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580B1 -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580B1
KR101617580B1 KR1020150017452A KR20150017452A KR101617580B1 KR 101617580 B1 KR101617580 B1 KR 101617580B1 KR 1020150017452 A KR1020150017452 A KR 1020150017452A KR 20150017452 A KR20150017452 A KR 20150017452A KR 101617580 B1 KR101617580 B1 KR 10161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fiber
terminal
electronic
sig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용
신희정
우수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안경 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 및 의류의 팔에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신호송수신부와 연결된 전자섬유부로 구성되어 안경 단말기와 신호를 상호교환하여 안경 단말기를 착용한 사용자에게만 의류의 팔부분에 키보드가 오버랩(overlap)되는 스마트 의류로써, 안경 단말기를 통해 의류의 팔부분에 내장된 전자섬유를 인식하여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하고, 사용자의 터치로 인하여 발생한 입력신호를 무선수신받아 처리함으로써 입력의 오인식율을 감소시킨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SMART GARM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안경 단말기를 통해 의류의 팔 부분에 내장된 전자섬유를 인식하여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하고, 사용자의 터치로 인하여 발생한 입력신호를 무선수신받아 처리함으로써 입력의 오인식율을 감소시킨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휴대 단말기는 필수적인 전자기기장치가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버튼식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최근에는, 손목시계나 안경과 같은 스마트 장치 즉,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는 입력장치를 구비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레이저나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입력장치를 투영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레이저나 빔 프로젝터를 투영시키는 방식은 별도의 평면공간을 요구하고 동작센서 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인식하기 때문에 오인식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도 1과 같이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10-2014-0026665호의 휴대 기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이 있다. 이는 손을 촬영하여 손가락 마디에 키패드를 투영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미국특허 등록공보 제8228315호의 가상입력장치 시스템이 있다. 별도의 키패드를 휴대하지 않는 점에서 이점이 있지만, 안경 단말기에서 입력신호를 모두 인지하는 점에서 오인식률이 높은 한계점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2-302807호의 화상 표시 기능이 있는 피복이 있다. 이는 의류의 한 측 팔에 입력신호가 부착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의류에 내장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점에서 정확도는 좋으나, 의류인 점에서 외관상 키보드가 보이고, 활용도에 있어서 변형실시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키보드가 보이지 않으면서도 의류 및 안경 단말기 착용자는 키패드로써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에 대한 기술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으로, 안경 단말기를 통해 의류의 팔부분에 내장된 전자섬유를 인식하여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하고, 사용자의 터치로 인하여 발생한 입력신호를 무선수신받아 처리함으로써 입력의 오인식율을 감소시킨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는 웨어러블 컴퓨터 중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안경 형태의 안경 단말기 및 상기 안경 단말기와 호환가능한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안경 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 및 상기 의류의 팔에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전도성 섬유 또는 전자섬유가 배설된 전자섬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경 단말기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섬유부를 보는 경우, 상기 전자섬유부에 키보드 영상이 오버랩(overlap)되도록 상기 안경 단말기가 렌즈상에 상기 키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상기 키보드 영상을 투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섬유부는 상기 사용자가 터치로 인해 생성한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신호전송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보드 영상이 상기 전자섬유부의 위치에 트래킹(tracking)되도록, 상기 전자섬유부의 일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마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경 단말기가 상기 마크부를 인식하여 상기 키보드 영상을 상기 전자섬유부 상으로 추적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섬유부는 사각형이고, 상기 마크부는 상기 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안경 단말기는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섬유부 또는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안경 단말기가 상기 전자섬유부에 상기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overlap)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작동방법은 안경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 중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키보드 맵을 상기 전자섬유부에 오버랩(Overlap)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섬유부로부터 생성된 입력신호를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안경 단말기로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섬유부의 적어도 일지점에 형성된 마크부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외부에서는 키보드를 인식할 수 없으며 외관상 보통 의류와 차이가 없어 다양한 의류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섬유를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신호를 생성하므로 인식률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 영상이 트래킹될 수 있도록 전자섬유에 마크부를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도 키보드가 의류의 팔부분에만 투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오타율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일 경우 전자섬유부를 자동으로 재인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의류(1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안경 단말기(10)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120) 및 의류의 팔에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신호송수신부(120)와 연결된 전자섬유부(110)를 내장하고 있다. 여기서, 안경 단말기(10)는 안경형 정보 단말기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로써,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의류는 안경 단말기(10)와 같은 증강현실 구현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것으로, 증강현실 장치에 편리한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터 중 안경 형태의 안경 단말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으로써, 사용자만 안경 단말기를 통해 키보드를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인식율을 감소시킨 효과를 가진 스마트 의류이다.
이 때, 신호송수신부(120) 또는 전자섬유부(110)는 전원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전기가 흐르는 전선을 통해 전원부(140)와 신호송수신부(120)나 전자섬유부(110)가 연결되어 있다. 신호송수신부(120)와 전자섬유부(110)가 모두 전원부(140)와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만 연결될 수도 있다. 전선은 전기저항이 낮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섬유는 방수처리되도록 코팅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그래핀으로 코팅하여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CNT(탄소나노튜브)로 코팅하여 전도성, 절연성, 반도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부(140)는 배터리를 내장할 수도 있고, 외부의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구조일 수도 있다. 즉, 스마트 의류(100)의 등부분이나 팔 부분에 플랙서블 태양전지판이 부착되어 있어 태양빛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고, 태양전지판과 전원부(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140)로 전력을 충전하는 구조이다. 이후, 충전된 전원부(140)는 전자섬유부(110) 또는 신호송수신부(120)로 전력을 공급한다. 또는, 커넥터와 전자섬유로 연결되고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충전할 수도 있다. 커넥터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특수 어뎁터일 수 있으며, 단추형식으로 개발된 어뎁터일 수 있다.
전자섬유부(110)는 터치압력에 의해 신호를 신호송수신부(120)로 전송하는 섬유가 배설된 부분이다. 전도성 섬유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금속물질이 함유된 섬유이며, 전자섬유는 e-textiles로 주로 전도성 잉크, 금속선, 도금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 도금, 에칭 직물 및 전도성 고분자 등을 이용한 섬유 원사이다.
본 발명인 스마트 의류(100)의 팔부분의 일정 영역에 전자섬유가 여러 선 배설되어 있다. 각 열은 일정한 간격을 두며, 사용자의 압에 의해 전기적인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전자섬유가 배설된 영역인 전자섬유부(110)는 일정하게 구획되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발생되는 각기 다른 신호를 신호송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서로다른 신호는 일종의 좌표로 인식되며, 신호송수신부(120)는 각 신호를 안경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안경 단말기(10) 내에서 입력된 신호를 좌표로 처리할 수도 있고, 신호송수신부(120)내에서 좌표로 변환하여 좌표신호를 안경 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섬유를 이용하여 스마트 의류(100)의 팔 부분에 배치시킴으로써 외부에서는 일반적인 옷으로 인식한다. 전자섬유부(110)는 타원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키보드의 형상과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을 가정하여 설명하며, 도면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송수신부(120)는 전자섬유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자기기와 무선신호를 교환하는 장치이다. 전자섬유부(110)와 신호가 흐르는 전도성 섬유 또는 전자섬유로 연결되어, 전자섬유부(110)로부터 오는 신호를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이 때, 외부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컴퓨터이며 안경형태의 단말기가 대표적인 일예이다. 신호송수신부(120)는 스마트 의류에 내장될 수 있고, 외부 통신장치로써 스마트 의류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즉, 전자섬유부(110)와 스냅단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통신장치를 스냅단추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신호송수신부(120)는 안경 단말기(10)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발송 및 송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 입력명령을 내리는 모습을 타인의 시선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안경 단말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을 볼 때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스마트 의류(100)와 웨어러블 컴퓨터인 안경 단말기(10)를 착용하고, 사용자가 안경 단말기(10)를 통해 스마트 의류(100)의 팔부분을 보는 경우 키보드가 보인다.
스마트 의류(100)의 팔 부분에는 전자섬유부(110)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신호가 흐르는 전자섬유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전자신호를 발생되거나 흐르는 전도성 섬유 또는 전자섬유가 배설되어 있는 부분으로, 안경 단말기(10)를 통해 보는 경우 키보드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안경 단말기(10)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특정영역을 매핑하여 전자섬유부(110)를 인식한다. 이 때, 특정영역을 매핑하고 전자섬유부(110)를 인식하는 방식은 마크부(130)를 전자섬유부(110)에 배치하여 전자섬유부(110)를 인식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전자섬유부(110)의 네 꼭지점에 마크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안경 단말기(10)는 촬영된 영상중 마크부(130)를 인식하여 키보드 영상을 마크부(130)에 맞게 배치하고 사용자의 눈으로 키보드 영상을 투영시키거나, 안경 단말기(10)의 렌즈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안경 단말기(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에만 키보드가 보이며, 마크부(130)를 따라 인식하므로 트래킹(tracking)하여 스마트 의류(10)의 팔 부분에만 키보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안경 단말기(10)는 키보드 모드 실행시에만 전자섬유부(110)에 키보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안경 단말기(10)는 키보드 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의류의 팔을 보아도 일반적인 옷으로 보이지만,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 실행후 의류의 팔을 안경 단말기(10)를 통해서 보는 경우는 안경 단말기(10)가 전자섬유부(110)에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overlap)한다. 마크부(130)를 따라 키보드 영상을 트래킹(tracking)할 수 있으며, 안경 단말기(10)는 신호송수신부(120)로부터 키보드 입력신호를 전송받는다.
키보드 모드는 안경 단말기(10)내에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작동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또는, 안경 단말기(10)에 내장된 센서가 전자섬유부(110)와 일정이하의 거리가 되는 것을 인식하고, 일정이하의 거리가 되는 경우 키보드 모드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안경 단말기(10)를 통해 스마트 의류(100)의 팔 부분을 보는 경우, 키보드 영상이 전자섬유부(110)에 투영되도록 사용자의 눈으로 영상을 비춘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 의류(100)의 팔 부분에 키보드가 있는 영상을 인식하며, 안경 단말기(10)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사람이 보는 경우 키보드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의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오직 안경 단말기(10)를 착용한 사람에게만 키보드가 보이고,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작동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우선 안경 단말기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스마트 의류의 팔을 인식한다(S100). 다만, 스마트 의류의 팔을 인식하는 단계는 전자섬유부가 스마트 팔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는 전제이다. 즉, 안경 단말기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식하려는 부분은 전자섬유부이며,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 인식단계를 생략하고 즉시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섬유부의 정확한 인식을 위해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과 전자섬유부를 동시에 인식할 수도 있다.
단계(S100) 이후, 인식된 스마트 의류의 팔 부분 중 전자섬유부를 인식한다(S200). 전자섬유부의 적어도 일지점에 위치한 마크부를 통해 전자섬유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섬유부가 사각형인 경우 네 꼭지점에 마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전자섬유부의 중점에 마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안경 단말기는 신호전송부 또는 전자섬유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기설정된 거리 이하일 경우 안경 단말기가 자동으로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안경 단말기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 전자섬유부의 인식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안경 단말기는 물리적인 버튼이거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키보드 모드를 스위치 또는 앱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단계(S200) 이후, 안경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키보드 맵을 인식된 전자섬유부 영역에 오버랩(Overlap)시킨다(S300). 기저장된 키보드맵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키보드 영상으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키보드나 글꼴 또는 속사키보드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섬유부에 오버랩(Overlap)하는 방식은, 안경 단말기에서 현실에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 즉,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안구에 직접 키보드 영상을 투영하는 방식일 수도 있으며, 안경 단말기의 렌즈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이 때, 안경 단말기는 전자섬유부의 좌표가 기설정된 키보드 맵에 일치하도록 신호송수신부로 맵 셋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안경 단말기는 키보드의 형태에 상응하도록 맵 셋팅 신호를 신호전송부에 전송하고, 신호전송부는 이후 전자섬유부로부터 온 키보드 입력신호를 전송받는다.
전자섬유부의 특정 지점에 마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크부를 기준좌표로 삼아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Overlap) 시킨다. 또한, 마크부의 이동에도 오버랩(Overlap)된 키보드 영상을 추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의류를 착용하고 팔을 이동하여도 키보드가 따라 움직인다. 안경 단말기에서 키보드를 프로젝션하여 사용자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은 오인식율이 높으나,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의 전자섬유부로부터 생성된 명령신호가 안경 단말기로 전송되기 때문에 오인식율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S300) 이후, 안경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자섬유부를 터치하여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받는다(S400). 전자섬유부는 전도성 섬유 또는 전자섬유가 일정하게 열을 맞추어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섬유부는 전도성 섬유 또는 전자섬유가 다수 열을 맞추어 배설되어 있고, 각 공간이 구획되도록 좌표가 설정되어 있다. 구획된 공간의 터치시 발생되는 신호가 서로 다르며, 생성된 신호는 신호전송부로 전송된다. 신호전송부는 수신받은 신호를 안경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섬유부의 (1,10) 좌표에 대한 부분을 누르면 해당 구획된 부분에서 신호가 발생되어 신호송수신부로 좌표정보를 전송한다. 신호송수신부는 전송받은 좌표정보 (1,10)을 안경 단말기로 전송한다.
정리하면, 사용자의 터치 압에 의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자섬유부와 신호송수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된 전기 신호를 신호송수신부로 전송한다. 안경 단말기의 신호전달 방식은 유선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방식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신호로써 안경 단말기에 키보드 입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말해, 신호송수신부와 안경 단말기는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S400) 이후, 안경 단말기는 신호전송부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신호를 내부 제어부를 통해 처리한다(S500). 제어부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안경 단말기로 출력한다. 안경 단말기는 좌표정보를 전송받으며, 좌표정보를 키보드 맵과 비교하여 출력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전송받은 좌표정보가 (1, 10)에 해당하고, 좌표(1, 10)에 해당하는 키보드 값은 'B'라 가정하면 출력값을 B로 결정한다. 결정된 B값은 안경 단말기의 출력장치에 B라고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표정보로 출력값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키보드 영상을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오타율을 고려하여 키보드 영상 오버랩(Overlap)을 재 셋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키보드 영상과 전자섬유부의 배선간의 싱크로율을 높이기 위한 피드백은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안경 단말기 100: 스마트 의류
110: 전자섬유부 120: 신호송수신부
130: 마크부 140: 전원부

Claims (11)

  1. 웨어러블 컴퓨터 중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안경 형태의 안경 단말기 및 상기 안경 단말기와 호환가능한 스마트 의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상기 안경 단말기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부; 및
    상기 의류의 팔에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입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전자섬유가 배설된 전자섬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경 단말기를 착용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섬유부를 보는 경우, 상기 전자섬유부에 키보드 영상이 오버랩(overlap)되도록 상기 안경 단말기가 렌즈상에 상기 키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상기 키보드 영상을 투영시키고,
    상기 신호송수신부는 전자섬유가 일정하게 구획되어 배설되어 있는 상기 전자섬유부의 터치압력으로 인해 생성된 입력신호를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안경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영상이 상기 전자섬유부의 위치에 트래킹(tracking)되도록, 상기 전자섬유부의 일지점에 적어도 하나의 마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경 단말기가 상기 마크부를 인식하여 상기 키보드 영상을 상기 전자섬유부 상으로 추적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자섬유부는 사각형이고,
    상기 마크부는 상기 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상기 안경 단말기는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섬유부 또는 상기 신호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안경 단말기가 상기 전자섬유부에 상기 키보드 영상을 오버랩(overla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
  9. 웨어러블 컴퓨터 중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안경 형태의 안경 단말기와, 의류의 팔에 형성된 전자섬유부 및 상기 안경 단말기와 상기 전자섬유부 간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상기 안경 단말기와 호환가능한 스마트 의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인식된 상기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 중 전자섬유가 배설되어 있는 상기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섬유부에 기 저장된 키보드 맵을 오버랩(Overlap)시켜 상기 안경 단말기의 렌즈상에 키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의 눈으로 상기 키보드 영상을 투영시키는 단계;
    상기 신호송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전자섬유가 일정하게 구획되어 배설되어 있는 상기 전자섬유부를 터치하면, 터치압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송수신부에 의해, 생성된 입력신호를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안경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의 작동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경 단말기를 통해, 인식된 상기 스마트 의류의 팔부분 중 전자섬유가 배설되어 있는 상기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섬유부의 적어도 일지점에 형성된 마크부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섬유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의류의 작동방법.
KR1020150017452A 2015-02-04 2015-02-04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KR10161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452A KR101617580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452A KR101617580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580B1 true KR101617580B1 (ko) 2016-05-02

Family

ID=5602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452A KR101617580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5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703A (ko) 2017-12-13 2019-06-21 금강테크 (주) 스마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류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90130030A (ko) * 2017-05-05 2019-11-20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스마트 의류 상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를 찾아내고 조작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00081746A (ko) 2018-12-28 2020-07-08 금강테크 (주) 등산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와 스마트 의류 간의 연동 시스템 및 연동 컨트롤 방법
KR20200102136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컴퍼니 원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807A (ja) * 2001-04-04 2002-10-18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表示機能付き被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807A (ja) * 2001-04-04 2002-10-18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表示機能付き被服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030A (ko) * 2017-05-05 2019-11-20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스마트 의류 상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를 찾아내고 조작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157974B1 (ko) 2017-05-05 2020-09-18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스마트 의류 상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를 찾아내고 조작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90070703A (ko) 2017-12-13 2019-06-21 금강테크 (주) 스마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류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200081746A (ko) 2018-12-28 2020-07-08 금강테크 (주) 등산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와 스마트 의류 간의 연동 시스템 및 연동 컨트롤 방법
KR20200102136A (ko)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컴퍼니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5197B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CN107615214B (zh) 界面控制系统、界面控制装置、界面控制方法及程序
CN105759422B (zh) 显示系统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10474226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50062003A1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Natural User Interface Gestures with User Wearable Glasses
KR101617580B1 (ko) 스마트 의류 및 그 작동방법
US20160132189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image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same
US10976836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N103998970A (zh) 头戴式显示器和信息显示设备
US10261327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KR20130034125A (ko) 증강현실 기능을 구비한 안경형 모니터
CN104298340A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3995621A (zh) 一种穿戴式触控装置和穿戴式触控方法
JP2018124651A (ja) 表示システム
JPWO2019102825A1 (ja) レンダリング装置及びレンダリング方法
CN115735150A (zh) 增强现实眼戴器与3d服装
US1088449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10688002B (zh) 虚拟内容的调整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316003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99611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80136226A (ko) 전자섬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및 작동방법
CN103713387A (zh) 电子设备和采集方法
KR2022008693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693291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4115544B (zh) 人机交互方法、三维显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