A (ja) 2004-04-21 2005-11-04 Three-B Co Ltd ペンチトールまたはヘキシトールを有効成分とする血圧降下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혜진 외 3명. 추출조건에 따른 산수유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2.04., Vol. 19, No. 2, pp271-2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143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leno et al. Fruiting body, spores and in vitro produced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from Northeast Portug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henolic and polysaccharidic extracts
Ajith et al. Indian medicinal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oxidant and antitumor agents
Alam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nebrodensis fruiting bodies
US20240189376A1 (en) Novel mushroom strains, extracts thereof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KR101918266B1 (ko) 활성 단백질의 추출방법
Zhang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ive edible Hymenomycetes mushrooms
Asatiani et al.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oxidants
Badalyan et al. Biotechnological exploitation of macrofungi for the production of food, pharmaceuticals and cosmeceuticals
Yin et al. The antioxidant properties,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extracts from the golden oyster mushroom, Pleurotus citrinopileatus (Agaricomycetes)
Veljović et al. Medicinal fungus Ganoderma lucidum as raw material for alcohol beverage production
JP2009256272A (ja) Atp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細胞賦活化剤
WA et al. Bioactive potential of some fascinating edible mushrooms Flammulina, Lyophyllum, Agaricus, Boletus, Letinula, Pleurotus as a treasure of multipurpose therapeutic natural product
Liu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selected medicinal mushroom submerged cultivated mycelia
Park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ethanol extracts from Rhynchosia nulubilis cultivated with Ganoderma lucidum mycelium
An et al.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wild mushrooms collected in Korea
KR101620081B1 (ko) 노랑느타리 버섯유래 생리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방법
Boo et al. Evalu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in vitro cultured adventitious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Soares et al. Comparis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extracts of Agaricus blazei Murril
Mathew et al.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ultured mycelium of culinary-medicinal paddy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Bull.: Fr.) singer (agaricomycetideae)
Lee et al.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eeds
Dogan et al. Some biological activities of Lactarius vellereus (Fr.) Fr. in Turkey
KR101611881B1 (ko)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58439B1 (ko) 헛개나무 혼합 농축액을 함유하는 헛개 음료 제품의 제조방법
Oh et al. Function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Idrees et al. Comparative profiling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garicomycetes), possessing textural, antibacterial, element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diverse collections from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