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43B1 -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43B1
KR101618643B1 KR1020150008701A KR20150008701A KR101618643B1 KR 101618643 B1 KR101618643 B1 KR 101618643B1 KR 1020150008701 A KR1020150008701 A KR 1020150008701A KR 20150008701 A KR20150008701 A KR 20150008701A KR 101618643 B1 KR101618643 B1 KR 10161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coil
portable termi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섭
Original Assignee
그린파워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파워전자(주) filed Critical 그린파워전자(주)
Priority to KR102015000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17/00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7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측으로 설정각도 기울어져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위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1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제2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원데이터포트;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된 USB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APPARATUS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WITHOUT A WIRE CONNE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배터리 충전시, 전원케이블의 한쪽 연결단자를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고 다른 쪽 연결단자를 상용 전원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방식은 배터리 충전시 충전 케이블을 찾아야 하고, 배터리 충전시에 충전 케이블이 걸리적 거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충전방식의 예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충전방식이 있다.
전자기 유도로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이 구비된 무선충전장치와,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는 코일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가 있어야 한다.
휴대 단말기는 무선충전장치 위에 평평하게 놓인다. 휴대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에 놓이면, 무선충전장치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 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한편, 휴대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 평평하게 놓이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중에 문자나 메일이 오더라도, 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 평평하게 놓이기 때문에,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장치 사이의 위치가 틀어져, 충전이 잘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무선충전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무선충전하는 데만 사용되므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 외에는 자리만 차지할 뿐 쓸모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특2003-0009987 한국공개특허 10-2008-0036702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도중에, 문자나 메일이 오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도중에, 웬만한 충격에도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장치 사이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것은 물론, USB 허브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측으로 설정각도 기울어져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위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1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제2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원데이터포트;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된 USB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측으로 30°~ 80°기울어져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위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1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제2미끄럼방지판;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된 전원데이터포트;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USB 포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무게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부코일, 중간코일, 하부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코일과 상기 하부코일은 장축이 세로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중간코일은 장축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및 상기 하부코일이 상기 중간코일과 일부분이 겹치게, 상기 중간코일은 상기 상부코일과 상기 하부코일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전단에 위치되며, 본체의 후측으로 설정각도 기울어져 고정된 지지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가 기울어진 상태로 배터리가 충전되므로, 배터리가 충전중에, 문자나 메일이 와도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받침대의 상면에 제1미끄럼방지판이 설치되고, 본체의 하면에 제2미끄럼방지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에 무게판이 설치된다. 따라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웬만한 충격이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장치에 가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장치 사이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에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동시에 USB 허브로 사용되거나, USB 허브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 외에는 자리만 차지하는 일반적인 무선충전장치와 차별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1)는, 본체(10), 지지대(20), 받침대(30), 제1미끄럼방지판(40), 제2미끄럼방지판(50), 디스플레이모듈(60), 전원데이터포트(70), USB 포트(80), 무게판(9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놓여진다. 본체(10)의 바닥면은 분해 가능하다.
본체(1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본체(10)를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코일(11,12,13)이 설치된다.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회로 및 기타 부품들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코일(11,12,13)은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전자기를 발생시킨다. 코일(11,12,13)은 타원형으로 도선이 권선되어 만들어진다.
무선 충전이 잘 되기 위해서는, 무선충전장치(1)의 코일의 위치와, 휴대 단말기의 코일의 위치가 정확히 맞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 무선충전장치(1)의 코일은 상부코일(11), 중간코일(12), 하부코일(13)로 구성된다.
상부코일(11)과 하부코일(13)은 장축이 세로방향으로 위치된다. 중간코일(12)은 장축이 가로방향으로 위치된다.
중간코일(12)은 상부코일(11)과 하부코일(13)의 중간에 위치된다.
상부코일(11)과 하부코일(13)은 중간코일(12)과 일부분이 겹친다.
이러한 상부코일(11), 중간코일(12), 하부코일(13)의 배치로 인해서, 받침대(30) 위에 휴대 단말기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등 어떤 방향으로 놓아도, 배터리의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지지대(20)는 휴대 단말기를 뒤에서 지지한다.
지지대(20)와 본체(10)는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대(20)의 전면은 분해 가능하다.
지지대(20)는 본체(10)의 전단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지지대(20)에 휴대 단말기가 놓일 때, 지지대(20)가 뒤로 넘어가는 힘을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중에, 문자나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할 때, 지지대(20)가 뒤로 넘어가는 힘을,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10)의 중간이나 후단이 아닌 전단에 지지대(20)가 위치되어야, 지지대(20)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지지대(20)는 본체(10)의 후측으로 설정각도(θ)로 기울어진다. 설정각도(θ)는 30°~ 80°가 바람직하다. 설정각도(θ)가 30°보다 작으면 문자나 메일을 확인하기 어렵다. 반면, 설정각도(θ)가 80°보다 크면, 지지대(20)가 본체(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지지대(20)가 뒤로 넘어가는 힘을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최대한 분산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지지대(20)가 뒤로 쉽게 넘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대(20)는 본체(10)의 후측으로 30°~ 80°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에 대해 지지대(20)를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본체(10)에 대해 지지대(20)를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0)와 지지대(20) 사이에 회전부와 고정부가 더 필요하게 되므로,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이 복잡해 진다. 따라서, 지지대(20)는 처음부터 본체(10)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30)는 휴대 단말기를 아래에서 지지한다.
받침대(30)와 지지대(20)는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대(30)는 지지대(20)의 하단에 위치된다. 받침대(30)의 전면에는 창(31)이 구비된다. 그러나, 지지대(20)의 기울어진 각도(30°~ 40°)가 작으면, 받침대(30)의 전면과 하면에 걸쳐서 창(31)이 구비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대(20)의 기울어진 각도(70°~ 80°)가 크면, 받침대(30)의 상면과 전면에 걸쳐서 창(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모듈(60)의 스크린(61)이 창(31)을 통해서 잘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본체(10)에 대해 지지대(20)를 일정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면, 최적화된 창(31)의 위치가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20)는 처음부터 본체(10)에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미끄럼방지판(40)은 받침대(30)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1미끄럼방지판(40)은 고무로 만들어진다. 제1미끄럼방지판(40)으로 인해, 받침대(30) 위에 놓인 휴대용 단말기는 웬만한 충격에도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제2미끄럼방지판(50)은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제2미끄럼방지판(50)은 고무로 만들어진다. 제2미끄럼방지판(50)으로 인해, 본체(10)는 웬만한 충격에도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받침대(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배터리 충전량을 스크린(61)에 표시한다. 스크린(61)은 창(31) 바깥으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창(31) 바깥으로 노출된 스크린(61)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 정도를 알 수 있다.
전원데이터포트(70)는 본체(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전원데이터포트(70)는 5핀으로 구성된다. 물론, 전원데이터포트(70)는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전원데이터포트(70)에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면, 본체(10)가 넘어질 수 있어, 본체(10)의 후면에 전원데이터포트(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데이터포트(70)는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USB포트(80)와 간섭되므로, 본체(10)의 후면에 전원데이터포트(70)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B포트(80)는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된다. 물론, USB포트(80)는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USB포트(80)에 케이블이 연결되면, 본체(10)가 넘어질 수 있어, 본체(10)의 측면에 USB포트(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SB포트(80)는 본체(10)의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전원데이터포트(70)와 간섭되므로, 본체(10)의 측면에 USB포트(80)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후면보다 측면이 넓으므로, USB포트(80)를 더 많은 USB포트들을 설치할 수 있는 측면에 USB포트(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USB포트(80)는 제1USB포트(81), 제2USB포트(82), 제3USB포트(83), 제4USB포트(84)로 구성되나, USB포트(80)가 더 많은 포트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게판(90)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무게판(90)은 무선충전장치(1)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으로 내려, 지지대(20)이 쉽게 넘어가지 못하게 만든다. 무게판(90)의 무게는 300g~500g 이 바람직하다. 무게판(90)의 무게가 300g 보다 가벼우면, 무게판(90)이 무게중심을 낮추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무게판(90)의 무게가 500g 보다 무거우면, 무선충전장치(1)의 휴대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무게판(90)의 무게는 300g~500g 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컴퓨터(PC)의 USB포트(미도시)와, 무선충전장치(1)의 전원데이터포트(70)를 케이블(C1)로 연결한다.
컴퓨터(PC)를 켠다. 컴퓨터(PC)에서 무선충전장치(1)로 전원이 공급된다.
받침대(30) 위에 휴대 단말기(CP)을 올려놓는다.
배터리(미도시)가 무선으로 충전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CP)는 컴퓨터(PC)와 어떠한 데이터도 주고 받지 않는다. 이점 또한, 휴대 단말기와 컴퓨터(PC)가 접점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종래 유선충전기와 다른점이다.
제1USB포트(81)에 USB메모리(M)를 꽂는다. 컴퓨터(PC)와 USB메모리(M)가, 케이블(C1)과 전원데이터포트(70)와 제1USB포트(81)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제2USB포트(82)와 프린터(PR)을 케이블(C2)로 연결한다. 컴퓨터(PC)가, 케이블(C2)과 전원데이터포트(70)와 제2USB포트(82)를 통해서, 프린터(PR)에 인쇄신호를 보낸다.
프린터(PR)는, 케이블(C2)과 전원데이터포트(70)와 제2USB포트(82)를 통해서, 컴퓨터(PC)에 인쇄완료신호를 보낸다.
USB메모리(M), 프린터(PR) 외에도, 스캐너, 마우스 등 다양한 기기들이 USB포트(80)을 통해서, 컴퓨터(PC)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무선충전장치(1)는 USB 허브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장치(1)를 USB 허브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충전장치(1)는 컴퓨터(P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다. 이때는, 전원데이터포트(7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무선충전장치로만 사용하면 된다.
1; 무선충전장치 10; 본체
20; 지지대 30; 받침대
40: 제1미끄럼방지판 50: 제2미끄럼방지판
60: 디스플레이모듈 70: 전원데이터포트
80: USB포트 90: 무게판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단에 위치되어, 30°~ 80°뒤로 기울어진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단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기울어진 각도가 30°~ 40°이면 전면과 하면에 걸쳐 창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기울어진 각도가 70°~ 80°이면 전면과 상면에 걸쳐 창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쪽이 위치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상부코일;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코일과 겹치지 않도록 상기 상부코일의 아래로 떨어져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쪽이 위치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하부코일;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코일과 위쪽이 겹치고 상기 하부코일과 아래쪽이 겹치도록 상기 상부코일과 상기 하부코일의 중간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쪽이 위치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중간코일;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원데이터포트;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된 USB 포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코일 및 하부코일은 상기 지지대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쪽이 놓인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키고, 상기 중간코일은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쪽이 놓인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키며,
    상기 전원데이터포트가 컴퓨터와 케이블로 연결되면, 상기 전원데이터포트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컴퓨터와는 어떠한 데이타도 주고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놓인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만을 공급하는 역할과, 상기 USB 포트들 각각에 연결된 USB 메모리, 프린터, 스캐너, 마우스와 상기 컴퓨터가 데이타를 주고 받게 해주는 USB 허브 역할을 동시에 하며,
    상기 전원데이터포트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면, 상기 전원데이터포트는 상기 지지대에 놓인 휴대 단말기를 무선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08701A 2015-01-19 2015-01-19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KR10161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01A KR101618643B1 (ko) 2015-01-19 2015-01-19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01A KR101618643B1 (ko) 2015-01-19 2015-01-19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643B1 true KR101618643B1 (ko) 2016-05-10

Family

ID=5602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01A KR101618643B1 (ko) 2015-01-19 2015-01-19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36A1 (en) * 2017-03-24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position type
KR101914998B1 (ko) * 2017-11-30 2018-11-06 주식회사 아이디로 모바일 기기용 무선 충전 패드
KR101922726B1 (ko) * 2017-05-31 2018-11-27 전준영 휴대용 플라즈마 미용기기 및 이를 가스 충전하기 위한 거치대가 구비된 플라즈마 스킨케어 시스템
KR102201843B1 (ko) * 2019-09-06 2021-01-11 장현진 다용도 무선충전기
KR102367449B1 (ko) 2021-10-26 2022-02-24 주식회사 지토스 휴대용 사용자 단말 무선충전기의 충전 효율 최대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36A1 (en) * 2017-03-24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position type
CN110178286A (zh) * 2017-03-24 2019-08-27 三星电子株式会社 根据位置类型发送无线电力的装置和发送无线电力的方法
US10879747B2 (en) 2017-03-24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position type
CN110178286B (zh) * 2017-03-24 2023-05-26 三星电子株式会社 根据位置类型发送无线电力的装置和发送无线电力的方法
KR101922726B1 (ko) * 2017-05-31 2018-11-27 전준영 휴대용 플라즈마 미용기기 및 이를 가스 충전하기 위한 거치대가 구비된 플라즈마 스킨케어 시스템
KR101914998B1 (ko) * 2017-11-30 2018-11-06 주식회사 아이디로 모바일 기기용 무선 충전 패드
KR102201843B1 (ko) * 2019-09-06 2021-01-11 장현진 다용도 무선충전기
KR102367449B1 (ko) 2021-10-26 2022-02-24 주식회사 지토스 휴대용 사용자 단말 무선충전기의 충전 효율 최대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43B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CN103995565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多用途接口
US10069529B2 (en) Portable charging case module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308532B (zh) 叠放可拆式平板
JP5451554B2 (ja) 携帯端末機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203660606U (zh) 多功能无线充电器
US201403625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JP2020067958A (ja) 電子機器
CN102345782A (zh) 耦合构件和具有耦合构件的电子设备
TWM467240U (zh) 可平置及傾斜充電的無線充電發射裝置
US20140139183A1 (en) Mobile Device Charger With Support Stand System
CN206961261U (zh) Pos机及其扩展坞
KR102005296B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JP6797932B2 (ja) 2in1装置のための双方向ワイヤレス充電機能を有する両面ドッキング可能なキーボード・ベース
CN205371984U (zh) 一种平板pos用多功能新型支架
KR200456008Y1 (ko)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3024328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外接设备
CN207939221U (zh) 一种移动电源
CN208638055U (zh) 一种无线充电装置
JPWO2013021791A1 (ja) 電子機器の収納ケース
CN107919549A (zh) 电子装置的传输基座
KR102354492B1 (ko) 고속충전 가능한 컴퓨터 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