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943B1 - 3중 연동 도어 - Google Patents

3중 연동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943B1
KR101616943B1 KR1020140021472A KR20140021472A KR101616943B1 KR 101616943 B1 KR101616943 B1 KR 101616943B1 KR 1020140021472 A KR1020140021472 A KR 1020140021472A KR 20140021472 A KR20140021472 A KR 20140021472A KR 101616943 B1 KR101616943 B1 KR 10161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unting plate
slider
sp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104A (ko
Inventor
고경돈
정영호
Original Assignee
고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돈 filed Critical 고경돈
Priority to KR102014002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9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3중 연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에 있어서, 상부레일과 슬라이더 사이에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도어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복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수단은,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판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설치판부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상기 베이스판과 이격지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커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엽지지휠과, 상기 태엽지지휠의 내부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부가 구비된 태엽장치; 및 상기 태엽지지휠과 상기 이동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가 이동될 때, 상기 태엽지지휠이 회전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중 연동 도어{3 Sliding Door}
본 발명은 3중 연동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슬라이딩시켜 열고, 닫을 때에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현관문과 거실의 사이,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도어 문틀과, 개구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미닫이 도어는 사용자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일일이 열었다가 다시 닫아야만 하므로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고, 또 사용자가 도어를 강하게 닫는 경우에는 작동 충격 및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자동닫힘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장치들이 사람의 움직임을 감안한 센서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개폐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그만큼 설치나 유지보수에 비용이 더 소요되고, 외부의 전기를 필요로 하여 단전이 되면, 도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무동력 미닫이 닫힘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서, 등록실용신안 20-0187612호의 미닫이 도어 자동닫힘장치는, 미닫이도어의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며 도어의 슬라이딩방향과 직각방향을 이루는 고정샤프트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고정샤프트에 후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고정샤프트를 갖으며 전단부는 도어와 결합하여 도어를 케이스 방향으로 당기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미닫이 문이 닫혀지도록 하는 태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장시간 사용되게 되면, 태엽스프링의 탄성력 약화로 문의 닫힘 기능이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특허 공개번호 10-2010-0120035호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도어부의 걸림돌기에 결합되어 도어를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폐쇄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폐쇄부는 걸림고리부와 태엽스프링과 태엽지지휠과 탄성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 역시 탄성폐쇄부가 시야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걸림 고리부를 도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부분도어를 제1행거레일에 끼우고, 그 다음에, 제1부분도어의 걸림돌기에 걸림고리부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성상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또 도어의 계속되는 개폐동작으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야 하는 바, 위와 같은 탄성폐쇄부가 제1행거레일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태엽지지휠과 함께 회전하는 헤드부를 조작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42521 KR 10-2010-0120035 KR 20-01876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태엽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중 연동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3중 연동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도어가 일시적으로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전면도어를 열려지도록 할 수 있으면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3중 연동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안내부; 및 상기 설치판부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에는 상기 전면도어가 상기 제2안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는 상기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도어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복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수단은,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판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설치판부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상기 베이스판과 이격지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상부커버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엽지지휠과, 상기 태엽지지휠의 내부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부가 구비된 태엽장치; 및 상기 태엽지지휠과 상기 이동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가 이동될 때, 상기 태엽지지휠이 회전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에 따르면, 태엽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미감이 우수한 3중 연동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제1안내부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안내부의 일측에 자석을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자성체가 자석에 부착될 때는 전면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면도어의 자동닫힘 기능을 일시적으로 간편하게 정지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레일의 상면에 태엽장치를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이동체를 설치하는 작업에 의하여 전면도어를 문틀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면도어의 자동닫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단순해지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에서 슬라이더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에서 슬라이더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슬라이더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슬라이더가 완전히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태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태엽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태엽장치에서 베이스판을 일부 절개한 외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슬라이더와 자석에 대한 외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자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도어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는 건물의 출입문이나 이동식 칸막이벽 등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전면도어, 중간도어, 후면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레일(10), 슬라이더(20), 복귀수단(C)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레일(10)은 문틀(미도시)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3개의 도어(미도시), 즉 중간도어, 전면도어, 후면도어가 서로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11)와, 제1안내부(12)와, 제2안내부(13)와, 제3안내부(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안내부(12)는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미도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안내부(13)는 상기 전면도어(미도시)가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직벽(15)과, 제2수직벽(16)과, 제1안내레일(15a)과, 제2안내레일(16a), 제1돌출턱(15b), 제2돌출턱(16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벽(15)은 상기 설치판부(11)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전면측에 위치한 일지점에서 하면쪽으로 수직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벽(16)은 상기 제1수직벽(15)보다 상기 설치판부(11)의 전면측에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제1수직벽(15)과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레일(15a)과 상기 제2안내레일(16a)은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제1안내레일(15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벽(15)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16a)은 상기 제2수직벽(16)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1안내레일(15a)쪽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턱(15b)과 상기 제2돌출턱(16b)은 후술하는 자석(60, 도 11 참조)을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제1돌출턱(15b)은 상기 제1수직벽(15)의 상측부에서 상기 제2수직벽(16) 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턱(16b)은 상기 제2수직벽(16)의 상측부에서 상기 제1수직벽(15) 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3안내부(14)는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미도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과 후면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상부레일(10)에서 제1안내부(12)를 기준으로 제2안내부(13)가 위치하는 쪽을 전면이라 하고, 제3안내부(14)가 위치하는 쪽을 후면이라 한다.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전면도어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21)와 가이드부(25)를 구비한다.
상기 평판부(21)는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평판 상의 부재로서, 일측에는 상기 전면도어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5)는 상기 평판부(21)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평판부(2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에는 제1안내레일(15a)과 제2안내레일(16a)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한쌍의 홈부(26)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전면도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평판부(21)의 관통구멍(22)과 연통되는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5)는 일측에 후술하는 자석(60)과 접촉되어 상기 전면도어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자성체(28), 예를 들면, 철편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복귀수단(C)은 상기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도어를 원위치 즉, 닫힌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50)와, 태엽장치(30)와 와이어(4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체(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20)와 함께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와이어(40)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더 고정부(51, 도 4 및 도 11 참조)와, 와이어 고정부(52)와, 연결부(53)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54는 너트(54)이다.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의 하면에 너트(54)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 부착되는 평판상의 부재이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부(11)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와이어(40)의 단부가 너트(55)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 고정결합되고,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슬라이더 고정부(51)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52)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상기 태엽장치(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도어를 원위치 즉, 닫힌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부(1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구멍(31a)이 형성된 베이스판(31)과, 상기 베이스판(31)의 상측으로 상기 베이스판(31)과 이격지게 설치되는 상부커버(32)와, 상기 베이스판(31)과 상기 상부커버(3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엽지지휠(33)과, 상기 태엽지지휠(33)의 내부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34)과,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부(E)가 구비된다.
상기 태엽지지휠(33)은 상기 태엽스프링(34)이 수용되는 공간부(33a)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주에는 상기 와이어(40)가 감겨진다. 미설명부호 33b는 태엽지지휠(34)의 커버이고, 59는 볼트 구멍이고, 65는 베이스판(31)과 상부커버(32)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다.
상기 탄성력조절부(E)는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태엽스프링(34)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부(34a)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부(37a)를 가진 지지축(37)과, 상기 지지축(37)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37)이 상기 베이스판(31)의 관통구멍(31a)을 통하여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38)와, 상기 걸림부(38)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37)을 회전시키기 위한 헤드부(39)와, 상기 헤드부(39)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 고정부(47)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35는 지지축(37)의 상부를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캡이며, 상기 지지축의 외주에는 링이 끼워질 수 있고, 상단에는 상부커버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32a)에 끼워질 수 있는 축부가 형성된다. 또한, 미설명부호 32b는 볼트 구멍이다.
상기 제1안내부(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설치판부(11)의 일 지점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멍(19)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9)을 통하여 상기 헤드부(39)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13)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헤드부(39)는 4각, 육각,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고정부(47)는, 기어(42)와, 기어끼움구(43)와, 기어끼움구 고정구(44)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9)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39)가 회전할 때, 상기 헤드부(39)와 함께 회전되며, 중앙에는 상기 헤드부(39)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9)의 형상과 대응되는 관통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2a)은 상기 헤드부(39)가 육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육각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39)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원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39)에 억지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끼움구(43)는 상기 베이스판(31)에 형성한 절개부(31b)를 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42)의 홈부(42b)에 끼워져서 상기 기어(4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기어끼움구(43)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기어끼움구 고정구(44)에 의해서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42)의 홈부(42b)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43a)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는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출판(31c)의 양측에 형성한 구멍(31d)들에 끼워져 상기 기어끼움구(43)의 돌출부(43a)를 가압하여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는 기어끼움구(43)의 돌출부(43a)를 탄성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헤드부(39)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부(39)와 함께 상기 기어(42)가 회전되게 되고, 상기 기어(42)의 회전과 함께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삽입되어 있던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의 탄성력을 누르고 후진하면서 상기 기어(42)의 홈부(26)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다시 상기 기어(42)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다시 삽입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가 기어끼움구(43)의 돌출부(43a)를 다시 탄성 가압하게 되어 상기 헤드부(39)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태엽지지휠(33)과 상기 이동체(5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50)가 이동될 때, 상기 태엽지지휠(33)이 회전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34)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며, 일측은 상기 이동체(50)의 와이어 고정부(52)에 너트(54)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자석(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슬라이더(20)의 상측에 형성한 자성체(28)가 접근하여 접촉될 때,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3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면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안내부(13)의 상측에 고정편(61)과 너트(62)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자석(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턱(15b)과 제2돌출턱(16b)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고정편(61)은 제1돌출턱(15b)과 제2돌출턱(16b)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너트(62)로 자석과 고정편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구멍들을 통하여 체결시키면, 상기 자석(60)과 고정편(61)은 상기 제1돌출턱(15b)과 제2돌출턱(16b) 사이에서 압착력이 발생하여 고정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연동 도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3중 연동 도어는 도 1 및 도 4의 상태에서는 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도어(미도시)를 도 1에서 우측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전면도어와 함께 연동되는 슬라이더(20)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20)가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20)와 함께 이동체(50)도 우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와이어(4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며, 따라서, 태엽장치(30)의 태엽지지휠(33)이 회전되면서 태엽스프링(34)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태엽스프링(34)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태엽지지휠(33)이 다시 회전되면서 와이어(40)를 도 2에서 좌측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더(20)를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더(20)의 이동과 함께 전면도어도 다시 닫히게 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개방된 상태에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즉, 도 3에서 우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키게 되면, 전면도어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더(20)도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게 되며,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되게 되면, 슬라이더(20)의 상측에 위치한 자성체(28)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60)에 접근하여 접촉되게 되며, 이때,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자석(6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유지력과, 태엽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유지력이 상기 복귀력보다 더욱 크게 되도록 상기 자석(60)의 세기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전면도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시 전면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전면도어를 닫히는 방향 즉 도 3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추가적인 힘이 상기 자석(60)의 유지력보다 크게 되는 시점에서 다시 상기 슬라이더(20)의 자성체(28)는 상기 자석(6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과 함께 전면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어서 태엽스프링(34)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상기 전면도어는 부가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전면도어는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면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도어를 장시간 개폐하게 되면, 태엽장치(30) 내부의 태엽스프링(34)의 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게 되어 전면도어가 원위치로 닫히게 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의 제1안내부(12)에 위치하는 헤드부(39)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부(39)의 회전과 함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42)가 회전되게 되고, 상기 기어(42)가 회전되게 되면, 상기 기어(42)의 회전과 함께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삽입되어 있던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의 탄성력을 누르고 후진하면서 상기 기어(42)의 홈부(26)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다시 상기 기어(42)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다시 삽입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끼움구 고정구(44)가 기어끼움구(43)의 돌출부(43a)를 다시 탄성 가압하게 되어 상기 헤드부(39)의 회전을 저지하게 되므로 태엽스프링(34)의 탄성력을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단순히 슬라이더(20)의 제1안내부(12)에 위치하는 헤드부(39)를 단순히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또 종래의 발명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어렵게 작업을 수행할 필요도 없어지게 되고, 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마감판과 같은 부수적인 것들을 별도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중 연동 도어는 종래의 발명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은 전면도어를 문틀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면도어를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수단(C)을 상부레일(10)과 슬라이더(20)에 모두 설치하고, 그 다음에 문틀에 슬라이더(20)가 부착된 상부레일(10)을 문틀에 부착하고, 다음에 상기 슬라이더(20)에 전면도어를 단순히 끼우기만 하면, 도어의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데 반하여 종래의 발명은 도어를 문틀에 장착한 상태에서 복귀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고, 또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어려움도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10 : 상부레일 11 : 설치판부
12 : 제1안내부 13 : 제2안내부
14 : 제3안내부 20 : 슬라이더
30 : 태엽장치 31 : 베이스판
32 : 상부커버 33 : 태엽지지휠
34 : 태엽스프링 40 : 와이어
50 : 이동체 C : 복귀수단
E : 탄성력조절부

Claims (4)

  1. 삭제
  2. 건물의 출입문 문틀에 설치된 상부레일(10)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되게 설치된 3개의 도어를 서로 연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3중 연동 도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10)은,
    문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부(11);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중앙에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중간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안내부(12);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전면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안내부(13); 및
    상기 설치판부(11)의 하부 후면에 상기 제1안내부(12)와 평행하게 상기 설치판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후면도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안내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13)에는 상기 전면도어가 상기 제2안내부(1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2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슬라이더(20) 사이에는 상기 전면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가압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도어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복귀수단(C)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수단(C)은,
    일단은 상기 슬라이더(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설치판부(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20)와 함께 상기 상부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50);
    상기 설치판부(1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31)과, 상기 베이스판(31)의 상측으로 상기 베이스판(31)과 이격지게 설치되는 상부커버(32)와, 상기 베이스판(31)과 상기 상부커버(3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엽지지휠(33)과, 상기 태엽지지휠(33)의 내부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34)과, 상기 상기 태엽스프링(34)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부(E)가 구비된 태엽장치(30); 및
    상기 태엽지지휠(33)과 상기 이동체(5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50)가 이동될 때, 상기 태엽지지휠(33)이 회전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34)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40);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력조절부(E)는,
    상기 태엽스프링(34)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부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부(37a)를 가진 지지축(37)과, 상기 지지축(37)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37)이 상기 베이스판(31)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38), 상기 걸림부(38)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37)을 회전시키기 위한 헤드부(39)와, 상기 헤드부(39)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 고정부(47)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내부(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설치판부(11)의 일 지점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헤드부(39)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안내부(1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고정부(47)는,
    상기 헤드부(39)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39)가 회전할 때, 상기 헤드부(39)와 함께 회전되는 기어(42);
    상기 기어(42)의 홈부(26)에 끼워져서 상기 기어(4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끼움구(43);
    상기 기어끼움구(43)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끼움구 고정구(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도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13)의 일단부에는 자석(60)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0)의 일측에는 자성체(28)가 설치되어,
    상기 전면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자성체(28)가 상기 자석(60)에 접촉될 때에는 상기 전면도어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전면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연동 도어.
KR1020140021472A 2014-02-24 2014-02-24 3중 연동 도어 KR10161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72A KR101616943B1 (ko) 2014-02-24 2014-02-24 3중 연동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72A KR101616943B1 (ko) 2014-02-24 2014-02-24 3중 연동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04A KR20150100104A (ko) 2015-09-02
KR101616943B1 true KR101616943B1 (ko) 2016-05-02

Family

ID=542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472A KR101616943B1 (ko) 2014-02-24 2014-02-24 3중 연동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16A (ko) * 2018-01-15 2019-07-24 홍영환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00B1 (ko) *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N107246214A (zh) * 2017-07-20 2017-10-13 佛山市华的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回位门
CN107740648B (zh) * 2017-10-11 2019-04-02 武汉汉慧宝驰家居有限公司 一种静音移门
CN113977538A (zh) * 2021-10-25 2022-01-28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备部驻北京地区军事代表局驻北京地区第一军事代表室 一种柔性化多自由度操作平台单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731A (ja) * 2005-07-21 2007-02-01 Tostem Corp 3連式引戸を備えた開口部装置
KR101142521B1 (ko) 2011-09-28 2012-05-07 권인희 다중 슬라이딩 자동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731A (ja) * 2005-07-21 2007-02-01 Tostem Corp 3連式引戸を備えた開口部装置
KR101142521B1 (ko) 2011-09-28 2012-05-07 권인희 다중 슬라이딩 자동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16A (ko) * 2018-01-15 2019-07-24 홍영환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KR102070810B1 (ko) * 2018-01-15 2020-01-29 홍영환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04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943B1 (ko) 3중 연동 도어
RU138237U1 (ru) Дверной блок
CA2941847C (en) Side-load, constant force window and window balance assembly
CN103889269A (zh) 前门带有所述前门锁定调节装置的改进的抽屉
RU2680425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JP2010065448A (ja) 引戸の全開ストッパー装置
EP2526245B1 (en)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KR200475251Y1 (ko)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CN109138370A (zh) 一种线条安装结构
KR101594606B1 (ko) 슬라이드 자동문용 비상개방문 잠금장치
CN202154303U (zh) 一种电视柜
KR10165491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높이조절장치
KR200442346Y1 (ko) 장롱의 슬라이딩 도어 이탈방지장치
CN104234555A (zh) 门窗闭锁结构
KR101194339B1 (ko) 창호용 손잡이
KR101599518B1 (ko)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CN213510066U (zh) 一种门把手固定装置
CN216534862U (zh) 一种用于罗马杆窗帘自动开合的开合器
KR20120005647U (ko) 자력을 이용한 도어 스톱퍼
CN210918820U (zh) 一种三锁卷帘门
KR20070028045A (ko) 자동 창문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