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876B1 -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 Google Patents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876B1
KR101616876B1 KR1020130038788A KR20130038788A KR101616876B1 KR 101616876 B1 KR101616876 B1 KR 101616876B1 KR 1020130038788 A KR1020130038788 A KR 1020130038788A KR 20130038788 A KR20130038788 A KR 20130038788A KR 101616876 B1 KR101616876 B1 KR 10161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e structure
vegetation
modu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2110A (en
Inventor
김준배
Original Assignee
김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배 filed Critical 김준배
Priority to KR102013003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876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지의 물을 상부 여과방식으로 통과시켜 오염원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가 배양된 대나무 숯으로 오염된 물을 분해하여 식물의 영양분으로 공급하고, 정제된 물은 하천 등지로 배출되게 하는 수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천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용 보의 물을 상부로 유입하고 자유낙하 방식으로 통과시키면서 수질을 정화시켜 배출하는 수질정화 장치로서,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식생홈이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단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고,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대나무 숯이 충전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모듈과, 상기 수위조절용 보에서 물을 공급받아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설치된 화분모듈의 상부로 공급하는 수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water contaminated with bamboo charcoal in which bacteria are cultured by supplying water as a nutrient of plants through the passage of water in streams and the like through an upper filtr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a water level adjusting beam installed in a river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while passing water through an upper level and passing the water through a free fall system, And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in the vegetation grooves in a manner to be seated in a step of the base structure and discharging water, wherein the bamboo charcoal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base structure and the plants are planted A pollen module, and water being supplied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to be transferred to the base structure And a channel for feeding to the top of the module.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지의 물을 상부 여과방식으로 통과시켜 오염원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가 배양된 대나무 숯으로 오염된 물을 분해하여 식물의 영양분으로 공급하고, 정제된 물은 하천 등지로 배출되게 하는 수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us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urifying water by passing water from a river through an upper filtration system to filter contaminants, thereby decomposing water polluted with bamboo charcoal, And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a river or the like.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가축분뇨, 강우 시 농경지 및 산림의 유출 수 등이 하천, 강, 호수, 댐, 바다 등에 흘러 들어 생태계 파괴는 물론 상수도, 공장용수, 농업용수 등 각종 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이러한 오염수를 정화하여 사용하기까지는 소모되는 경제적 손실이 너무나 과다하다 할 것이다. The wastewater from industrial wastewater, livestock wastewater, livestock manure,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runoff that are the cause of water pollution flows into rivers, rivers, lakes, dams, and waters and destroys the ecosystem as well as water, It is impossible to use various kinds of water such as water. Therefore, the economic loss to be used until such contaminated water is purified and used is too much.

이에 일부 하천, 강, 호수, 댐, 바다로 유입되는 지천과 만나는 곳에 자연상태의 습지가 가지고 있는 정화능력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수질정화를 하는 목적으로 인공습지를 조성하고 있다, Therefore, we are constructing an artificial wetland to purify the water by artificially improving the purification ability of the natural wetland in the river where it meets the rivers flowing into rivers, rivers, lakes, dams and seas.

이러한 인공습지는 물리적, 회학적, 생물학적인 다양한 기작으로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함이며 세부적 기능으로는 수질정화 기능, 수문학적 기능, 문화적 기능, 경제적 기능, 기후조절 기능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These artificial wetlands are designed to purify polluted water by point, source and nonpoint pollution by various physical,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The detailed functions are water purification, hydrological function, cultural function, economic function, climate control I want to get the function.

이와 같은 자연 생태형 인공습지는 인공습지 1960년 이후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백 곳의 인공습지가 조성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습지를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해 인공습지를 활발히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서구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경우는 확연히 다른 점이 있다할 것이다. 서구 선진국들은 넓은 국토를 기반으로 기존의 자연 생태 습지를 이용하여 광활한 범위의 인공습지를 조성하므로 오염원이 인공습지를 통과하기 까지는 몇 주 혹은 몇 달이 걸린다는 것이다. 이렇게 넓은 면적에서 수백 종류의 수생동식물을 접촉하며 오염원들을 분해되고 흡수되는 과정을 거치기에 수질정화의 목적에 이룰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1960s, there have been several hundreds of artificial wetlands in the developed countries of the West, and the wetlands have been appl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in Korea.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ctively used wetlands for the treatment of non-point pollutants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developed countries in the West and Korea. Developed countries in Western countries use existing natural ecological wetlands to create a vast range of manmade wetlands based on wide land, which means it can take weeks or even months for pollution to pass through the wetlands. It is possible to reach hundreds of kinds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 in such a large area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purifying the water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decomposing and absorbing pollutants.

그러나 우리나라의 국토는 좁고 그나마 산이 전체면적의 70%를 이루고 있어 하천, 강, 호수, 댐, 바다를 접하는 대부분의 지천들은 협소하고 경사를 이루고 있다. 특히 농경사회를 이루었던 우리나라는 물이 흐르는 주변은 대부분 촌락과 농경지가 발달되어 있어 일부 소규모의 자연생태습지 외에 인공습지를 조성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의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However, the country is narrow and the mountain is 70% of the total area, so most of the geological reaches that touch rivers, rivers, lakes, dams and seas are narrow and sloping. In Korea, which has formed a farming society, most of the surrounding water is surrounded by villages and farmland, so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construct artificial wetlands in addition to some small natural ecological wetlands.

이에 우리나라는 조성하더라도 협소하고 좁은 면적의 인공습지가 조성됨으로 오염원이 단 시간에 습지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공습지의 본연에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it is constructed in Korea, it can not function in the nature of the constructed wetland because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narrow and narrow area of constructed wetland is formed and the pollutant passes through the wetland in a short time.

결국 이러한 인공습지는 입수구와 토출구의 물을 검사해보면 화학적, 생물학적 지표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인공습지를 조성하더라도 오염원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In the end, these artificial wetlands have no change in their chemical and biological indicators when they examine the water in the inlet and outlet. Therefor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contamination source can not be removed even if the constructed wetland is constructed.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강, 호수, 댐, 바다 등이 지천과 만나는 좁은 면적에 설치되고, 미생물 생육에 적합한 대나무 숯에 미생물의 배양하여 그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분해된 성분을 식물이 양분으로 흡수토록 하여 하천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microorganisms by cultivating microorganisms on bamboo charcoal suitable for growing microorganisms by installing rivers, rivers, lakes, da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lant that can decompose contaminants by using microorganisms and allow the plants to absorb the degraded components as nutrients to effectively purify contaminants in the streams.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천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용 보의 물을 상부로 유입하고 자유낙하 방식으로 통과시키면서 수질을 정화시켜 배출하는 수질정화 장치로서,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식생홈이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단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고,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대나무 숯이 충전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모듈과, 상기 수위조절용 보에서 물을 공급받아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설치된 화분모듈의 상부로 공급하는 수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a water level adjusting beam installed in a river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 base structure having a veget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in the vegetation groove in a manner to be seated in the step of the base structure and discharging water, And a water channel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and is supplied to an upper part of a flower pot module installed in the bas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보에서 취수된 물을 공급받아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상기 화분모듈로 공급하도록 배출하는 침전조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edimentation tank installed in the water channel and supplied with water taken out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to settle the foreign matter and discharge it to supply the polle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호 단차를 형성하도록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에서 배출된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화분모듈로 공급하는 이송관으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se structures are arranged in a step-like fashion to form mutual steps, and each of the base structures includes water discharged from a base structur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structure It is connected to the feed pipe that feeds the polle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은 상호 나란하도록 복수의 식생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각각의 식생홈들을 연결하되, 상기 이송관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식생홈에서 배출된 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을 통해 빠져 나온 물이 합류되는 합류조와, 상기 합류조의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식생홈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ase structures forms a plurality of vegetation grooves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ransport pipe connects the respective vegetation grooves, A first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grooves; a confluence tank for joining the water that has escaped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pipe; and a second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water of the confluence tank to the vegetation grove of the base structure And a transfer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이송관은 상기 식생홈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식생홈의 상부에는 상기 양측의 제2이송관과 연결되어 이송된 물을 상기 식생홈의 상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구가 타공된 연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veyance pip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and the upper part of the vegetation groove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yance pipes on both sides, Wherein a plurality of supply holes are formed in the supply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식생홈과 인접하여 나란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작업통로를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ructure forms a work passage recessed from top to bottom so as to be adjacent to the vegetation groov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모듈은, 상기 식생홈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베이스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부와 연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저면에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형태로, 측면 또는 저면에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고 대나무 숯이 충전된 용기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module may include a case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structure to shield an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container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on a side or bottom surfa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 container member install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ase member, planted with plants and filled with bamboo charco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끼워지도록 복수 구비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container member is provided so as to fit in each of the partitioned space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나무 숯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유입된 물의 오염원을 분해하고, 분해된 오염원을 식물의 영양분으로 흡수하는 것으로, 오염원을 제거함과 동시에 식재된 식물을 생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compose the pollutant source of water into which bacterium inhabits bamboo charcoal and to absorb the degraded pollutant source as nutrients of the plant, have.

또한, 정화되는 과정에서 대나무 숯을 통과하고 떨어지는 물은 공기와 혼합 및 마찰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됨에 따라 녹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urse of purificatio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bamboo charcoal is mixed and rubbed with ai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so that no green tide is generated, so that the clean condition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또, 분리형태의 용기부재를 케이스부재에 복수 배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경재배용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케이스부재에서 용기부재를 분리하여 바깥으로 자라난 식물의 뿌리를 잘라주기만 하면 되므로, 식물들의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lant various kinds of hydroponic plant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tainer members in a separated form on a case member, and by separating the container member from the case member and cutting the roots of the plants that have grown outside, .

아울러, 계단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정화장치를 통과하면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purifiers arranged in a step-like fash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 구조물과 화분 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침전조가 형성된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 정화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정화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structure and pollen module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a settling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step-like man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이고, 2는 도 1의 베이스 구조물과 화분 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structure and a pollen module of FIG.

본 발명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천(10)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용 보(20)의 물을 상부로 유입하고 자유낙하 방식으로 통과시키면서 수질을 정화시켜 배출하는 수질정화 장치로서, 베이스 구조물(100)과, 회분모듈(200)과, 수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턱(120)을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식생홈(110)이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1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단턱(120)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식생홈(110)에 설치되고,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구(221)가 형성되며, 내부에 대나무 숯(230)이 충전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모듈(200)과, 상기 수위조절용 보(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에 설치된 화분모듈(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수로(3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while flowing water of a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installed in a river (10) to a certain level and passing the water through a free fall system, The ash module 200, and the water channel 300. [0050] A base structure 100 formed with vegetation grooves 110 recessed from top to bottom so as to form a step 120 and a vegetation grove 110 formed in a manner so as to be seated in a step 120 of the base structure 100, A pollen module 200 installed in the tub 110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ports 221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filled with bamboo charcoal 230 and planted therein, And a water channel 3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 pot module 200 installed in the base structure 100 by being supplied with water.

먼저, 상기 수위조절용 보(20)는 하천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천(10)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하천(10)의 물은 상기 수위조절용 보(20)에 의해 갇히게 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용 보(20)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빠져 나온 물은 수로(300)를 통해 베이스 구조물(100)로 이송된다. First,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is installed in a riv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10 can be maintained constant. The water of the river 10 is trapped by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and primary foreign matter can be precipitated. A drain port (21) for discharging water in which foreign matter is deposited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Water exiting through the drain port (21) is transferred to the base structure (100) through the water channel (300).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턱(120)을 형성하도록 식생홈(110)을 형성한다. 상기 단턱(120)에는 후술되는 화분모듈(200)이 안착되며, 단턱(120)의 하부에는 화분모듈(200)에서 배출된 물이 수용되는 수조(1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111)에 수용된 물은 하천으로 곧 바로 배출되거나, 이송관(500)을 통해 또 다른 정화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structure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vegetation grooves 110 are formed to form the step 120. The pollen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step 120 and a water tank 111 in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ollen module 200 is received is formed below the step 12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11 may be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river or may be supplied to another purif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transfer pipe 500. The base structure 100 may be formed using concrete or the like.

화분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단턱(120)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박테리아가 배양된 대나무 숯(230)이 충진되고, 수경 재배 가능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또한, 용기 형태의 화분모듈(200)은 유입된 물이 대나무 숯(23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복수의 배수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홈(110)에는 하나의 화분모듈(200)이 수용되거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화분모듈(20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화분모듈(200)은 상기 식생홈(110)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으며, 화분모듈(200)이 베이스 구조물(100)에서 분리되면 식생홈(11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화분모듈(200)과 식생홈(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분모듈(200)은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부재가 결합된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The pollen module 200 is seated in the step 120 of the base structure 100. The pollen module 200 is filled with bamboo charcoal 230 in which bacteria are cultivated, and hydroponically cultivated plants can be plan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drain ports 221 may be formed in the pot type module 200 in a container form so that the inflow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mboo charcoal 230. In the vegetation grooves 110, one potting module 200 may be accommodated or a plurality of potting modules 200 in which various kinds of plants are planted may be accommodated. The pollen module 200 may completely cover the open top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the top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may be opened when the pollen modules 200 are separated from the base structure 100 .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lower pot module 200 and the vegetation grooves 110. Meanwhile, the pollen module 20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or may have a plurality of members coupled together.

상기 화분모듈(200)에 충전된 대나무 숯(230)은 투수성 확보를 위하여 5~1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나무 숯(230)은 일반 숯에 비해 미세한 구성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생육에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박테리아가 배양된 대나무 숯(230)에 식물을 식재하고, 오염된 물을 그 위로 통과시키면 대나무 숯(230)안에 있는 박테리아가 오염수를 분해하여 식물의 양분으로 바꾸고, 식물이 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The bamboo charcoal 230 filled in the pollen module 200 may be cut to a size of 5 to 10 mm to ensure water permeability. Since the bamboo charcoal 230 has a finer structure than that of ordinary charcoal, it is suitable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When the plant is planted on the bamboo charcoal 230 in which the bacteria are cult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aminated water is passed over the bamboo charcoal 230, the bacteria in the bamboo charcoal 230 decompose the polluted water into the nutrients of the plant, Can be absorb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침전조가 형성된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로(300)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보(20)에서 취수된 물을 공급받아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상기 화분모듈(200)로 공급하도록 배출하는 침전조(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침전조(400)는 상기 수위조절용 보(20)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했다가 베이스 구조물(100)로 공급한다. 상기 침전조(400)는 상기 수위조절용 보(20) 및 베이스 구조물(100)과 각각 수로(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400)는 상기 하천(10)의 수조절용 보(20)에서 1차적으로 침전된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진 물을 공급받아 2차적으로 이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함에 따라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3 is a sid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a settling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ttling tank 400 installed in the water channel 300 and supplied with water taken up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to settle foreign substances and discharge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ollen module 200, . The settling tank 400 receive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20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base structure 100. The sedimentation tank 4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beam 20 and the base structure 100 through a water channel 300, respectively. The sedimentation tank 400 can receive purified water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water-regulating beam 20 of the river 10, and secondarily remove foreign matter by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s, thereby improv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 정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상호 단차를 형성하도록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100)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에서 배출된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의 화분모듈(200’)로 공급하는 이송관(500)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500)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의 식생홈(110)에서 배출된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의 식생홈(110’)에 안착된 화분모듈(200’)의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구조물(100)이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될 경우, 하천의 물이 복수의 배치된 복수의 화분모듈(200,200’)을 거치면서 여러 번 정화되기 때문에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is a side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disposed in a plurality of step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ructures 100 are arranged in a step-like manner so as to form mutual steps, and each of the base structures 100 includes a base structure 100, And is connected to a transfer pipe 5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module 200 'of the base structure 100' disposed at the bottom. The transfer pipe 500 is connected to a pollen module (not shown) placed in the vegetation groove 110 'of the base structure 100' disposed below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grooves 110 of the base structure 100, 200 ', respectively. When a plurality of base structures 100 are arranged in a stepped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of the river is purified many times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he pollen modules 200 and 200 'arranged therein, so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enhanc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 정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100,100’)은 상호 나란하도록 복수의 식생홈(110,110’)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500)은 상기 각각의 식생홈(110,110’)들을 연결하되, 상기 이송관(500)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의 식생홈(110)에서 배출된 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관(510)과, 상기 제1이송관(510)을 통해 빠져 나온 물이 합류되는 합류조(520)와, 상기 합류조(520)의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100’)의 식생홈(110’)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관(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관(510)은 상기 식생홈(110,110’)의 저면과 연결되는 것으로, 각각의 제1이송관(510)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합류조(520)에 모두 합류되었다가 제2 이송관(530)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합류조(520)와 제1이송관(510) 또는 제2이송관(530)은 상호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합류조(520)의 구성으로 각각의 제2 이송관(530)에 물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5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step-like m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ructures 100 and 100 'form a plurality of vegetation grooves 110 and 110'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ransport pipe 500 is formed in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110 ' The transfer pipe 500 includes a first transfer pipe 510 for transferr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vegetation grooves 110 of the base structure 100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transfer pipe 510, And a second conveyance pipe 530 for conveying the water in the confluence tank 520 to the vegetation grooves 110 'of the base structure 100' disposed at the lower side, ). The first transfer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11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each first transfer pipe 510 is joined to the joining tank 520, 2 transfer pipe (530). The first transfer pipe 510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53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5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pipe 530 Water can be supplied evenly.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된 수질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이송관(530)은 상기 식생홈(110’)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식생홈(110’)의 상부에는 상기 양측의 제2이송관(530)과 연결되어 이송된 물을 상기 식생홈(110’)의 상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구가 타공된 연결관(5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이송관(530)은 식생홈(110’)의 양측 상부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이송관(530)은 상기 연결관(540)으로 연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540)은 중공의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급구가 타공되며, 상기 제2이송관(530)을 통해 이송된 물은 상기 연결관(540)을 거쳐 공급구를 통해서 식생홈(110’)에 안착된 화분모듈(200’)로 고루 공급된다. 6 is a front view of a plurality of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veyance pipe 53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 and the upper part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a plurality of supply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540 to supply the transferred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groove 110 '. That is, the second conveyance pipe 53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 and the pair of second conveyance pipes 5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40. The connection pipe 540 is hollow and has a plurality of supply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water convey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pipe 530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40,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pollen module 200 'placed in the groove 110'.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로(300)와 연결된 최상단의 베이스 구조물(100)의 일측에는 베이스 구조물(100)과 나란하도록 합류조(52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로(300)에서 공급된 물이 곧 바로 베이스 구조물(100)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합류조(520)로 유입된 다음 합류조(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퍼진다. 이후 합류조(520)로 유입된 물이 일정 수위를 넘어서게 되면, 상기 식생홈(110)의 양측 상부로 배치된 제2이송관(530)을 통해 합류조(520)의 물이 빠져나가고, 제2이송관(530)을 통해 이송된 물은 상기 제2이송관(530)을 연결하는 연결관(540)을 거쳐 연결관(540)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서 식생홈(110)에 안착된 화분모듈(200)로 고루 공급될 수 있다.5, a joining tank 5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most base structure 100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30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ase structure 1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channel 300 is not immediately supplied to the base structure 100 but flows into the merging tank 520 and then sprea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rging tank 520. Whe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merging tank 520 exceeds a certain level, the water in the merging tank 520 escapes through the second conveyance pipe 53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The water conveyed through the second conveyance pipe 530 passes through a connection pipe 540 connecting the second conveyance pipe 530 and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formed in the connection pipe 540, And may be evenly supplied to the module 2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상기 식생홈(110)과 인접하여 나란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작업통로(130)를 형성한다. 상기 작업통로(130)는 상기 식생홈(11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서있는 상태로 식생홈(110)에 안착된 화분모듈(200)과, 화분모듈(200)에 식재된 식물과, 화분모듈(200)에 충전된 대나무 숯(230)을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편한 자세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베이스 구조물(100)에 복수의 식생홈(110)이 형성된 경우, 상기 각각의 식생홈(110)과 나란하게 형성된 작업통로(130)들의 단부와 연통되는 작업통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100’)이 복수 형성될 경우,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100’) 사이에도 작업자를 위한 작업통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ructure 100 forms a work passage 130 which is recessed from top to bottom so as to be adjacent to the vegetation grooves 110. The work path 130 may correspond to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may include a pollen module 200 mounted on the vegetation grove 110 in a standing state of the worker and a plant 200 planted in the pollen module 200. [ And the bamboo charcoal 230 charged in the pollen module 200 can be checked and managed, thereby facilitating management in a comfortable posture. When a plurality of vegetation grooves 110 are formed in one base structure 100, a work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ends of the work paths 130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espective vegetation grooves 110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the base structures 100 and 100 'are formed, a work path for an operator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base structures 100 and 1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모듈(200)은, 상기 식생홈(11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베이스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부와 연결된 수용공간(212)을 형성하되, 저면에 복수의 토출구(211)가 형성된 케이스부재(210)와,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형태로, 측면 또는 저면에 복수의 배수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수용공간(212)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고 대나무 숯(230)이 충전된 용기부재(220)를 포함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structure 100 to shield the upper part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includes a receiving space 212 connected to the opened upper par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21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opened top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ember 210, And a container member 220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2 and containing plant-planted bamboo charcoal 230 therein.

먼저, 상기 케이스부재(210)는 식생홈(11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개방된 상부와 연결된 수용공간(212)을 형성하되, 저면에 복수의 토출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부재(210)는 상기 식생홈(110)의 개방된 상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이뤄진다. 상기 케이스부재(210)는 후술되는 용기부재(220)를 수용공간(212)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수납한다.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저면에는 복수의 토출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211)는 추후 상기 용기부재(220)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식생홈(1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조(111)로 공급하는 출구로서 작용한다. First, the case member 210 is installed to shield the upper part of the vegetation grooves 110, and a receiving space 212 connected to the opened upper par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11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case member 2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pen top of the vegetation groove 110. The case member 210 accommodates at least one container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receiving space 212.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211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ember 210 and the discharge port 211 discharges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member 220 to the water tub 111 As shown in FIG.

상기 용기부재(22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형태를 취하며, 측면 또는 저면에 복수의 배수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수용공간(212)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고 대나무 숯(230)이 충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용기부재(220)에 식재된 식물 뿌리의 발육과 호기성 박테리아의 활동을 돕기 위하여 케이스부재(210)를 생략하고, 망체 구조의 용기부재(220)만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식생홈(110)에 설치할 수 있다.The container member 220 is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open top and has a plurality of drain holes 221 formed on a side or bottom surface thereof and is installed in a receiving space 212 of the case member 210, Plants are planted and the bamboo charcoal 230 is fill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ember 210 is omitt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plant roots planted in the container member 220 and the aerobic bacteria activity, and only the container member 220 of the net structure has the base structure 100 in the vegetation grooves 110.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부재(220)는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수용공간(212)에 수납되는 것으로, 내부에 대나무 숯(230)이 충전되고, 수경재배 가능한 식물이 식재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부재(220)는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수용공간(21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용기부재(220)는 복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수용공간(212)에 복수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재(220)는 외측면과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내측벽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게 수납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부재(220)는 상기 케이스부재(210)에 형성된 수용공간(212)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케이스부재(210)와 용기부재(220) 사이에 이격된 공간(S)을 형성하여, 그 공간(S)으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자라나고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member 2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12 of the case member 210, and the bamboo charcoal 230 is filled therein, and plants capable of hydroponically cultivating are planted. Therefore, the container member 2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2 of the case member 210.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members 22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members 2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12 of the case member 210. The container member 220 may be housed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S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and an inner side wall of the case member 210. That is, the container member 2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212 formed in the case member 210 to form a space S spaced apart from the case member 210 and the container member 220, Allows the roots of plants planted in the space (S) to grow and spread out.

상기와 같이 화분모듈(200)을 구성함에 있어, 케이스부재(210)와 용기부재(220)를 분리형으로 형성할 경우, 용기부재(220)의 배수구(221)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온 용기부재(2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즉, 용기부재(2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용기부재(220)의 배수구(22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면, 상기 케이스부재(210)에서 용기부재(220)를 분리한 뒤, 용기부재(220) 밖으로 빠져 나온 뿌리를 가위, 커터 등을 이용하여 잘라내고, 다시 용기부재(220)를 케이스 부재(210)에 끼우면 되기 때문에 뿌리 제거작업 및 분갈이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case member 210 and the container member 2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orming the pollen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member 220,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port 221 of the container member 220, 220) can be easily accomplished. That is, when the root of the plant planted in the container member 2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ort 221 of the container member 220, after separating the container member 220 from the case member 210, The roots that have come out of the casing 220 can be cut using scissors, a cutter, etc., and the container member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case member 210, so that the roots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상기 용기부재(220)에만 대나무 숯(230)이 충전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부재(210)에는 대나무 숯(23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케이스부재(210)에 형성된 토출구(211)가 대나무 숯(230)에 의해 막히거나, 토출구(211)를 통해 대나무 숯(230)이 외부로 빠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Since the bamboo charcoal 230 is filled only in the container member 220, the bamboo charcoal 23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ase member 210, and the discharge port 211 formed in the case member 210 is bamboo charcoal The bamboo charcoal 230 may be clogged by the discharge port 230 or the bamboo charcoal 230 may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부재(220)의 하단에 안착되는 단턱부(214)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portion 214 that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member 22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member 210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단턱부(214)는 상기 용기부재(220)의 하단이 안착된다. 상기 단턱부(214)는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14)는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용기부재(220)의 저면과 케이스부재(210)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용기부재(220)에서 자라난 식물의 뿌리가 수용되게 한다.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member 220 is seated in the step portion 214. The step portion 214 may be formed entire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member 210, and may b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The step portion 2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ember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member 2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ember 210 Thereby ensuring that the roots of the plants grown in the container member 220 are accommoda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분모듈을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재(210)는, 상기 내부의 수용공간(212)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213)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재(220)는 상기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끼워지도록 복수 구비된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ember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members 220 are forme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respective partitioned spaces.

상기 격벽(213)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나란하게 2개 이상 형성될 경우,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사이즈의 수용공간(212)을 케이스부재(210)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구획된 수용공간(212)과 대응하여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격벽(213)에는 케이스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용기부재(220)의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수용공간(212)이 복수 형성될 경우, 상기 용기부재(220) 또한 복수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용기부재(220)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경재배용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또한, 식재된 식물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가 되는 식물의 용기부재(220)만 케이스부재(210)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및 점검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The barrier ribs 213 may b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wo or more barrier ribs 213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barrier ribs 213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 In this case, its size and shape can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ed accommodation space 212.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213 may have a step portion 214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member 220 is seated, like the case member 210. When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212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members 220 are also provided, and various kinds of hydroponic cultivation plants may be planted in the respective container members 220. Further,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planted plant, only the container member 220 of the plant in ques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case member 210, so that replacement and insp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재(210)는, 마주보는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장착홈(215)을 구간별로 요입 형성하고, 상기 격벽(213)의 양측 단부는 상기 장착홈(215)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벽(213)이 어느 장착홈(215)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구획되는 공간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용기부재(22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상기 격벽(213)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해가면서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ember 210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15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facing each other, and both side ends of the barrier ribs 213 are mounted And can be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groove 215. The size of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mounting recess 215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ainer member 220. As a result, ) Can be freely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흐르지 않고 지정된 공간에 담수된 형태의 인공호수, 연못, 분수대, 인공폭포 등의 물을 상기 화분모듈(200)의 상부로 급수하는 펌프 등의 동력수단 및 송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흐르는 하천 등에 설치되어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자유낙하 시키면서 물을 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공호수, 연못, 습지 등과 같이 지정된 공간에 갇혀 있는 물을 동력을 이용해서 순환시키면서 정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unit such as a pump for supplying water, such as artificial lake, pond, fountain, artificial waterfall, etc.,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urify water while freely dropping water by using position energy installed in a river that flows naturally by gravity, and it is also possible to purify water trapped in a designated space such as artificial lake, pond, It can be purified while circulat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나무 숯(230)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유입된 물의 오염원을 분해하고, 분해된 오염원을 식물이 영양분으로 흡수함에 따라 오염원의 제거와 식물을 생육시킬 수 있으며, 정화되는 과정에서 대나무 숯(230)을 통과하여 떨어지는 물은 공기와 혼합 또는 마찰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됨에 따라 녹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분리형태의 용기부재(220)를 케이스부재(210)에 복수 배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경재배용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케이스부재(210)에서 용기부재(220)를 분리하여 바깥으로 자라난 식물의 뿌리를 잘라주기만 하면 되므로, 식물들의 관리가 용이하며, 계단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정화장치를 통과하면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ant source of water in which bacterium inhabits bamboo charcoal 230 is decomposed and the polluted source is absorbed by plants as nutri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pollutants and grow plants, Water falling through the bamboo charcoal 230 is mixed or rubbed with the air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so that no green tide is generated, so that the clean condition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a plurality of separated container members 220 in the case member 210 to plant various kinds of hydroponic plants and to separate the container member 220 from the case member 210,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cut off the roots of plants, it is easy to manage the plants, and the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apparatuses arranged in the form of a stairca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천
20 : 수위조절용 보
100,100’: 베이스 구조물
110,110’: 식생홈
111 : 수조
120 : 단턱
130 : 작업통로
200,200’: 화분모듈
210 : 케이스 부재
211 : 토출구
212 : 수용공간
213 : 격벽
220 : 용기부재
221 : 배수구
230 : 대나무 숯
300 : 수로
400 : 침전조
500 : 이송관
510 : 제1이송관
520 : 합류조
530 : 제2이송관
540 : 연결관
10: Stream
20: Water level adjustment beam
100,100 ': Base structure
110,110 ': Vegetation home
111: aquarium
120: step
130: work path
200,200 ': pollen module
210: Case member
211:
212: accommodation space
213:
220: container member
221: Drain
230: Bamboo Charcoal
300: Waterway
400: settling tank
500: conveying pipe
510: first conveyance pipe
520: joining tank
530: Second conveying pipe
540: Connector

Claims (8)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천에 설치되는 수위조절용 보의 물을 상부로 유입하고 자유낙하 방식으로 통과시키면서 수질을 정화시켜 배출하는 수질정화 장치에 있어서,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식생홈이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단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고,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대나무 숯이 충전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모듈;
상기 수위조절용 보에서 물을 공급받아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설치된 화분모듈의 상부로 공급하는 수로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호 단차를 형성하도록 계단 형태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에서 배출된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화분모듈로 공급하는 이송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베이스 구조물은 상호 나란하도록 복수의 식생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각각의 식생홈들을 연결하되, 상기 이송관은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식생홈에서 배출된 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을 통해 빠져 나온 물이 합류되는 합류조와, 상기 합류조의 물을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구조물의 식생홈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1.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a water level adjusting beam installed in a river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 base structure having a vegetation groove recessed from top to bottom to form a step;
A pollen module installed in the vegetation groove in such a manner as to be seated in a step of the bas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bamboo charcoal is filled therein, and plants are planted;
And a water channel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 pot module installed on the base structure,
The base structur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eps so as to form mutual steps, and each of the base structures is connected to a conveying pipe for supplying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base structure disposed at the upper part to the potting module of the base structure disposed at the lower part Wherein each of the base structures forms a plurality of vegetation grooves so as to be parallel to one another and the transfer pipe connects the respective vegetation grooves, And a second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water of the confluence tank to the vegetation grooves of the base structur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fluence tank,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conveyance pipe for conveying the first conveyance pipe,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la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보에서 취수된 물을 공급받아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상기 화분모듈로 공급하도록 배출하는 침전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ttling tank installed in the water channel for receiving the water taken in the water level adjusting beam to settle the foreign matter and to discharge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flower pot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관은 상기 식생홈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식생홈의 상부에는 상기 양측의 제2이송관과 연결되어 이송된 물을 상기 식생홈의 상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구가 타공된 연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veyance pip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and a plurality of supply ports for supplying the transferred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grove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yance pipes on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grooves, Wherein a connection pi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식생홈과 인접하여 나란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작업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structure has a work passage rec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as to be adjacent to the vegetation groov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모듈은, 상기 식생홈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베이스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고, 개방된 상부와 연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저면에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형태로, 측면 또는 저면에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재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고 대나무 숯이 충전된 용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module may include a case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structure to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vegetation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opened upper portion, And a contain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or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install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ase member, the plant being planted therein and filled with bamboo charco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재는 상기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 끼워지도록 복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as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container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fitted in each of the partitioned spaces.
KR1020130038788A 2013-04-09 2013-04-09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KR101616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8A KR101616876B1 (en) 2013-04-09 2013-04-09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788A KR101616876B1 (en) 2013-04-09 2013-04-09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10A KR20140122110A (en) 2014-10-17
KR101616876B1 true KR101616876B1 (en) 2016-05-04

Family

ID=5199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788A KR101616876B1 (en) 2013-04-09 2013-04-09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8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5399A (en) * 2016-11-21 2017-03-15 杨阳 Rur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03B1 (en) * 2004-07-29 2004-12-03 (주)자연과환경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KR200403507Y1 (en) * 2005-09-21 2005-12-0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KR200441721Y1 (en) * 2006-11-14 2008-09-03 주식회사 이산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of a dammed pool for irri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03B1 (en) * 2004-07-29 2004-12-03 (주)자연과환경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treatment
KR200403507Y1 (en) * 2005-09-21 2005-12-0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KR200441721Y1 (en) * 2006-11-14 2008-09-03 주식회사 이산 River purification structure of a dammed pool for irr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10A (en)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9172B (en) Pond culture circulation system based on ecological toilet module
CN105638515B (en) A kind of ecological circulation freshwater aquaculture method
KR101295313B1 (en) A 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aquatic plant
CN103238554B (en) Ecotype enclosed method for culturing fish through circulation water
KR100818912B1 (en) Waste Water Natural Purgation System Using Aquatic Trees and Plants
CN106277343A (en) A kind of artificial swamp advanced purification system
CN108238703A (en) System for circulating water aquaculture by using biofilter-artificial wetland
CN107585868B (en) Water body deep purification system
JP2000246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using useful plant
CN114600825A (en) Doubl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CN208362108U (en) System for circulating water aquaculture by using biofilter-artificial wetland
KR101614394B1 (en) multipurpose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icroorganism and plants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KR101616876B1 (e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WO2011136660A1 (en) Farming system for aquatic organisms
KR101463204B1 (en) Hydroponic culture flowerpot for fish tank
CN110615537B (en) Three-dimensional resistance control ecological purific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waste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CN107399883B (en) Natural contact oxidation pond
KR101047454B1 (en) Artificial wetland using circulation of ecosystem
KR101860758B1 (e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 nutrient solution
CN102092889A (en) Method for lake purification and water ecological environmental renovation
KR101048501B1 (en) Multi-stage water-treating apparatus using aquatic plants and water-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4936420U (en) Anaerobic-trickling-filtering aeration-subsurface flow wetland combined sewage treatment system
KR101441371B1 (en) Finisher for sewage treatment station using aquatic plant
CN219823896U (en) Ecological filtering dam water treatment device for rain and sewage overflow port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