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01B1 -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 Google Patents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01B1
KR101618201B1 KR1020150142015A KR20150142015A KR101618201B1 KR 101618201 B1 KR101618201 B1 KR 101618201B1 KR 1020150142015 A KR1020150142015 A KR 1020150142015A KR 20150142015 A KR20150142015 A KR 20150142015A KR 101618201 B1 KR101618201 B1 KR 10161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od
setting
setting log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프코
Priority to KR102015014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8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each corrugation being limi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로우즈의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성형하여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한 신축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좌플랜지(100) 및 우플랜지(11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에 구비되어,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벨로우즈(20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셋팅로그(120) 및 우셋팅로그(130)와;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셋팅볼트(300) 및 셋팅너트(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벨로우즈(20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10)와 내측으로 함몰된 홈(220)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기(210)와 홈(22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방이 개구된 원(圓)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Connecting pipe have high elasticity}
본 발명은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로우즈의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성형하여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한 신축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 등에서 두 관(pipe)을 연결하기 위해 이음관이 사용된다. 이는 커플링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신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벨로우즈(bellows)를 부가하기도 한다.
벨로우즈(bellows)는, 관의 돌출부위 끝에 용접한 쭈글쭈글한 쇠 테두리를 형성한 것이다. 즉, 주름을 형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벨로우즈(bellows)는 양측 관 사이에 구비되어 관(pipe)의 길이방향(축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내부에 충진되거나 유동되는 가스 또는 액체물을 밀폐시키고자 할 때 주로 쓰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축이 필요한 연결관(이음관)에는 벨로우즈(bellows)가 사용되고, 벨로우즈(bellows)가 사용된 신축이음관은 각종 공정 엔지니어링의 배관(pipe-work)이나 가스배관(duct-line) 등에 사용된다.
각종 엔지니어링 배관에서는 열이나 압력으로 인한 팽창이나 기계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벨로우즈(bellows)를 이용한 신축이음관은 이러한 열팽창이나 진동 등을 흡수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벨로우즈(bellows)는 금속이나 PTFE 수지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므로 강성이 강하여 신축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도 않고 있다. 즉, 내부의 유체나 기체를 밀폐시키고 금속재질의 파이프(pipe)를 연결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벨로우즈(bellows)를 사용하고 있으나, 신축성이 부족하여 파이프(pipe)의 신축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063114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로우즈(bellows)의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형성하여 신축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셋팅볼트가 길이방향으로 쉽게 신축되도록 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좌플랜지(100) 및 우플랜지(11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에 구비되어,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벨로우즈(20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셋팅로그(120) 및 우셋팅로그(130)와;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셋팅볼트(300) 및 셋팅너트(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벨로우즈(20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10)와 내측으로 함몰된 홈(220)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기(210)와 홈(22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방이 개구된 원(圓)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210)는, 좌우가 라운드지게 돌출된 머리부(212)와, 좌우가 라운드지게 내측으로 함몰된 목부(21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부(212)의 좌우 폭 크기는, 상기 목부(214)의 좌우 폭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셋팅볼트(300)는, 상기 좌셋팅로그(120)에 연결되는 좌측로드(310)와, 상기 우셋팅로그(130)에 연결되는 우측로드(320)와,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하는 탄성수단(3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330)은, 상기 우측로드(3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연결공간(332')이 형성되도록 하는 파이프부(332)와; 상기 파이프부(332)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부(332)의 일단을 차폐하는 커버(334)와;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을 가하는 메인스프링(336)과;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겹치도록 탄성을 가하는 보조스프링(338);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좌우의 플렌지 사이에는 벨로우즈(bellows)가 구비되고, 이러한 벨로우즈(bellows)의 형상은 원에 가깝게 성형된다. 즉, 벨로우즈(bellows)를 구성하는 주름은 원 형태의 머리부와 좌우의 폭이 작은 목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좌우의 플랜지가 길이방향으로 신축할 때 벨로우즈(bellows)가 쉽게 좌우로 신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셋팅볼트에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좌우 플랜지게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경우에 셋팅볼트도 쉽게 좌우로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음관의 신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벨로우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셋팅볼트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벨로우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좌플랜지(100) 및 우플랜지(11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에 구비되어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벨로우즈(20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셋팅로그(120) 및 우셋팅로그(130)와,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셋팅볼트(300) 및 셋팅너트(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플랜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결합단이 더 형성되어 외부의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와 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우플랜지(110)는 상기 좌플랜지(100)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우플랜지(110)는 상기 좌플랜지(100)의 우측에 소정 거리 이격된 우측에 구비되며, 우측의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와 접하여 볼트(bolt)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벨로우즈(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에 구비되며, 좌우의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좌플랜지(100)의 좌측 또는 상기 우플랜지(110)의 우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거나 하는 경우에,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벨로우즈(20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10)와 내측으로 함몰된 홈(220)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벨로우즈(200)는 상하로 요철(凹凸) 형상을 가지도록 돌기(210)와 홈(220)이 반복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210)와 홈(22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방이 개구된 원(圓)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10)는 전체적으로는 원(圓)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도 하방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홈(220)은 전체적으로 원(圓)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도 상방이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10)와 홈(220)은 서로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돌기(210)는, 좌우가 라운드지게 돌출된 머리부(212)와, 좌우가 라운드지게 내측으로 함몰된 목부(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212)의 좌우 폭 크기는, 상기 목부(214)의 좌우 폭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10)는 전체적으로 원(圓)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머리부(212)와, 이러한 머리부(212)를 상기 플랜지(100,110)에 연결하는 목부(214) 등으로 구성되며, 머리부(212) 및 목부(214)는 모두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212)는 좌우와 상방이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하방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목부(214)는 상기 머리부(21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는 내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는,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좌셋팅로그(120)는 상기 좌플랜지(10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도 1 및 도 2에서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우셋팅로그(130)는 상기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셋팅볼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셋팅볼트(300)는 상기 플랜지(100,110)의 외측에 2 이상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셋팅너트(400)는, 상기 셋팅볼트(300)와 체결된다. 즉, 상기 셋팅너트(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셋팅로그(120,130)의 좌우에 구비되어 상기 셋팅볼트(300)와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의 간격을 셋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500'은 슬리브(sleeve)이다.
도 3에는 상기 셋팅볼트(300)의 구성이 단면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셋팅볼트(300)는 하나의 볼트(bolt)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좌우로 나누어진 별개의 로드가 서로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셋팅볼트(300)가 좌우 로드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셋팅볼트(300)는, 상기 좌셋팅로그(120)에 연결되는 좌측로드(310)와, 상기 우셋팅로그(130)에 연결되는 우측로드(320)와,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하는 탄성수단(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로드(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로드(320)도 상기 좌측로드(310)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의 지름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상기 우측로드(320)의 외경이 상기 좌측로드(31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수단(330)은 상기 셋팅볼트(300)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좌우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수단(330)은, 상기 좌측로드(310)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로드(320)의 좌측단이 서로 일정 부분 중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330)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연결공간(332')이 형성되도록 하는 파이프부(332)와, 상기 파이프부(332)의 일단을 차폐하는 커버(334)와,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을 가하는 메인스프링(336)과,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겹치도록 탄성을 가하는 보조스프링(33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부(3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로드(320)의 좌측단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연결공간(3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간(332')에는 상기 스프링(336,338) 등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334)는 상기 파이프부(332)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버(334)는 상기 파이프부(332)의 좌측단에 구비되어 파이프부(332)의 개구된 좌측단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334)는 상기 파이프부(332)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프링(3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스프링(336)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를 탄성력으로 밀게 된다.
상기 보조스프링(338)은 상기 좌측로드(310)의 우측단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겹치도록 탄성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조스프링(338)은 상기 메인스프링(336)과는 반대로,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측로드(310)의 우측단에는, 상기 메인스프링(336) 및 보조스프링(338)의 설치를 위한 걸림단(312)과 내측돌기(3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단(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로드(310)의 우측단에 형성되며, 좌측로드(31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단(312)은 상기 메인스프링(336)의 좌측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스프링(338)의 우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내측돌기(3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로드(310)의 우측단 중앙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측돌기(314)는 상기 메인스프링(336)의 좌측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스프링(336)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3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332)의 좌측단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334)와 상기 걸림단(312) 사이에 상기 보조스프링(338)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우측로드(320)의 좌측단에는 외측돌기(322)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더 구비된다.
상기 외측돌기(3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돌기(314)와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프링(336)의 우측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공간(332')의 우측단에는 상기 외측돌기(322)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외측돌기(322)는 상기 메인스프링(336)의 우측단 중앙에 수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에는 외부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볼트(bolt)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의 파이프 등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좌플랜지(100) 또는 우플랜지(110)에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좌플랜지(100) 또는 우플랜지(110)는 좌 또는 우로 이동하려 하게 될 것이고, 이때 좌우의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랜지(100,110)도 유동되지 않게 되면, 좌우의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나 플랜지(100,1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상기 벨로우즈(200)가 완충하게 된다. 즉, 상기 벨로우즈(200)는 돌기(210)와 홈(220)의 연속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머리부(212)의 폭이 목부(21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로의 신축이 용이하게 일어난다. 즉, 목부(214)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함 목부(214)는 상대적으로 쉽게 더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셋팅볼트(300)에도 탄성수단(33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가해지거나 본 발명에 의한 이음관이 이동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탄성수단(330)에 의해 셋팅볼트(300)나 플랜지(100,110)의 파손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랜지(100,11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스프링(336)과 보조스프링(338)에 의해 완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가 가까워지려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 서로 밀쳐지게 되어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가 서로 멀어지려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스프링(338)의 탄성력이 상기 커버(334)와 걸림단(312)을 좌우로 밀고 있으므로, 외력이 상쇄된다.
이와 같이 외력이 상기 벨로우즈(200)나 탄성수단(330) 등에 의해 완충되어 외력이 상쇄되고, 이후 외력이 소멸되면 상기 벨로우즈(200)나 탄성수단(3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좌플랜지(100) 및 우플랜지(11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수단(330)이 상기 우측로드(3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수단(330)이 좌측로드(310)나 우측로드(32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330)에서 직접적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구성으로 메인스프링(336)과 보조스프링(338)을 예시하고 있으나, 스프링 외에도 고무와 같은 다른 탄성재질이나 탄성구조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링(338)의 설치위치도 변경 가능할 것이며, 그 수량도 2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100. 좌플랜지 110. 우플랜지
120. 좌셋팅로그 130. 우셋팅로그
200. 벨로우즈 210. 돌기
212. 머리부 214. 목부
220. 홈 300. 셋팅볼트
310. 좌측로드 320. 우측로드
330. 탄성수단 332. 파이프부
334. 커버 336. 메인스프링
338. 보조스프링 400. 셋팅너트
500. 슬리브

Claims (3)

  1.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좌플랜지(100) 및 우플랜지(11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에 구비되어,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 사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벨로우즈(200)와;
    상기 좌플랜지(100)와 우플랜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좌셋팅로그(120) 및 우셋팅로그(130)와;
    상기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 사이에 구비되어, 좌셋팅로그(120)와 우셋팅로그(13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셋팅볼트(300) 및 셋팅너트(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벨로우즈(20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10)와 내측으로 함몰된 홈(220)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기(210)와 홈(22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방이 개구된 원(圓)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셋팅볼트(300)는,
    상기 좌셋팅로그(120)에 연결되는 좌측로드(310)와, 상기 우셋팅로그(130)에 연결되는 우측로드(320)와, 상기 좌측로드(310)와 우측로드(320)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하는 탄성수단(3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탄성수단(330)은,
    상기 우측로드(3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연결공간(332')이 형성되도록 하는 파이프부(332)와, 상기 파이프부(33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부(332)의 일단을 차폐하는 커버(334)와,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멀어지도록 탄성을 가하는 메인스프링(336)과, 상기 연결공간(332')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로드(320)와 좌측로드(310)가 서로 겹치도록 탄성을 가하는 보조스프링(338)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돌기(210)는,
    좌우가 라운드지게 돌출된 머리부(212)와, 좌우가 라운드지게 내측으로 함몰된 목부(21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머리부(212)의 좌우 폭 크기는, 상기 목부(214)의 좌우 폭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2. 삭제
  3. 삭제
KR1020150142015A 2015-10-12 2015-10-12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KR10161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15A KR101618201B1 (ko) 2015-10-12 2015-10-12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15A KR101618201B1 (ko) 2015-10-12 2015-10-12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201B1 true KR101618201B1 (ko) 2016-05-04

Family

ID=5602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15A KR101618201B1 (ko) 2015-10-12 2015-10-12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2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91A (ko) * 2018-03-27 2019-10-08 (주)삼성플렉스 안전 브라인더 커버 일체형 익스펜션 죠인트
KR20200109720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케이티엘 벨로우즈 가이드 장치
KR102216989B1 (ko) * 2019-09-27 2021-02-18 주식회사 케이티엘 진동 저감 벨로우즈
CN113309916A (zh) * 2021-05-11 2021-08-27 王蕊 一种万向节联通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57Y1 (ko) * 2000-04-06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타이로드 신축관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57Y1 (ko) * 2000-04-06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타이로드 신축관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91A (ko) * 2018-03-27 2019-10-08 (주)삼성플렉스 안전 브라인더 커버 일체형 익스펜션 죠인트
KR102058076B1 (ko) * 2018-03-27 2020-01-22 (주)삼성플렉스 안전 브라인더 커버 일체형 익스펜션 죠인트
KR20200109720A (ko) *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케이티엘 벨로우즈 가이드 장치
KR102211869B1 (ko) * 2019-03-14 2021-02-03 주식회사 케이티엘 벨로우즈 가이드 장치
KR102216989B1 (ko) * 2019-09-27 2021-02-18 주식회사 케이티엘 진동 저감 벨로우즈
CN113309916A (zh) * 2021-05-11 2021-08-27 王蕊 一种万向节联通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201B1 (ko) 신축성이 향상된 이음관
KR101754397B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JP6754762B2 (ja) アキュムレータ
KR102612132B1 (ko) 멤브레인 벨로우즈
KR101058957B1 (ko) 신축 및 내진용 관이음쇠
KR101059014B1 (ko) 신축 및 내진용 관이음쇠
KR101860264B1 (ko) 배관용 슬립조인트
KR101636267B1 (ko) 강성이 강화된 신축이음관
KR101386663B1 (ko) 슬립조인트
KR20120040460A (ko) 상하좌우 및 신축방향 움직임 가능한 신축이음관
KR101303919B1 (ko) 벨로우즈 조립체.
JP6689332B2 (ja) バンプストッパ、緩衝器およびバンプストッパの製造方法
RU187352U1 (ru) Сильфонный компенсатор
KR102347746B1 (ko) 익스 펜션 조인트
KR100780274B1 (ko) 신축조절이 가능한 하수도관
KR101682921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101184921B1 (ko) 메탈 개스킷
JP2002500738A (ja) 軸方向補償器
KR101725619B1 (ko) 배수관 신축이음장치
KR102421409B1 (ko) 고정 링을 포함하는 외압형 벨로우즈 익스펜션 조인트
KR101652092B1 (ko) 수격 방지기
KR102211869B1 (ko) 벨로우즈 가이드 장치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TWI667429B (zh) Flexible tube with follow-up stop structure
KR101399189B1 (ko) 교량 배수관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