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508B1 -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08B1
KR101613508B1 KR1020150132714A KR20150132714A KR101613508B1 KR 101613508 B1 KR101613508 B1 KR 101613508B1 KR 1020150132714 A KR1020150132714 A KR 1020150132714A KR 20150132714 A KR20150132714 A KR 20150132714A KR 101613508 B1 KR101613508 B1 KR 10161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lling
bent
incisio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102015013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과 터미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를 폴딩하는 공정과 폴딩된 상태를 고정하는 과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로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를 원통형으로 롤링 할 때 그 롤링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장방형의 플레이트가 롤링되면서 맞닿는 측단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절개홈과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가 원통형으로 롤링될 때 롤링의 마지막에서 절개홈이 절곡된 함입절개부와 돌출부가 절곡된 돌출끼움부가 자연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에 돌출부와 절개홈을 일체로 형성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를 미리 제작한 후 원통형으로 롤링 절곡함으로써 터미널 커넥터의 제작공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erminal conne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과 터미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를 폴딩하는 공정과 폴딩된 상태를 고정하는 과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를 원통형으로 롤링 할 때 그 롤링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장방형의 플레이트가 롤링되면서 맞닿는 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절개홈과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가 원통형으로 롤링될 때 롤링의 마지막에서 절개홈이 절곡된 함입절개부와 돌출부가 절곡된 돌출끼움부가 자연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혹은 전기 차량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케이블 묶음을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로 지징하며, 전자제품에서도 각 부품들간의 전기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케이블이 채택된다.
이때, 한 부품의 케이블 단자와 다른 부품의 케이블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해 각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가 채용된다.
그리고, 하나의 단자와 다른 하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는 보통 소모성 단품으로 제작되어 판매 유통되며 그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다.
즉, 하나의 단자와 다른 하나의 단자를 잇는 플레이트 형태의 커넥터를 작업자가 현장에서 구부려 연결하는 커넥터가 유통되는가 하면 단면을 사각형으로 구부린 상태로 판매 유통되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각 단자에 끼워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입이 있다.
여기서, 미리 구부린 상태로 판매 유통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커넥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납작한 플레이트를 가지고 단면이 사각형이 되도록 절곡하고 절곡이 끝나면 맞닿는 부분을 고정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여야 하는데, 이 공정이 그리 간단하지 않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해당 금형 장비의 규격도 커지고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단자와 다른 하나의 단자를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에 대해 제작공정을 간소화하도록 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와 그 제조방법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33032호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와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37977호 "차량용 와이어 터미널 커넥터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105991호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40904호 "조인트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34252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터미널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18812호 "커넥터 터미널"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9-0052489호 "호스 주위로 회전하는 나사형 슬리브 터미널 커넥터를 가지는 복막 투석용 연결 호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5-0058298호 "절곡형 커넥터 터미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롤링몸체부를 원통형으로 제작할 때 롤링 절곡에 따라 상호 맞닿는 부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롤링 과정과 결합 과정을 별도의 공정으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롤링몸체부를 원통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기존보다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미널 간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납작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일측단면부에 대향하는 타측단면부가 상호 맞닿도록 플레이트부가 롤링 절곡되어 형성되는 롤링몸체부;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로부터 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 하나이상의 절개홈이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함입절개부; 절개홈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로부터 플레이트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이상의 돌출부가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과 연동하여 함입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나이상의 돌출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가 함입절개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끼움부의 선단부가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함입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입절개부는 롤링몸체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인 꺽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가 함입절개부에 휘어지면서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끼움부의 선단부가 함입절개부의 내벽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돌출끼움부의 선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고,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가 함입절개부의 입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함입절개부의 입구에 대응하는 함입절개부의 측벽은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된다.
또한, 함입절개부에 돌출끼움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끼움부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함입절개부의 내측벽은 돌출끼움부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미널 간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a) 일측단면부에 플레이트 내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꺽임 형태를 갖는 절개홈이 하나이상 형성되고 타측단면부에 절개홈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를 제작하는 단계; (b) 돌출부가 절개홈에 슬라이딩 되면서 돌출부가 절개홈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져 결합될 때까지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롤링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단계 (b)는,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라운딩되고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가 나란히 상향될 때까지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를 눌러 절곡하는 제 1차 롤링 절곡 단계; 돌출부가 절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돌출부가 절개홈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고 절개홈과 돌출부의 단면이 각각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플레이트부의 단면이 원통형이 될때까지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방향에서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를 압착하여 롤링 절곡하는 제 2차 롤링 절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에 돌출부와 절개홈을 일체로 형성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를 미리 제작한 후 원통형으로 롤링 절곡함으로써 터미널 커넥터의 제작공정을 간소화함에 따라 작업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롤링몸체부를 원통형으로 제작할 때 롤링 절곡에 따라 상호 맞닿는 부분이 절곡되는 방향을 향해 자연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롤링 과정과 결합과정을 별도의 공정으로 나누지 않고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롤링몸체부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기존보다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가 롤링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의 롤링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와 이 장치를 롤링 절곡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가 금형에서 롤링 절곡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가 롤링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터미널과 터미널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롤링몸체부(100), 함입절개부(110), 돌출끼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링몸체부(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납작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일측단면부에 대향하는 타측단면부(12)가 상호 맞닿도록 플레이트부(10)가 롤링 절곡되어 형성된다.
함입절개부(1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로부터 플레이트부(11)의 내측을 향해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 하나이상의 절개홈(11a)이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돌출끼움부(12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절개홈(11a)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로부터 플레이트부(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이상의 돌출부(12a)가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과 연동하여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돌출끼움부(120)는 하나이상의 함입절개부(110)에 대응하도록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의 롤링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함입절개부(110)는 바람직하게는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소정 각도 꺽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함입절개부(110)가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롤링몸체부(100)가 원통형으로 롤링 절곡될 때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함입절개부(110)의 통로 형태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휘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끼움부(120)는 연질의 금속(예: Cu, Al)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돌출끼움부(120)는 소성가공된 다양한 금속 재질(예: SUS)이 채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하나의 함입절개부(110)가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이는 소정 각도와 그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함입절개부(110)가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이는 소정 각도는 [도 4]의 "A", "B"에서와 같이 상호 대칭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인접하는 함입절개부(110)가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꺽이는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롤링몸체부(100)에 터미널이 끼워진 상태에서 롤링몸체부(100)를 착탈하기 위해 롤링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함입절개부(110)가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이는 소정 각도는 납작한 플레이트부(10)의 절개홈(11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한편, [도 4]의 "A"는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의 내측으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함입절개부(110)의 꺽인 내벽에 맞닿아 꺽이기 진전을 상태이다.
여기서,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결합시 돌출끼움부(120)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의 내벽을 뚫고 들어가야 하는 각도로 형성되었지만, 실제 돌출끼움부(120)는 외력에 대해 소정 각도 휘어지고, 그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돌출끼움부(120)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함입절개부(110)의 휘어진 통로를 따라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지고 그 끼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롤링몸체부(100)는 롤링 절곡된 원통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에 형성된 절개홈(11a)과 타측단면부(12)에 형성된 돌출부(12a)는 플레이트부(10)와 일체의 금속 재질(예: Cu, Al)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12a)는 소성가공된 다양한 금속 재질(예: SUS)이 채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에서 펀칭기를 통해 절개홈(11a)과 돌출부(12a)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플레이트부(10)를 절개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휘어지면서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는 함입절개부(110)의 내벽에서 걸림없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함입절개부(110)의 내측벽은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즉, 함입절개부(110)의 내측벽이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됨에 따라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와 빈틈없이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와 이 장치를 롤링 절곡하기 위한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가 금형에서 롤링 절곡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하부금형(20)의 고정틀(21)에 플레이트부(10)를 안착한 상태에서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눌러 절곡하는 제 1차 절곡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제 1차 절곡 과정은 하부금형(20)의 고정틀(21)에 납작한 플레이트부(10)을 안착한 상태에서 별도의 압착장치(미도시)를 통해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눌러 하방으로 볼록하게 절곡한다.
이렇게 제 1차 절곡 과정을 거치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라운딩되고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가 나란히 상향된다. 이때, 하부금형(20)의 고정틀(21)은 단면이 하방으로 움푹 패인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6]의 (b),(c),(d)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상부금형(30)이 하방으로 압착하여 상부금형(30)의 압착홈(31)과 하부금형(20)의 고정틀(21)이 상호 밀착하여 단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제 2차 절곡을 하게 된다.
상세하게,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방향에서 상부금형(3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를 압착하여 롤링 절곡하는 제 2차 롤링 절곡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2차 롤링 절곡 과정은 돌출부(12a)와 절개홈(11a)의 상면이 상부금형(30)의 압착홈(31) 내벽에 의해 압착됨과 동시에 돌출부(12a)가 절개홈(11a)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돌출부(12a)가 절개홈(11a)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게 되고 절개홈(11a)과 돌출부(12a)의 단면이 각각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플레이트부(10)의 단면이 원통형이 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10)에 돌출부(12a)와 절개홈(11a)을 일체로 형성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10)를 미리 제작한 후에 원통형으로 롤링 절곡함으로써 터미널 커넥터의 제작공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롤링몸체부(100)를 원통형으로 제작할 때 롤링 절곡에 따라 상호 맞닿는 부분이 절곡되는 방향을 향해 자연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롤링 과정과 결합과정을 별도의 공정으로 나누지 않고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먼저,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10)를 마련하고 장방형의 플레이트부(10)를 마련하고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에 플레이트부(10)의 내측을 향해 절개홈(11a)을 하나이상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부(10)의 절개홈(11a)은 플레이트부(1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임 형태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11a)에 대응하는 함입절개부(110)가 플레이트부(10)에 대응하는 롤링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꺽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롤링몸체부(100)가 원통형으로 롤링 절곡될 때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눌려지면서 소정 각도 휘어짐에 따라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절개홈(11a)의 입구에 대응하는 절개홈(11a)의 측벽을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11a)에 대응하는 함입절개부(110)의 측벽을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의 입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12a)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절개홈(11a)의 내측벽을 돌출부(12a)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11a)에 대응하는 함입절개부(110)의 내측벽이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됨에 따라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와 빈틈없이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에 절개홈(11a)에 대응하여 플레이트부(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a)를 하나이상 형성한다.
이때, 돌출부(12a)의 선단부를 전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롤링몸체부(100)의 롤링 절곡시 돌출부(12a)에 대응하는 돌출끼움부(120)가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함입절개부(110)의 측벽에 걸림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에 형성된 절개홈(11a)과 타측단면부(12)에 형성된 돌출부(12a)는 플레이트부(10)와 일체의 금속 재질(예: Cu, Al)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로부터 펀칭기 또는 레이저 커팅기를 통해 절개홈(11a)과 돌출부(12a)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플레이트부(10)를 하나의 판으로 절개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단계 (S120) : 그리고,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라운딩되고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가 나란히 상향될 때까지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눌러 절곡하는 제 1차 롤링 절곡 과정을 거친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상부금형(30)의 압착홈(31)에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가 나란히 끼워져 압착홈(31)의 내측벽 형태대로 제 2차 롤링 절곡으로 라운딩 되도록 미리 제 1차 롤링 절곡 과정을 거친다.
단계 (S130) : 이어서, 돌출부(12a)가 절개홈(11a)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돌출부(12a)가 절개홈(11a)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고 절개홈(11a)과 돌출부(12a)의 단면이 각각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플레이트부(10)의 단면이 원통형이 될때까지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방향에서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를 압착하여 롤링 절곡하는 제 2차 롤링 절곡 과정을 거친다.
즉,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하나이상의 절개홈(11a)과 하나이상의 돌출부(12a)가 형성된 플레이트부(10)에 대해 플레이트부(10)의 단면이 원통형이 되도록 절개홈(11a)이 형성된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돌출부(12a)가 형성된 플레이트부(10)의 타측단면부(12)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단면부(11)와 타측단면부(12)가 상호 마주하는 방항으로 롤링 절곡한다.
이때, 플레이트부(10)의 롤링 절곡에 따라 돌출부(12a)가 절개홈(11a)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절개홈(11a)과 돌출부(12a)의 단면을 각각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부(10)가 원통형으로 절곡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부(10)를 원통형으로 잇는 부분도 둥근 형태로 절곡됨에 따라 상호 맞물리는 절개홈(11a)과 돌출부(12a)의 단면도 둥근 아치 형태로 절곡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0)의 돌출부(12a)는 절개홈(11a)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절개홈(11a)에 슬라이딩 결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부(10)에 대응하는 롤링몸체부(100)가 롤링 절곡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2a)에 대응하는 돌출끼움부(120)가 절개홈(11a)에 대응하는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질 때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함입절개부(1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돌출끼움부(120)의 선단부가 함입절개부(110)의 통로 형태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휘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끼움부(120)는 연질의 금속(예: Cu, Al)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10 : 플레이트부
11 : 일측단면부
11a : 절개홈
12 : 타측단면부
12a : 돌출부
20 : 하부금형
21 : 고정틀
30 : 상부금형
31 : 압착홈
100 : 롤링몸체부
110 : 함입절개부
120 : 돌출끼움부

Claims (6)

  1. 터미널 간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납작한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부(10)의 일측단면부(11)와 상기 일측단면부에 대향하는 타측단면부(12)가 상호 맞닿도록 상기 플레이트부가 롤링 절곡되어 형성되는 롤링몸체부(100);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 하나이상의 절개홈(11a)이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함입절개부(110);
    상기 절개홈에 대응하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이상의 돌출부(12a)가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된 형태에 대응하여 단면이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과 연동하여 상기 함입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하나이상의 돌출끼움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함입절개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끼움부의 선단부가 소정 각도 휘어지면서 상기 함입절개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함입절개부는 상기 롤링몸체부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인 꺽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함입절개부에 휘어지면서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끼움부의 선단부가 상기 함입절개부의 내벽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끼움부의 선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롤링몸체부의 롤링 절곡에 따라 상기 돌출끼움부가 상기 함입절개부의 입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함입절개부의 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함입절개부의 측벽은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입절개부에 상기 돌출끼움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끼움부의 선단부와 맞물리는 상기 함입절개부의 내측벽은 상기 돌출끼움부의 선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5. 터미널 간의 연결을 인터페이스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일측단면부에 플레이트 내측을 향해 점차적으로 꺽임 형태를 갖는 절개홈이 하나이상 형성되고 타측단면부에 상기 절개홈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하나이상 형성된 납작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라운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가 나란히 상향될 때까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를 눌러 절곡하는 제 1차 롤링 절곡 단계;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절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절개홈의 꺽임 형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 휘어지고 상기 절개홈과 상기 돌출부의 단면이 각각 아치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단면이 원통형이 될 때까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단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측단면부를 압착하여 롤링 절곡하는 제 2차 롤링 절곡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미널 커넥터 장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50132714A 2015-09-18 2015-09-18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4A KR101613508B1 (ko) 2015-09-18 2015-09-18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4A KR101613508B1 (ko) 2015-09-18 2015-09-18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508B1 true KR101613508B1 (ko) 2016-04-19

Family

ID=5591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14A KR101613508B1 (ko) 2015-09-18 2015-09-18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5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171A (ja) 2012-03-12 2013-09-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雌端子、及び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171A (ja) 2012-03-12 2013-09-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雌端子、及び接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414B1 (en)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20160020528A1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par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7123265A (ja) 電気接点
US7186125B2 (en) Conductive path and connector
CN104009312A (zh) 在端子横梁之间具有间隙的阴性电端子
US20180309223A1 (en) Connector
WO2019235389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EP1378967A1 (en) A connector
WO2019159714A1 (ja) 端子付き電線
US20130288540A1 (en) Impedance matched contact module
JP2019149335A (ja) 端子及びハーネス
EP0845835B1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fitting
EP1821375A2 (en) A terminal fitting, a method of crimping it and a positioning jig
US20180034167A1 (en) Terminal and wire with terminal
JP5700811B2 (ja) コネクタ
CN105765790A (zh) 用于电连接器的布置
KR101613508B1 (ko) 터미널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0010024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06024434A (ja) 雌端子金具
US6428355B1 (en) Coaxial cable assembly
JP2007059304A (ja) 端子付き電線とその製造方法
EP1530265B1 (en) A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a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06236873A (ja) 端子金具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
JP3770070B2 (ja) ジョイント用端子金具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1217925B2 (en) Fema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