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68B1 - 차량용 캘리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캘리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68B1
KR101618868B1 KR1020100102019A KR20100102019A KR101618868B1 KR 101618868 B1 KR101618868 B1 KR 101618868B1 KR 1020100102019 A KR1020100102019 A KR 1020100102019A KR 20100102019 A KR20100102019 A KR 20100102019A KR 101618868 B1 KR101618868 B1 KR 101618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caliper body
coupling nut
caliper
n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544A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Abstract

차량용 캘리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캘리퍼장치는: 장착공을 구비하는 캘리퍼몸체와, 캘리퍼몸체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장착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부 및 카트리지부와 대향되는 캘리퍼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입력축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캘리퍼장치{CALIPER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캘리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도 향상된 동작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캘리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브레이크는 차량의 일시적인 정지나 주차 등에 사용되며, 이러한 주차브레이크는 주차레버의 조작으로 동작된다.
주차레버의 조작으로 당겨지는 케이블에 의해 차륜이 가압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캘리퍼(Caliper)를 이용하는 주차브레이크는 BIR캘리퍼(Ball In Ramp Caliper)라 불리우며, 디스크플레이트를 패드 사이에 위치시켜 제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BIR캘리퍼는 주차 브레이크를 당김에 따라 주차 케이블을 통해 BIR캘리퍼의 내부에서 축 방향 이동력이 발생된다.
즉, 주차케이블의 당김력이 입력축 램프(Ramp)의 회전력으로 전환되면서, 그 내부에 위치된 볼(Ball)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볼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반대쪽 램프(Ramp)로 배력된 축 방향 이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축 방향 이동력은 패드를 디스크플레이트 쪽으로 가압하여 주차를 위한 제동력을 형성한다.
입력축은 카트리지아세이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카트리지아세이는 입력축에 와셔리테이너가 체결되므로 캘리퍼몸체에 고정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아세이의 고정 작업시, 와셔리테이너가 입력축의 홈에 정확히 끼워져서 캘리퍼몸체의 외측에 걸쳐지는 고정 작업이 요구되므로 조립작업 시간이 증가한다. 그리고,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 와셔리테이너가 손상되는 경우 제동과 관련된 동작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므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는: 장착공을 구비하는 캘리퍼몸체와, 캘리퍼몸체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장착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부 및 카트리지부와 대향되는 캘리퍼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입력축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축과 체결너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입력축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부재와 캘리퍼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캘리퍼몸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캘리퍼몸체를 향한 체결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체결너트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너트부의 내측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그리스(Grease)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축과 체결너트부가 체결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는, 카트리지부의 입력축에 체결너트부가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카트리지부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체결너트부가 입력축에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입력축의 풀림이 방지되어 향상된 동작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너트부와 입력축의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너트부와 입력축의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1)는, 캘리퍼몸체(10)와, 캘리퍼몸체(10)에 접하여 설치되는 카트리지부(20) 및 카트리지부(20)의 입력축(24)에 체결되어 카트리지부(20)를 캘리퍼몸체(10)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부(30)를 포함한다.
차량용 캘리퍼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캘리퍼몸체(10)는 입력축(24)이 통과되는 장착공(12)이 전면(도 1기준 좌측)에 구비된다.
캘리퍼몸체(10)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카트리지부(20)는, 장착공(12)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축(24)이 구비된다.
입력축(24)은 장착부재(72)의 체결로 연결레버(70)와 연결되며, 연결레버(70)는 주차레버(미도시)의 동작으로 이동되는 파킹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된다.
따라서, 주차레버의 동작은 파킹케이블을 통해 연결레버(70)로 전달되며, 연결레버(70)와 연결되는 입력축(24)이 회전된다.
카트리지부(20)는 입력축(24)의 회전에 따라 카트리지몸체(22)의 내부에 위치된 볼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축 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트리지부(20)의 구성 및 동작상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트리지부(20)와 대향되는 캘리퍼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체결너트부(30)는, 카트리지부(20)에서 연장되는 입력축(24)에 체결되어 캘리퍼몸체(10)의 내측에 카트리지부(20)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입력축(24)의 외측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접하는 체결너트부(30)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너트부(30)는, 입력축(24)에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몸체(32)와, 체결몸체(32)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연장부재(34)를 포함한다.
체결너트부(30)와 캘리퍼몸체(10)의 외측면(14) 사이에는 내측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공간에 베어링부재(40)와 플레이트(45) 및 그리스(55) 등이 구비된다.
베어링부재(40)는, 입력축(24)과 체결너트부(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입력축(24)의 회전에 따른 체결너트부(30)와 캘리퍼몸체(10)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한, 베어링부재(40)는, 체결너트부(30)가 캘리퍼몸체(10)와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카트리지부(20)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베어링부재(40)와 캘리퍼몸체(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45)는 입력축(24)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플레이트(45)는, 베어링부재(40)의 회전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캘리퍼몸체(1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베어링부재(40)의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켜, 베어링부재(4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캘리퍼몸체(10)를 향한 체결너트부(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더스트링(50)은, 체결너트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한다.
이러한 더스트링(50)은 고무를 재질로 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14)에 마주하는 연장부재(34)에 접하여 설치된다.
더스트링(50)의 설치로 외부와 차폐되는 체결너트부(30)의 내측에는, 입력축(24)과 베어링부재(40)의 마찰을 감소시켜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그리스(Grease)(55)가 충전된다.
한편, 체결너트부(30)와 입력축(24)의 체결이 외부 충격 등으로 풀어지지 않도록, 입력축(24)과 체결너트부(30)가 체결되는 부위에 접착제(60)가 도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60)는 록타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입력축(24)과 캘리퍼몸체(10)의 사이에는 관 형상의 부싱부재(65)가 설치되어 캘리퍼몸체(10)의 마모를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1)의 조립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부(20)가 캘리퍼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입력축(24)은 캘리퍼몸체(10)의 장착공(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입력축(24)은 부싱부재(65)와 플레이트(45)와 베어링부재(40) 및 더스트링(50)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부위에 접착제(60)가 도포된 체결너트부(30)에 체결된다.
체결너트부(30)와 체결된 입력축(24)은 파킹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레버(70)와 축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캘리퍼장치(1)는, 카트리지부(20)의 입력축(24)에 체결너트부(30)가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카트리지부(20)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60)가 도포된 상태에서 체결너트부(30)가 입력축(24)에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입력축(24)의 풀림이 방지되어 향상된 동작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결너트부(30)와 입력축(24)의 결합 상태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동화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체결너트부(30)의 조립을 자동화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셔리테이너를 타격 방식으로 입력축(24)에 체결하지 않고,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입력축(24)과 체결너트부(30)를 결합하므로, 조립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축(24)과 체결너트부(30)를 분해한 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캘리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브레이크가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장치에도 본 발명의 캘리퍼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캘리퍼장치
10: 캘리퍼몸체 12: 장착공
20: 카트리지부 22: 카트리지몸체
24: 입력축 30: 체결너트부
32: 체결몸체 34: 연장부재
40: 베어링부재 45: 플레이트
50: 더스트링 55: 그리스
60: 접착제 65: 부싱부재
70: 연결레버 72: 장착부재

Claims (6)

  1. 장착공을 구비하는 캘리퍼몸체;
    상기 캘리퍼몸체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장착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부; 및
    상기 카트리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캘리퍼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너트부는, 상기 입력축에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몸체; 및
    상기 체결몸체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파킹케이블과 연결되며, 장착부재의 체결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연결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축과 상기 체결너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와 상기 캘리퍼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캘리퍼몸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캘리퍼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몸체를 향한 상기 체결너트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체결너트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캘리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부의 내측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그리스(Grease)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캘리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체결너트부가 체결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캘리퍼장치.
KR1020100102019A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캘리퍼장치 KR101618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19A KR101618868B1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캘리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19A KR101618868B1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캘리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44A KR20120040544A (ko) 2012-04-27
KR101618868B1 true KR101618868B1 (ko) 2016-05-09

Family

ID=4614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019A KR101618868B1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캘리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166A (ja) 2003-05-13 2004-12-02 Akebono Brake Ind Co Ltd パーキング機構付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042753A (ja) * 2003-07-23 2005-02-17 Nissin Kogyo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8522106A (ja) 2004-11-26 2008-06-26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キャリパ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166A (ja) 2003-05-13 2004-12-02 Akebono Brake Ind Co Ltd パーキング機構付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042753A (ja) * 2003-07-23 2005-02-17 Nissin Kogyo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8522106A (ja) 2004-11-26 2008-06-26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キャリ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44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7841B2 (ja) 駐車ブレーキを有する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584756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10962067B2 (en) Caliper cover
KR20180116441A (ko) 다중 스톱 캠을 갖는 스핀들 너트 어셈블리
KR2013000834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CN105736610B (zh) 用于驻车制动的电子控制执行机构
KR101618868B1 (ko) 차량용 캘리퍼장치
KR101668732B1 (ko) 파킹 브레이크를 내장한 건설기계용 엑슬장치
US6382368B2 (en) Drum-in disc brake
JP616521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90266654A1 (en) Elastomeric stabilizers for brake caliper assembly on utility vehicle
KR200482761Y1 (ko) 브레이크 캘리퍼 어셈블리
KR10152625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38107B1 (ko) 주차 브레이킹 기능이 포함된 모노블록 브레이크 캘리퍼
KR20170069646A (ko) 패드가이드를 포함하는 캘리퍼브레이크
KR20110139042A (ko) 주차브레이크용 카트리지 어셈블리
KR20110140004A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용 캘리퍼
KR20160037537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20100043868A (ko) 볼 인 램프 브레이크 캘리퍼 타입 주차 브레이크
KR102210643B1 (ko) 전자드럼 브레이크용 나사풀림방지 너트구조
KR10084589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466068B1 (ko) 자동차용 bir타입 브레이크 캘리퍼
US20100187048A1 (en) Caliper brake
JP2012072843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263162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