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802B1 -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802B1
KR101615802B1 KR1020140013045A KR20140013045A KR101615802B1 KR 101615802 B1 KR101615802 B1 KR 101615802B1 KR 1020140013045 A KR1020140013045 A KR 1020140013045A KR 20140013045 A KR20140013045 A KR 20140013045A KR 101615802 B1 KR101615802 B1 KR 10161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ffee
weight
feed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547A (ko
Inventor
이상민
최진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8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802B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을 제공하며, 커피 부산물을 배합사료 원료로 사용할 경우 어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어,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Assorte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coffee byproduct for farming a fish}
본 발명은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어류의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산물이란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파생되는 원료를 일컫는다. 이들 부산물은 목적제품에 비해 중요성이 떨어져 대부분 소각하거나 땅에 매립되어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를 사료자원으로 활용 한다면 폐기물 처리 비용과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뿐더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피원두는 수입량이 늘고 그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커피박은 커피 제조시 커피 액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단백질 10~15%, 지질 5~10% 정도의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피원두에는 항산화 물질로서 방향족 화합물인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Borrelli et al., 2002). 현재 강원도 강릉 해변 부근에 커피거리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서 생산되는 부산물의 양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그 첨가량을 적절히 사용할 경우 커피박은 생체 기능, 면역 증강 및 식품 보존 등에 관여하는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사료 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커피전문점들에서 발생되는 커피부산물은 모두 일반쓰레기로 배출되고 있어 그 이용성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료는 양식 생산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뿐 아니라 양식에 의한 수질오염은 급여되는 사료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대상 어종을 위한 배합사료개발은 양식생산성과 환경보호 측면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배합사료의 가격은 배합원료 단가, 영양소의 종류와 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경제적으로 배합되어야 할 원료의 종류나 적정 첨가범위, 필수영양소의 종류 및 함량은 양식 대상 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 종에 맞도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몇몇 어종을 제외하면 상품 배합사료가 개발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양어가들은 주로 시판되는 몇몇의 배합사료를 사용하고 있어 수급의 불안정 등의 제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배합사료 원료 개발을 통하여 경제적인 배합사료가 개발이 된다면 효율적인 해양동물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어민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057518호(2010.03.18.)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8920호(2006.08.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어류의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커피 부산물은 5~15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3) 상기 (1)에 있어서,
커피 부산물 5~15 중량%, 어분 54~58 중량%, 소맥분 10~25 중량%, 콘글루텐밀 5~10 중량% 및 어유 4~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4) 상기 (3)에 있어서,
아마인유 0.1~0.3 중량%, 셀룰로오스 0.1~0.3 중량%, 비타민 프리믹스 0.1~1.0 중량%, 미네랄 프리믹스 0.1~0.2 중량%, 비타민 C 0.1~0.5 중량%, 비타민 E 0.1~0.2 중량%, 및 콜린염 0.1~0.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사료조성물을 넙치에 급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방법.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커피 부산물을 첨가할 경우,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대조사료와 비교하여 커피 부산물을 5 중량% 첨가하는 것은 넙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사료이용성 및 체조성에 차이가 없으므로, 어류 특히 넙치용 배합사료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배합사료에서 사용된 커피 부산물을 배합사료 원료로 사용할 경우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어,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어류는 특별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넙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커피 부산물은 커피 제조시 커피 액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비록 부산물일지라도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기존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오던 고가의 소맥분 내지 콘글루텐밀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단백질 공급원으로 첨가되어 오던 어분의 일부를 대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커피 부산물은 5~15 중량% 까지 첨가되는 것으로 한다. 커피 부산물의 첨가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단백질 내지 지질 공급이 충분하지 못하여 어류의 생육이 충분하지 못하고,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초과에 따른 상승적인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곤란하여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합사료조성물은 양식용 어류에 있어서, 충분한 영양공급 내지 항산화능을 제공하기 위해 커피 부산물 5~15 중량%, 어분 54~58 중량%, 소맥분 18~24 중량%, 콘글루텐밀 5~7 중량% 및 어유 4~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 및 조성을 갖는 배합사료조성물은 생존율, 사료효율, 일일사료섭취율, 일일단백질섭취율 및 단백질 효율의 모든 측면에서 기존 시판 양식어류용 사료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합사료조성물은 어류 특히 넙치의 생육특성 및 면역증강 등의 각종 생리활성 증진을 위해 아마인유 0.1~0.3 중량%, 셀룰로오스 0.1~0.3 중량%, 비타민 프리믹스 0.1~1.0 중량%, 미네랄 프리믹스 0.1~0.2 중량%, 비타민 C 0.1~0.5 중량%, 비타민 E 0.1~0.2 중량%, 및 콜린염 0.1~0.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조성물은 고가의 소맥분, 콘글루텐밀, 및 어분 등을 대체하여 폐기물의 일종인 커피 부산물을 5 중량% 첨가하는 것은 넙치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체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넙치 배합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들은 각각의 성분이 갖고 있는 특성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물로서 제재화하여 각자가 지니고 있는 유익성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어병 발생빈도, 수온조건, pH의 상태, 어류의 생육상태에 따라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예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배합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험에 사용된 주요 실험원료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사료에 사용된 원료조성 및 일반성분, 아미노산 조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단백질원으로는 어분을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 원으로는 소맥분과 콘글루텐밀을 사용하였으며, 어유를 지질원으로 사용하였다. 대조사료(CON)의 어분, 소맥분 및 콘글루텐밀을 대신하여 커피부산물을 5 중량%, 10 중량% 및 15 중량% (CBP5, CBP10, CBP15로 각각 칭함)씩 첨가한 총 4가지 실험사료로 설계하였다.
주요 사료원료 및 커피 부산물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
어분 소맥분 커피 부산물
일반조성분 (% 건물)
건물 94.5 89.0 91.5
조단백질 67.9 17.0 14.2
조지방 4.5 4.21 10.0
회분 17.1 2.9 1.4
필수아미노산 조성 (% in protein)
Arg 6.7 5.7 0.1
His 2.3 2.9 3.6
Ile 4.5 2.3 4.1
Leu 8.3 6.0 11.4
Lys 8.8 3.7 2.2
Met + Cys 5.1 2.8 0.1
Phe + Tyr 8.1 6.8 11.5
Thr 4.8 3.5 4.3
Val 4.5 3.2 8.4
실험 배합사료의 조성(%)
사료원료(%) Con CBP5 CBP10 CBP15
어분 60.0 58.0 56.0 54.0
소맥분 25.0 20.0 15.0 10.0
콘글루텐밀 8.0 8.0 8.0 8.0
커피부산물 5.0 10.0 15.0
어유 4.0 4.0 4.0 4.0
아마인유 0.3 0.2 0.1
셀룰로오스 0.4 0.1 0.2 0.3
비타민 프리믹스 1.0 1.0 1.0 1.0
미네랄 프리믹스 1.0 1.0 1.0 1.0
비타민-C (50%) 0.3 0.3 0.3 0.3
비타민 E (25%) 0.1 0.1 0.1 0.1
콜린염 (50%) 0.2 0.2 0.2 0.2
실험사료의 원료를 잘 혼합하고, moist pellet 제조기로 성형한 후, 60℃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실험사료는 -3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성분은 AOAC 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조단백질(N×6.25)은 자동 분석기(Vapodest 5/6, Gerhard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지방은 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조섬유는 자동 분석기(Fibertec, Tecator)를 이용하였고, 조회분은 550 ℃의 회화로에서 4시간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사료의 영양성분 (%)
영양성분 Con CBP5 CBP10 CBP15
조단백질 50.8 51.2 51.8 52.1
조지질 10.0 9.8 9.5 9.1
회분 12.7 12.7 12.6 12.5
가용무질소물 26.5 26.3 26.1 26.3
필수아미노산 조성 (% in protein)
Arg 6.2 6.0 5.9 5.8
His 2.8 2.6 2.7 2.7
Ile 4.4 4.3 4.3 4.3
Leu 8.8 8.8 8.6 8.8
Lys 7.5 7.3 7.4 7.3
Met+Cys 9 8.6 8.6 8.5.0
Phe+Tyr 16.3.0 16.1.0 16.0 16.1.0
Thr 4.8 4.7 4.7 4.8
Val 5.4 5.3 5.3 5.3
[실시예 2] 배합사료 제조
실험사료의 원료를 잘 혼합하고, moist pellet 제조기로 성형한 후, 60℃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실험사료는 -3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험어의 사육 및 관리
사육실험 시작 2주전에 400 L 수조에 수용하여 예비 사육 후, 평균 체중 104.4 ± 0.72 g 전후의 넙치를 400 L 원형수조에 20마리씩 3반복으로 임의 수용하였다. 각 수조에 에어스톤을 설치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 주었다. 실험사료는 1일 2회(9:00, 17:00) 만복공급 실시하였다. 실험 개시시와 종료시에 측정 전일 절식 시킨 후 각 실험 수조에 수용된 실험어 전체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사육기간 동안의 수온은 평균 21.5 ± 3.59 ℃였다. 실험종료 후, 생존율(survival rate, %), 증체율(WG, %), 사료효율(FE, %), 일간성장률(SGR, %/day), 단백질전환효율(PER), 일일 단백질 섭취율(DPI) 및 일일 사료 섭취율(DFI)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넙치의 등근육과 간의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1] 실험어의 성분분석
실험 사료 및 넙치의 등근육, 간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 (AOAC, 1990)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조단백질은 Kjeldahl method (N×6.25)법을 이용, 조지질은 Soxhlet method (ether), 수분은 105℃ 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 후(Oven drying at 105 ℃ for 6 h) 측정하였으며 회분은 600℃ 회화로에서 4시간 회화 후 (Muffle furnace at 600 ℃ for 4h) 측정하였다. 아미노산은 일정량의 시료를 취하여 6N HCl로 가수분해한 후 아미노산 전용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사육실험 종료 후, 혈액 분석을 위하여 각 수조당 5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한 후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실험어의 미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관에 넣고 실온에 30분간 방치한 후 7,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혈청 내 GOT (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농도는 생화학 자동분석기(COBASC 7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넙치 혈액 내 내인성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넙치 혈장의 5,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이용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크산틴 옥시데이즈(Xanthine oxidase)의 저해를 통한 활성 측정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편리성과 감도를 높인 WST-1을 사용하였다. 96 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 20 ㎕는 WST-1 solution 200 ㎕, Enzyme solution 20 ㎕와 반응시키고, 블랭크는 시료 대신 D.W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난 후, Tean F-200 multiwell plate reader (tecan, Mannedorf Zurich, Switzerland)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OD 활성(저해율%) = [(S1 - S3) - (SS - S2)] / (S1 - S3) × 100
S1 : slope of blank 1, S2 : slope of blank 2, S3 : slope of blank, SS : slope of sampl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Px) 활성 측정: Glutathione peroxidase assay kit (Bioassasys)를 사용하였다. 96 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시료 10㎕에 Positive control (500㎕ assay buffer + Positive control) 10㎕, Working solution (84㎕ assay buffer + 2㎕ Glutatione + 3㎕ NADPH + 8㎕ GR enzume) 90㎕ 와 1:10 비율로 희석한 1x 큐민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ene hydroperoxide) 100㎕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Tean F-200 multiwell plate reader (tecan, Mannedorf Zurich, Switzerland)로 340nm에서 제로타임(zero time)과 4mi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랭크는 시료대신 Assay buffer 10㎕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Antioxidant Capacity (TAC) 활성 측정: Antioxidant Assay kit (Bioassasys)를 사용하였다. 96 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시료 20㎕에 100㎕ Working Reagent (1000㎕ Reagent A + 80㎕ Reagent B)을 주입하여 10분 동안 반응 후 Tean F-200 multiwell plate reader (tecan, Mannedorf Zurich, Switzerland)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랭크는 시료대신 H2O 20㎕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Catalase (CAT) 활성 측정: Catalase Assay Kit (Bioassasy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에 positive control 10㎕ (positive control + 400㎕ assay buffer), 50uM의 H2O2 90㎕를 첨가한 후 30분간 반응시킨 후, Detection reagent (102㎕ Assay buffer + 1㎕ Dye reagent + 1㎕ HRP enzyme) 100㎕를 첨가하여 10분간 더 반응시킨 후, Tean F-200 multiwell plate reader (tecan, Mannedorf Zurich, Switzerland)를 이용하여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2의 표 2에 나타난 커피 부산물이 첨가된 배합사료를 8주간 공급하면서 사육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성장 및 사료이용성 결과
Con CBP5 CBP10 CBP15
최초어체무게 (g/fish) 104.6 103.8 105.3 103.8
생존율 (%) 100 100 98.7±2.31 98.7±2.31
성장률(%)1 50.5±5.63b 67.8±5.29c 51.6±4.71b 29.2±3.44a
일간성장률 (%)2 0.73±0.07b 0.92±0.09c 0.74±0.09b 0.45±0.05a
사료효율 (%)3 101.6±6.36b 106.4±3.95b 92.9±6.08b 60.4±2.69a
일일사료섭취률 (%)4 0.61±0.09ns 0.71±0.06 0.62±0.02 0.54±0.01
일일단백질섭취률 (%)5 0.28±0.04ns 0.32±0.03 0.29±0.01 0.25±0.01
단백질효율 (%)6 2.24±0.14b 2.30±0.09b 1.99±0.13b 1.29±0.06a
ns Not significant (p > 0.05).
1 Weight gain = (final fish wt. - initial fish wt.) × 100 / initial fish wt..
2 Specific growth rate = [(ln (final fish wt.) - ln (initial fish wt.)] × 100 / days of feeding.
3 Feed efficiency = wet weight gain × 100 / feed intake.
4 Daily feed intake = feed intake × 100/[(initial fish wt. + final fish wt. + dead fish wt.) × days reared / 2].
5 Daily protein intake = protein intake × 100 / [(initial fish wt. + final fish wt. + dead fish wt.) × days reared / 2].
6 Protein efficiency ratio = (wet weight gain / protein intake) × 10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기간동안의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성장률 및 일간성장률은 커피부산물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 < 0.05). 사료효율 및 단백질효율은 CBP15 실험구가 대조구, CBP5 및 CBP10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일일사료섭취률, 일일단백질섭취률은 커피부산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넙치 간의 일반성분 분석
실험사료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CON 61.70±0.65a 11.30±0.42ns 18.32±0.70ns
CBP5 64.47±0.63b 12.12±0.25 15.64±0.82
CBP10 64.70±0.27b 12.77±0.42 18.05±1.81
CBP15 65.21±1.16b 12.74±0.58 15.98±1.11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커피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 함량은 커피부산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든 실험구간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넙치 등근육의 일반성분 분석
실험사료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회분
CON 76.92±0.98ns 22.07±0.23b 0.46±0.02b 1.50±0.03ns
CBP5 76.44±0.33 22.03±0.17b 0.35±0.04ab 1.55±0.05
CBP10 76.57±0.35 22.24±0.21b 0.26±0.03a 1.48±0.03
CBP15 76.39±0.24 21.23±0.02a 0.36±0.03ab 1.49±0.03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은 커피부산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든 실험구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조단백질 함량은 CBP15 실험구가 대조구, CBP5 및 CBP10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넙치 혈액의 총단백질(TP), 카탈라아제활성(CAT), 항산화능(TAC), 글루타치온퍼옥시다아제활성(GPx) 및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아제활성(SOD) 활성
실험사료 TP (mg/ml) CAT (U/L) TAC (U/ml) GPx (U/L)
Con 2.92±0.28ns 0.13±0.03ns 169.63±34.57ns 4.08±1.68ns
CBM5 3.66±0.18 0.05±0.01ns 153.69±14.59 5.47±0.96
CBM10 4.00±0.9 0.08±0.01ns 149.28±8.67 4.15±2.25
CBM15 3.91±0.07 0.07±0.01ns 171.63±3.49 4.96±1.57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단백질, 카탈라아제 활성, 항산화능, 글루타치온퍼옥시다아제활성 측정결과 커피부산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넙치 혈액성상 분석
Con CBP5 CBP10 CBP15
글루코오스 (mg/dl) 47.0±11.9ns 36.3±13.3 34.0±7.77 48.7±17.4
GOT (IU/L) 21.5±1.50a 9.7±2.91b 14.0±3.0ab 4.5±2.50b
GTP (IU/L) 24.0±5.29ns 11.0±5.03 11.3±1.45 16.3±8.41
콜레스테롤 (mg/dl) 307±22.8b 211±9.9ab 202±26.2a 228±47.0ab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42.0±7.00ns 47.0±16.09 36.3±3.93 67.5±19.50
ns Not significant (p > 0.05).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 GTP, 트리글리세라이드 분석결과 커피 부산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COT (IU/L)농도는 CBP5 및 CBP15실험구가 대구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CBP10실험구와는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콜레스테롤 (mg/dl)농도는 CBP10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p < 0.05), CBP5 및 CBP15실험구와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배합사료를 제조하는데 있어, 커피부산물을 5 중량% 첨가하면 넙치의 성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커피 제조시 커피액을 추출하고 남은 커피 부산물 5~15 중량%, 어분 54~58 중량%, 소맥분 10~25 중량%, 콘글루텐밀 5~10 중량%, 어유 4~10 중량%, 아마인유 0.1~0.3 중량%, 셀룰로오스 0.1~0.3 중량%, 비타민 프리믹스 0.1~1.0 중량%, 미네랄 프리믹스 0.1~0.2 중량%, 비타민 C 0.1~0.5 중량%, 비타민 E 0.1~0.2 중량%, 및 콜린염 0.1~0.2 중량%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2. 제 1항의 사료조성물을 넙치에 급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3045A 2014-02-05 2014-02-05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KR10161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45A KR101615802B1 (ko) 2014-02-05 2014-02-05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45A KR101615802B1 (ko) 2014-02-05 2014-02-05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47A KR20150092547A (ko) 2015-08-13
KR101615802B1 true KR101615802B1 (ko) 2016-04-26

Family

ID=5405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45A KR101615802B1 (ko) 2014-02-05 2014-02-05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85B1 (ko) 2016-12-07 2018-06-07 (주)한국아그로 발효 커피박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KR102084759B1 (ko) 2018-09-14 2020-03-04 (주)셀트리랩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591548B1 (ko) * 2021-01-05 2023-10-18 강양화 폐기되는 커피분말 활용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518A (ja) * 2009-12-18 2010-03-18 Fuji Oil Co Ltd 水産養殖用の餌料添加剤および餌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518A (ja) * 2009-12-18 2010-03-18 Fuji Oil Co Ltd 水産養殖用の餌料添加剤および餌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47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031B2 (en) Microbial-based process for high quality protein concentrate
Yoo et al. Dietary microbial phytase increased the phosphorus digestibility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d diets containing soybean meal
Shiau et al. Inclusion of soybean meal in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O. aureus) diets at two protein levels
Sogbesan et al. Nutritional values of some non-conventional animal protein feedstuffs used as fishmeal supplement in aquaculture practices in Nigeria
CN105614023B (zh) 一种用于豆粕发酵的发酵酶解剂及其应用
El-Katcha et al.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immune response and carcass traits of broiler chicks fed on graded levels of wheat instead of corn without or with enzyme supplementation.
Mostafizur Rahman et al. Influences of dietary distillers dried grain level on growth performance, body composi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S20160242435A1 (en) High quality protein concentrate from canola meal
Tonukari et al. A novel pig feed formulation containing Aspergillus niger CSA35 pretreated-cassava peels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selected biochemical parameters of pigs
KR101615802B1 (ko) 커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Galkanda‐Arachchige et al. Fermented corn protein concentrate to replace fishmeal in practical diets f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CN110679787A (zh) 一种河蟹专用功能性生态饲料
KR101564829B1 (ko) 미세조류 부산물을 함유하는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Obasa et al. Evaluation of fermented mango (Mangifera indica) seed meal in the practical diet of Nile tilapia,(Oreochromis niloticus) fingerlings
KR101369059B1 (ko)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Martínez-Antequera et al. Feed supplementation with winery by-products improves the physiological status of juvenile Liza aurata during a short-term feeding trial and hypoxic challenge
KR20220060475A (ko)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
RU2202896C2 (ru) Корм для собак и пушных зверей
Roy et al. Comparative efficacy of phytase from fish gut bacteria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phytase in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sesame oilseed meal in formulated diets for fingerlings of rohu, Labeo rohita (Actinopterygii: Cypriniformes: Cyprinidae)
Aliu et al. Effect of dietary methionine on growth and utilization of Clarias gariepenius fingerlings
Pham et al.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proper dietary protein sources for optimal growth of snail (Semisulcospira coreana)
Sipaúba-Tavares et al. Eichhornia crassipes biomass as a dietary supplement for Pterophyllum scalare (Schultze, 1823)
CN105639115B (zh) 一种氨基酸强化型发酵酶解豆粕及其应用
KR102453960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및 돈혈장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뱀장어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472670B1 (ko) 막걸리 부산물을 함유하는 넙치 양식용 배합사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