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945B1 -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945B1
KR101619945B1 KR1020160002018A KR20160002018A KR101619945B1 KR 101619945 B1 KR101619945 B1 KR 101619945B1 KR 1020160002018 A KR1020160002018 A KR 1020160002018A KR 20160002018 A KR20160002018 A KR 20160002018A KR 101619945 B1 KR101619945 B1 KR 10161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lder
main body
mov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우
Original Assignee
이복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우 filed Critical 이복우
Priority to KR102016000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38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e.g. cartridge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메탈통 본체와 지지대를 보다 쉽게 결합하여 일체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저장되는 장약이 누출되지 않게 밀봉할 수 있는 메탈통을 제공할 수 있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속판을 말아 원통형으로 말린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용접하여 통본체를 제작하는 가접기와, 상기 가접기에 의해 용접된 통본체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끼워 조립하는 삽입기, 및 상기 삽입기게 의해 서로 조립된 통본체와 지지대의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멀티용접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접기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지지수단; 원통형 판체와 대향되는 면에 호형 홈이 길게 형성되어 원통형 판체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고정형지지대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형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원통형 판체의 타측을 밀어 지지하는 이동형지지대를 포함하는 측부지지수단; 용접기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따라 용접기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용접하는 본체용접수단; 및 이동수단들의 구동 및 용접기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propelling charge case}
본 발명은 메탈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통형 메탈통 본체와 지지대를 보다 쉽게 결합하여 일체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저장되는 장약이 누출되지 않게 밀봉할 수 있는 메탈통을 제공할 수 있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약(裝藥)(일명, 추진장약)은 포탄이나 로켓 등과 같은 고속 추진체를 밀어내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장약은 뇌관에 의해서 점화되며, 폭발하는 힘으로 포탄을 앞으로 추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소·황·칼륨·질산나트륨을 혼합해서 만든 흑색화약이 장약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나이트로글리세린을 주체로 한 무연화약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약은 폭발물로, 보관 및 관리에 많은 주의를 요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약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일예로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양측이 개방되어 지연장약이 장진된 경우에만 점화되는 수류탄용 관상지연메탈통을 제조함에 있어서, 관상지연메탈통의 일측저면부를 폐쇄되게 제조한 다음, 장약을 메탈통내에 장진하여 장진높이가 요구된 높이에 이르게 한 후, 지연장약의 장진높이가 충분한 높이에 이르렀을 때에만 장약통의 저면부가 천공되게 한 수류탄용 관상지연장약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니트로셀룰로스 50-80중량% 및 크래프트 펄프 20-50중량%로 이루어진 섬유, 섬유의 건조중량에 대해 8-15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니트로셀룰로스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5-18중량%의 활석 및 1-10중량% 디페닐아민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8-11로 조절하고, 5-10%의 DPA-알콜용액을 첨가한 후, 알륨수용액을 혼합하여 pH를 4-6으로 조절한 슬러리를 이용하여 습펠트를 제조하고,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추진제 용기를 결합시킨 대구경화포용 가변 추진장약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은 대구경곡사화기에 사용되는 추진장약용기에 있어서, 추진장약용기를 연소가 가능하고 유동이 없는 고형화 재질로 형성을 하되, 추진장약용기의 용기몸체하부에는 용기덮개를 결합하고, 용기덮개의 하부에는 점화제덮개를 결합시킨 연소성 가변추진자약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허문헌 4는 탄약용 추진 장약에 있어서, 추진 장약이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추진 장약은 퓨즈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는 추진 장약 물질 및 추진 장약 물질을 둘러싸고 있는 추진 장약 케이스를 포함하며, 추진 장약 케이스의 과반 이상은 연화점이 T연화≥230℃인 온도 안정성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플라스틱 부품이고, 추진 장약 물질은 추진 장약 케이스에 유지되는 헐겁게 주입된(loosely poured) 분말의 형태이고, 추진 장약 케이스와 추진 장약 물질은 2-부품 탄약의 일 부품을 형성하는 탄약용 추진 장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약 또는 메탈통(일명 장약통, 이하 “메탈통”이라 통칭함)은 내부의 추진 장약 물질을 보호하여 필요시에만 장약이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충격이 내부에 저장된 장약 물질에 전달될 경우, 장약 물질이 폭발할 수 있으므로 취급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메탈통은 안정적으로 장약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메탈통 중, 포탄 등에 사용되는 메탈통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이 원통형 메탈통 본체(100)이 굴러 다른 물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다른 메탈통 본체와 서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탈통의 외주면에는 다각의 지지대(200)를 형성하여 메탈통 본체가 구르지 않게 하고 있다.
이러한 메탈통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 형의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말아 통 본체를 제작하고, 통본체의 외부에 지지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통본체와 지지대를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83-0003724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3-0022059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4-0000848호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통본체와 지지대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게 한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판체형의 통 본체 제작용 부재를 보다 쉽게 원통형으로 말아 통본체를 제작할 수 있고, 통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대를 쉽게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는 금속판을 말아 원통형으로 말린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용접하여 통본체를 제작하는 가접기와, 상기 가접기에 의해 용접된 통본체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끼워 조립하는 삽입기, 및 상기 삽입기에 의해 서로 조립된 통본체와 지지대의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멀티용접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접기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지지수단; 원통형 판체와 대향되는 면에 호형 홈이 길게 형성되어 원통형 판체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고정형지지대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형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원통형 판체의 타측을 밀어 지지하는 이동형지지대를 포함하는 측부지지수단; 용접기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따라 용접기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용접하는 본체용접수단; 및 이동수단들의 구동 및 용접기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지지대는 두 개 이상 설치되고, 이동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기는,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는 지지대고정홈이 형성된 지지대고정치구; 유압 또는 공안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통본체를 밀어 넣는 통본체푸싱수단; 상기 통본체푸싱수단에 의해 밀리는 통본체가 원활하게 밀리도록 통본체를 지지하는 통본체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용접기는, 지지대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통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통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롤러와 상부지지롤러를 포함하는 통지지수단; 지지대의 다점을 통본체에 용접하는 용접기본체; 상기 용접기본체가 설치된 이동지지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 상기 이동지지대와 용접기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용접기본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용접기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롤러 또는 상부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는 롤러를 회전시켜 통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는 가접기에서 판형을 이루는 통본체 제조용 판재를 가압하여 원형 통형상으로 가접한 후, 삽입기를 이용하여 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멍에 가접된 통본체를 끼워 삽입할 후, 지지대에 의해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통본체와 지지대를 용접함에 따라 통본체의 자재인 판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일정한 굵기를 갖는 통본체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통본체와 지지대의 결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가접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가접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삽입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멀티용접기의 일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멀티용접기의 일예의 측면도
도 7은 통상의 추진 메탈통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이 참조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판체형의 통 본체 제작용 부재를 보다 쉽게 원통형으로 말아 통본체를 제작할 수 있고, 통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대를 쉽게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본체(100)를 제작하는 가접기(10)와, 통본체에 지지대(200)를 끼워 넣는 삽입기(20) 및 지지대를 통본체에 용접하는 멀티용접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접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말린 통본체(100) 제작용 원통형 판체의 저로 대향되는 단부를 용접하는 수단으로,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지지수단(11), 프레임에 고정되어 원통형 판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형지지대(12f), 고정된 원통형 판체의 타측을 밀어 원통형 판체의 대향단부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이동형지지대(12a),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따라 용접하는 본체용접수단(13),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4)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지지수단(11)은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접기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두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통형 판체의 양단에 접촉되는 단부지지대(11s)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부지지대(11s)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1m)으로 이루어져, 이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단부지지대가 수평으로 이동함에 의해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흔들리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단부지지대(11s)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원통형 판체의 내주면의 지름에 대향되는 원뿔형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형지지지대와 이동형지지대에 의해 원통형 판체가 밀리면 원통형 판체가 진원형의 통체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11m)은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구동이 용이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부지지수단(12)은 전술한 고정형지지대(12f)와, 이동형지지대(12a)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형지지대(12f)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판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가 형성된 봉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형지지대(12a)는 상기 고정형지지대에 의해 이측이 지지되는 원통형 판체의 타측을 밀어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원형 통체 형상을 유지하게 함에 따라 상기 본체용접수단(13)에 의해 이루어지는 용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한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형지지대(12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12m)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로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형지지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m)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구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형지지대(12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 설치하여 상기 본체용접수단(13)의 이동에 따라 지지하는 원하는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용접수단(13)은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따라 용접하는 수단으로, 원통형 본체의 접촉 단부를 용접하는 용접기본체(13w)와, 상기 용접기본체를 이동시키는 용접기이동수단(13m)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기본체(13w)는 메탈통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용접기지지대(13g)의 단부에 설치하여 원통형 판체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기지지대(13g) 두 개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단부에 상기 용접기본체를 설치하여 용접기본체가 원통형 판체의 내부와 외부의 접촉 단부에 각각 접촉되어 원통형 판체의 안팎이 모두 용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13m)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접기(10)에 의해 용접 종료된 통본체(100)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통본체(100)의 외주면에 지지대(200)를 끼워 고정함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탈통(장약통)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20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은 가능한 통본체(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통본체의 외주면과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지지대에 통본체를 끼워 넣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삽입기(2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삽입기(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고정치구(21)와, 통본체를 밀어 지지대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밀어 넣는 통본체푸싱수단(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고정치구(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통본체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통본체푸싱수단(22)에 의해 밀리는 통본체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고정치구(21)애는 지지대(200)가 뀌어져 고정되는 지지대고정홈(21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본체푸싱수단(22)은 통본체의 일단을 밀어 상기 지지대고정치구(21)측으로 이동시켜 통본체가 지지대고정구에 고정된 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시키는 수단으로 통본체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통본체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본체푸싱수단(22)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22c)의 신축에 의해 이동하여 통본체를 밀게 된다.
상기 통본체푸싱수단의 하부, 프레임의 바닥에는 다수의 통본체지지롤러(23)를 더 설치하여 통본체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통본체지지롤러(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설치될 수 있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통본체지지롤러(23)의 하부에는 롤러승강수단(24)을 더 설치하여 통본체지지롤러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롤러승강수단(24)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통본체(100)에 끼워진 지지대(200)가 통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멀티용접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멀티용접기(30)는 지지대와 통본체 사이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를 용접하는 수단으로 통시에 다점 용접을 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용접기본체(32)가 통심원상에 배치되어 있다.
물론, 멀티용접기(30)에도 통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통지지수단(31)을 구비하여 통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하였다.
상기 통지지수단(3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0)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통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통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롤러(31u)와 상부지지롤러(13t)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롤러(31u)와 상부지지롤러(13t)는 통본체(100)의 직하방이 아니라 직하방의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두 지지롤러들(31u, 31t)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통본체를 하부지지롤러(31u)의 위에 쉽게 올릴 수 있데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지지롤러(31t)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지지롤러를 승강시키는 롤러승강수단(33c)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지지수단(31)에 의해 지지되는 통본체는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접기본체(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고정 설치된 용접기본체(32)로 통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용접하기 위해서는 통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롤러들(31u, 31t) 중 어느 하나는 구동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통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스탭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접기본체(3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되, 전체의 높이와 통본체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용접기본체(32)는 이동수단(33)을 설치하여 통본체와의 거리 및 통본체에 접하는 용접기본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수단(3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3r)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지지대(33s)와, 이동지지대를 밀거나 당겨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33c)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대신 다른 이동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설명이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접기본체(32)를 방사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접기승강수단(3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로 만들어지는 메탈통(장약통)은 그 지름이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지름의 메탈통을 용접할 수 있게 위해서는 상기 용접기본체(32)가 통본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용접기승강수단(34)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용접기승강수단(34)은 상기 이동지지대(33s)와 용접기본체(32) 사이에 설치되어 용접기본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 또한 구성의 단순화를 위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그 밖에 용접기본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10: 가접기
11: 단부지지수단 11s: 단부지지대 11m: 이동수단
12: 측부지지수단 12a: 이동형지지대 12m: 이동수단
12f: 고정형지지대
13: 본체용접수단 13w: 용접기본체 13m: 용접기이동수단
13g: 용접기지지대
14: 제어수단
20: 삽입기
21: 지지대고정치구 21g: 지지대고정홈
22: 통본체푸싱수단 22c: 유압실린더
23: 통본체지지롤러
24: 롤러승강수단
30: 멀티용접기
31: 통지지수단 31u: 하부지지롤러 31t: 상부지지롤러
31e: 롤러승강수단
32: 용접기본체
33: 수평이동수단 33r: 가이드레일 33s: 이동지지대
33c: 공압실린더
34: 용접기승강수단
100: 통본체
200: 지지대
200d: 걸림돌기 200h: 걸림홀

Claims (5)

  1. 금속판을 말아 원통형으로 말린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용접하여 통본체(100)를 제작하는 가접기(10)와, 상기 가접기에 의해 용접된 통본체(10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200)를 끼워 조립하는 삽입기(20), 및 상기 삽입기에 의해 서로 조립된 통본체(100)와 지지대(200)의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멀티용접기(30)를 포함하되,
    상기 가접기(10)는
    이동수단(11m)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단부지지수단(11);
    원통형 판체와 대향되는 면에 호형 홈이 길게 형성되어 원통형 판체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고정형지지대(12f)와, 이동수단(12m)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형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원통형 판체의 타측을 밀어 지지하는 이동형지지대(12a)를 포함하는 측부지지수단(12);
    용접기이동수단(13m)에 의해 이동되어 원통형 판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를 따라 용접기본체(13w)를 이동시키면서 용접하는 본체용접수단(13); 및
    이동수단들의 구동 및 용접기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지지대(12a)는 두 개 이상 설치되고, 이동수단(12m)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20)는
    상기 지지대(200)가 끼워지는 지지대고정홈(21g)이 형성된 지지대고정치구(21);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22c)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통본체(100)를 밀어 넣는 통본체푸싱수단(22);
    상기 통본체푸싱수단에 의해 밀리는 통본체가 원활하게 밀리도록 통본체를 지지하는 통본체지지롤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용접기(30)는
    지지대(200)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통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통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롤러(31u)와 상부지지롤러(13t)를 포함하는 통지지수단(31);
    지지대(200)의 다점을 통본체에 용접하는 두 개 이상의 용접기본체(32);
    각 용접기본체가 설치된 이동지지대(33s)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33);
    상기 이동지지대(33s)와 용접기본체(32) 사이에 설치되어 용접기본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용접기승강수단(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롤러 또는 상부지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는 롤러를 회전시켜 통본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KR1020160002018A 2016-01-07 2016-01-07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KR10161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018A KR101619945B1 (ko) 2016-01-07 2016-01-07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018A KR101619945B1 (ko) 2016-01-07 2016-01-07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945B1 true KR101619945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018A KR101619945B1 (ko) 2016-01-07 2016-01-07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9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475B1 (ko) 2012-07-02 2012-12-31 국방과학연구소 원통구조물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475B1 (ko) 2012-07-02 2012-12-31 국방과학연구소 원통구조물 조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4316B1 (en) Cylinder device with boost mechanism
KR101619945B1 (ko) 추진 메탈통 제조 장치
JPS61502207A (ja) 発射火薬モジュ−ル
CN103868805A (zh) 一种用于大型爆炸波模拟装置的双驱动器及驱动方法
US20120318460A1 (en) Drum
US3246394A (en) Method of constructing missile tank having pretensioned sidewall
US10317170B2 (en) Pyrotechnic launching system with rifled mortar
US20120318123A1 (en) Muzzle Loader Powder Increment using Celluloid Combustible Container
CN103759602A (zh) 一种单向传爆门元件和使用该元件实现爆炸网路的单向可靠传爆的方法
CN104646908A (zh) 一种5m级贮箱封箱环缝内撑装置
RU2337311C2 (ru) Взрывозащитная камера
US3183665A (en) Rocket grain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3759551A (en) Explosively-formed tubular connection
JP3906027B2 (ja) 供給装置
KR960034778A (ko) 칼렌더 롤러
US3563178A (en) Mechanical primer
US10962340B2 (en) Mobile chamber for the storage of flammable and detonable objects
JP2008190718A5 (ko)
CN204584637U (zh) 一种5m级贮箱封箱环缝内撑装置
CA2092804A1 (en) Double piston propulsion unit
US3120785A (en) Cannon ramming device
CN104785999A (zh) 一种5m级贮箱封箱环缝内撑装置
US4708051A (en) Shell launching assembly
CN111720729A (zh) 一种高度密封充气装置
US3848794A (en) Blast cha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