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153B1 -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153B1
KR101614153B1 KR1020150152070A KR20150152070A KR101614153B1 KR 101614153 B1 KR101614153 B1 KR 101614153B1 KR 1020150152070 A KR1020150152070 A KR 1020150152070A KR 20150152070 A KR20150152070 A KR 20150152070A KR 101614153 B1 KR101614153 B1 KR 10161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filling
filling bag
electrode uni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주)하늘마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마음바이오 filed Critical (주)하늘마음바이오
Priority to PCT/KR2016/0039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738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전극 도자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시트를 젤 형태의 젤 충진백과 베이스 패드와 함께 자유롭게 형상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절곡 부위 또는 곡면 부위에 밀착 접촉될 수 있고, 밀착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주파 치료 과정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젤 충진백을 통해 피부의 열을 흡수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젤 충진백에 전도성 젤을 충진하여 전도성 시트와 접촉시킴으로써, 전도성 시트에 대한 통전 접촉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이 발휘되어 집중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이나 조직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Gel Type Electrode Unit for 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도자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시트를 젤 형태의 젤 충진백과 베이스 패드와 함께 자유롭게 형상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절곡 부위 또는 곡면 부위에 밀착 접촉될 수 있고, 밀착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주파 치료 과정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젤 충진백을 통해 피부의 열을 흡수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젤 충진백에 전도성 젤을 충진하여 전도성 시트와 접촉시킴으로써, 전도성 시트에 대한 통전 접촉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이 발휘되어 집중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이나 조직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문화의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의 발생으로 더욱 건강에 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종류의 건강 관련 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로 고주파 치료기에 대한 기술 발전이 진행중이다.
통상 전기 치료란 신체에 직접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환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요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전기 치료 장치는 전기 전달 용법을 통해 생체 내부 온도를 높이고, 이와 동시에 생체 조직의 활력과 연관된 생물학적 현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혈관확장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피의 순환을 증가시키며 영양과 산소의 공급을 개선시키고 세포내 호흡과 독성 분해산물(catabolin)의 배출을 자극한다.
이러한 전기 치료 장치 중의 하나로 고주파 전원을 이용하여 신체의 심부에 열을 발생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치료 장치는 고주파 전원을 신체에 통전시켜 투여된 전기에너지를 생체에너지로 전환하고, 전환된 생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열을 통하여 지방대사와 근육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완화 등에 사용되는 의료용 기기이다.
고주파 전원은 신체조직을 통전할 때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신체조직으로 통전된 고주파 전원은 신체조직 내에서 이온 운동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전기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 분해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고주파 전원이 신체 내에 통전되면 조직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심부열이라 한다. 이와 같이 심부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가 신체조직에 가해지면 전원의 극성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운동, 뒤틀림, 충돌운동에 의해 생체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고주파 전원은 신체 내 불편함이나 근육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신체 조직 안의 특정부위를 가열할 수 있으며, 발생된 심부열은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신체의 신진 대사 및 근육 운동이 촉진되어,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완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 발생기와, 신체에 접촉하며 고주파 전원 발생기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환부로 인가하는 치료 전극과, 신체에 접촉하며 환부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접촉된 신체 일부로 통전시키도록 고주파 전원 발생기로부터 기준 전원을 공급받는 기준 전극으로 구성된다.
기준 전극 및 치료 전극은 패드 형태로 넓게 형성되어 신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기준 전극 및 치료 전극을 신체의 환부 부위에 서로 대향되게 접촉하여 신체 내부에서 심부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기준 전극 및 치료 전극이 신체의 피부에 밀착 접촉되지 않아 정상적인 치료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신체의 피부 표면 형태는 평면 형상이 아니라 대부분 자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평면 패드 형태의 기준 전극 및 치료 전극은 신체의 피부 표면에 전체적으로 밀착 접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심부열 발생 영역을 정확하게 형성시킬 수 없는 등 정상적인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기준 전극 및 치료 전극이 신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전압에 의한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여 환자 피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0069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 도자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시트를 젤 형태의 젤 충진백과 베이스 패드와 함께 자유롭게 형상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절곡 부위 또는 곡면 부위에 밀착 접촉될 수 있고, 밀착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주파 치료 과정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젤 충진백을 통해 피부의 열을 흡수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젤 충진백에 전도성 젤을 충진하여 전도성 시트와 접촉시킴으로써, 전도성 시트에 대한 통전 접촉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이 발휘되어 전도성 시트가 일부 영역만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심부열이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중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이나 조직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젤 충진백의 내부에 충진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온도를 직접 측정하기 위한 피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젤 충진백의 온도 센서를 통해 피부 온도를 연산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로 피부 온도를 예측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젤 충진백의 온도를 사전 가열할 수 있는 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차가운 느낌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심부열에 의한 피부 온도 상승을 환자가 더욱 신속하게 느낄 수 있어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더욱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젤 충진백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젤 충진백이 압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더라도 스페이서 블록을 통해 충진젤을 일부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진젤이 상대적으로 더욱 넓은 영역에 분포되도록 하여 가압력에 의한 젤 충진백의 터짐 현상을 방지하고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준 전원이 공급되는 기준 전극과,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는 치료 전극이 신체에 접촉하여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치료기에 사용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으로서, 유연하게 형상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베이스 패드;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젤 타입의 충진젤이 충진되며,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젤 충진백; 기준 전원 또는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패드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젤 충진백의 노출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시트; 및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드의 개방된 일면에 부착되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충진젤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 충진백 내부에는 상기 충진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충진젤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진젤을 가열하는 발열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충진젤이 충진된 젤 충진백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상 발열체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 충진백을 압착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젤 충진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충진젤에 대한 적어도 일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이 상기 젤 충진백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은 스펀지 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중심 영역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패드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 패드에 젤 타입의 충진젤이 충진된 젤 충진백이 부착되며, 젤 충진백에 전도성 시트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전극 도자로서 기능하는 전도성 시트가 젤 형태의 젤 충진백과 베이스 패드와 함께 자유롭게 형상 변경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신체의 절곡 부위 또는 곡면 부위에 밀착 접촉될 수 있고, 밀착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 과정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 충진백을 통해 피부의 열을 흡수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젤 충진백에 전도성 젤을 충진하여 전도성 시트와 접촉시킴으로써, 전도성 시트에 대한 통전 접촉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이 발휘되어 전도성 시트가 일부 영역만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심부열이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중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이나 조직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 충진백의 내부에 충진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온도를 직접 측정하기 위한 피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젤 충진백의 온도 센서를 통해 피부 온도를 연산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로 피부 온도를 예측하여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 충진백의 온도를 사전 가열할 수 있는 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차가운 느낌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심부열에 의한 피부 온도 상승을 환자가 더욱 신속하게 느낄 수 있어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더욱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젤 충진백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젤 충진백이 압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더라도 스페이서 블록을 통해 충진젤을 일부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진젤이 상대적으로 더욱 넓은 영역에 분포되도록 하여 가압력에 의한 젤 충진백의 터짐 현상을 방지하고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젤 타입 전극 유닛의 젤 충진백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젤 충진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 타입 전극 유닛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은 고주파 치료기의 기준 전극(20) 또는 치료 전극(10)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극 유닛으로, 베이스 패드(100)와, 젤 충진백(200)과, 전도성 시트(300)와, 절연 필름(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주파 치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전원 및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원 발생기(30)와, 신체에 접촉하며 고주파 전원 발생기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환부로 인가하는 치료 전극(10)과, 신체에 접촉하며 환부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접촉된 신체 일부로 통전시키도록 고주파 전원 발생기로부터 기준 전원을 공급받는 기준 전극(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기준 전극(20) 또는 치료 전극(10)으로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료 전극(10)으로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패드(100)는 유연하게 형상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일측에는 전원 케이블(40)이 관통 삽입되도록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젤 충진백(200)은 전체적인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젤 타입의 충진젤(210)이 충진되며, 충진젤(210)이 충진된 상태로 밀봉 마감된다. 이러한 젤 충진백(200)은 베이스 패드(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데, 젤 충진백(200)의 일면이 베이스 패드(100)의 바닥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형태로 베이스 패드(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젤 충진백(200)에 충진되는 충진젤(210)은 전도성 시트(300)와 통전될 수 있도록 전도성 젤로 적용될 수 있다.
전도성 시트(300)는 기준 전원 또는 고주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케이블(40)과 연결되며, 전원 케이블(40)을 통해 공급된 전원을 공급받아 통전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도성 시트(300)는 베이스 패드(10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젤 충진백(200)의 노출면에 부착되어 실질적인 전극 도자로서 기능한다. 즉, 전도성 시트(300)는 후술하는 절연 필름(400)을 통해 외부 마감된 상태로 신체의 피부에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고주파 전원이 신체에 통전되어 신체 내부에서 심부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 전원에 의한 심부열 발생 원리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주파 치료기의 원리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필름(400)은 베이스 패드(10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베이스 패드(100)의 개방된 일면에 부착된다. 이때, 절연 필름(400)은 연성의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전도성 시트(300)의 일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베이스 패드(100)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베이스 패드(100)가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 패드(100)에 젤 타입의 충진젤(210)이 충진된 젤 충진백(200)이 부착되며, 젤 충진백(200)에 전도성 시트(300)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전도성 시트(300)가 젤 충진백(200)과 베이스 패드(100)와 함께 자유롭게 형상 변경 가능하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절곡 부위 또는 곡면 부위에 밀착 접촉될 수 있고, 밀착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안정적으로 밀착 접촉될 수 있어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 과정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주파 치료 과정에서 체내에서는 심부열이 발생하는데, 전극 도자가 위치한 신체의 피부 근처에서는 체내 깊숙한 부위보다 더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신체의 피부에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전원이 공급되는 전도성 시트(300)의 일면에 젤 충진백(200)이 부착되므로, 전도성 시트(300)와 인접한 부위, 즉, 피부 근처에서 발생한 열이 젤 충진백(200)으로 흡수되어 피부의 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젤 충진백(200)에는 충진젤(210)이 충진되어 있으며, 충진젤(210)은 젤 형태로서 상대적으로 비열이 크기 때문에, 열을 더욱 많이 흡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한 열을 상대적으로 많이 흡수할 수 있으므로, 피부를 냉각시켜주는 기능을 하여 피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젤(210)은 전도성 시트(300)와 통전될 수 있도록 전도성 젤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도성 시트(300)의 전극 도자로서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전극 유닛의 전극 도자가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서만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체내에서 전위차 발생 부위가 전극 도자의 일부 접촉 영역에 집중되게 되므로, 이 경우, 그 일부 접촉 영역에서 심부열이 집중되어 피부 또는 체내 조직이 손상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전도성 젤이 충진된 젤 충진백(200)이 전도성 시트(300)와 통전되도록 접촉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도성 시트(300)가 일부 영역만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젤 충진백(200)과의 접촉 면적만큼 전도성 시트(300)의 피부 접촉 면적을 가상 확장시키는 효과가 발휘되고, 이에 따라 체내의 전위차 발생 부위가 전도성 시트(300)의 일부 접촉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베이스 패드(100), 젤 충진백(200) 등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하며 신체 표면에 밀착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시술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전극 유닛이 신체 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접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극 유닛 이탈에 의한 스파크 발생 등이 방지되어 더욱 안전하게 고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시술자가 전극판을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전극 유닛을 환자 스스로 손쉽게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 스스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시트(300)에는 치료 전극(10)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고주파 전원 발생기(30)로부터 전원 케이블(40)을 통해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는데, 이때, 전원 케이블(40)에는 고주파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스위치 커넥터(42)가 장착되고, 스위치 커넥터(42)에는 별도의 스위치 케이블(41)이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 케이블(41)의 끝단에는 스위치 커넥터(42)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50)가 장착된다. 즉, 작동 스위치(50)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전원 케이블(40)을 통한 고주파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 스위치(50)는 푸시 버튼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고, 작동 스위치(50)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스위치 커넥터(42)가 연결 상태로 작동하여 전원 케이블(40)을 통해 전도성 시트(300)로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작동 스위치(50)의 버튼을 누름 해제한 상태에서는 스위치 커넥터(42)가 차단 상태로 작동하여 전원 케이블(40)을 통해 전도성 시트(300)로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스위치(50)는 별도의 스위치 케이블(41)을 통해 스위치 커넥터(42)로부터 별도로 연장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작동 스위치(50)를 스스로 조작하며 전원 공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본인이 스스로 심부열 상태에 따라 고주파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시술자가 옆에 없더라도 환자 스스로 전극 유닛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젤 타입 전극 유닛의 젤 충진백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젤 충진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 타입 전극 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 충진백(200)의 내부에 충진젤(2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5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500)를 통해 충진젤(210)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표면에서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피부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즉, 고주파 치료 과정에서 체내에 심부열이 발생하는데, 피부 근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더욱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치료 과정에서 피부 화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고주파 치료 과정에서 심부열에 의한 온도 상승이 서서히 이루어지므로, 환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 화상을 입게되는 일들이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유닛은 젤 충진백(200)의 내부에 온도 센서(500)를 장착하여 충진젤(210)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 센서(50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이면, 고주파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고주파 치료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젤 충진백(200)에 충진된 충진젤(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온도 센서(500)가 피부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더라도 충진젤(210)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연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피부 온도 측정 센서 없이도 정확한 피부 온도를 예측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패드(100)의 내부 공간에는 충진젤(210)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충진젤(210)을 가열할 수 있는 발열체(6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발열체(600)는 젤 충진백(200)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상 발열체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체(600)를 통해 충진젤(210)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극 유닛을 피부 표면에 접촉시키기 전에 미리 충진젤(210)을 대략 25℃ 내지 30℃ 정도로 가열하여 환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시 차가운 느낌을 없앨 수 있어 더욱 쾌적한 느낌으로 고주파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충진젤(210)을 사전 가열하여 전극 유닛을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도성 시트(300)에 기준 전원 또는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여 고주파 치료를 시작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발열체(60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치료 과정에서는 발열체(600)에 의한 충진젤(210)의 가열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충진젤(210)이 사전 가열되어 피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고주파 치료를 시작하게 되면, 체내의 심부열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즉, 피부의 온도가 일정 정도 상승한 상태이기 때문에, 체내의 심부열에 의한 피부 온도 상승 정도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는 환자에 의해 더욱 빨리 느끼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피부 온도의 상승을 더욱 신속하게 느끼게 되므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심부열에 의한 피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 충진백(200)의 내부 공간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700)이 구비된다.
스페이서 블록(700)은 젤 충진백(200)을 압착하는 방향으로 외부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젤 충진백(200)의 내부 공간에서 충진젤(210)에 대한 일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스펀지 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 영역에 다수개의 관통홀(710)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 충진백(200)을 외부에서 압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젤 충진백(200) 내부에 충진된 충진젤(210)이 젤 충진백(200)의 가압하지 않은 영역으로 완전히 쏠리지 않고 스페이서 블록(700)의 관통홀(710) 공간에 유입되므로, 충진젤(210)이 젤 충진백(200) 내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좀더 넓은 영역에 분포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스페이서 블록(700)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강도 이상의 가압력이 젤 충진백(200)에 작용할 때, 내부의 충진젤(21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완전히 쏠리며, 충진젤(210)의 압력에 의해 젤 충진백(200)의 일측이 찢어지고, 충진젤(210)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블록(700)이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스페이서 블록(700)의 관통홀(710)에 충진젤(210)이 일부 수용되기 때문에, 충진젤(210)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완전히 쏠리지 않고 상대적으로 좀더 넓은 영역에 분포하여 젤 충진백(200)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 충진백(200)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700)이 내부에 구비되어 형상 변형 과정에서 충진젤(210)의 압력에 의한 젤 충진백(200)의 찢어짐 현상이 방지되지만, 혹시라도 젤 충진백(200)이 찢어져 충진젤(210)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충진젤(210)의 누출 현상을 즉시 발견할 수 있도록 충진젤(210)이 특정 색상, 예를 들면, 파랑색, 녹색 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치료 전극 20: 기준 전극
100: 베이스 패드 200: 젤 충진백
210: 충진젤 300: 전도성 시트
400: 절연 필름 500: 온도 센서
600: 발열체 700: 스페이서 블록
710: 관통홀

Claims (7)

  1. 기준 전원이 공급되는 기준 전극과,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는 치료 전극이 신체에 접촉하여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치료기에 사용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으로서,
    유연하게 형상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베이스 패드;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젤 타입의 충진젤이 충진되며,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젤 충진백;
    기준 전원 또는 고주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패드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젤 충진백의 노출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시트; 및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드의 개방된 일면에 부착되는 절연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젤 충진백을 압착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젤 충진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충진젤에 대한 적어도 일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페이서 블록이 상기 젤 충진백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젤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젤 충진백 내부에는 상기 충진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충진젤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진젤을 가열하는 발열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충진젤이 충진된 젤 충진백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상 발열체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은 스펀지 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중심 영역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KR1020150152070A 2015-04-14 2015-10-30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KR10161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3906 WO2017073861A1 (ko) 2015-10-30 2016-04-14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64 2015-04-14
KR20150052564 2015-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153B1 true KR101614153B1 (ko) 2016-05-11

Family

ID=5602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70A KR101614153B1 (ko) 2015-04-14 2015-10-30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2153A1 (en) * 2006-09-29 2008-04-03 Peter Gadsby Medical electrode
US20120108920A1 (en) * 2007-09-14 2012-05-03 Corventis, Inc. Adherent device with multiple physiological sens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2153A1 (en) * 2006-09-29 2008-04-03 Peter Gadsby Medical electrode
US20120108920A1 (en) * 2007-09-14 2012-05-03 Corventis, Inc. Adherent device with multiple physiological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6834Y2 (ja) 高周波誘電加温用電極
JP5497769B2 (ja) 生理痛緩和のための携帯用複合刺激器
KR10112585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73508B1 (ko) 고주파와 저주파를 이용한 미용기기
KR101846795B1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
KR10148880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KR200409904Y1 (ko) 고주파 전기전극치료기
KR20160026234A (ko)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TWI607778B (zh)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device with photoelectric thermotherapy function and its signal control method
KR101257022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KR102214521B1 (ko) 미용에 사용하는 복합 전극패드를 이용한 미용기기와 그 방법
KR102113199B1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20100007597U (ko) 전립선 및 자궁치료용 저출력 레이저 저주파 온열 기능을 갖는 복합 치료기
KR102401103B1 (ko) 고주파 치료장치
KR101979589B1 (ko) 고주파 치료장치
KR101669358B1 (ko) 목 부위용 고주파 치료기
KR101772678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KR101614153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젤 타입 전극 유닛
KR101824212B1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hadka et 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lectrodes
KR100995837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KR20190011113A (ko) 레이저 조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시술 장치
KR100933463B1 (ko) 발열체를 내장한 전기 뜸장치
KR200357817Y1 (ko) 온열기능이 구비된 저주파 마사지기
KR20190044480A (ko) 광 시술 패치 셋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