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752B1 -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752B1
KR101615752B1 KR1020150026505A KR20150026505A KR101615752B1 KR 101615752 B1 KR101615752 B1 KR 101615752B1 KR 1020150026505 A KR1020150026505 A KR 1020150026505A KR 20150026505 A KR20150026505 A KR 20150026505A KR 101615752 B1 KR101615752 B1 KR 10161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cking
connecting bar
acceleration valu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김주완
오승조
이규범
Original Assignee
김주완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완,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주완
Priority to KR102015002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고정되는 케이스 부와; 상기 케이스 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부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됨으로 판단하여 낙하 신호를 발생시키는 낙하 인식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낙하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를 에워싸도록 돌출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A PORTABLE TELEPHONE CASE}
본 발명은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하여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화 통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폰이 아닌, 인터넷 사용이나 각종 업무까지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아이폰, 갤럭시, 옴니아, 블랙베리 등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높은 활용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많은 부품을 작은 공간 안에 모두 탑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휴대폰보다 집적도가 상당히 높아짐에 따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문제되고 있다.
즉, 최신 스마트폰의 경우 크기는 줄이되 기능은 늘려야 소비자들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향상을 위한 완충부재의 사용 비율을 줄임에 따라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가장 큰 단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각 기종에 적합한 보호 케이스를 스마트폰에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보호 케이스는, 실리콘, 플라스틱, 메탈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스마트폰의 외관을 꾸밀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판매되고 있다.
즉,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사용 및 이동 시 부딪히거나 떨어뜨리는 등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에 민감한 최신 모바일 기기(스마트폰)를 보호하기 위해 상당수의 보호 케이스 제품이 시판되고는 있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보호 케이스는 대부분이 1차적인 충격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디자인된 커버 개념의 제품으로 근본적인 충격에 대한 해결보다는 물리적인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현재 출시된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20-2011-0001000호(공개일 : 2011년 01월 28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하여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휴대폰 전면부가 지면에 직접적으로 충돌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고정되는 케이스 부와; 상기 케이스 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부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됨으로 판단하여 낙하 신호를 발생시키는 낙하 인식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낙하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를 에워싸도록 돌출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와, 상기 케이스 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케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강제 락킹 및 상기 낙하 신호가 전달되면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부와, 상기 락킹부에 의해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봉 형상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상기 케이스 부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충격 흡수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충격 흡수 몸체부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가 끼워져 활주를 안내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이동 안내바와, 상기 연결바의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와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라인과, 상기 이동홀의 내주에 형성되고, 와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 라인이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바의 회전을 이루는 안내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이동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는 금속 부재와,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자회되어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을 통해 부착 또는 부착이 해제되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금속 부재와 부착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내 라인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충격 흡수 몸체는 상기 연결바가 회전됨에 연동되어 0도에서 90도 범위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부에 의해 락킹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돌출되면서, 상기 충격 흡수 몸체는 상기 케이스 부를 기준으로 90도를 이루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낙하 인식부는,상기 케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부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가속도 값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로 판단하여 상기 락킹부를 통해 락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가속도 범위는, 측정되는 가속도 값이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포물선 운동에 해당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1회 이상의 중력 가속도가 역전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부에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락킹부로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정된 양의 전기 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부는, 상기 휴대폰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기 휴대폰에 걸쳐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 부재를 갖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안착 영역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속도 센서가 설치되는 중앙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의 연결바는, 상기 중앙 몸체의 둘레로부터 방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하여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회되는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휴대폰 전면부가 지면에 직접적으로 충돌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충격 방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충격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낙하 인식부를 통한 충격 방지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충격 방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충격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 부(100)와, 충격 방지부(200)와, 낙하 인식부(3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 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스 부(100)는 판 상의 케이스 몸체(110)와, 중앙 몸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0)에는 휴대폰(10)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0)의 양측부에는, 안착되는 휴대폰(10)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 몸체(1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110)의 안착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120)에는 후술되는 가속도 센서(310)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몸체(110)에는 휴대폰(10)에 형성되는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홀(1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몸체(110)에는, 배터리(130)가 설치된다.
상술한 케이스 몸체(11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유연성을 갖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본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충격 방지부(200)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충격 방지부(200)는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210)와, 탄성부(220)와, 락킹부(230)와, 회전 안내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210)는 바람직하게, 케이스 몸체(110)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모서리 커버부(210)는 일정 길이의 연결바(211)와, 충격 흡수 몸체(21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211)의 일부는 원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충격 흡수 몸체(212)는 '
Figure 112015018704213-pat00001
'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충격 흡수 몸체(212)는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 안내부(240)는 이동 안내바(241)와, 안내 라인(242)과, 안내홀(24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안내바(241)는 케이스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몸체(120)의 외주로부터 케이스 몸체(110)의 사방 모서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이동 안내바(241)에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이동홀(241a)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홀(241a)은 상술한 연결바(211)가 끼워지는 상태에서 활주 가능한 홀이다.
상기 안내 라인(242)은 상기 연결바(211)의 외주에서 연결바(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와류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243)은 상기 이동홀(241a)의 내주에 형성되며, 연결바(211)의 외주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라인(242)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와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 라인(242)이 안내홀(243)을 따라 이동되면, 연결바(211)는 이동홀(241a)에서 이동되면서 0도에서 90도 사이의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220)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은 이동홀(241a)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동홀(241a)의 내측벽과 연결바(211)의 타단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기 락킹부(230)는 상기 연결바(211)의 타단에 설치되는 금속 부재(231)와, 상기 이동홀(241a)의 내벽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금속 부재(231)와 자력을 통해 부착 또는 부착이 해제되는 전자석(2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232)은 상기 금속 부재(231)와 부착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낙하 인식부(300)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낙하 인식부(300)는 가속도 센서(310)와, 제어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속도 센서(310)는 상술한 케이스 부(100)의 중앙 몸체(1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310)는 상기 케이스 부(1010)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한다.
상기제어기(320)는 케이스 몸체(1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가속도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320)는 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가속도 값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로 판단하여 낙하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락킹부(230)를 통해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210)의 락킹을 동시에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기준 가속도 범위는 측정되는 가속도 값이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포물선 운동에 해당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1회 이상의 중력 가속도가 역전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측정되는 가속도값이 상기 가속도 범위를 벗어나 그 이하를 이루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짧은 주기로 흔드는 경우이거나, 설정된 높이 이하의 낮은 높이에서 낙하되는 경우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높이 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케이스 부(100)에 고정된 휴대폰(10)에 유동이 발생되면(S10), 가속도 센서(310)는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S20), 이를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320)는 상기와 같이 측정된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어, 상기 제어기(320)는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가속도값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지(S41) 또는 포물선 운동에 해당되는 가속도 값 변화를 이루는 지(S42) 또는, 1번 이상의 중력 가속도 역전이 발생되었는지(S43)를 판단한다.
먼저, 설정된 시간동안 가속도값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경우는, 휴대폰이 자유낙하 하는 경우에 해당되고, 포물선 운동에 해당되는 가속도 값 변화를 이루는 경우는 휴대폰이 포물선 낙하를 이루는 경우에 해당되며, 1번 이상의 중력 가속도 역전이 발생되는 경우는, 휴대폰이 회전 낙하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모서리 커버부(21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한다(S50).
즉, 제어기(320)는 전자석(232)에 형성되는 자력을 해제한다.
따라서, 전자석(232)과 연결 바(211)의 타단에 설치된 금속 부재(231)는 서로 자력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자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어, 이동홀(241a)의 내부에서 연결바(211)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부(300)는 연결바(211)를 이동홀(241a)로부터 이탈되도록 탄성적으로 밀어낸다.
즉, 제어기(320)는 상기와 같이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21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몸체()의 사방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4개의 모서리 커버부(210)는 연결바(211)의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다(S60).
이와 동시에, 연결바(211)의 안내 라인(242)이 이동홀(241a)의 내주에 형성되는 안내홀(243)을 따라 유동되면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몸체(212)는 90도 회전하여 케이스 몸체(110)를 기준으로 직립되는 상태를 이룬다(S70).
따라서, 4개의 충격 흡수 몸체(212)는 케이스 몸체(110)의 상하를 따라 돌출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폰이 지면에 낙하되면, 휴대폰은 지면에 직접적으로 충돌되지 않고, 4개의 충격 흡수 몸체들(212)에 의해 보호되고, 이는 지면과의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한다(S80).
반면에, 제어기(320)는 측정되는 가속도값이 상기 가속도 범위를 벗어나 그 이하를 이루는 경우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짧은 주기로 흔드는 경우이거나, 설정된 높이 이하의 낮은 높이에서 낙하되는 경우로 판단되면, 각 모서리 커버부(210)의 락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51).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하여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휴대폰이 지면으로 낙회되는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휴대폰 전면부가 지면에 직접적으로 충돌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스 부
110 : 케이스 몸체
120 : 중앙 몸체
130 : 배터리
140 : 카메라 홀
200 : 충격 방지부
210 : 모서리 커버부
220 : 탄성부
230 : 락킹부
231 : 금속 부재
232 : 전자석
240 : 회전 안내부
241 : 이동 안내바
242 : 안내 라인
243 : 안내홀
300 : 낙하 인식부
310 : 가속도 센서
320 : 제어기

Claims (5)

  1. 휴대폰이 고정되는 케이스 부;
    상기 케이스 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 부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가속도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됨으로 판단하여 낙하 신호를 발생시키는 낙하 인식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생된 낙하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를 에워싸도록 돌출되는 충격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방지부는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 부의 사방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와,
    상기 케이스 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케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강제 락킹 및 상기 낙하 신호가 전달되면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부와,
    상기 락킹부에 의해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서리 커버부 각각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봉 형상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상기 케이스 부의 모서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충격 흡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안내부는, 상기 충격 흡수 몸체부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바가 끼워져 활주를 안내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이동 안내바와, 상기 연결바의 외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와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라인과, 상기 이동홀의 내주에 형성되고, 와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 라인이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바의 회전을 이루는 안내홀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이동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는 금속 부재와, 상기 이동홀의 내벽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자회되어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을 통해 부착 또는 부착이 해제되는 전자석을 구비하되,
    상기 전자석은, 상기 금속 부재와 부착되어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내 라인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충격 흡수 몸체는 상기 연결바가 회전됨에 연동되어 0도에서 90도 범위에서 회전되되,
    상기 락킹부에 의해 락킹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돌출되면서, 상기 충격 흡수 몸체는 상기 케이스 부를 기준으로 90도를 이루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인식부는,
    상기 케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부의 유동에 따른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측정한 상기 가속도 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가속도 값 범위에 포함되면, 낙하로 판단하여 상기 락킹부를 통해 락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가속도 범위는, 측정되는 가속도 값이 일정 시간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포물선 운동에 해당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이거나, 1회 이상의 중력 가속도가 역전되는 가속도 값으로 측정되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50026505A 2015-02-25 2015-02-25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61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05A KR101615752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05A KR101615752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752B1 true KR101615752B1 (ko) 2016-04-27

Family

ID=5591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05A KR101615752B1 (ko) 2015-02-25 2015-02-25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7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59A (ko) * 2016-12-28 2018-07-06 김혁준 가변형 휴대폰 케이스
KR20190098446A (ko) * 2018-02-14 2019-08-22 박종훈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전화
WO2019224753A1 (en) * 2018-05-24 2019-11-28 Cong Nhan Huynh Smartphone case or holder with elastic structure and auxiliary devices to allow user go hand-free on their smartphones
KR20200055618A (ko) * 2018-11-13 2020-05-21 김철범 휴대폰용 안전 보호 케이스
EP3729991A1 (en) * 2019-04-24 2020-10-28 Pegatron Corporation Case structure
CN113055519A (zh) * 2021-05-11 2021-06-29 深圳市骏格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智能手机防摔保护结构
CN116886806A (zh) * 2023-07-31 2023-10-13 东莞市亚讯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摔感应手机壳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02Y1 (ko) * 2003-03-14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JP2010157627A (ja) * 2008-12-27 2010-07-15 Fujitsu Ltd モバイル装置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20140108896A (ko) * 2013-03-04 2014-09-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JP2014523773A (ja) * 2011-06-24 2014-09-18 ジー−フォーム,エルエルシー フレキシブルな衝撃保護ケース、その製造法、及びその使用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02Y1 (ko) * 2003-03-14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JP2010157627A (ja) * 2008-12-27 2010-07-15 Fujitsu Ltd モバイル装置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2014523773A (ja) * 2011-06-24 2014-09-18 ジー−フォーム,エルエルシー フレキシブルな衝撃保護ケース、その製造法、及びその使用法
KR20140108896A (ko) * 2013-03-04 2014-09-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59A (ko) * 2016-12-28 2018-07-06 김혁준 가변형 휴대폰 케이스
KR20190098446A (ko) * 2018-02-14 2019-08-22 박종훈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전화
KR102049400B1 (ko) * 2018-02-14 2019-11-28 박종훈 보호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전화
WO2019224753A1 (en) * 2018-05-24 2019-11-28 Cong Nhan Huynh Smartphone case or holder with elastic structure and auxiliary devices to allow user go hand-free on their smartphones
KR20200055618A (ko) * 2018-11-13 2020-05-21 김철범 휴대폰용 안전 보호 케이스
KR102228681B1 (ko) * 2018-11-13 2021-03-25 (주)케이인벤티오 휴대폰용 안전 보호 케이스
KR20200125434A (ko) * 2019-04-24 2020-11-04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케이스 구조
EP3729991A1 (en) * 2019-04-24 2020-10-28 Pegatron Corporation Case structure
US11228334B2 (en) 2019-04-24 2022-01-18 Pegatron Corporation Case structure
KR102362740B1 (ko) * 2019-04-24 2022-02-11 페가트론 코포레이션 케이스 구조
CN113055519A (zh) * 2021-05-11 2021-06-29 深圳市骏格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智能手机防摔保护结构
CN116886806A (zh) * 2023-07-31 2023-10-13 东莞市亚讯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摔感应手机壳及其工作方法
CN116886806B (zh) * 2023-07-31 2024-02-13 东莞市亚讯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摔感应手机壳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752B1 (ko) 충격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US10291279B2 (en)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874995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protection capability
US7059182B1 (en) Active impact protection system
WO2012065468A1 (zh) 终端自动防摔装置及移动终端
US20140333252A1 (en) Electronic suspension and near-field magnetic resonance system for smart phone and tablet devices
KR20210073134A (ko) 팝업 모듈 구동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팝업 모듈 구동 방법
KR20140007049A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63014B1 (ko)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1250290B1 (ko) 코일 이동형 무선 충전기
KR200484087Y1 (ko) 스마트폰 케이스
TWI475969B (zh) 保護套
KR200468602Y1 (ko)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키트
US20140204506A1 (en) Bounc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bounc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JP3183269U (ja) 携帯型電子機器のバウンド式ケース及びバウンド式携帯型電子機器
CN108055372A (zh) 电子设备
CN113208506A (zh) 扫地机器人
CN102946702A (zh) 可将动能转换成弹性位能的电子装置保护壳
CN211086881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相机结构
CN215344695U (zh) 一种减震抗摔手机壳
CN110769107A (zh) 防摔手机壳
JP2016219713A (ja) 可搬型の測定器
CN202995566U (zh) 一种平板电脑防摔壳
CN203014902U (zh) 一种防摔手机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