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315B1 -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315B1
KR101614315B1 KR1020140107707A KR20140107707A KR101614315B1 KR 101614315 B1 KR101614315 B1 KR 101614315B1 KR 1020140107707 A KR1020140107707 A KR 1020140107707A KR 20140107707 A KR20140107707 A KR 20140107707A KR 101614315 B1 KR101614315 B1 KR 10161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state
user
wearable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082A (ko
Inventor
권규현
김래현
기두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3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4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 G02B27/026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and a display device, e.g. CRT, LCD, for adding markings or signs or to enhance the contrast of the viewed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동 모듈에 대한 상태전환 트리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태전환 트리거에 기초하여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모듈의 상태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1 상태 또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외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전환 트리거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위치 이동이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항상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여, 상대방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다.
KR 10-2009-0016246
이에, 본 명세서는,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모듈의 상태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1 상태 또는 이동 모듈이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외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이동 모듈에 대한 상태전환 트리거를 검출하되, 상태전환 트리거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상태에서 제 2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고, 제 2 상태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동 모듈에 대한 상태전환 트리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태전환 트리거에 기초하여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모듈의 상태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1 상태 또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외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전환 트리거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은 카메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대방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상황에 따라 카메라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을 하우징 내로 인출시킴으로써, 카메라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에 의해 발생하는 재산권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동 모듈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가 이동 모듈의 상태를 인출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에 착용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이하, “HMD”라고 함)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은 카메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모듈의 상태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1 상태 또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는 상태전환 트리거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의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전환 트리거는 이동 모듈을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을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 카메라부(32), 센서부(40), 통신부(50), 저장부(60), 위치 구동부(70), 프로세서(81) 및 제어부(8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이동 모듈(30)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가 이동 모듈(30)에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30)의 제 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1)를 활성화하고, 이동 모듈의 제 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3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는 광학적 씨스루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바라보는 현실 세계 상에 가상의 시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부(32)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등 일 수 있다. 카메라부(32)는 화각 영역 내에서 웨어러블 장치(1)의 주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부(32)는 이동 모듈(3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32)가 이동 모듈(30)에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의 제 1 상태에서 카메라부(32)를 활성화하고, 이동 모듈의 제 2 상태에서 카메라부(3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카메라부(32)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32)는 이동 모듈 이외의 웨어러블 장치(1)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웨어러블 장치(1)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또는 웨어러블 장치(1)가 인식하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82)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싱 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 웨어러블 장치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 센서, 위치 센서, 생체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센서는 웨어러블 장치(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체 정보란 사용자의 얼굴, 지문, 동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센서는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추적하는 시선 추적 센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3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3d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생체 센서를 사용하여 동공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5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외부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통신부(50)를 통해 제한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도 3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5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설계에 따라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저장부(60)는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의 최종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의 최종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60)에서 추출하여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1)의 최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6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설계에 따라 옵셔널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위치 구동부(7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에 따라 이동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 구동부(7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에 따라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시키거나, 사용자의 시야 밖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위치 구동부(7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에 따라 이동 모듈을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또는 이동 모듈을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구동부(70)는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의 최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구동부(7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구동부(70)는 모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와이어로 연결된 이동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 구동부(70)는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81)는 저장부(60)에 저장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웨어러블 장치(1)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는 상술한 웨어러블 장치(1)의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81) 및 제어부(82)는 하나의 칩(80)으로 구비되어, 상술한 각각의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82)는 상태전환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상태전환 트리거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수신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82)가 웨어러블 장치(1) 또는 웨어러블 장치(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부(82)와 웨어러블 장치(1)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이동 모듈의 상태 전환을 나타낸다. 도 2에서 각 원형 노드는 이동 모듈의 제 1 상태(310), 제 2 상태(320)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웨어러블 장치는 복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각 상태전환 트리거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 전환을 상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상태전환 트리거에 따른 이동 모듈의 상태 전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태전환 트리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모듈을 제 1 상태(310)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을 제 2 상태(320)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의 왼쪽을 참조하면, 제 1 상태(310)에서 제 2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310)에서 제 2 상태(320)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2 상태(320)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2 상태(320)로 전환된 경우,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와 근거리에서 대화하는 상대방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야 방해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에 카메라부가 더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카메라부를 더 비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에게 이미지 촬영 기능을 제공할 수 없으나, 카메라부를 통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보안 장소(예컨대, 박물관, 극장)에서 카메라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에 의해 발생하는 재산권의 침해를 방지하고, 사용자와 근거리에서 대화하는 상대방이 사용자에 의해 촬영 당하는 것 같은 불편함 느낌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오른쪽을 참조하면, 제 2 상태(320)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320)에서 제 1 상태(310)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1 상태(310)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는 제 2 상태(320)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되더라도 이동 모듈의 상태를 바로 제 1 상태(310)로 전환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 1 상태(310)로 전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1 상태(310)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에 카메라부가 더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카메라부를 더 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는 카메라부(32)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이미지 촬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1 상태(310)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31)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상태(310)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310)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320)에서 제 2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320)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웨어러블 장치(1)가 디스플레이부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실행 종료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웨어러블 장치(1)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실행 상태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상술한 2 종류의 상태전환 트리거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서와 같이, 사용자(100)에게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연동하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연동하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이고,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음성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부를 연동하지 않는 비연동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상태에서 연동 어플리케이션인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에 대한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 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동 어플리케이션인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 1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다시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도 3b는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100)는 웨어러블 장치(1)를 착용한 사람을 의미하고, 상대방(200)은 사용자(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상술한 2 종류의 상태전환 트리거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상대방(200)을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대방(200)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는 카메라부에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대방(20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는 상대방(200)의 대표점(예컨대, 머리의 중심)을 결정하고, 대표점과 웨어러블 장치(1) 간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d)가 미리 설정된 제한거리(th) 이내로 유지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상대방(200)과 사용자(100)가 근거리에서 서로 대화함에 따라 상대방(200)과 사용자(100)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한거리 이내로 유지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에 카메라부가 더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카메라부를 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100)와 근거리에서 대화하는 상대방(200)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100)와 근거리에서 대화하는 상대방(200)이 사용자(100)에 의해 촬영 당하는 것 같은 불편함 느낌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d)가 미리 설정된 제한거리(th) 이외로 유지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상대방(200)과 사용자(100) 간의 대화가 종료됨에 따라 사용자(100)와 상대방(200)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한거리 이외로 벗어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다시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도 3c는 웨어러블 장치(1)가 제한신호의 종류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웨어러블 장치(1)는 제한신호의 수신 및 종류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상술한 2 종류의 상태전환 트리거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제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신호는 제 1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제 1 제한신호 또는 제 2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제 2 제한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3)로부터 제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제한장소의 입구에 미리 설치된 NFC 장치(3)로부터 제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장소는 카메라부의 사용이 제한되는 장소로써, 박물관, 극장 등일 수 있다.
제 2 제한신호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제 2 제한신호에 의해 발생된 제 2 트리거를 검출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사용자(100)가 제한장소(예컨대, 박물관)로 들어감에 따라 제한장소의 입구에 미리 설치된 NFC 장치(3)로부터 제 2 제한신호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제 2 제한신호에 의해 발생된 제 2 트리거를 검출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는 제한장소에서 카메라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에 의해 발생하는 재산권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제한신호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제 1 제한신호에 의해 발생된 제 1 트리거를 검출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100)가 제한장소로부터 나옴에 따라 제한장소의 출구에 미리 설치된 NFC 장치(3)로부터 제 1 제한신호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제 1 제한신호에 의해 발생된 제 1 트리거를 검출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다시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도 3d는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100)의 위치에 따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100)의 위치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태전환 트리거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는 상술한 2 종류의 상태전환 트리거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는 사용자(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한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영역은 카메라부의 사용이 제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한영역은 극장의 상영 영역, 박물관의 전시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한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사용자(100)가 극장의 상영관 내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한영역 내에 포함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2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는 제한장소에서 카메라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에 의해 발생하는 재산권의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한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사용자(100)가 극장의 상영관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제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를 제 1 트리거로 인식하고, 이동 모듈의 상태를 다시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는 HMD인 웨어러블 장치(1)를 나타낸다.
도 4에서처럼,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프레임(10), 하우징(20) 및 이동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웨어러블 장치(1)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이동 모듈(30)이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웨어러블 장치(1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모듈(30)은 웨어러블 장치(1)의 제어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 모듈을 의미한다. 이동 모듈(30)은 디스플레이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모듈(30)은 카메라부(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1)는 상태전환 트리거에 의해 이동 모듈(30)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며, 이동 모듈(30)은 제 1 상태인 인입 상태 또는 제 2 상태인 인출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이동 모듈의 제 1 상태는 이동 모듈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인출 상태이고, 이동 모듈의 제 2 상태는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제 1 트리거는 이동 모듈(30)을 인출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전환 트리거이고, 제 2 트리거는 이동 모듈(30)을 인입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전환 트리거일 수 있다.
도 4의 왼쪽은 이동 모듈(30)의 상태가 인출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1)를 나타낸다. 여기서, 인출 상태는 이동 모듈(30)이 하우징(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동 모듈(30)이 인출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3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31)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오른쪽은 이동 모듈(30)의 상태가 인입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1)를 나타낸다. 여기서, 인입 상태는 이동 모듈(30)이 하우징(2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동 모듈(30)이 인입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3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3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이동 모듈(30)이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30)에 포함된 카메라부(3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가 제 1 트리거를 검출하는 경우, 이동 모듈(30)을 인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하우징(20)의 외부로 인출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31)를 활성활 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가 제 2 트리거를 검출하는 경우, 이동 모듈(30)을 인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하우징(20)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이동 모듈에 포함된 카메라부(32)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가 이동 모듈의 상태를 인출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의 왼쪽 상단에서, 이동 모듈은 인입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인입 상태에서 제 1 트리거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도 5의 오른쪽 상단처럼, 이동 모듈의 상태를 인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오른쪽 하단처럼, 이동 모듈의 상태가 인출 상태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미리 저장된 위치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는 저장부로부터 미리 저장된 초기 위치결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는 생체 센서(예컨대, 시선 추적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연관시키고, 상기 연관된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상이하게 결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위치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디스플레이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 하단처럼,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가 결정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1)는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전환된 경우가 아닌, 디스플레이부의 위치가 최종 위치로 조정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부 상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에 대한 상태전환 트리거를 검출할 수 있다(S10). 여기서, 이동 모듈의 상태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1 상태 또는 이동 모듈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 외에 위치하는 상태인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이동 모듈의 제 1 상태는 이동 모듈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인출 상태이고, 이동 모듈의 제 2 상태는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태전환 트리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모듈을 제 1 상태로 전환하는 제 1 트리거 또는 이동 모듈을 제 2 상태로 전환하는 제 2 트리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제 1 트리거는 이동 모듈을 인출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전환 트리거이고, 제 2 트리거는 이동 모듈을 인입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전환 트리거일 수 있다. 상태전환 트리거는 도 4에서 상술한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는 검출된 상태전환 트리거에 기초하여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S20). 예를 들면, 제 1 상태에서 제 2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2 상태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인출 상태에서 제 2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을 인출 상태에서 인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활 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와 근거리에서 대화하는 상대방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2 상태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의 상태를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의 상태가 제 1 상태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사용자의 시야 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가 HMD인 경우, 인입 상태에서 제 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을 인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의 상태가 인출 상태로 전환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이동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30).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미리 저장된 위치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연관시키고, 상기 연관된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상이하게 결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위치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디스플레이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최종 위치가 결정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는 위치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모듈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 웨어러블 장치 10: 프레임
20: 하우징 30: 이동 모듈
31: 디스플레이부 32: 카메라부
40: 센서부 50: 통신부
60: 저장부 70: 위치 구동부
81: 프로세서 82: 제어부

Claims (21)

  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인 웨어러블 장치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일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모듈의 수납 또는 수납해제를 위한 트리거를 검출하고,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듈의 수납해제를 위한 제1 트리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듈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시선 추적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본 위치에서 상기 시선 추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듈의 수납을 위한 제2 트리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듈을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시선 추적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와 연관된 신호인, 웨어러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실행제한의 해제와 연관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실행제한과 연관된 신호인, 웨어러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대방 사이의 거리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리거 및 상기 제2 트리거를 검출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위치가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최종 위치에 대한 최종 위치 정보 및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시켜 위치 결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 결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 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위치를 결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7.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장착되며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 모듈을, 하우징 내로 수납 또는 수납해제하기 위한 트리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듈의 수납해제를 위한 제1 트리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듈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며 시선 추적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기본 위치에서 상기 시선 추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듈의 수납을 위한 제2 트리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듈을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시선 추적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의 종료와 연관된 신호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실행제한의 해제와 연관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트리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실행제한과 연관된 신호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대방 사이의 거리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리거 및 상기 제2 트리거를 검출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위치가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최종 위치에 대한 최종 위치 정보, 및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연관시켜 위치 결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 결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치 결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 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모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107707A 2014-08-19 2014-08-19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4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07A KR101614315B1 (ko) 2014-08-19 2014-08-19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07A KR101614315B1 (ko) 2014-08-19 2014-08-19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82A KR20160022082A (ko) 2016-02-29
KR101614315B1 true KR101614315B1 (ko) 2016-04-21

Family

ID=5544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07A KR101614315B1 (ko) 2014-08-19 2014-08-19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473A (ko) * 2016-09-22 2019-03-27 애플 인크. 세계 및 사용자 센서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221B1 (ko) * 2017-08-24 2022-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개인 몰입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948A (ja)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5215100A (ja) 2004-01-28 2005-08-11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895B1 (ko) 2007-08-10 2009-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헤드 마운트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948A (ja)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5215100A (ja) 2004-01-28 2005-08-11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473A (ko) * 2016-09-22 2019-03-27 애플 인크. 세계 및 사용자 센서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30561B1 (ko) * 2016-09-22 2021-03-22 애플 인크. 세계 및 사용자 센서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217021B2 (en) 2016-09-22 2022-01-04 Apple Inc. Display system having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82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639B1 (ko) 증강 현실 및/또는 가상 현실에서의 터치 스크린 호버 검출
US10025393B2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US201703441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US20160100106A1 (en) System for camera switching on a mobile device
KR101806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20170103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inuity between real world movement and movement in a virtual/augmented reality experience
EP32206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smart camera
US20180060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cement of virtual characters in an augmented/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2016012811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701546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ance
KR101646356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US11087775B2 (en) Device and method of noise suppression based on noise source positions
WO2016136837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15906A (ko)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N106527682B (zh) 切换环境画面的方法及装置
CN106067833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80014492A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0526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target object
US20180150722A1 (en) Photo synthesizing method, device, and medium
US20170048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image
US20160378335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s
JP201909221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78983A (ko) 시선기반 착신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560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1614315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