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158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158B1
KR101614158B1 KR1020090028869A KR20090028869A KR101614158B1 KR 101614158 B1 KR101614158 B1 KR 101614158B1 KR 1020090028869 A KR1020090028869 A KR 1020090028869A KR 20090028869 A KR20090028869 A KR 20090028869A KR 101614158 B1 KR101614158 B1 KR 10161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losing
magnetic portion
washing machin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503A (ko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15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Abstract

세탁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부에 의한 개방부의 폐쇄를 억제하는 폐쇄억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세탁기의 내부로 들어간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세탁기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명체가 세탁기의 내부에 갇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기부족으로 인한 질식이나 세탁기 작동에 따른 부상 내지 사망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세탁기, 도어, 자석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이용하여 내조 내에 수용된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작동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 방식 내지 세탁물 투입 방향에 따라 드럼식과 직립식으로 구분된다.
드럼식 세탁기는 내조, 즉 드럼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낙하 운동이 더하여져 세탁을 수행하는 방식이고, 직립식은 수직 회전축을 갖는 내조 또는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이 세탁기의 전면부에서 투입 및 배출되도록 도어가 세탁기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직립식 세탁기는 세탁물이 세탁기의 상부에서 투입 및 배출되도록 도어가 세탁기의 상부에 구비된다.
최근에는 세탁기의 세탁 용량의 대형화에 따라, 외조 및 내조의 크기도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세탁기에 따르면,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세탁기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 후 도어가 잠길 경우, 세탁기의 내부에 들어간 생명체가 세탁기의 내부에 갇혀 탈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공기부족으로 인한 질식이나 세탁기 작동에 따른 부상 내지 사망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은 생명체가 세탁기의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부에 의한 상기 개방부의 폐쇄를 억제하는 폐쇄억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쇄억제부는,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는 제1폐쇄억제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2폐쇄억제부; 및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폐쇄억제부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 및 상 기 제1자성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자성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폐쇄억제부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제3자성부; 및 상기 제3자성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자성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4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위치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부가 마주보게 배치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부가 엇갈리게 배치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작동시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쇄억제부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폐쇄억제부와 상기 제2폐쇄억제부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폐쇄억제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세탁기의 내부로 들어간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세탁기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명체가 세탁기의 내부에 갇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기부족으로 인한 질식이나 세탁기 작동에 따른 부상 내지 사망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본체부(110)와, 도어부(120) 및 폐쇄억제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캐비닛(111)을 구비한다. 캐비닛(111)은 캐비닛(111)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112)과, 캐비닛(111)의 후면을 이루는 백커버(미도시)와, 캐비닛(111)의 상부를 이루는 탑커버(113) 및 캐비닛(111)의 전면을 이루며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개방부(114)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115) 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유입되어 수용되는 터브(미도시)가 구비된다. 터브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드럼(11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드럼(117)은 프런트 커버(115)와 인접한 일측이 개구되도록 구비되어 개방부(114)와 연통된다.
드럼(117)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부는 본체부(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드럼(117)을 회전시킨다.
아울러, 본체부(110)에는 컨트롤 패널(140)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40)에는,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버튼(142)을 포함한 본체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작동버튼(부호생략)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의 프런트 커버(115)에는 도어부(120)가 설치된다. 도어부(120)는 프런트 커버(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부(114)를 개폐한다.
도어부(120)에는 후크부(122)가 구비된다. 후크부(122)는 프런트 커버(115)와 마주보는 도어부(120)의 일면에 구비된다. 아울러, 프런트 커버(115)에는 후크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116)가 형성된다. 개방부(114)를 폐쇄한 도어부(120)는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에 의해 프런트 커버(115)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개방부(114)의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된다.
폐쇄억제부(13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부(120)에 의한 개방부(114)의 폐쇄를 억제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폐쇄억제부(130)는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 폐쇄억제부(134) 및 이동부(136)를 포함한다.
제1폐쇄억제부(132)는 도어부(120)에 설치된다. 제1폐쇄억제부(132)는 프런트 커버(115)와 마주보는 도어부(120)의 일면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후크부(122)에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폐쇄억제부(132)는 제1자성부(132a)와 제2자성부(132b)를 포함한다.
제1자성부(132a)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부(132b)는 제1자성부(132a)와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자성부(132a) 및 제2자성부(132b)에 포함되는 자석은 영구자석(永久磁石)일 수도 있고, 원형회로의 자기작용을 이용한 전자석(電磁石)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제1자성부(132a)가 N극의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부(132b)가 S극의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자성부(132b)는 제1자성부(132a)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폐쇄억제부(134)는 본체부(1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폐쇄억제부(134)는 도어부(120) 및 제1폐쇄억제부(132)와 마주보는 프런트 커버(115)의 일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폐쇄억제부(134)는 걸림부(116)와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폐쇄억제부(134)는 제3자성부(134a)와 제4자성부(134b)를 포함한다.
제3자성부(134a)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고, 제4자성부(134b)는 제3자성부(134a)와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러한 제3자성부(134a) 및 제4자성부(134b)에 포함되는 자석은 영구자석(永久磁石)일 수도 있고, 원형회로의 자기작용을 이용한 전자석(電磁石)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제3자성부(134a)가 제1자성부(132a)와 마찬가지로 N극의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제4자성부(134b)가 제2자성부(132b)와 마찬가지로 S극의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4자성부(134b)는 제3자성부(134a)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동부(136)는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부(136)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기모터(부호생략)와, 동기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제2폐쇄억제부(134)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부호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체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부(136)는 본체부(110) 작동시, 즉 본체부(110)에 전원이 공급될 때, 본체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위치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부가 마주보게 배치되는 위치이고, 제2위치는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성부가 엇갈리게 배치되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제3자성부(134a)는 제3자성부(134a)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132a)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4자성부(134b)는 제4자성부(134b)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132b)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2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제3자성부(134a)는 제3자성부(134a)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132a)와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4자성부(134b)는 제4자성부(134b)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132b)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폐쇄억제부(130)는 탄성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38)는 이동부(136)에 의해 제2위치에 위치된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138)는 일측이 프런트 커버(115)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폐쇄억제부(134)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세탁기(100)는 폐쇄억제부(13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조작부(144)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본체부(110)의 외측,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의 외측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14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조작부(14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이에 따른 전기신호를 본체부(110)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송된 전기신호에 따라 이동부(136)를 작동시키거나, 이동부(136)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억제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본체부(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폐쇄억제부(134)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제3자성부(134a)는 제3자성부(134a)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132a)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4자성부(134b)는 제4자성부(134b)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132b)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자성부들(132a,132b,134a,134b)의 배치에 의해,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척력(斥力)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척력에 의해 도어부(120)는 척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로의 회동이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도어부(120)는 척력을 이겨낼 수 있는 외력이 도어부(12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개방부(114; 도 1 참조)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의 이동이 억제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억제된다.
이때,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작용하는 자기력, 특히 척력(斥力)은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가할 수 있는 힘 이상의 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에 구비되는 자성부들(132a,132b,134a,134b)은,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가할 수 있는 힘 이상의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력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본체부(1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어 부(120)에 의한 개방부(114)의 폐쇄 내지 잠금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세탁기(100)는, 개방된 도어부(120)를 통하여 세탁기(100)의 내부로 들어간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생명체가 세탁기(100)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명체가 세탁기(100)의 내부에 갇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기부족으로 인한 질식이나 세탁기(100) 작동에 따른 부상 내지 사망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공급버튼(142)을 조작하여 본체부(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36)가 작동되어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136)는 전원공급버튼(142) 조작시 전원공급버튼(142)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고, 개폐조작부(144) 조작시 개폐조작부(144)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3자성부(134a)는 제3자성부(134a)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132a)와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4자성부(134b)는 제4자성부(134b)와 같은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132b)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3자성부(134a)가 제2자성부(132b)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자성부들(132a,132b,134a,134b)의 배치에 의해,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인력(引力)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력에 의해 도어부(120)는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인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서는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도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어부(120)가 개방부(114)를 완전히 폐쇄하고, 후크부(122)가 걸림부(116)에 걸림 결합되어 도어부(120)가 잠기게 되면, 세탁기(100)는 세탁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36)의 작동이 정지되어 이동부(136)의 구동력이 제2폐쇄억제부(134)에 미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제2위치에 위치된 제2폐쇄억제부(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위치로 이동된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로 다시 이동되면,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척력(斥力)이 다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120)는 척력을 이겨낼 수 있는 외력이 도어부(12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억제되는 상태가 된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2폐쇄억제부(134)와 제1폐쇄억제부(13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제2폐쇄억제부(134)가 탄성 부(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활하게 제1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부(138)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은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력, 즉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 작용되는 인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36)의 작동 정지는 여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조작부(144) 조작시 개폐조작부(144)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부(136)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크부(122) 또는 걸림부(116)에는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기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가 전송된 전기신호에 따라 이동부(136)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한 방법 외에도 다른 여러 방법에 의해 이동부(136)의 작동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폐쇄억제부(230)를 포함한다.
폐쇄억제부(230)는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36)를 포함한다. 이동부(236)는 본체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양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개폐억제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본체부(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폐쇄억제부(134)는 제1위치에 위치된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척력(斥力)이 작용하게 되고, 도어부(120)는 척력을 이겨낼 수 있는 외력이 도어부(12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의 이동이 억제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억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공급버튼(142)을 조작하여 본체부(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36)가 일측 방향으로 작동되어 제2폐쇄억제부(134)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부(236)는 전원공급버튼(142) 조작시 전원공급버튼(142)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고, 개폐조작부(144) 조작시 개폐조작부(144)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인력(引力)이 작용하게 되고, 도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폐조작부(144)의 조작이나,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 등에 따라 제어부가 이동부(236)를 타측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제2폐쇄억제부(134)는 이동부(236)에 의해 제1위치로 이동된다. 이처럼 제2폐쇄억제부(134)가 제1위치로 다시 이동되면, 제1폐쇄억제부(132)와 제2폐쇄억제부(134) 사이에는 척력(斥力)이 다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120)는 척력을 이겨낼 수 있는 외력이 도어부(12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개방부(114)를 폐쇄할 수 있는 위치로의 이동이 억제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후크부(122)와 걸림부(116)의 걸림 결합 또한 억제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폐억제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개폐억제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세탁기 110 : 본체부
111 : 캐비닛 114 : 개방부
115 : 프런트 커버 116 : 걸림부
120 : 도어부 122 : 후크부
130,230 : 폐쇄억제부 132 : 제1폐쇄억제부
132a : 제1자성부 132b : 제2자성부
134 : 제2폐쇄억제부 134a : 제3자성부
134b : 제4자성부 136,236 : 이동부
138 : 탄성부 140 : 컨트롤 패널
142 : 전원공급버튼 144 : 개폐조작부

Claims (9)

  1. 개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부에 의한 상기 개방부의 폐쇄를 억제하는 폐쇄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억제부는,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는 제1폐쇄억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제2폐쇄억제부; 및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폐쇄억제부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 및
    상기 제1자성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자성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폐쇄억제부는,
    N극 또는 S극의 극성을 갖는 제3자성부; 및
    상기 제3자성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자성부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4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제2폐쇄억제부의 상기 제3자성부와 상기 제4자성부가 같은 극성을 갖는 상기 제1폐쇄억제부의 상기 제1자성부와 상기 제2자성부와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2폐쇄억제부의 상기 제3자성부와 상기 제4자성부가 같은 극성을 갖는 상기 제1폐쇄억제부의 상기 제1자성부와 상기 제2자성부와 각각 엇갈리게 배치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작동시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억제부는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2폐쇄억제부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폐쇄억제부와 상기 제2폐쇄억제부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억제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90028869A 2009-04-03 2009-04-03 세탁기 KR10161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69A KR1016141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69A KR1016141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03A KR20100110503A (ko) 2010-10-13
KR101614158B1 true KR101614158B1 (ko) 2016-04-20

Family

ID=4313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69A KR101614158B1 (ko) 2009-04-03 2009-04-03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9847B2 (en) 2018-09-12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4380B (zh) * 2014-01-27 2016-08-31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具有人体红外识别保护功能的洗衣机及人体识别保护方法
KR102316088B1 (ko) *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187650B1 (en) * 2015-12-30 2020-12-1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a magnetic auxiliary door
CN111334986A (zh) * 2018-12-19 2020-06-26 众智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9847B2 (en) 2018-09-12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03A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158B1 (ko) 세탁기
KR101569217B1 (ko) 식기 세척기용 로킹 장치
USRE49611E1 (en) Washing machine
US986904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lid locker
EP3272925A1 (en) Washing machine
KR20110028899A (ko) 드럼세탁기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CN103306107A (zh) 洗衣机的洗涤剂盒
KR20090079793A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636074B1 (ko) 드럼세탁기
KR20100117972A (ko) 빌트인 구조의 회전식 세탁기
KR101813592B1 (ko) 세탁기
KR101431448B1 (ko) 세탁기
JP3967600B2 (ja) 洗濯機の蓋ロック装置
KR101431447B1 (ko) 세탁기
KR20070063998A (ko) 드럼세탁기의 손잡이 은폐장치
KR20140062560A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069874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KR20120008689A (ko) 도어 잠금장치
KR20110089027A (ko) 도어 안전 장치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10194024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43961B1 (ko) 세탁기
KR10120354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떨림 방지구조
KR20100063489A (ko) 세탁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