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92B1 -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92B1
KR101616892B1 KR1020140080895A KR20140080895A KR101616892B1 KR 101616892 B1 KR101616892 B1 KR 101616892B1 KR 1020140080895 A KR1020140080895 A KR 1020140080895A KR 20140080895 A KR20140080895 A KR 20140080895A KR 101616892 B1 KR101616892 B1 KR 10161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memory
outpu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498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시스포유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포유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시스포유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8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8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고,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최소화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VIDEO RESOLUTION}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화질 영상, 예를 들어 UHD 영상은 높은 해상도와 색 보정 등의 후반 작업이 필요하여 기존의 제작 환경에서는 제작되기 어렵고 단기간에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기 어렵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UHD 장비의 테스트나 관련 장비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UHD 콘텐츠가 필요하기 때문에 콘텐츠 확보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이 경쟁적으로 UHD TV를 출시하고 있고 아직까지는 고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저가 제품은 2~3백 만원 대에서도 구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UHD TV가 있어도 UHD영상을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최근 UHD콘텐츠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할리우드 외에 일반 시장에서 UHD 콘텐츠를 당장에 마구 생산해 내기는 상당히 어렵다. 결국 저해상도 영상의 기존의 콘텐츠를 고해상도 영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데 고해상도 영상의 해상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이에 따른 메모리의 용량이 더욱 요구될 뿐만 아니라 엄청난 데이터량에 따라 영상 시스템에 많은 부담을 가져준다.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최소화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제1영상을 상기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링하는데 사용되며, 둘 이상의 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상기 메모리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제1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 디코딩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부; 상기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더; 및 상기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상기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상기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부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상기 메모리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상기 출력부로 넘길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담고 있는 상기 메모리를 다음 단계로 넘겨서 후처리부에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1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딩단계; 디코딩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딩 단계; 및 상기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메모리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 해당도 변환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 상기 출력단계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 상기 출력단계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상기 벡터의 맨 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상기 메모리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상기 출력단계로 넘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에서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담고 있는 상기 메모리를 상기 후처리단계로 넘겨서 상기 후처리단계에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영상으로 1920*1080의 HD 영상을 도시하고 제2영상으로 3840*2160의 UHD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존재하는 동영상 파일을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도록 가공하여 시리얼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스트리밍(Serial Digital Interface Streaming)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어려운 UHD콘텐츠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HD해상도의 동영상을 UHD 콘텐츠로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100)는 입력된 제1영상을 상기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10), 영상 처리부에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링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120) 및 제1영상을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디코딩된 영상이 저화질인 경우 화질 향상 처리부(106)에 의해 화질 향상 처리를 한다. 화질 향상 처리부(106)에 의해 화질 향상 처리된 고화질 영상은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100)를 포함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메모리(120)는 영상 해상도 변환 중에 프레임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120)는 영상 해상도 변환 중에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둘 이상의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100) 중에 제어부(130), 영상처리부(110)는 통상적인 단말과 마찬가지로 각각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프로세서(또는 콘트롤러)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을 추가로 실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질 향상 처리만을 실행하는 전용 프로세서(또는 콘트롤러)가 사용되거나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영상처리부(110)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영상처리부(110)에 의한 처리 순서의 설정 및 이에 따른 메모리(120) 관리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처리부의 블록도이다.
영상처리부(110)는, 제1영상 스트림을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210), 디코딩된 제1영상을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부(220), 후처리부(230),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더(240) 및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영상 디코더(210)는 동영상 데이터의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영상 디코더(210)는 MP4, AVI와 같은 형식의 영상 데이터의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제1영상으로 복호화한다.
영상 해상도 변환부(220)는 디코딩된 제1영상을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큰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한다. 영상 해상도 변환부(220)는 제1영상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사용자가 정의한 크기로 제2영상으로 변환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영상(도 3의 a)은 1920*1080의 HD 영상이고 제2영상(도 3의 b)은 3840*2160의 UHD영상일 수 있다. 영상 해상도 변환부(220)는 도 3에 도시한 HD 영상인 제1영상을 UHD영상인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해상도 변환부(220)는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영상 해상도 스케일러(Scaler), 색 공간을 변환하는 색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 기하학적으로 변환하는 기하학적 변환(Geometric Conversion), 프레임율을 변환하는 프레임율 변환(Frames per Second Conversion)을 수행하므로 제1영상을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한다.
후처리부(230)는 스케일링된 영상에 후처리 공정,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이미지 오버레이 등을 수행한다.
영상 인코더(240)는 제2영상을 인코딩을 한다. 제2영상이 UDH인 경우 영상 인코더(240)는 2014년 표준화된 영상표준기술인 HEVC에 따라 제2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제2영상, 예를 들어 UHD 영상을 S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영상 스트림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최종 결과 영상을 출력 버퍼로 복사한 후 제2영상으로 실시간 영상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50)는 영상 압축 모듈을 이용해 동영상 파일, 예를 들어 mov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복원되고 변환된 제2영상을 운영자가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동영상 표현 모듈, 복원된 영상을 획득 모듈, 영상의 SDI 출력과 압축 저장을 위해 영상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자동적으로 다음 재생 파일 재생과 목록 전체 반복 재생을 수행하는 동영상 재생 목록 제어 모듈, 표준화된 하나의 형식으로 출력하며 분배기 등을 사용하여 다중 장치에 데이터 전송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메모리(120)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메모리(120)에 영상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나의 변수의 메모리에 영상처리부(110)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영상 해상도 변환부(110)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메모리(120)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출력부(250)로 넘길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담고 있는 메모리(120)를 다음 단계로 넘겨서 후처리부(230)에서 제2영상을 후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시스템 초기화 시에 출력 버퍼의 최대 갯수 만큼 메모리(120)를 할당한다.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출력 버터들을 하나의 변수로 할당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의 할당된 출력 버퍼들의 하나의 변수를 벡터 형태로 관리한다. 이때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메모리(120)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담고 있는 메모리(120)를 다음 단계로 넘겨서 후처리부(230)에서 이미지 오버레이등의 후처리를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출력부(250)로 넘긴다. 이렇게 사용된 메모리(120)는 다시 벡터로 관리된다.
이에 따라 출력부(250)의 출력 버퍼들을 둘 이상 할당하고 영상 처리 결과 제2영상을 받아오면 제2영상의 복사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딩단계(S410), 디코딩된 제1영상을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에서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S430),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딩단계(S440) 및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처리단계(S430)는 스케일링된 영상에 후처리 공정,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이미지 오버레이 등을 수행하는 단계로, 후처리공정이 필요없을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에서 영상 해상도를 높이는 영상 해상도 스케일러(Scaler), 색 공간을 변환하는 색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 기하학적으로 변환하는 기하학적 변환(Geometric Conversion), 프레임율을 변환하는 프레임율 변환(Frames per Second Conversion)을 수행하므로 제1영상을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한다.
이때 제2영상 송출을 위한 메모리 복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영상 디코딩단계(S410) 및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의 결과 영상을 후처리단계(S430), 인코딩단계(S440), 출력단계(S450)까지 계속해서 사용하므로 메모리(120)의 복사 과정이 제거될 수 있다. 제2영상, 예를 들어 UHD 영상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당 3840x2160 해상도로 화소당 4바이트 크기의 데이터(1초에 30프레임)이므로 엄청난 데이터량이기 때문에 시스템에 많은 부담을 가져온다. 따라서, 영상 디코딩단계(S410) 및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의 결과 영상을 후처리단계(S430), 인코딩단계(S440), 출력단계(S450)까지 계속해서 사용하므로 복사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메모리(120)의 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시스템 초기화 시에 출력 버퍼의 최대 갯수 만큼 메모리(120)를 할당한다.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출력 버터들을 하나의 변수로 할당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의 할당된 출력 버퍼들의 하나의 변수를 벡터 형태로 관리한다.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메모리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메모리에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 및 인코딩 단계(S440), 출력단계(S450)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변수의 메모리에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 및 인코딩 단계(S440), 출력단계(S450)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메모리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출력단계(S450)로 넘길 수 있다.
한편,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담고 있는 메모리를 후처리단계(S450)로 넘겨서 후처리단계에서 제2영상을 후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S420) 및 후처리단계(S430), 인코딩 단계(S440), 출력단계(S450)에서 제2영상의 복사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해상도 변환을 위한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영상 처리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에 위치한 프로그램 제공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영상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딩을 위한 프로그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스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어 영상 디코딩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디바이스에 대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 판단, 사용자 인증 및 결재 정보 확인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부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영상처리부 120: 메모리
130: 제어부 210: 영상 디코더
220: 영상 해상도 변환부 230: 후처리부
240: 영상 인코더 250: 출력부
s410: 영상 디코딩단계 S420: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S430: 후처리단계 S440: 영상 인코딩단계
S450: 출력단계

Claims (7)

  1. 입력된 제1영상을 상기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링하는데 사용되며, 둘 이상의 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상기 메모리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상기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부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상기 메모리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넘겨 상기 제2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제1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
    디코딩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부;
    상기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더; 및
    상기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상기 출력부로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업스케링일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담고 있는 상기 메모리를 다음 단계로 넘겨서 후처리부에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5. 제1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1영상으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딩단계;
    디코딩된 상기 제1영상을 상기 제1영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제2영상으로 업스케일링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제2영상을 제2영상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딩단계; 및
    상기 제2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출력 버퍼들을 벡터 형태의 하나의 변수로 메모리에 할당하고,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 상기 출력단계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며,
    하나의 변수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 및 상기 인코딩 단계, 상기 출력단계의 영상 처리 결과들을 반환하지 않고 데이터만 입출력하기 위해, 상기 벡터의 맨앞에서 출력 버퍼를 꺼내어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의 영상 업스케일링의 결과를 받아 오는 상기 메모리로 사용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이 담긴 출력 버퍼를 상기 출력단계로 넘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해상도 변환단계에서 업스케일링된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업스케일링된 상기 제2영상을 담고 있는 상기 메모리를 상기 후처리단계로 넘겨서 상기 후처리단계에서 상기 제2영상을 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해상도 변환방법.
KR1020140080895A 2014-06-30 2014-06-30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161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95A KR101616892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95A KR101616892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98A KR20160002498A (ko) 2016-01-08
KR101616892B1 true KR101616892B1 (ko) 2016-05-02

Family

ID=5517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95A KR101616892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81A (ko) 2016-12-12 2018-06-21 이에이트 주식회사 분할영상의 병렬 처리를 이용한 고화질 영상의 초고해상도 업스케일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86B1 (ko) 1996-01-29 2005-07-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해상도변환방법및장치,및해상도변환을위한디코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486B1 (ko) 1996-01-29 2005-07-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해상도변환방법및장치,및해상도변환을위한디코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81A (ko) 2016-12-12 2018-06-21 이에이트 주식회사 분할영상의 병렬 처리를 이용한 고화질 영상의 초고해상도 업스케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98A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270B1 (ko) 가장 작은 왜곡 값을 갖는 해상도를 선택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
EP1871100A2 (en) Adaptive video processing using sub-frame metadata
CN110868625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350565A1 (en) Techniques for magnifying a high resolution image
US10511766B2 (en) Video transmission based on independently encoded background updates
US8358363B2 (en) Video-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JP2012508485A (ja) Gpu加速を伴うソフトウエアビデオトランスコーダ
CA2737842C (en) Remote user interface
US9601156B2 (en) Input/output system for editing and playing ultra-high definition image
CN103945223A (zh) 具有帧缓冲压缩的视频处理器及其使用方法
CN111491168A (zh) 视频编解码方法、解码器、编码器和相关设备
US9392210B2 (en) Transcoding a video stream to facilitate accurate display
TWI626841B (zh) 具有減少色彩解析度的視訊流之自適應處理
KR20170059718A (ko) 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086519A1 (en)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urpose video streaming and method of the same
CN111885346A (zh) 画面码流合成方法、终端、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7007860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creen spliting
CN112468830A (zh) 视频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616892B1 (ko) 영상 해상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850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3D Video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JPWO2017158850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401404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coding and Decoding Wide Color-Gamut Video
JP200902753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9071365A (ja) 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430216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