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58B1 -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258B1
KR101616258B1 KR1020150014034A KR20150014034A KR101616258B1 KR 101616258 B1 KR101616258 B1 KR 101616258B1 KR 1020150014034 A KR1020150014034 A KR 1020150014034A KR 20150014034 A KR20150014034 A KR 20150014034A KR 101616258 B1 KR101616258 B1 KR 10161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ic field
circuit board
discharge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이근상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15001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16K31/08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using a electro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고,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와 상기 온수의 혼합으로 생성되는 혼합수를 토출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유동되는 유로와,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를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지하도록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스위치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모듈에서 온(on) 신호 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토출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토출모드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토출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Electronic water-saving faucet}
본 발명은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 조작만으로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의 토출모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 수전금구는 사용자가 급, 단수조작부재를 누르면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급수가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원위치 되었다. 이러한 자폐식 수전금구는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급, 단수조작밸브가 천천히 이동되어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단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후 별도로 차단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단수가 이루어져 필요이상의 물이 버려지며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대중사우나, 찜질방, 워터파크, 수영장, 숙박업소 등에 주로 설치되는 자폐식 수전금구는 급, 단수조작부재를 누르면 이동축의 이동거리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자동으로 단수되어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항상 이동거리 만큼의 시간이 경과해야만 단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이로 인해 필요이상의 물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6047호
본 발명은 단순 조작만으로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의 토출모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고,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와 상기 온수의 혼합으로 생성되는 혼합수를 토출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유동되는 유로와,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를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지하도록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스위치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모듈에서 온(on) 신호 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토출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토출모드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토출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양한 토출모드를 구성하고, 컨트롤 링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토출모드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컨트롤 링에는 각각의 토출모드와 대응되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눈금홈들이 형성되어 있어 수전금구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모드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셋째, 컨트롤 링을 회전하여 변경된 토출모드의 설정은 고정 핀을 커버와 컨트롤 링에 끼워 기계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설정 변경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배터리의 전원단자들과 연결되는 보호회로기판과,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여 일체형 배터리 모듈로 구비됨으로써, 전원의 수명이 다하면 배터리 모듈만 구입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의 커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의 토출모드 설정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토출모드 설정모듈 구성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따른 토출모드 설정모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만 도시된 참고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의 배터리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100, 이하 수전금구)는, 몸체(210), 커버(110), 스위치 모듈(150), 토출모드 설정모듈(130) 및 배터리 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10)는 냉수배관(미도시) 및 온수배관(미도시)과 결합된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냉수배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냉수, 상기 온수배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온수 또는 상기 냉수와 상기 온수의 혼합으로 생성되는 혼합수가 유동되는 유로(미도시)와,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몸체(21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210)를 보호한다.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몸체(210), 상기 몸체(210)와 연결되어 상기 냉수와 상기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유닛(230), 상기 몸체(21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 컨트롤 유닛(2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수용부(113) 및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7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용부(113) 및 상기 제1 수용부(111)는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111)에는 상기 제1 수용부(1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핀 홀(111-1)이 형성된다. 상기 핀 홀(111-1)은 후술되는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위치 모듈(150)은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를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지하도록 온(on)/오프(of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은 상기 커버(110)와 상기 스위치 모듈(150)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150)에서 온(on) 신호 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토출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토출모드를 선택하여 고정한다. 상기 배터리모듈(170)은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스위치 모듈(150),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7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수전금구(100)에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의 토출이 개시되거나 멈추고, 토출이 개시되면 설정모드에 의한 시간 동안만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된 후 자동으로 중단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토출을 중단시킬 수 있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131),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 연결 하우징(133) 및 컨트롤 링(135)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은 상기 복수의 토출모드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홀센서(131-1, 131-2, 131-3)들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3 종류의 토출모드들이 세팅된다. 상기 3 종류의 토출모드들 중 제1 토출모드에 의한 토출시간은 기본 세팅값일 수 있고고, 제2 토출모드에 의한 토출시간은 상기 제1 토출모드에 의한 토출시간보다 길거나 짧게 세팅된 값일 수 있으며, 제3 토출모드에 의한 토출시간은 무한대로 세팅된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세팅값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므로 보다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센서(131-1, 131-2, 131-3)들은 상기 복수 의 토출모드들에 대응되므로, 각각의 홀센서(131-1, 131-2, 131-3)가 전술한 상기 제1 토출모드, 제2 토출모드, 제3 토출모드와 대응된다. 상기 복수 개의 홀센서(131-1, 131-2, 131-3)들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홀센서들이 25ㅀ 내지 35ㅀ의 각도 범위에서 상호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 홀센서들이 이격되는 각도는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는 상기 홀센서(131-1, 131-2, 131-3)들 뿐 아니라, 상기 스위치 모듈(150)에 의해 온/오프(on/off)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홀센서(13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원 홀센서(131-4)는 상기 스위치 모듈(150)에 구비되는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즉, 먼저 상기 전원 홀센서(131-4)가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온(on) 신호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검출할 때에는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스위치 모듈(150)과 함께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는 상호 이격되는 제1홀(131a) 및 제2홀(13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131a) 및 상기 제2홀(131b)은 상기 배터리모듈(17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3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배터리모듈(170)과 함께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은 상기 홀센서(131-1, 131-2, 131-3)들 중 어느 하나의 홀센서와 얼라인되며, 상기 홀센서(131-1, 131-2, 131-3)들은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이 상기 홀센서(131-1, 131-2, 131-3)들 중 어느 하나의 홀센서와 얼라인되면, 상기 홀센서에서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의 자기장을 검출하게 되고 해당 홀센서에 대응되는 토출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은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을 수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1)과 상기 배터리모듈(15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의 일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을 수용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배터리모듈(1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모듈(170)의 일부를 수용하는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와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1-3)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미도시) 및 제2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은 제1 탄성부재(134) 및 제2 탄성부재(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은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와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미표기) 및 제2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 각각의 일측이 상기 제1 관통홀(미표기) 및 상기 제2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는 상기 배터리모듈(17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 각각의 일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홀(미표기) 및 상기 제2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와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 각각의 타측은 상기 배터리모듈(170)의 후술되는 보호회로기판(173)과 접촉한다. 이렇듯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31) 및 상기 배터리모듈(1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연결 하우징(133)은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의 내주면에 상기 배터리모듈(170)이 결합될 때 상기 배터리모듈(170)의 배터리 케이스(175)는 고정시키는 고정홈부(133-3a, 133-3b)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배터리모듈(170)이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홈(133-3a) 및 상기 제1 고정홈(133-3a)의 선단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홈(133-3b)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의 후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는 제1 돌기(133-3)들이 형성된다. 후술되는 컨트롤 링(135)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되면 상기 컨트롤 링(135)의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135-1)가 상기 제1 돌기(133-3)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링(135)은 상기 제1 돌기(133-3)들에 의해 한정되는 구간 내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의 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어 돌출된 제2 돌기(133-4)들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링(135)은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 측으로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되는데, 상기 컨트롤 링(135)을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하기 위해 상기 제2 돌기(133-4)들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돌기(133-4)들이 오므려진다. 상기 컨트롤 링(135)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된 후, 상기 제2 돌기(133-4)들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돌기(133-4)들이 복원되면 상기 제2 돌기(133-4)들에 의해 상기 컨트롤 링(135)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33-1)를 관통하는 케이블 수용부(133-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수용부(133-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1)과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2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스위치모듈(150)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서 온/오프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230)으로 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230)에 상기 몸체(210) 내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컨트롤 링(13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된다. 상기 컨트롤 링(135)은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13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135-1)에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 링(135)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외삽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링(135)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토출모드를 변결할 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이 형성된다.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이 수용되고 상기 컨트롤 링(135)이 외삽되면,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과 상기 홀센서(131-1, 131-2, 131-3)들은 대각선으로 대칭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눈금홈(135-2a)은 상기 제3 홀센서(131-3)와 대응되고, 상기 제2 눈금홈(135-2b)은 상기 제2 홀센서(131-2)와 대응되며, 상기 제3 눈금홈(135-2c)은 상기 제1 홀센서(131-1)와 대응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링(135)의 외주면에는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135-3a, 135-3b, 135-3c)들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핀 홀(1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컨트롤 링(135)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홀(135-3a, 135-3b, 135-3c)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이 상기 핀 홀(111-1)과 얼라인되면,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의 고정 핀(137)이 얼라인 된 상기 고정홀과 상기 핀 홀(111-1)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링(135)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 중 어느 하나의 눈금홈이 상기 핀 홀(111-1)과 정렬되면, 상기 눈금홈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홀이 상기 핀 홀(111-1)과 얼라인되므로 상기 고정 핀(137)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135-1)에 수용된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은 상기 눈금홈과 대각선으로 대칭되는 상기 홀 센서와 얼라인되며,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의 자기장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홀 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토출모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 링(135)을 회전하여 상기 제1 눈금홈(135-2a)과 상기 핀 홀(111-1)을 정렬시키면, 상기 고정핀(137)을 상기 제1 고정홀(133-3a)과 상기 핀 홀(111-1)에 동시에 끼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은 상기 제1 눈금홈(135-2a)과 대각선으로 대칭되는 상기 제3 홀센서(131-3)과 얼라인되어 상기 제3 홀센서(131-3)에 대응되는 토출모드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모듈(170)은 배터리(171), 보호회로기판(173) 및 배터리 케이스(175)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171)는 제1 전원단자(+ 단자)와 제2 전원단자(-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예시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회로기판(173)은 상기 배터리(171)의 상기 제1 전원단자(+ 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원회로(+)와, 상기 제2 전원단자(-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원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원단자(+ 단자)와 상기 제1 전원회로(+)가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단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회로(-)가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71)와 상기 보호회로기판(173)은 절연 테이프(미도시)로 감싸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모듈(170)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 각각의 타측이 상기 보호회로기판(173)과 접촉된다. 즉, 상기 제1 탄성부재(134)의 타측은 상기 제1 전원회로(+)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136)의 타측은 상기 제2 전원회로(-)와 접촉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3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136)가 상기 배터리모듈(170)의 상기 보호회로기판(173)과 접촉하기만 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는 상기 보호회로기판(173)이 연결된 상기 배터리(171)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모듈(170)의 상기 보호회로기판(173)와 연결된 상기 배터리(171)의 일측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의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에 삽입되면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와 상기 연결 하우징(133)이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73)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돌기(175c)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75c)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가 상기 연결 하우징(133)과 결합될 때,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부(133-3a, 133-3b)에 끼워져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와 상기 연결 하우징(1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70)의 일측이 상기 연결 하우징(133)의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133-3)로 삽입될 때 상기 고정돌기(175c)는 상기 고정홈부의 상기 제1 고정홈(133-3a)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75c)가 상기 제1 고정홈(133-3a)의 선단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와 상기 연결 하우징(133)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고정돌기(175c)는 상기 제2 고정홈(133-3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75c)가 상기 제2 고정홈(133-3b)에 고정되므로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가 상기 연결 하우징(133)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실링부재홈(175d)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실링부재홈(175d)에는 실링부재, 예시적으로 오링(o-ring)이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가 상기 연결 하우징(133)에 결합된 후, 상기 수전금구(100)의 사용 중 상기 배터리 케이스(175)의 내부 혹은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위치모듈(150)은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을 수용하는 푸시버튼부재(151), 버튼 슬리브(155) 및 제3 탄성부재(157)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버튼부재(151)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을 수용하기 위한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홈(15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은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과 마찬가지로 자석이 적용된다.
상기 푸시버튼부재(151)는 상기 버튼 슬리브(155)에 의해 상기 토출모드설정모듈(130)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버튼 슬리브(155)의 일측은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 슬리브(155)의 타측은 상기 연결 하우징(133)과 연결된다.
상기 제3 탄성부재(157)는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와 상기 버튼 슬리브(15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3 탄성부재(157)는 상기 푸시버튼부재(15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3 탄성부재(157)가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와 상기 버튼 슬리브(155) 사이에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누름 동작으로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푸시버튼부재(151)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 즉, 상기 토출모드 설정유닛(13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탄성부재(157)는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에 가해진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3 탄성부재(157)가 복원되면서 상기 푸지버튼부재(151)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에는 상기 전원 홀 센서(131-4)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푸시버튼부재(151)가 상기 토출모드 설정유닛(130)과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상기 전원 홀 센서(131-4)가 검출하면서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상기 전원 홀 센서(131-4)가 검출하면서 생성된 신호가 온 신호이면, 상기 토출구에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나오기 시작하고 이때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에서 설정된 토출모드에 따라 물이 토출된 후, 자동으로 중지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중지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토출모드가 토출시간이 무한대로 설정된 것이라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모듈(150)의 상기 푸지버튼부재(151)를 다시 누르고,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상기 전원 홀 센서(131-4)가 검출하면서 오프 신호가 생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을 이용하여 상기 수전금구(100)에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모드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링(135)에 형성된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컨트롤 링(135)을 회전한다. 상기 눈금홈(135-2a, 135-2b, 135-2c)들 중 어느 하나의 눈금홈(예를 들어 제1 눈금홈(135-2a))과 상기 커버(110)에 형성된 상기 핀 홀(111-1)을 정렬시킨다. 이때, 상기 컨트롤 링(135)에 수용된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132)이 상기 눈금홈(135-2a)과 대각선으로 대칭되는 상기 제3 홀센서(131-3)와 얼라인되고, 상기 제3 홀센서(131-3)에 대응되는 토출모드가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모듈(150)의 상기 푸시버튼부재(151)를 누르면, 상기 푸시버튼부재(151)에 수용된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31)의 상기 전원 홀 센서(131-4)와 가까워져 상기 전원 홀 센서(131-4)가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153)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온(on)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스위치모듈(150)에 의한 온(on)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온도 컨트롤 유닛(250)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맞춰 상기 솔레노이드 유닛(230)이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기 시작하고,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에 의해 설정된 토출모드에 맞춰 토출시킨 후 자동으로 토출을 중지한다.
만약,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130)에서 설정된 토출모드가 무한정 물을 토출시키는 모드라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모듈(150)의 상기 푸시버튼부재(151)를 다시 눌러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여 토출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전금구 110: 커버
111: 제1 수용부 113: 제2 수용부
111-1: 핀 홀 130: 토출모드 설정모듈
131: 인쇄회로기판 132: 제1 자기장 발생수단
133: 연결 하우징 135: 컨트롤 링
131-1, 131-2, 131-3: 홀센서들
135-4: 전원 홀 센서
135-1: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
135-2a, 135-2b, 135-2c: 눈금홈들
135-3a, 135-3b, 135-3c: 고정홀들
137: 고정 핀
134: 제1 탄성부재 136: 제2 탄성부재
150: 스위치모듈 151: 푸시버튼부재
153: 제2 자기장 발생수단 155: 버튼 슬리브
157: 제3 탄성부재
170: 배터리모듈 171: 배터리
173: 보호회로기판 175: 배터리 케이스

Claims (15)

  1.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고,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와 상기 온수의 혼합으로 생성되는 혼합수를 토출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유동되는 유로와,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수전몸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를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지하도록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스위치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모듈에서 온(on) 신호 시 상기 냉수, 상기 온수 또는 상기 혼합수가 토출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토출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토출모드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토출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은,
    상기 복수의 토출모드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홀센서들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복수 개의 홀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홀센서와 얼라인 되는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과 얼라인 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홀센서가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의 자기장을 검출하면 상기 홀센서에 대응되는 상기 토출모드가 설정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은,
    일측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인쇄회로기판 수용부가 형성된 연결 하우징; 및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을 수용하는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 하우징에 외삽되어 상기 제1 자기장 발생수단이 상기 복수 개의 홀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홀센서와 얼라인 되도록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컨트롤 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의 후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 수용부가 회전하는 회전구간을 한정하도록 상호 이격된 제1 돌기들을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수용부의 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 링이 상기 연결 하우징에 외삽될 때 외력에 의해 오므려졌다가 상기 컨트롤 링이 상기 연결 하우징에 외삽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제2 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배터리모듈이 결합되는 배터리모듈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모듈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배터리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링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눈금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눈금홈들은 상기 복수 개의 홀센서들과 대칭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링에는 상기 복수 개의 눈금홈들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컨트롤 링이 회전할 때,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과 얼라인되는 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은,
    설정된 상기 토출모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링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홀과 상기 핀 홀이 얼라인되면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홀 및 상기 핀 홀에 동시에 끼워져 고정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제1 전원단자 및 제2 전원단자를 형성된 배터리; 및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전원회로 및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전원회로가 형성된 보호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보호회로기판이 절연부재로 감싸져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보호회로기판과 연결된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연결 하우징과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드 설정모듈은,
    상기 연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전원회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전원회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자기장 발생수단을 수용하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푸시버튼부재;
    상기 푸시버튼부재와 상기 연결 하우징을 연결하는 버튼 슬리브; 및
    상기 푸시버튼부재와 상기 버튼 슬리브 사이에 구비되어 위치가 이동된 상기 푸시버튼부재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전원 홀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푸시버튼부재가 눌러져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이 상기 전원 홀 센서와 가까워지면 상기 전원 홀 센서가 상기 자기장을 검출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원 홀 센서가 상기 제2 자기장 발생수단의 상기 자기장을 검출할 때마다 상기 온(on) 신호, 상기 오프(off) 신호가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KR1020150014034A 2015-01-29 2015-01-29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KR101616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34A KR101616258B1 (ko) 2015-01-29 2015-01-29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34A KR101616258B1 (ko) 2015-01-29 2015-01-29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258B1 true KR101616258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34A KR101616258B1 (ko) 2015-01-29 2015-01-29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920B1 (ko) * 2020-07-27 2022-01-17 주식회사 오토프라자 절수형 수전금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80Y1 (ko) * 2004-09-07 2004-11-18 김진형 풋 터치 절수장치
KR100588815B1 (ko) * 2003-12-08 2006-06-19 차스랩주식회사 절전형 전자감응식 절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4298319B2 (ja) * 2003-02-18 2009-07-15 株式会社Inax 吐水装置
KR20140084712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101416047B1 (ko) 2013-01-16 2014-07-08 대림통상 주식회사 전자식 샤워수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319B2 (ja) * 2003-02-18 2009-07-15 株式会社Inax 吐水装置
KR100588815B1 (ko) * 2003-12-08 2006-06-19 차스랩주식회사 절전형 전자감응식 절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68380Y1 (ko) * 2004-09-07 2004-11-18 김진형 풋 터치 절수장치
KR20140084712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101416047B1 (ko) 2013-01-16 2014-07-08 대림통상 주식회사 전자식 샤워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920B1 (ko) * 2020-07-27 2022-01-17 주식회사 오토프라자 절수형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455B1 (en) Electrical device
JP4648974B2 (ja) アンテナ付きハンドマイクのケーブルを携帯無線機本体へ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US8267720B2 (en) Seal structure
CN103151641A (zh) 连接器
JP2001185297A (ja) コネクタ
WO2008081620A1 (ja) 接続部材及びハーネス接続体
US20060030183A1 (en) Power source outlet device
KR20090023101A (ko) 커넥터, 잭 부품, 전자기기 및 플러그 부품
WO2001063702A1 (fr) Element de connexion de cable d'alimentation
KR101616258B1 (ko)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WO2004054037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KR101631991B1 (ko)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AU1275901A (en) Improvement in connection devices for a flexible circuit
KR20160054919A (ko) 콘센트
CA2832048C (en) Waterproof assembly for a light string
US20160233660A1 (en) Gfci receptacle
DK0676831T3 (da) Stik, især til en stikforbindelse til elektrisk tilslutning af anhængere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100919952B1 (ko) 단자위치보증부재
EP1383205A1 (en) Swiveling cable connector
CN110703353B (zh) 一种水浸传感器
CN219144580U (zh) 一种对插式防水结构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CN211377081U (zh) 一种具有多重防呆结构的连接器
CN110492298B (zh) 防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