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913B1 -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913B1
KR101619913B1 KR1020140069926A KR20140069926A KR101619913B1 KR 101619913 B1 KR101619913 B1 KR 101619913B1 KR 1020140069926 A KR1020140069926 A KR 1020140069926A KR 20140069926 A KR20140069926 A KR 20140069926A KR 101619913 B1 KR101619913 B1 KR 10161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stretching section
section
hold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348A (ko
Inventor
김현승
Original Assignee
김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승 filed Critical 김현승
Priority to KR102014006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9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직경 보다 크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홈(10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00) 부분에만 열을 가하면서 동시에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의해 각 단계별로 충분히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홈(101)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의 직경이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행거용 끈(1) 부분이 일정하고 고르게 연신 제조되는 것이고 따라서 고른 인장력과 내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고 부드러워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장력이 고르게 극대화되어 일 예로서 다수의 명태를 엮을 수 있으며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명태를 엮을 수 있음은 물론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엮어진 명태는 풀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Hanger for lock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선(특히, 명태)을 건조시키기 위해 저렴한 비용의 행거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엮어 매달아 건조시키는 고기 건조용 행거는 물론 브랜드 라벨류, 정가표, 물표, 소재설명서, 사용설명서 등의 라벨류를 결착하여 사용하는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어는 명태(Theragra chalcogrammus)를 기계적으로 열풍 건조한 것을 말하고, 코다리는 명태를 활복하여 내장을 적출 후 속을 씻어서 덕장에서 물기를 제거한 후 냉동 건조한 것을 말하며, 황태는 명태를 겨울철 덕장에서 얼렸다, 녹았다 반복하며, 건조한 것을 말한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생선, 특히 명태를 건조시켜 북어(명태 건제품)나, 황태 또는 명태 코다리 등으로 만들기 위해 입 밑부분에 구멍을 내고 밴딩 끈(일명, 동태 끈이라고도 함)을 끼워 관통시킨 다음 매듭을 지어 건조대에 매달아 건조시키는 것이었다.
상기 밴딩 끈은 폭이 1.1㎝이고, 길이는 1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재는 P.P로서 표면에는 엠보싱 처리가 되어있으나 표면이 매끄럽고 딱딱하다.
그래서 작업자가 위와 같이 명태에 끼워 관통시킨 다음 마무리 매듭을 지을 경우 표면이 매끄럽고 딱딱하여 매듭 짓기가 잘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뒤 끈을 길게 잡고 매듭을 지어야 하는데 이 경우 매듭으로부터의 남는 뒤 끈이 길게 남게 된다.
즉, 뒤 끈은 양쪽의 마무리 끈을 합쳐 매듭을 지어야 하기 때문에 2겹으로 겹쳐져 이루어지게 되고 이 경우 뒤 끈은 통상 10㎝ 씩 20㎝가 된다.
따라서, 명태 한 세트(통상 2~4마리)를 매달아 건조시키기 위한 밴딩 끈은 20㎝가 낭비되는 것이고, 마무리 매듭을 짓는 작업 또한 밴딩 끈이 넙적하고 매끄러우며 딱딱하기 때문에 매듭을 지을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풀리지 않도록 한쪽 손은 매듭 전방을 꽉 쥐고 다른 쪽 손은 매듭 후방을 힘껏 당겨야 비로소 매듭이 지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힘들고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80410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에서 고리 핀(Loop Pin)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인용발명은 의류용품이나 구두 등의 상품에 결속하여 브랜드 라벨, 가격표, 소재설명서, 사용설명서 등의 라벨 종류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의 고리 핀으로는 코다리와 같은 생선을 건조시키기 위한 행거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한번 체결하여 사용하면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본 발명과 대비되는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80410호(2010. 12. 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선(특히, '명태'라 불리우는 생선)을 건조시키기 위해 저렴한 비용의 행거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엮어 매달아 건조시키는 고기 건조용 행거는 물론 브랜드 라벨류, 정가표, 물표, 소재설명서, 사용설명서 등의 라벨류를 결착하여 사용하는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에 대한 목적 달성을 위한 실시예로서,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와 수 홀더(male holder)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는 헤드부로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는 삽입공과 체결공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과 체결공 간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 홀더(male holder)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 체결되는 걸림축과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와 수 홀더(male holder)에는 손잡이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행거용 끈과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행거용 끈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제조 방법의 제1 실시예로서,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직경 보다 크고 다수의 홈(101)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의해 각 단계별로 충분히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홈(101)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제조 방법의 제2 실시예로서,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톱니형의 요철홈(102)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톱니형의 요철 홈(102)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제조 방법의 제3 실시예로서,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된 연신구간의 입구에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이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행거용 끈(1) 부분이 일정하고 고르게 연신 제조되는 것이고 따라서 고른 인장력과 내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고 부드러워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장력이 고르게 극대화되어 다수의 명태를 엮을 수 있으며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명태를 엮을 수 있음은 물론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엮어진 명태는 풀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명태 뿐 만 아니라 브랜드 라벨류, 정가표, 물표, 소재설명서, 사용설명서 등의 라벨류를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로서,
도 1은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에 의해 '명태'를 엮는 순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에 의해 '명태'를 엮어 완료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결착용 행거"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는 암 홀더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7b는 수 홀더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를 사출 성형한 상태이고,
도 9는 도 8의 사출 성형한 "결착용 행거"를 연신하여 완성한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b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로서,
도 10은 전체 성형 몰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성형 후 연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b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로서,
도 12는 전체 성형 몰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b는 도 12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성형 후 연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로서,
도 14는 전체 성형 몰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성형 후 연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결착용 행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a)로서,
도 16은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b)로서,
도 18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은 도 18에서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c)로서,
도 20은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서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d)로서,
도 22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서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착용 행거"의 실시예(e)로서,
도 24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서의 암 홀더와 수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에 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7b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헤드부(2)로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2)는 삽입공(3)과 체결공(4)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3)과 체결공(4) 사이에 양측으로 걸림턱(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상기 체결공(4)에 삽입 체결되는 걸림축(6)과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7)으로 구성하고, 상기 걸림축(6)은 헤드부(8)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삽입공(3)의 직경 크기는 상기 체결공(4) 보다 크며 또한 상기 수 홀더(B)의 이탈방지편(7)이 관통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4)의 직경 크기는 상기 걸림축(6)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이탈방지편(7)의 직경 크기 보다는 작아야 하며, 삽입공(3)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삽입공(3)과 체결공(4) 사이의 걸림턱(5)은 텐션기능이 있는 것이고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걸림턱(5)의 양측 간격(R)은 상기 걸림축(6)의 직경(R1) 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에는 손잡이부(9)(9a)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행거용 끈(1)과 일체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행거용 끈(1)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 손잡이부(9)(9a) 및 행거용 끈(1)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그 소재는 합성수지재로서 PP( Polypropylene)나 PE (Poly Ethylene) 또는 나일론(nylon)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PP( Polypropylene), PE (Poly Ethylene) 및 나일론(nylon) 중 어느 2개의 소재를 선택 혼합하여 구성하며, 이 경우 각 소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극대화된다.
예컨대, PP는 PE에 비하여 경도가 높아 인장력이 강하나 부러지기 쉽고, PE는 PP에 비하여 경도가 낮아 부드러우나 인장력이 약하다.
따라서, PP( Polypropylene)와 PE (Poly Ethylene)를 적절하게 혼합하면 인장력이 높으면서 부드러운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행거용 끈(1)과 암 홀더(A),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9a)는 사출 및 연신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한 다음 행거용 끈(1)은 적합한 온도로서 인장력으로 연신한다.
이 경우 행거용 끈(1)의 두께를 조절하면 작은 금형에서 사출하여 길게 연신함으로써 경제적인 사출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래 표에서와 같이 PP( Polypropylene)일 경우 최소한 5배까지 연신할 수가 있다.
Figure 112014053990386-pat00001
위 표에서와 같이 소재가 PP( Polypropylene)일 경우 104℃에서 4.6㎏/㎠의 힘으로 5배까지 연신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E(Poly Ethylene) 또는 나일론(nylon)일 경우에도 상기 PP( Polypropylene)와 연신율이 같기 때문에 이런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PP( Polypropylene)일 경우와 같이 작은 금형 제작으로도 본 발명인 "결착용 행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의 직경을 조정하면 작은 금형에서도 경제적 사출을 하게 되고 연신은 재질의 화학적 특성에 맞춰 소정의 온도에서 힘을 가하여 원하는 크기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결착용 행거'의 행거용 끈(1)은 PP( Polypropylene)나 PE(Poly Ethylene) 또는 나일론(nylon)의 소재로 사출하여 제조되더라도 연신하게 되면 플렉서블하고 부드러운 끈이 되어 거치대 등에 걸 수 있다.
더욱이 PP( Polypropylene), PE (Poly Ethylene) 및 나일론(nylon) 중 어느 2개의 소재를 선택 혼합하여 구성하면 각 소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극대화된다.
예컨대, PP는 PE에 비하여 경도가 높아 인장력이 강하나 부러지기 쉽고, PE는 PP에 비하여 경도가 낮아 부드러우나 인장력이 약하여 상기 PP( Polypropylene)와 PE(Poly Ethylene)를 적절하게 혼합하면 인장력이 높으면서 부드러운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소정의 경도(硬度)를 가지며 소정의 경도(硬度)라 함은 상기 암 홀더(A)와 수 홀더(B)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 부분에서 변형이 이루어져 해제되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암 홀더(A)나 수 홀더(B)를 잡은 다음 결착용 대상물의 일 예로서 명태(이하, '명태'라고 통칭한다)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 홀더(B)의 이탈방지편(7)을 암 홀더(A)의 삽입공(3)에 관통시킨 다음 암 홀더(A)와 수 홀더(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 경우 수 홀더(B)의 걸림축(6)은 걸림턱(5) 사이를 통과하여 체결공(4)에 삽입 결합된다(도 6 참조).
상기 걸림축(6)이 걸림턱(5) 사이를 통과할 시 걸림턱(5)은 텐션 재질로 되어 있어 걸림턱(5)을 통과할 시 사이가 벌어져 통과를 시키고 통과된 이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체결공(4)에 삽입 결합 된 걸림축(6)은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한 비용의 '결착용 행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엮어 매달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에 대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직경은 1.25㎜이고, 길이(L)(연신구간)는 146.51㎜로 사출 성형한 다음 상기 암 홀더(A)와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9a)를 제외한 행거용 끈(1)(연신구간)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4.6㎏/㎠~40㎏/㎠의 힘으로 연신하여 도 9에서 같이 제조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80℃로서 10㎏/㎠의 힘으로 연신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직경은 0.52㎜이고, 길이(L1)는 732.5㎜로 제조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행거용 끈(연신구간)(1)의 직경이 1.35㎜이고, 길이(L)는 146.51㎜로 사출 성형한 다음 상기 행거용 끈(연신구간)(1) 부분에만 40℃~104℃의 온도로서 4.6㎏/㎠~40㎏/㎠의 힘으로 연신하여 직경은 0.57㎜이고, 길이(L1)는 732.5㎜로 제조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연신하여 제조되는 '결착용 행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따라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몰드에서 상기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에서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고 이동측 성형판(300)에서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직경 보다 크게 다수의 홈(101)을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어느 일 부분에서 벌어지도록 분할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성형 몰드에 게이트(201)를 통해 상기에서 제시한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결착용 행거'를 성형한다.
즉,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다.
위와 같이 성형이 이루어지면 도 11b에서와 같이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의해 각 단계별로 충분히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홈(101)에 걸려 있기 때문에 순차적이면서 고르게 연신하게 되어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연신할 경우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연신할 경우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어느 일 부분에서 분할되어 벌어지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연신구간에서의 연신이 완료되고 사출금형으로부터 추출하면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제조 완성된다.
다음, 도 12, 도 13a 및 도 13b에 따라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몰드에서 상기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에서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고 이동측 성형판(300)에서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대해 톱니형의 요철 홈(102)을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어느 일 부분에서 벌어지도록 분할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성형 몰드에 게이트(201)를 통해 상기에서 제시한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결착용 행거'를 성형한다.
즉,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다.
위와 같이 성형이 이루어지면 도 13b에서와 같이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80℃의 온도로서 1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톱니형의 요철 홈(102)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신하게 되고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톱니형의 요철 홈(10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순차적이면서 고르게 연신하게 되어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연신할 경우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연신할 경우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어느 일 부분에서 분할되어 벌어지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연신구간에서의 연신이 완료되고 사출금형으로부터 추출하면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제조 완성된다.
다음, 도 14 및 도 15에 따라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몰드에서 상기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에서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고 이동측 성형판(300)에서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대해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다.
위와 같은 성형 몰드에 게이트(201)를 통해 상기에서 제시한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결착용 행거'를 성형한다.
즉,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는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다.
위와 같이 성형이 이루어지면 도 15에서와 같이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성형물은 연신구간이 전체에 걸쳐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신구간의 입구를 통해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성형물이 순차적으로 고르게 연신하게 되어 전체 연신구간이 고르게 연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넓고 후방은 좁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에서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고 이동측 성형판(300)에서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40℃~104℃의 온도로서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성형물은 연신구간이 전체에 걸쳐 전방은 넓고 후방은 좁은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의 연신구간 입구를 통해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성형물이 순차적으로 고르게 연신하게 되어 전체 연신구간이 고르게 연신하게 된다.
위와 같이 연신구간에서의 연신이 완료되고 사출금형으로부터 추출하면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제조 완성된다.
이러한 '결착용 행거'는 행거용 끈(1) 부분이 일정하고 고르게 연신 제조되는 것이고 따라서 고른 인장력과 내구성을 갖게 되고, 연신된 부분은 부드러워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장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밴딩 끈에 비해 약 1/15~1/25로 재료절감이 되고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명태를 엮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고 부드러워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장력이 고르게 극대화되어 다수의 명태를 엮을 수 있으며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명태를 엮을 수 있음은 물론 암 홀더(A)와 수 홀더(B)의 결합에 의해 엮어진 명태는 풀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결착용 행거'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즉, 실시예(a)로서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7에 따라 설명한다.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체결공(10)이 형성된 헤드부(20)로 구성하고,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헤드부(22)를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22)는 로크턱(11)을 갖는 로커(locker)(1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커(12)는 텐션 기능을 가지며 2개를 포함한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2개 내지 4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행거용 끈(1)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a)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 홀더(A)나 수 홀더(B)를 잡은 다음 '명태'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수 홀더(B)의 로커(12)를 암 홀더(A)의 체결공(10)에 밀어 넣으면 로커(12)는 압축되면서 관통된 후 다시 원상복귀가 이루어져 로크턱(11)에 의해 로크 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다음, 실시예(b)로서 첨부된 도 18 내지 도 19에 따라 설명한다.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체결공(10a)이 형성된 헤드부(20a)로 구성하고,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상기 체결공(10a)과 삽입 체결되는 화살촉 형상의 로커(locker)(1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커(13)는 텐션 기능을 가지며 도면에는 2개의 날개로 화살촉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3개나 4개 등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2개 내지 4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커(13)의 후방에는 스톱퍼(1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용 끈(1)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b)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 홀더(A)나 수 홀더(B)를 잡은 다음 '명태'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수 홀더(B)의 로커(13)를 암 홀더(A)의 체결공(10a)에 밀어 넣으면 로커(13)는 압축되면서 관통된 후 다시 원상복귀가 이루어져 스톱퍼(14)와 함께 로크된다(도 19 참조).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다음, 실시예(c)로서 첨부된 도 20 내지 도 21에 따라 설명한다.
플렉서블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헤드부(30)로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30)는 로크 공(31)과 로크 편(32)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크 편(32)은 텐션 기능을 가지면서 다수 개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상기 로크 공(31) 또한 로크 편(32)과 같이 다수 개로 나누어져 절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헤드부(33)를 구성하고 상기 헤드부(33)는 상기 로크 공(31)에 삽입 로크되는 걸림축(34)과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5)로 구성한다.
상기 행거용 끈(1)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c)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 홀더(A)나 수 홀더(B)를 잡은 다음 '명태'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수 홀더(B)의 이탈방지구(35)를 암 홀더(A)의 로크 공(31)에 밀어 넣으면 로크 편(32)이 벌어지면서 로크 공(31)을 관통하고 관통이 완료되면 벌어져 있던 로크 편(32)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이탈방지구(35)를 로크하고 걸림축(34)은 로크 공(31)에 삽입 결합 된다(도 21 참조).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다음, 실시예(d)로서 첨부된 도 22 내지 도 23에 따라 설명한다.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경통부(40a)를 형성하고 상기 경통부(40a)의 내측에는 텐션 기능을 갖는 로커(41a)를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외주면에 톱니형 로커(42a)가 형성된 체결봉(43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봉(43a)에는 스톱퍼(44a)와 손잡이부(45a)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행거용 끈(1)은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경통부(40a)의 로커(41a)는 단일 또는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인 '결착용 행거'에서 요구하는 결합력의 정도에 따라 설계상 선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체결봉(43a)의 톱니형 로커(42a) 또한 일측면 또는 전체면에 걸쳐 설계상 선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d)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 홀더(B)의 손잡이부(45a)를 잡은 다음 '명태'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수 홀더(B)의 체결봉(43a)을 암 홀더(A)의 경통부(40a)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텐션 기능을 가진 로커(41a)를 밀고 나가 관통한다.
이 경우 경통부(40a) 내측에 삽입된 체결봉(43a)의 톱니형 로커(42a)와 경통부(40a)의 로커(41a)가 서로 로크되어 결합이 완료된다(도 23 참조).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다음, 실시예(e)로서 첨부된 도 24 내지 도 25에 따라 설명한다.
플렉서블(flexible)하고 거치대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행거용 끈(1)의 양측으로 암 홀더(female holder)(A)와 수 홀더(male holder)(B)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암 홀더(female holder)(A)는 경통부(50)를 형성하고 상기 경통부(50)의 내측에는 로크턱(51)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 홀더(male holder)(B)는 화살촉 형상의 로커(52)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로커(52)에는 스톱퍼(53)와 손잡이부(54)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커(52)는 텐션 기능을 가지며 도면에는 2개의 날개로 화살촉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3개나 4개 등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2개 내지 4개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e)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 홀더(B)의 손잡이부(54)를 잡은 다음 '명태'의 턱 밑에 절개한 구멍에 밀어 넣어 관통시킨 후 수 홀더(B)의 로커(52)를 암 홀더(A)의 경통부(50)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텐션 기능을 가진 로커(52)는 압축되면서 밀고 나가 관통하고, 관통이 이루어지면 압축되었던 로커(52)는 다시 원상 복귀되어 로크턱(51)에 로크되어 결합이 완료된다(도 25 참조).
따라서, 암 홀더(A)와 수 홀더(B)는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엮은 '명태'를 거치대 등에 걸어 건조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원용한다.
A: 암 홀더(female holder) B: 수 홀더(male holder)
1: 행거용 끈 2,8,20,20a,22,30,33: 헤드부
3: 삽입공 4,10,10a: 체결공
5: 걸림턱 6: 걸림축
7: 이탈방지편 9,9a,45a,54: 손잡이부
11,51: 로크턱 12,13,41a,52: 로커
14,44a,53: 스톱퍼 31: 로크공
32: 로크편 35: 이탈방지구
40a,50: 경통부 42a: 톱니형 로커
43a: 체결봉
100: 연신구간용 성형몰드 101: 홈
102: 톱니형의 요철 홈 200: 고정측성형판
201: 게이트 300: 이동측성형판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직경 보다 크고 다수의 홈(101)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의해 각 단계별로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홈(101)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40℃~104℃의 온도로 유지하고,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6.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직경 보다 크고 다수의 홈(101)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에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의해 각 단계별로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홈(101)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7.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할 경우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8.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톱니형의 요철 홈(102)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연신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톱니형의 요철 홈(102)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40℃~104℃의 온도로 유지하고,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0.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톱니형의 요철 홈(102)을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연신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하는 동안 성형물이 톱니형의 요철 홈(102)에 걸려 순차적으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에서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할 경우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2.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연신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이동측 성형판(300)을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된 연신구간의 입구에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이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40℃~104℃의 온도로 하고, 성형된 연신구간에 4.6㎏/㎠~40㎏/㎠의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4. 성형 몰드에서 행거용 끈을 성형하기 위한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넓고 후방은 좁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와,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성형판(200)의 게이트(201)를 통해 합성수지재 액상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에서 행거용 끈(1)을 성형하고 고정측 성형판(200)에서는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며 이동측 성형판(300)에서는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행거용 끈)(1) 부분에 일정한 온도로서 고정측 성형판(200)과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측 성형판(300)만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되,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연신구간 전체에 걸쳐 전방은 넓고 후방은 좁은 형태의 테이퍼로 형성된 후방의 연신구간 입구에서 연신하여 전체 연신구간이 고르게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5. 제12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 홀더(B) 및 손잡이부(9a)를 성형하기 위한 고정측 성형판(200)과 암 홀더(A) 및 손잡이부(9)를 성형하기 위한 이동측 성형판(3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16. 제4항, 제6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는 어느 일 부분에서 벌어지도록 분할 구성되어 연신할 경우 상기 연신 구간용 성형 몰드(100)의 어느 일 부분에서 분할되어 벌어지면서 성형된 연신구간에 일정한 힘으로 인장하여 연신 제조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용 행거의 제조 방법.
KR1020140069926A 2014-06-10 2014-06-10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926A KR101619913B1 (ko) 2014-06-10 2014-06-10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926A KR101619913B1 (ko) 2014-06-10 2014-06-10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48A KR20150141348A (ko) 2015-12-18
KR101619913B1 true KR101619913B1 (ko) 2016-05-11

Family

ID=5508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926A KR101619913B1 (ko) 2014-06-10 2014-06-10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42B1 (ko) 2019-11-20 2021-03-23 김현승 결착용 행거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8265A (en) 1996-05-17 1998-04-14 J.E. Co., Ltd. Fastener gun and fastener assembly for tag hanging
KR101308423B1 (ko) 2012-03-29 2013-09-23 김현승 고기 건조용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8265A (en) 1996-05-17 1998-04-14 J.E. Co., Ltd. Fastener gun and fastener assembly for tag hanging
KR101308423B1 (ko) 2012-03-29 2013-09-23 김현승 고기 건조용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742B1 (ko) 2019-11-20 2021-03-23 김현승 결착용 행거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48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697B1 (en) Pop-twist lock fastener
US20080263839A1 (en) Elastic and resilient panel and grommet for interchangeable logos
US20100175227A1 (en) Fastening assembly fabricated from a water-soluble material and related methods
EP3089612B1 (en) Modifiable band jewelry
KR101619913B1 (ko) 결착용 행거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83523A1 (en) Yarn for knitting
TW201320915A (zh) 黏扣帶及黏扣帶用接合元件之組合
US9689093B2 (en) Knitting apparatus
JP2011234888A (ja)
JP5985879B2 (ja) ひも通し部つき編物及びその用途
CN105708021B (zh) 一种假发的编织工艺
WO2016120972A1 (ja) Peek材による射出成形方法及び成形品
CN109198810B (zh) 一种注塑拉链布带及其制造方法
KR20140115280A (ko) 고기 건조용 행거
KR102230742B1 (ko) 결착용 행거 유니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020A (ko) 손뜨개용 보조용구
KR101308423B1 (ko) 고기 건조용 행거
US11864676B2 (en) Biodegradable hanger for cloth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346952B2 (en) Method for dyeing garments and textile line therefor
JP2007331762A (ja) 係止具及び係止具用長尺素材
US20220295950A1 (en) Band jewelry with one-piece connector
KR200415509Y1 (ko) 택 고리
IT9020069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elastici ad effetto pelle e tessuti ottenuti mediante tale metodo
CN105167337A (zh) 一种马尾服饰扣的制作方法
US20110048592A1 (en) Knitting contain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