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023B1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023B1
KR101619023B1 KR1020150099063A KR20150099063A KR101619023B1 KR 101619023 B1 KR101619023 B1 KR 101619023B1 KR 1020150099063 A KR1020150099063 A KR 1020150099063A KR 20150099063 A KR20150099063 A KR 20150099063A KR 101619023 B1 KR101619023 B1 KR 101619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ntilation
box
building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15009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0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pleasantly managing an indoor space as well as a space accommodating a pet. The ventilation system comprises: a main unit placed inside a build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et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closing hole on the front side for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a door installed in the main unit to selectively close the opening/closing hole; a box installed in the upper side of the main unit and having, at one side, a connection hole connecting a space formed at the inside with the outside; a ventilation pipe communicating one side with the connection hole of the box and communicating the other side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first fan circulating the inner air of the ventilation pi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 shield film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closing hole of the main unit and overlapping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door in a state of closing the door. The shield film comprises: a ventilation part having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a blocking part projected toward the upper side in the ventilation part and facing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door in a state that the door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Description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0001] Ventilation system [0002]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an indoor space.

일반적으로, 동물병원 또는 애견샵 등에는 애완동물을 임시적으로 전시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애완동물 수용 장치가 이용된다.Generally, a pet reception device is used for temporarily displaying or storing pets in an animal hospital or a pet shop.

그리고 이러한 애완동물 수용 장치는 외부에서 관찰할 수 유리 등의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또한 애완동물 수용 장치는 건물 밖에서도 그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을 볼 수 있도록 상술한 동물병원 등의 창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et receiving devic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the pet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in a window of the above-mentioned animal hospital or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see the pet housed in the inside thereof even outside the building It is common.

그러나 이러한 애완동물 수용 장치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있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pet receiving apparatus is hermetically sealed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ventil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특히 여름철에 건물의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볕은 애완동물 수용 장치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애완동물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Sunlight entering through the windows of a building, especially during the summer, increas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et receptacle and increases the stress of the pet.

또한, 이렇게 애완동물 수용장치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애완동물 배설물 또는 애완동물 특유의 냄새 등에 의해 애완동물 수용장치의 내부 공기의 질은 더욱 악화된다.Furthe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et receiving apparatus is raised in this manner,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pet receiving apparatus is further deteriorated due to the peculiar smell of the pet excrement or the pet.

그리고 애완동물 수용장치의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상술한 애견샵 등의 실내로 흘러나와, 애견샵 등의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pet receiving apparatus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et shop or the like and causes a problem of polluting indoor air such as a pet shop.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개특허 제10-2004-0055184호에 개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2004-005518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도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which can comfortably manage an indoor space as well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et.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개폐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박스; 일측은 상기 박스의 연결구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된 환기관; 상기 환기관의 내부 공기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유동시키는 제1팬;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 일부와 겹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와, 상기 환기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 일부와 마주보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건물의 내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환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1환기공은 상기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향할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상기 차단막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을 차단하는 제2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을 차단하는 제1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는,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을 차단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상기 박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와, 상기 환기관의 내부 및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기장치와 연결된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의 하면에는 제2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환기구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박스의 내부로 흡입하는 제2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의 하면에는 상기 제2환기구와 후방으로 이격된 제1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통해 상기 박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building,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pets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a doo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ior. A do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 closing port; A box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t one side thereof and a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outside thereof; A vent pipe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port of the box on one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n the other side; A first fan for flowing the air inside the ventilation pi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 blocking film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of the main body and overlapp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door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wherein the blocking film includes a ventilation portion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a block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and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with the do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building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re formed in the door, and each of the first ventilating holes can be widen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The ventil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mounted on the blocking film to block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The ventil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d mounted on the door to block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for blocking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and a first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The ventil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x,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through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pipe and the connection port.
A second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x, and a second fan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ventilation hole to allow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sucked into the box.
A second ventilation hol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x, and a first ventilation hole spaced rearward from the second ventilation hole is formed. A part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x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도어에 형성된 환기공에 의해 실내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space can be ventilated by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door.

그리고 전기장치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ic devi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도어가 애완동물의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door closes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pe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user's finger is caught.

또한, 에너지는 소모 없이, 공기의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실내공간 또는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Further, the energy can be used to ventilate the indoor space or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us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without consuming energy.

그리고 애완동물이 대소변을 볼 때에만 팬을 작동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And the energy can be saved by operating the fan only when the pet is fe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어의 제1환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도어와 제1덮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차단막과 제2덮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환기 시스템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부분 블록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build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ure 1,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ventilating opening of the door of Fig. 1,
Figure 4 is a view of the door and first lid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ure 1,
Fig. 5 is a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and a second lid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1,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1,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7C,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of Fig. 1,
10 is a partial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a complete disclos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어의 제1환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도어와 제1덮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차단막과 제2덮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환기 시스템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부분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n interior of a build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door and a first lid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and a second lid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in FIG. 7, FIG. 9 is a cross- FIG. 7 is a partial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100)은 본체(110), 도어(120), 박스(130), 환기관(140) 및 제1팬(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ventil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door 120, a box 130, a vent pipe 140, and a first fan 150.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동물병원 또는 애견샵 등의 건물의 실내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110)로 흡입하여 상기 박스(130) 및 상기 환기관(140)을 거쳐 상기 건물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100 sucks air in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such as a veterinary hospital or a pet shop into the main body 11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via the box 130 and the ventilation pipe 140 .

즉,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공기를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상기 건물의 외부로 유동시키기 때문에, 배변냄새 등의 애완동물의 고유의 냄새가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ventilation system 100 flows air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peculiar odor of the pet such as a defecation odor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comfortably.

상기 본체(110)는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에 배치된다.The main body 110 is disposed in an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강아지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S)을 외부와 연통하는 개폐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space S for accommodating a pet such as a dog or a cat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receiving opening S for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S with the outside is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 (110a) may be formed.

그리고 외부에서도 상기 본체(110) 내부의 애완동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는 상기 건물의 창가(10)측 또는 건물의 벽체에 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는 글래스(glass) 등의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indow 10 of the building or on the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a pet inside the main body 110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glass or the like.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110) 중 상기 건물의 창가(10)를 향하는 부분을 후방이라고 하고, 상기 본체(110) 중 상기 건물의 실내를 향하는 부분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facing the window 10 is referred to as a rear, and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fac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defined as a front.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개폐구(110a)에는 상기 도어(120)가 설치된다.The door 120 is installed in the door 110a form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상기 도어(120)는 상기 개폐구(11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The door 120 may selectively shield the door 110a.

또한, 도어(120)에는 상기 건물의 실내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120a are formed in the door 120 so that indoor air of the building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

즉,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은 상기 도어(120)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도어(120)에 타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물의 실내 공기는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S)으로 유동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are formed in the door 12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oor 120. Accordingly, indoor air of the building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120a.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은 상기 도어(120) 전체에 고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건물의 실내 공기는 상기 도어(120) 전체를 통해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are uniformly formed on the door 120, indoor air of the building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entire door 120.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은 상기 건물의 실내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데 효과적이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are effective for introducing indoor air of the buil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제1환기공(120a)은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상기 수용공간(S)으로 향할수록 넓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may be wider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S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공기의 흐름에 민감하여 유속이 불규칙적이거나 빠를 경우 애완동물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Generally, when the flow rate is irregular or fast because of the sensitivity to the air flow, the pet is subjected to a great deal of stress.

상기 각 제1환기공(120a)이 상기 수용공간(S)을 향해 넓어지면, 상기 각 제1환기공(120a)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S) 내의 공기의 흐름을 느리게 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주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Since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each of the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can be drastically reduced if the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are widened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on the pet.

소리를 회절시키고, 매질이 다른 것을 통과 효과기재Diffuse the sound, and transfer the other media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제1덮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160.

상기 제1덮개(160)는 상기 도어(120)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lid 160 may be mounted on the door 120 to block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상기 제1덮개(160)는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의 환기가 불필요할 때,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차단하여, 상기 본체(110)에서 애완동물의 고유의 냄새가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lid 160 blocks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when ventilation of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is unnecessary,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이러한 제1덮개(160)는 제1커버(161)와 제1고정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160 may include a first cover 161 and a first fixing portion 162.

상기 제1커버(161)는 상기 도어(12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161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door 120 to block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120a.

그리고 상기 제1커버(161)는, 상기 도어(12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cover 161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0.

상기 제1고정부(162)는 상기 제1커버(161)와 연결된다.The first fixing portion 16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61.

더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162)는 상기 제1커버(161)의 상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도어(120)의 상측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part 162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ver 161 a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120. [

상기 제1고정부(162)에는 상기 도어(120)의 상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구(16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62 may have a first insertion opening 162a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door 120 can be insert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차단막(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film 111.

상기 차단막(111)은 상기 개폐구(110a)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120)와 함께 상기 개폐구(110a)를 차폐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111 may be provided unde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10a to shiel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10a together with the door 120. [

상기 차단막(111)은 상기 도어(120)가 상기 수용공간(S)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0)의 하측 일부와 겹치질 수 있다. The blocking film 111 may be overlapp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door 120 in a state where the door 120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S. [

그리고 상기 차단막(111)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110a)의 하측 부분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layer 111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to partially block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port 110a.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120)가 닫힌 상태, 즉, 상기 도어(120)가 상기 수용공간(S)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S)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111)에는 복수의 제2환기공(111h)이 형성된다.The door 120 is close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0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S, A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ng holes 111h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차단막(111)은 스틸(steel) 또는 플라스틱(plastic)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데, 상기 제2환기공(111h)은 상술한 스틸 또는 플라스틱을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hielding film 111 may be made of steel or plastic.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11h may be formed of the steel or plastic.

상기 차단막(111)은, 환기부(111a)와 차단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layer 111 may include a ventilation portion 111a and a blocking portion 111b.

상기 환기부(111a)에는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111h)이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111h are formed in the ventilation part 111a.

그리고 상기 차단부(111b)는 상기 환기부(1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11b)는 상기 도어(120)가 상기 수용공간(S)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0)의 하측 일부와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111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ventilation portion 111a. The blocking part 111b may overlap with a lower part of the door 120 in a state where the door 120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S. [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상기 차단부(111b)가 상기 도어(120)와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120)가 상기 수용공간(S)을 폐쇄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차단부(111b)와 상기 도어(120) 사이에 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ventilation system 10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locking portion 111b partially overlaps with the door 120, when the door 120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user's finger gets caught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111b and the door 120 in advance.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제2덮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170.

상기 제2덮개(170)는 상기 차단막(111)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111h)을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70 may be mounted on the blocking film 111 to block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111h.

상기 제2덮개(170)는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의 환기가 불필요할 때,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111h)을 차단하여, 상기 본체(110)에서 애완동물의 고유의 냄새가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lid 170 blocks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ng holes 111h when ventilation of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is unnecessary so that the intrinsic odor of the pet in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to the indoor space.

이러한 제2덮개(170)는 제2커버(171)와, 제2고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70 may include a second cover 171 and a second fixing portion 172.

상기 제2커버(171)는 상기 차단막(111)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111h)을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2커버(171)는, 상기 차단막(111)의 전면 또는 후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cover 171 is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blocking film 111 to block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111h and the second cover 171 can prevent the blocking film 111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제2고정부(172)는 상기 제2커버(171)와 연결된다.The second fixing part 17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171.

더 상세히, 상기 제2고정부(172)는 상기 제2커버(171)의 상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차단막(111)의 상측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portion 172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ver 171, a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film 111.

상기 제2고정부(172)에는 상기 차단막(111)의 상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구(17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72 may have a second insertion hole 172a into which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film 111 can be inserted.

상기 박스(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공간(130s)에는 전기장치(13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30s)과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구(130c)가 형성된다.The box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 electrical device 131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30s and a connecting hole 130c is formed on one side to connect the inner space 130s to the outside. do.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박스(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박스(13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30s)에는 전기장치(131)가 설치된다.6 to 8, the box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electrical device 131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130s formed in the box 130. [

상기 전기장치(131)는, 상기 박스(13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S)으로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device 131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32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x 130 to emit ligh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 [

한편, 상기 박스(130)의 평면은 상기 본체(110)의 평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plane of the box 130 may correspond to the plane of the main body 110.

예컨대, 상기 본체(110)의 평면이 사각형이면, 상기 박스(130)의 평면도 상기 본체(110)의 평면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lane of the main body 110 is rectangular, the plane of the box 130 may be rectangular to correspond to the plane of the main body 110.

그리고 상기 박스(130)의 모서리 측에는 연결구(130c)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or 130c may be formed on the corner of the box 130. [

상기 연결구(130c)는 상기 내부공간(130s)과 외부를 연결한다.The connector 130c connects the inner space 130s to the outside.

더 상세히, 상기 연결구(130c)는 상기 박스(130)의 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30s)과 상기 환기관(140)의 유로(140s)와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ion 130c may be formed at the rear edge of the box 1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130s and the flow path 140s of the vent pipe 140. [

여기서 상기 박스(130)의 후방 모서리는 박스(130)의 후면(134)과 측면(135)이 만나는 부분을 의미한다(도 7 참조).The rear edge of the box 130 means a portion where the rear surface 134 of the box 130 meets the side surface 135 (see FIG. 7).

상기 환기관(140)은 상기 박스(130)의 연결구(130c)를 통해 내부공간(130s)과 연통되며 상하로 형성된다.The ventilation pipe 140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130s through a connection port 130c of the box 130 an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환기관(140)의 일측은 상기 박스(130)의 연결구(130c)와 연통되며 상기 환기관(140)의 타측은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된다.One side of the vent pipe 140 communicates with a connection port 130c of the box 130 and the other side of the vent pipe 14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즉 상기 환기관(140)는 상기 건물의 벽체(20)의 환풍구를 통해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S)의 오염되거나 가열된 공기는 상기 환기관(140)를 통해 상기 건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pipe 14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of the wall 20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contaminated or heated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vent pipe 140.

이러한 환기관(140)의 내부에는 유로(140s)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130)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치(131)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환기관(140)의 상기 유로(140s)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flow path 140s is formed in the vent pipe 140. The heat generated in the electric device 131 installed inside the box 1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w path 140s of the vent pipe 140. [

상기 환기관(140)은 고정관(141)과, 변형관(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pipe 140 may include a fixing pipe 141 and a deformable pipe 142.

상기 고정관(141)은 상기 박스(130)의 연결구(130c)와 연통된다.The fixing pipe 14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ort 130c of the box 130. [

그리고 상기 변형관(142)의 일단은 상기 고정관(141)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된다.One end of the deformable pipe 142 communicates with the fixing pipe 141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상기 제1팬(150)은 상기 건물의 벽체(20), 상기 박스(130) 또는 상기 환기관(140) 등에 설치되며, 상기 환기관(14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fan 150 is installed in the wall 20 of the building, the box 130 or the vent pipe 140 and can flow the air inside the vent pipe 140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더 상세히 상기 제1팬(150)은 상기 변형관(142)의 양단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관(1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an 150 may be installed at one or both of the opposite end sides of the deformable pipe 142 to allow the air inside the vent pipe 140 to flow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박스(130)의 전면에는 상기 전기장치(131)를 제어하는 버튼부(134)가 설치될 수 있다. A button unit 134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evice 13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x 130.

상기 전기장치(131)는, 상기 박스(13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S)을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device 131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32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x 130 to emit light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그리고 상기 박스(130)의 하면에는 제1환기구(130a)와 제2환기구(130b)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ventilation hole 130a and a second ventilation hole 130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130. [

이러한 제1환기구(130a)와 제2환기구(130b)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환기구(130b)는 상기 박스(130)의 하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환기구(130a)는 상기 제2환기구(130b)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박스(130) 하면에 배치된다.The first ventilation hole 130a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3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30b is disposed in front of a lower surface of the box 130. The first ventilation hole 130a is formed in the second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x 130, spaced rearward from the vent hole 130b.

상기 전기장치(131)는 제2팬(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device 13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n 133.

상기 제2팬(133)은 상기 제2환기구(130b)에 설치되어 상기 제2환기구(130b)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의 공기를 상기 박스(130)의 내부로 흡입한다.The second fan 133 is installed in the second vent hole 130b and sucks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into the box 130 through the second vent hole 130b.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S)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환기구(130a)를 통해 상기 박스(130)의 내부공간(130s)으로 유입될 수 있다.A part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130s of the box 130 through the first vent 130a.

일반적으로 상기 수용공간(S)에서 상기 제1환기구(130a)의 하측(이하 “제1구역(S1)”) 외부로부터 햇볕이 유입되는 부분인데, 상기 제1구역(S1)은 햇볕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의 다른 구역(이하 “제2구역(S2)”) 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상승한다.(S1)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 130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zone S1")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the first zone S1 is a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temperature rises at a faster rate than the other zon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zone S2 ").

이때, 상기 제1덮개(160)가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차단하고, 상기 제2덮개(170)가 상기 차단막(111)에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제1구역(S1)의 가열된 공기는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120a)을 통해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1구역(S1)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환기구(130a)를 통해 상기 박스(130)의 내부공간(130s)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irst cover 160 blocks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120a and the second cover 170 is not mounted on the shielding film 111, The heated air is not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120a bu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130a disposed above the first space S1, 130 to the inner space 130s.

상기 제1구역(S1)의 가열 공기가 상기 박스(130)의 내부공간(130s)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구역(S2)의 공기는 제1구역(S1)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구역(S2)으로는 상기 차단막(111)의 상기 환기부(111a)를 통해 상기 건물의 실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heated air in the first zone S1 moves into the inner space 130s of the box 130, the air in the second zone S2 moves to the first zone S1, Indoor air of the building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ventilation part 111a of the blocking film 111 in the step S2.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별도의 에너지는 소모 없이 공기의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S) 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의 공기 또한 환기시킬 수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100 can ventilat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by us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without consuming additional energy and can als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 제2팬(133)은 상기 제1환기구(130a)에도 설치되어, 상기 제1환기구(130a)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의 공기를 상기 박스(130)의 내부로 흡입할 수도 있다.The second fan 133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vent hole 130a to suck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into the box 130 through the first vent hole 130a have.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전선(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180.

상기 전선(180)은 상기 환기관(140)의 내부, 즉, 상기 유로(140s)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ic wire 1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nt pipe 140, that is, in the flow path 140s.

상기 전선(180)은 상기 환기관(140) 및 상기 연결구(130c)를 통해 상기 전기장치(131)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별도의 상기 전선(180)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electric wire 18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131 through the vent pipe 140 and the connection port 130c,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ctric wire 180 is not required for the ventilation system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이러한 전선(180)은 외부로부터 상기 전기장치(131)에 전류를 제공한다.This electric wire 180 provides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ic device 131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제1팬(150)은 상기 박스(130) 내부의 전기장치(131)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환기관(140)의 유로(140s)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first fan 150 may discharge heat generated in the electric device 131 inside the box 130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w path 140s of the vent pipe 140. [

도 9 및 도 10 참조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배변부(101)와 먹이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defecation unit 101 and a feeding unit 102.

상기 배변부(101)는 상기 수용공간(S)의 상기 제1구역(S1)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defecation part (10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area (S1)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따라서 애완동물의 대소변은 햇볕에 의해 빠르게 건조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대소변에 의한 오염된 가열공기는 상기 제1환기구(130a)를 통해 상기 박스(130)의 내부공간(130s)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feces of the pet can be dried quickly by the sun, and the heated air contaminated by the feces of the pet flows into the inner space 130s of the box 130 through the first vent 130a, .

그리고 상기 배변부(101)에는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변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defecation part 101, a bowel plate (not shown) may be installed so that a pet can perform a bowel movement.

또한 상기 배변부(101)에는 가압센서(103)가 설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가압센서(103)는 상기 배변판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flector 101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103.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103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wel plate.

이에 따라 상기 가압센서(103)는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판(미도시)에 올라서서 배변을 볼 때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sure sensor 103 can sense the pressure when the pet observes the bowel movement on the bowel plate (not shown).

상기 가압센서(103)는 제어부(104)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1팬(150) 및 상기 제2팬(133) 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03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4. The controller 104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fan 150 and the second fan 133.

상기 가압센서(103)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1팬(150) 및 상기 제2팬(133)을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S)의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03, the controller 104 operates the first fan 150 and the second fan 133 to forcibly discharge the accommodating space S to the outside .

즉, 상기 환기 시스템(100)은, 애완동물이 상기 배변판(미도시)에 배면을 볼 때에만, 상기 제1팬(150) 및 상기 제2팬(133)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어, 상기 환기 시스템(100)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ventilation system 100 may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fan 150 and the second fan 133 only when the pet observes the rear surface of the toilet bowl (not shown)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in the ventilation system 100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환기 시스템
110:본체
120:도어
130:박스
140:환기관
150:제1팬
100: Ventilation system
110:
120: Door
130: box
140: ventilation duct
150: First fan

Claims (10)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하는 개폐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박스;
일측은 상기 박스의 연결구와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건물의 외부와 연통된 환기관;
상기 환기관의 내부 공기를 상기 건물의 외부로 유동시키는 제1팬;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 일부와 겹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은,
복수의 제2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와,
상기 환기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 일부와 마주보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pets therein, and a front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build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do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 closing port;
A box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t one side thereof and a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outside thereof;
A vent pipe communicating with a connection port of the box on one sid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n the other side;
A first fan for flowing the air inside the ventilation pi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nd a blocking film provided below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of the main body and overlapping with a lower part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The blocking layer
A ventilation pa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a blocking port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ventilation portion and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with the door closing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건물의 내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환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1환기공은 상기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향할수록 넓어지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has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building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ach of the first ventilating holes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2환기공을 차단하는 제2덮개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lid mounted on the blocking film to block the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ng hol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을 차단하는 제1덮개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rst lid mounted on the door to block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는,
상기 복수의 제1환기공을 차단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ver
A first cover for blocking the plurality of first ventilating holes,
And a first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와,
상기 환기관의 내부 및 상기 연결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기장치와 연결된 전선을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x,
Further comprising: an interior of said ventilation duct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said electric device through said connection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하면에는 제2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환기구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박스의 내부로 흡입하는 제2팬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box, and a second fan is installed in the second ventilation hole for sucking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the box.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하면에는 상기 제2환기구와 후방으로 이격된 제1환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통해 상기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bottom of the box is formed with a first ventilation hole spaced rearward from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a part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box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KR1020150099063A 2015-07-13 2015-07-13 Ventilation system KR101619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3A KR101619023B1 (en) 2015-07-13 2015-07-13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3A KR101619023B1 (en) 2015-07-13 2015-07-13 Ventil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023B1 true KR101619023B1 (en) 2016-05-18

Family

ID=5611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63A KR101619023B1 (en) 2015-07-13 2015-07-13 Venti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02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18A (en) * 2003-06-17 2005-01-13 Technos Kikaku:Kk Case cleaner for preventing pet hospital infection
JP2007060930A (en) * 2005-08-29 2007-03-15 Sumitomo Chemical Co Ltd Light-irradiating rearing apparatus, and light-irradiating rearing test method
KR101411922B1 (en) 2012-03-09 2014-06-26 김주홍 Dogt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18A (en) * 2003-06-17 2005-01-13 Technos Kikaku:Kk Case cleaner for preventing pet hospital infection
JP2007060930A (en) * 2005-08-29 2007-03-15 Sumitomo Chemical Co Ltd Light-irradiating rearing apparatus, and light-irradiating rearing test method
KR101411922B1 (en) 2012-03-09 2014-06-26 김주홍 Dogt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053B1 (en) Ventilation of hygienic carriage container for livestock
JP2000245281A (en) Small animal breeding apparatus
KR101178111B1 (en) telephone booth of soundproof having airconditioner
KR101619023B1 (en) Ventilation system
CN205382832U (en) Mosquito -proof worm air door
CN206071421U (en) Prevent the device that mosquitos and flies gets in
KR200443163Y1 (en) A ventilative and exhaust system of a barns
KR20160145947A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ets
KR20180000317U (en) Ventillation device for cats toilet
KR20180045963A (en) Movable ventilation fan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CN212589496U (en) Intelligent cat litter basin with exhaust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N213073942U (en) Animal autonomous activity monitoring room
KR20150110939A (en) Heating radiating case
KR100778789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repeater cabinet
CN104604741B (en) Intelligent miniature heating room
CN108926722A (en) Books sterilizing unit and bookshelf
US11968955B2 (en) Litter housing assembly
KR20220167504A (en) Pet bathroom
FI109045B (en) Double-skinned facade
JP2004027656A (en) Opening/closing apparatus
CN216673159U (en) Intelligent doorbell
CN218817143U (en) Pet lavatory intelligence air exhauster
KR200387105Y1 (en) Window Frame Air Circulation Device
JP2002142600A (en) Toilet for cat
CN219498546U (en) Relay prote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