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409B1 -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 Google Patents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409B1
KR101617409B1 KR1020140173728A KR20140173728A KR101617409B1 KR 101617409 B1 KR101617409 B1 KR 101617409B1 KR 1020140173728 A KR1020140173728 A KR 1020140173728A KR 20140173728 A KR20140173728 A KR 20140173728A KR 101617409 B1 KR101617409 B1 KR 10161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head camera
axis actuator
displa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시스
Priority to KR102014017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4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3D) image pupil trace verification system, easily verifying whether or not an appropriate image is outputted according to a location of an observer watching the image outputted on a 3D display monitor, and allowing the outputted image to be revised. The 3D image pupil trace verification system includes: a pupil trace device (1) comprising a frame (11), a base plate (12), a z-axis actuator (13), an x-axis actuator (14), a y-axis actuator (15), a rotation actuator (16), a support (18), and a stationary head camera (19); a 3D display monitor (2) displaying the image and allowing a location of a movable head camera (17) to be checked; a monitor (3) displaying a screen of the 3D display monitor (2); and a control unit (4) outputting the image on the 3D display monitor (2) and controlling a pupil trace verification apparatus (1).

Description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pil tracking system,

본 발명은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3D 이미지는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보이는 영상을 모니터에 출력해주는 이미지를 구현한 후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초점이 맞게 출력되는지 사람의 눈과 같이 좌우 눈에 맞추어 신호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테스트 및 검증을 하기 위하여 개발된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image pupil tracking ver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image pupil tracking verification system that implements an image for outputting an image displayed on a monitor according to a viewing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image pupil tracking verification system developed for testing and verifying whether or not a signal is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right and left eyes.

인간이 시각을 통하여 보는 이미지를 다른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그림이 있었으나 사진의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이미지를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Although it was the most classical way to effectively convey the image of human vision to others,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has enabled people to show more accurate and realistic images.

기술의 발전은 단순한 사진에서 활동영상 즉 동영상의 발명과 함께 이러한 전달하고자하는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켜줄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이제는 평면적인 영상이 아닌 입체적인 영상으로 전달하고자하는 노력이 3D 영상의 발전으로 진보하게 되었다.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been expected to satisfy the desire to communicate with the invention of moving images, that is, moving images in simple photographs. Now, efforts to deliver stereoscopic images instead of flat images have advanced with the development of 3D images.

하지만 영화관이나 3D TV에서 보는 영상의 경우 정면에서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지만 상대적으로 양 측방향에서는 입체감이 정면보다 부족하게 느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만큼 인간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보는 방향에 따라 사물의 형상이 달라지는 영상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vie viewed in a movie theater or a 3D TV, it is an optimal place to feel a three-dimensional feeling in the fron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is insufficient in the both sides from the front, It has an expectation for images that change the shape of objects.

도 8은 3D 이미지의 시각에 다른 형상 이미지의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정육면체 블록(100)이 있을 경우 정방향에서 볼 경우 그 형상은 그대로이나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시선에 따른 정육면체 블록(100)의 형상은 달라지며 이를 3D 이미지 또는 영상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FIG. 8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another shape image at the time of a 3D image. When the cube block 100 is viewed in a normal direction, the shape of the cube block 100 is not changed, And the desire to develop technologies for applying them to 3D images or images.

이는 보다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방안으로 공상과학에서 주로 등장하였던 3D 홀로그램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 방향에서 볼 있는 영상은 기술적으로 아직 부족하며 이러한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은 현실감이 떨어지고 있다.This is a 3D hologram that has been mainly appeared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 view objects in three dimensions. The images that can be viewed in many directions are not technically sufficient yet, and these output images or images are becoming less realistic.

이에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되 보이는 각도에 따라 시선에 맞는 다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때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 의도한 영상에 부합되는지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ttempt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outputting an image from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a general display device but providing another image suitable for the eye according to the angle of view. At this time, A system capable of verifying whether or not it meets the requirements is required.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22537호 (2003년03월17일)(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22537 (March 17, 2003)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92993-0000호 (2007년03월05일)(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92993-0000 (Mar. 05, 2007)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68688호 (2011년06월22일)(Patent Document 3)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68688 (June 22,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보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적합한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증하고 출력되는 영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verify whether a suitable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n observer viewing an image output from a 3D display monitor, And to develop a 3D image pupil tracking ve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골조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지는 평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격자배열로 탭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Z축 엑추레이터와; 상기 Z축 엑추레이터에 장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X축 엑추레이터와; 상기 X축 엑추레이터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하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Y축 엑추레이터와; 상기 Y축 엑추레이터에 장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회전 엑추레이터와; 상기 회전 엑추레이터의 위에 올려지며 한 쌍의 제1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식 헤드카메라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일 끝단이 상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바로 구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수평바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카메라를 구비하는 고정식 헤드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공추적장치와;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structure, A base plate having a flat-plate-like shape rai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having a tapped hole in a grid arrangemen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Z-axis actuator for mov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 X-axis actuator mounted on the Z-axis actuator and moving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a guide rail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Y axis actuator mounted on the X axis actuator and vertically moving along a vertically elongated guide rail which is horizontally moved; A rotary actuator mounted on the Y-axis actuator and rotating in a plane; A movable head camera mounted on the rotary actuator and having a pair of first cameras; A vertical bar extending vertically to the base plate, and a horizontal bar vertically extending and horizontally extending at one end of the vertical bar; A pupil tracking device comprising a fixed head camera having a pair of second cameras mounted on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

상기 이동식 헤드카메라의 후방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카메라에 의하여 이동식 헤드카메라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와;A 3D display monitor positioned behind the mobile head camer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head camera by a third camera;

이동식 헤드카메라에서 보이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A monitor for displaying a screen of a 3D display monitor visible in a mobile head camera;

상기 제3 카메라에 감지된 이동식 헤드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영상을 출력하고, 동공추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3D display moni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head camera sensed by the third camera and controlling the pupil tracking device.

아울러, 상기 이동식 및 고정식 헤드카메라는 얼굴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는 얼굴형상 판넬과, 상기 얼굴형상 판넬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가면지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카메라는 상기 얼굴형상 판넬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and fixed type head camera includes a face shape panel having a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ce and a face support bracket project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shape panel, and the first or second camera includes the face shape panel And is fix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식 카메라의 위치변화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여 위치에 따라 이동식 카메라에서 보여지는 영상을 확인하여 둘 사이를 비교함으로 각 방향에서 변화하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기초 데이타를 습득하고, 제작된 기술의 미세 조절 및 검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utput from a 3D display moni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osition change of a mobile camera, and an image displayed on a mobile camera is checked according to a pos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basic data, and to fine-tune and verify the manufactured techniq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Z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Y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3D 이미지의 시각에 다른 형상 이미지의 변화를 나타낸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X-axis mov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Z-axis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Y-axis mov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ange in another shape image at the time of the 3D image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Z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Y축 이동동작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Z-axis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Y-axis move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의 구성은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골조가 형성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올려지는 평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격자배열로 탭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Z축 엑추레이터(13)와; 상기 Z축 엑추레이터(13)에 장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X축 엑추레이터(14)와; 상기 X축 엑추레이터(14)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하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Y축 엑추레이터(15)와; 상기 Y축 엑추레이터(15)에 장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회전 엑추레이터(16)와; 상기 회전 엑추레이터(16)의 위에 올려지며 한 쌍의 제1 카메라(171)를 구비하는 이동식 헤드카메라(1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바(181)와, 상기 수직바(181)의 일 끝단이 상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바(182)로 구성되는 지지대(18)와; 상기 지지대(18)의 수평바(182)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카메라(191)를 구비하는 고정식 헤드카메라(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공추적장치(1)를 구비한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11) in which a frame is formed in a box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base plate 12 having a plate-like shape rai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 and having a tapped hole in a lattice arrangement on its upper surface; A Z-axis actuator 13 f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 An X-axis actuator (14) mounted on the Z-axis actuator (13) and mov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long 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Y-axis actuator 15 mounted on the X-axis actuator 14 and vertically moving along a vertically elongated guide rail moving left and right; A rotary actuator (16) mounted on the Y-axis actuator (15) and rotating in a plane; A movable head camera (17) mounted on the rotary actuator (16) and having a pair of first cameras (171); A vertical bar 18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2 and a horizontal bar 182 horizontally extending vertically and fix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bar 181 18); And a stationary head camera 19 having a pair of second cameras 191 mounted on a horizontal bar 182 of the support 18.

본원의 주요 구성인 동공추적장치(1)는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위치를 상하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The pupil tracking device 1, which is a main constitu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movable head camera 17 can be controlled to be moved up, down, left, right and backward.

이때 본원에서 상기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후방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카메라(21)에 의하여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를 구비하게 된다.At this time, a 3D display monitor 2 is provided which is located behind the mobile head camera 17 to display an image and confirm the position of the mobile head camera 17 by the third camera 21. [

이동식 헤드카메라(17)는 다양한 위치에서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를 볼 ㅅ수 있도록 하며 이동식 헤드카메라(17)에서 보이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3)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mobile head camera 17 allows the 3D display monitor 2 to be viewed at various positions and can be viewed on the monitor 3 for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3D display monitor 2 seen by the mobile head camera 17. [

이러한 다양한 보는 각도의 변화는 상기 제3 카메라(21)에서 위치정보를 습득하고 감지된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4)에서는 위치에 맞는 이미지를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에 출력하도록 하여 각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is obtained by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camera 21 and outputting an image matching the position in the controller 4 to the 3D display monitor 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movable head camera 17 So that the image can be verified in each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4)는 동공추적장치(1)를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보는 방향에 따라 영상이 바뀌는 것을 이동식 헤드카메라(17)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영상이 자연스럽게 바뀌는 기술의 습득까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controller 4 controls the pupil tracking device 1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3D display monitor 2 can be checked in various directions and the moving head camera 17 detects that the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technique of changing the image naturally in the course of proceeding to the step of FIG.

여기에 고정식 헤드카메라(19)의 경우 정해진 방향에서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를 볼 때 동일한 이미지가 보이도록 하고, 이동식 헤드카메라(17)는 위치에 다라 다른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발하고 시험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in the case of the fixed head camera 19, the same image is seen when the 3D display monitor 2 is view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movable head camera 17 develop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ifferent images in different positions It can be a means of testing.

이때 상기 이동식 및 고정식 헤드카메라(17, 19)는 얼굴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는 얼굴형상 판넬(172)과, 상기 얼굴형상 판넬(172)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가면지지브라켓(17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카메라(171, 191)는 상기 얼굴형상 판넬(172)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The movable and fixed head cameras 17 and 19 are provided with a face shape panel 172 having a face cross-sectional shape and a face support bracket 173 project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shape panel 172, The first or second camera 171 or 191 is fixed symmetrically about the face-shaped panel 172. The embodiment of FIG.

상기 실시 예는 본원 장치의 구동과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얼굴 형상을 가진 모형을 두고 필요에 따라 가면을 씌워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1 또는 제2 카메라(171, 191)의 경우 사람의 시선과 동일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촛점에 따른 영상의 설정도 가능하게 된다.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principle of the present apparatus, a model having a face shape may be provided and a mask may be put on the mask to provide a stereoscopic effect. In the case of the first or second camera 171 or 191, So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image according to the focus.

1 : 동공추적장치
11 : 프레임 12 : 베이스 플레이트
13 : Z축 엑추레이터 14 : X축 엑추레이터
15 : Y축 엑추레이터 16 : 회전 엑추레이터
17 : 이동식 헤드카메라
171 : 제1 카메라 172 : 얼굴형상 판넬
173 : 가면지지브라켓
18 : 지지대
181 : 수직바 182 : 수직바
19 : 고정식 헤드카메라
191 : 제2 카메라
2 : 3D 디스플레이 모니터
21 : 제3 카메라
3 : 모니터
4 : 제어부
1: pupil tracking device
11: Frame 12: Base plate
13: Z axis actuator 14: X axis actuator
15: Y-axis actuator 16: Rotary actuator
17: Removable head camera
171: first camera 172: face shape panel
173: mask support bracket
18: Support
181: vertical bar 182: vertical bar
19: Fixed head camera
191: Second camera
2: 3D display monitor
21: Third camera
3: Monitor
4:

Claims (2)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골조가 형성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올려지는 평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면에는 격자배열로 탭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Z축 엑추레이터(13)와; 상기 Z축 엑추레이터(13)에 장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X축 엑추레이터(14)와; 상기 X축 엑추레이터(14)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하는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Y축 엑추레이터(15)와; 상기 Y축 엑추레이터(15)에 장착되어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회전 엑추레이터(16)와; 상기 회전 엑추레이터(16)의 위에 올려지며 한 쌍의 제1 카메라(171)를 구비하는 이동식 헤드카메라(1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바(181)와, 상기 수직바(181)의 일 끝단이 상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바(182)로 구성되는 지지대(18)와; 상기 지지대(18)의 수평바(182)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카메라(191)를 구비하는 고정식 헤드카메라(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공추적장치(1)와;
상기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후방에 위치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카메라(21)에 의하여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와;
이동식 헤드카메라(17)에서 보이는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3)와;
상기 제3 카메라(21)에 감지된 이동식 헤드카메라(17)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3D 디스플레이 모니터(2)에 영상을 출력하고, 동공추적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
A frame 11 in which a frame is formed in a box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base plate 12 having a plate-like shape rai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 and having a tapped hole in a lattice arrangement on its upper surface; A Z-axis actuator 13 f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 An X-axis actuator (14) mounted on the Z-axis actuator (13) and mov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long 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Y-axis actuator 15 mounted on the X-axis actuator 14 and vertically moving along a vertically elongated guide rail moving left and right; A rotary actuator (16) mounted on the Y-axis actuator (15) and rotating in a plane; A movable head camera (17) mounted on the rotary actuator (16) and having a pair of first cameras (171); A vertical bar 18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2 and a horizontal bar 182 horizontally extending vertically and fix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bar 181 18); A pupil tracking device (1) comprising a fixed head camera (19) having a pair of second cameras (191) mounted on a horizontal bar (182) of the support (18);
A 3D display monitor (2) positioned behind the mobile head camera (17) for displaying an image and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head camera (17) by a third camera (21);
A monitor (3) for displaying a screen of the 3D display monitor (2) viewed from the mobile head camera (17);
And a controller 4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3D display monitor 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head camera 17 sensed by the third camera 21 and controlling the pupil tracking device 1 A 3D image pupil tracking verification system featu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및 고정식 헤드카메라(17, 19)는 얼굴의 측단면 형상을 가지는 얼굴형상 판넬(172)과, 상기 얼굴형상 판넬(172)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가면지지브라켓(17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카메라(171, 191)는 상기 얼굴형상 판넬(172)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이미지 동공추적 검증시스템.The mobile and stationary head camera (17, 19)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and fixed head camera (17, 19) comprises a face shape panel (172) having a face cross-sectional shape and a mask support bracket , Wherein the first or second camera (171, 191) is fixed symmetrically about the face-shaped panel (172).
KR1020140173728A 2014-12-05 2014-12-05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KR101617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8A KR101617409B1 (en) 2014-12-05 2014-12-05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8A KR101617409B1 (en) 2014-12-05 2014-12-05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409B1 true KR101617409B1 (en) 2016-05-02

Family

ID=5602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728A KR101617409B1 (en) 2014-12-05 2014-12-05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4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376A (en) 2005-08-12 2006-02-09 Tatsuo Uchida Device for evaluating moving picture performance
KR101350641B1 (en) 2012-07-13 2014-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method and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376A (en) 2005-08-12 2006-02-09 Tatsuo Uchida Device for evaluating moving picture performance
KR101350641B1 (en) 2012-07-13 2014-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method and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810B2 (en) Tracked automultiscopic 3D tabletop display
JP5732064B2 (en) Transparent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08146221A (en) Image display system
US89761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201007247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11049644A5 (en)
JP2007147786A (en) Virtual reality generation system
KR20120051287A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ng method based on user's location
US201601277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projection images
KR101419044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adow of 3d virtual object
US11012682B2 (en) Linearly actuated display
JP2012174238A5 (en)
KR2014004656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age rendering based on direction of display
JP2007019666A (en) Device and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TWI515457B (en) Multi-view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54032A (en) A 3d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20150029412A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57033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617409B1 (en) The pupil tracking investigation system for 3D image
JPWO2018084087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1086305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91838A (en) Super multiview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JP2002330452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9269177B2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JP2020106587A (en) Head mount display, method for display, and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