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726B1 -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 Google Patents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726B1
KR101616726B1 KR1020150010718A KR20150010718A KR101616726B1 KR 101616726 B1 KR101616726 B1 KR 101616726B1 KR 1020150010718 A KR1020150010718 A KR 1020150010718A KR 20150010718 A KR20150010718 A KR 20150010718A KR 101616726 B1 KR101616726 B1 KR 10161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asure
casing
length
ro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아
임찬양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최재아
임찬양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아, 임찬양, 김민지 filed Critical 최재아
Priority to KR102015001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외주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줄자케이싱과; 상기 줄자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줄자케이싱의 길이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줄자부는, 상기 줄자케이싱에 고정되는 줄자본체와; 선단이 상기 줄자케이싱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줄자본체 내부를 따라 탄성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며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측정자보다도 키가 큰 농작물도 측정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TAPE MEASURE ASSEMBLY}
본 발명은 줄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측정자보다 키가 큰 농작물의 높이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줄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품종의 식물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현재 교배중인 식물의 키를 재거나 열매가 맺히는 위치를 재는 등의 생육조사가 필요하다. 일례로, 새로운 품종의 옥수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배중인 옥수수의 키를 재거나 옥수수가 달리는 위치를 재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런데, 옥수수의 경우 키가 큰 식물이므로 키를 잴 수 있는 마땅한 도구가 없어 눈금이 있는 장대를 두 세개 이어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장대의 경우 측정자가 바닥에 있는 눈금을 확인하기 어렵고, 길이가 길어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줄자의 경우 옥수수의 키만큼 기립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줄자는 눈금의 위치가 제일 아래인 땅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자가 땅쪽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572678호 "원호 작도용 줄자 보조 장치 및 원호 작도용 줄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키가 큰 농작물의 키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줄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대상의 키를 나타내는 눈금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하여 측정자가 눈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줄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가 큰 측정대상의 키를 정확하게 잴 수 있도록 가늠레버가 구비된 줄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가 낮은 측정대상의 키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줄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자조립체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외주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줄자케이싱과; 상기 줄자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줄자케이싱의 길이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줄자부는, 상기 줄자케이싱에 고정되는 줄자본체와; 선단이 상기 줄자케이싱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줄자본체 내부를 따라 탄성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며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줄자는 표면에 보정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보정눈금은 표준눈금에 상기 줄자케이싱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투명창까지의 길이가 더해진 값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줄자케이싱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하부봉, 상부봉 및 상기 하부봉과 상기 상부봉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봉을 포함하며, 상기 줄자본체는 상기 하부봉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줄자의 선단은 상기 상부봉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봉과 상기 중간봉이 상부 표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1나사삽입공과 제2나사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봉에 대한 상기 중간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봉의 상부에는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대상의 꼭대기에 배치되는 가늠레버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늠레버가 삽입되는 레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늠레버는 상기 상부봉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늠레버가 상기 레버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봉의 표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표준눈금이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창에는 투과되어 보이는 상기 줄자의 현재 피측정대상의 높이를 표시하는 식별표식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케이싱 내부에 줄자가 수용되어 다양한 높이의 측정대상의 높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측정대상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위치게 표시되어 측정자가 바닥까지 허리를 숙이거나 머리를 숙여하 하는 번거로움과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가늠자가 줄자케이싱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높이가 높은 측정대상의 높이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줄자에는 보정눈금이 표시되고, 하부봉에는 표준눈금이 표시되어, 높이가 낮은 측정대상의 높이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를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의 사용원리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로 옥수수의 키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100)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줄자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줄자조립체(1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100)는 길이가 신장 가능하게 구비된 줄자케이싱(110)과, 줄자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줄자케이싱(110)의 길이변화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부(120)와, 줄자케이싱(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130)와, 줄자케이싱(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측정대상에 접촉되는 가늠레버(140)를 포함한다.
줄자케이싱(110)은 직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봉이 서로 다단으로 수용된 형태를 갖는다. 줄자케이싱(110)은 낚시대와 같은 구조로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게 구비된다.
줄자케이싱(110)을 형성하는 봉의 개수는 봉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줄자케이싱(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봉(111), 중간봉(113) 및 상부봉(115)의 세 개로 구비되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중간봉(113)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하부봉(111), 중간봉(113) 및 상부봉(115)은 모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들게 구비된다. 하부봉(111)의 상부의 직경이 중간봉(113)의 하부의 직경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중간봉(113)이 하부봉(111)의 상부에 끼워맞춤되어 신장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동일한 구조로 중간봉(113)의 상부의 직경이 상부봉(115)의 하부의 직경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하부봉(111), 중간봉(113) 및 상부봉(115)은 측정자가 수동으로 가압하여 길이를 신장하거나 수축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봉(111) 내부에 중간봉(113)이 수용되고, 중간봉(113)에 상부봉(115)이 수용된 상태가 줄자조립체(100)의 최소길이이다. 이 상태에서 중간봉(113)이 하부봉(111)의 외부로 분리되거나, 중간봉(113)에서 상부봉(115)이 분리되어 길이가 신장된다.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줄자케이싱(110)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부봉(115)이 중간봉(113) 내부로, 중간봉(113)이 하부봉(111) 내부로 삽입되며 길이가 짧아진다.
하부봉(111)의 바닥에는 하부캡(111a)이 구비된다. 하부캡(111a)은 줄자조립체(100)의 조립시에 개방되어 하부봉(111) 내부로 중간봉(113)과 상부봉(115)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캡(111a)의 상면에 줄자부(120)의 줄자본체(121)가 고정된다.
하부봉(111)의 상부영역에는 투명창(111b)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투명창(111b)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된다. 투명창은 하부봉(11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줄자(123)의 보정눈금(125)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투명창(111b)의 가운데 높이에는 현재 측정대상의 높이에 대응되는 줄자(123)의 보정눈금을 가르키는 식별표식(M, 도 4)이 구비된다. 측정자는 식별표식(M)이 가르키는 보정눈금을 읽어 측정대상의 높이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투명창(111b)의 일측에는 제1나사삽입공(111c)이 구비된다. 제1나사삽입공(111c)에는 위치고정볼트(130)가 삽입되어 중간봉(113)과 상부봉(115)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거나,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봉(111)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표준눈금(111d)이 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표준눈금(111d)은 일반적으로 사물의 길이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자의 눈금을 말한다. 표준눈금(111d)은 cm 단위로 0을 시작으로 1cm 단위로 표기될 수 있다. 표준눈금(111d)의 단위는 mm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봉(111)에 표시된 표준눈금(111d)은 투명창(111b) 보다 낮은 높일를 갖는 식물의 높이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중간봉(113)은 하부봉(111)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하부봉(111)의 상부로 노출된다. 중간봉(113)은 내부에 상부봉(115)을 수용한다. 중간봉(113)의 하부는 하부봉(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중간봉(113)의 상부에는 제1나사삽입공(1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나사삽입공(113a)이 형성된다.
제1나사삽입공(111c)을 통해 삽입된 위치고정볼트(130)가 제2나사삽입공(113a)을 통해 삽입되어 상부봉(115)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여 중간봉(113)에 대한 상부봉(115)의 상대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중간봉(113)의 상부로 상부봉(115)이 완전히 신장되는 경우 중간봉(113)의 상부와 상부봉(115)의 하부가 끼워져서 위치가 구속되지만, 상부봉(115)의 일부만 중간봉(113)으로부터 노출되면 직경차에 의해 상부봉(115)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다.
이 때, 제1나사삽입공(111c)과 제2나사삽입공(113a)을 관통하여 위치고정볼트(130)를 삽입하여 상부봉(115)의 외주면을 위치고정볼트(130)가 접촉지지하여 상부봉(11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위치고정볼트(130)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봉(113)과 상부봉(11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봉(115)은 중간봉(1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간봉(113)의 외부로 신장된다. 상부봉(115)의 내측 상면에는 줄자(123)의 선단(123a)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부봉(115)의 위치가 이동되면, 줄자(123)의 길이도 가변될 수 있다.
상부봉(115)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버삽입홈(115a)이 일정깊이 형성된다. 레버삽입홈(115a)에는 가늠레버(140)가 수용된다.
줄자케이싱(110)을 형성하는 하부봉(111), 중간봉(113), 상부봉(115)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줄자케이싱(110)은 투명창(111b)이 하부봉(111)에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중간봉(1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높이가 높은 농작물의 높이를 많이 측정하는 경우, 중간봉(11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창(111b)이 구비되는 높이는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허리높이 등으로 구비되어 측정자가 줄자케이싱(110)을 잡은 상태에서 투명창(111b)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자부(120)는 줄자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줄자케이싱(110)의 길이변화에 여동하여 길이가 가변되며 측정대상의 높이를 측정한다. 줄자부(120)는 하부봉(111)의 하부캡(111a)에 고정되는 줄자본체(121)와, 선단은 상부봉(115)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줄자본체(121) 내부에 고정되는 줄자(123)를 포함한다.
줄자본체(121)는 줄자케이싱(110)에 고정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줄자케이싱(110)의 내부인 하부봉(1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줄자본체(12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하부캡(111a)에 고정된다.
줄자본체(121)의 내부에는 줄자(123)를 탄성적으로 감거나 풀리게 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탄성부재(미도시)는 줄자(123)가 감겨있는 회전축(미도시)에 줄자(123)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줄자케이싱(110)의 길이가 짧아지게 외력을 가하면 줄자(123)가 줄자본체(121) 내부로 감겨지는 힘에 의해 줄자케이싱(110)이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줄자(123)는 선단(123a)에서부터 보정눈금(125)이 표시된다. 보정눈금(125)은 표준눈금에 보정값이 더해진 눈금이다. 보정값은 지면으로부터 투명창(111b)의 식별마크(M) 까지의 높이이다.
도 4는 줄자조립체(100)의 측정원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초기 상태의 줄자조립체(100)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측정대상의 키에 대응되게 길이가 신장된 줄자조립체(100)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투명창(111b)의 식별마크(M)까지의 높이가 a라고 하면, 보정눈금은 표준눈금으로부터 a를 더한 값이다. 즉, 표준눈금을 기준으로 0부터 시작되는 눈금값은 0+a 값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눈금은 1cm 또는 1mm 간격으로 표시된다.
측정대상의 높이가 투명창(111b)의 식별마크(M)로부터 R인 경우, 투명창(111b)에 표시되는 보정눈금(125)은 R+a값이 표시된다. 이에 측정자는 바닥에서 측정대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눈금을 확인하지 않고 a 높이에 위치한 투명창(111b)에서 측정대상의 높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가늠레버(140)는 상부봉(115)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측정대상의 측정높이를 한정한다. 가늠레버(1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얇은 바 형태로 형성된다. 가늠레버(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115)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회전축(141)에 결합된다. 회전축(141)을 기준으로 가늠레버(140)는 회동하며 상부봉(115)의 레버삽입홈(115a) 내부에 수용되거나, 레버삽입홈(115a)의 외부로 이탈되어 상부봉(115)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회전축(141)에는 가늠레버(140)가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미도시)는 가늠레버(140)가 90도 각도로만 회동되도록 회동각도를 제한한다.
여기서, 회전축(141)에는 가늠레버(140)가 레버삽입홈(115a)의 외부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3)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43)는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늠레버(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115)에 삽입된 상태로 중간봉(113) 내부에 수용되고, 측정자가 상부봉(115)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부봉(115)이 중간봉(113)으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115)에 수직하게 회동된다.
측정자는 가늠레버(140)를 측정대상의 꼭대기에 위치시켜 측정대상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길이가 되도록 하여 보관 또는 휴대한다. 이 때, 하부봉(111) 내부에 중간봉(113)이 수용되고, 중간봉(113) 내부에 상부봉(115)이 보관된다. 가늠레버(140)는 상부봉(115)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줄자조립체(100)의 휴대시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줄자케이싱(110)을 구성하는 봉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각 봉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측정자가 줄자조립체(100)를 휴대하고, 농작물의 생육을 측정하기 위해 줄자조립체(100)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상부봉(115)에 외력을 가해 상부봉(115)을 중간봉(113)의 외부로 신장시킨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늠레버(140)가 상부봉(115)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측정자는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의 키에 대응되게 상부봉(115)과 중간봉(113)을 신장시킨다. 측정대상의 꼭대기에 가늠레버(140)가 위치되도록 줄자케이싱(110)을 신장하고, 하부봉(111)의 하면이 지면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이 옥수수(A)인 경우, 가늠레버(140)가 옥수수의 꼭대기에 위치되도록 줄자케이싱(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투명창(111b)이 하부봉(111)의 상부, 표준눈금으로 지면으로부터 55cm에 위치할 경우, 줄자(123)의 보정눈금(125)은 55cm부터 시작된다. 투명창(111b)으로부터 옥수수(A)의 꼭대기까지의 높이가 150cm인 경우 투명창(111b)을 통해 보이는 보정눈금(125)은 205cm가 된다.
다른례로, 투명창(111b)이 지면으로부터 130cm에 위치할 경우, 줄자(123)의 보정눈금은 130cm부터 시작된다. 투명창(111b)으로부터 옥수수(A)의 꼭대기까지의 높이가 100cm인 경우 투명창(111b)을 통해 보이는 보정눈금(125)은 230cm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옥수수(A)의 꼭대기까지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있는 투명창(111b)에 정확하게 표시가 된다. 이에 따라 측정자가 눈금 확인을 위해 지면으로 허리를 굽히고 머리를 숙이는 과정이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케이싱 내부에 줄자가 수용되어 다양한 높이의 측정대상의 높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측정대상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위치게 표시되어 측정자가 바닥까지 허리를 숙이거나 머리를 숙여하 하는 번거로움과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가늠자가 줄자케이싱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높이가 높은 측정대상의 높이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자조립체는 줄자에는 보정눈금이 표시되고, 하부봉에는 표준눈금이 표시되어, 높이가 낮은 측정대상의 높이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줄자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줄자조립체 110 : 줄자케이싱
111 : 하부봉 111a : 하부캡
111b : 투명창 111c : 제1나사삽입공
111d : 표준눈금 112 : 줄자고정부재
113 : 중간봉 113a : 제2나사삽입공
115 : 상부봉 115a : 레버삽입홈
120 : 줄자부 121 : 줄자케이싱
123 : 줄자 125 : 보정눈금
123a : 선단 130 : 위치고정볼트
140 : 가늠레버 141 : 회전축
143 : 탄성부재

Claims (8)

  1. 다단으로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외주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줄자케이싱과;
    상기 줄자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줄자케이싱의 길이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줄자케이싱 상부에는,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대상의 꼭대기에 배치되는 가늠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줄자부는,
    상기 줄자케이싱에 고정되는 줄자본체와;
    선단이 상기 줄자케이싱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줄자본체 내부를 따라 탄성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며 길이가 가변되는 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는 표면에 보정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보정눈금은 표준눈금에 상기 줄자케이싱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투명창까지의 길이가 더해진 값인,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케이싱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하부봉, 상부봉 및 상기 하부봉과 상기 상부봉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봉을 포함하며,
    상기 줄자본체는 상기 하부봉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줄자의 선단은 상기 상부봉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봉과 상기 중간봉이 상부 표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1나사삽입공과 제2나사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봉에 대한 상기 중간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늠레버가 삽입되는 레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늠레버는 상기 상부봉을 관통하는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늠레버가 상기 레버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봉의 표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표준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에는 투과되어 보이는 상기 줄자의 현재 피측정대상의 높이를 표시하는 식별표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KR1020150010718A 2015-01-22 2015-01-22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KR10161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18A KR101616726B1 (ko) 2015-01-22 2015-01-22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18A KR101616726B1 (ko) 2015-01-22 2015-01-22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726B1 true KR101616726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718A KR101616726B1 (ko) 2015-01-22 2015-01-22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755A (zh) * 2019-05-16 2019-07-16 南京林业大学 一种高大竹种高生长实时测量系统
KR102633990B1 (ko) * 2022-09-30 2024-02-06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안전점검 및 진단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줄자
KR102636518B1 (ko) * 2022-09-30 2024-02-14 탄탄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용 휴대용 측정줄자
KR102638545B1 (ko) * 2023-01-27 2024-02-20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 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줄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1A (ja) * 1997-06-17 1999-01-12 West Japan Railway Co 検尺器
JP2005181156A (ja) * 2003-12-19 2005-07-07 Jefcom Kk 測定杆
KR100572678B1 (ko) 2003-08-23 2006-04-25 이수화 원호 작도용 줄자 보조 장치 및 원호 작도용 줄자
KR20090063074A (ko) * 2008-09-05 2009-06-1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안전점검 및 진단용 다단식 휴대용 줄자
KR20100096348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모닝테크놀로지 안테나 형상의 연장부를 가진 줄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1A (ja) * 1997-06-17 1999-01-12 West Japan Railway Co 検尺器
KR100572678B1 (ko) 2003-08-23 2006-04-25 이수화 원호 작도용 줄자 보조 장치 및 원호 작도용 줄자
JP2005181156A (ja) * 2003-12-19 2005-07-07 Jefcom Kk 測定杆
KR20090063074A (ko) * 2008-09-05 2009-06-17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안전점검 및 진단용 다단식 휴대용 줄자
KR20100096348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모닝테크놀로지 안테나 형상의 연장부를 가진 줄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755A (zh) * 2019-05-16 2019-07-16 南京林业大学 一种高大竹种高生长实时测量系统
KR102633990B1 (ko) * 2022-09-30 2024-02-06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안전점검 및 진단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줄자
KR102636518B1 (ko) * 2022-09-30 2024-02-14 탄탄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용 휴대용 측정줄자
KR102638545B1 (ko) * 2023-01-27 2024-02-20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 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26B1 (ko) 키큰 대상의 길이측정이 가능한 줄자조립체
US20070023063A1 (en) Comb with a ball level and indicia
KR100964405B1 (ko) 제도용 줄자
US20070124950A1 (en) Measurement marking holes apparatus and method
US9746301B2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marker
US5430951A (en) Retractable tape with telescoping arms
US9182209B1 (en) Methods for measuring distance
KR20170047835A (ko) 길이 조절이 편리한 폴대
US6983582B1 (en) Stalk strength tester
US9593929B2 (en) Turkey measurement device
US3577771A (en) Swing-weight and static weight balance for golf clubs
US4103546A (en) Tennis racquet string tension gauge
US5735058A (en) Measuring rule
US20080189967A1 (en) Standardizable level tool
KR101421146B1 (ko) 임목수확용 수목상태 측정구
CN208419827U (zh) 一种林业专用树木测量专用尺
US7129426B1 (en) Weight scale with hybrid graduation
US2734273A (en) Measurement indicating means for
US20080022545A1 (en) Measurement making holes apparatus and method
CN215810626U (zh) 茎叶夹角测量器
US2090658A (en) Range finding, horizontal angle measuring, and angle of site instrument
JP3040455U (ja) 立木材積巻尺
CN104848756A (zh) 便携式角度尺
CN210004922U (zh) 一种作物农艺性状快速测定装置
JP2010261832A (ja) 計測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