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231B1 -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231B1
KR101612231B1 KR1020150119435A KR20150119435A KR101612231B1 KR 101612231 B1 KR101612231 B1 KR 101612231B1 KR 1020150119435 A KR1020150119435 A KR 1020150119435A KR 20150119435 A KR20150119435 A KR 20150119435A KR 101612231 B1 KR101612231 B1 KR 10161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ell
reverse osmosis
cleaning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4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6Flow or flux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4Quality control
    • B01D2311/243Electrical conductiv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40Automatic control of clean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서의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 정도를 높은 정확도로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세정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역삼투막 베셀을 모사하여 RO 처리함으로써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하는 RO 처리 모사부를 포함하되, 유입수 저장부에서 원수를 유입시키는 제 1 모드와, 시험수 저장부에서 시험수를 유입시키는 제 2 모드를 교번적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A assembly and method for cleaning diagnosis in reverse osmosis membrane vessel}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서의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 정도를 높은 정확도로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수화(mineral removal, desalination)란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해수(바닷물)뿐만 아니라 하수, 폐수, 댐수 등에서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를 얻는 공정을 말하며, Na+, Cl- 이온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기 염류가 제거되는 공정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공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막여과 공정을 들 수 있다.
막여과 공정이란 분리막을 여과재로 사용하여 물을 통과시켜서 원수 속의 불순한 물질을 분리 제거하고 깨끗한 여과수를 얻는 물리적 여과 방법을 의미한다.
도 1a는 막여과 공정 중 하나인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해수와 같은 원수가 전전처리부(10)에 유입되고, 전전처리수는 전처리부(20)에 유입되며, 전처리수는 RO 처리부(30)에 유입되며, RO 처리부(30)는 유입된 전처리수를 RO 처리하여 여과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하게 된다.
이와 같은 RO 처리부(30)는 역삼투막 베셀로 이루어진다. 도 1b에는 역삼투막 베셀의 일례를 도시하는데, 예시적으로 7개의 엘리먼트(31~37)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엘리먼트(31~37)들에는 역삼투막이 당연히 사용되는바, 여과 처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막오염이 발생한다. 도 1b의 역삼투막 베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에서, "막오염(membrane fouling)"이란 분리막에 유입되는 유입수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이물질들이 여과막의 표면에 침착되거나 흡착되어 분리막의 투과수량을 감소시키는 현상이다. 원인 물질을 기준으로, 콜로이드 또는 부유고형물에 의한 입자물질 막오염, 자연유기물질 등 유기물의 흡착에 의한 유기물질 막오염, 미생물의 부착 또는 성장에 의한 생물 막오염, 금속염 등의 침전 또는 스케일에 의한 무기물질 막오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로 역삼투막 또는 나노여과막을 이용하는 담수화 시설에서 막오염은 분리막의 성능을 감소시키고 회수율을 낮추기에 실제 현장에서의 운영시 가장 큰 문제가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막오염을 사전에 최소화하도록 전처리 공정을 강화하는 방법, 또는 주처리 공정의 운전조건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막오염이 일정 수준 진행되었을 경우 초기상태로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플러싱(flushing) 등의 물리세정이나 화학약품 등을 통한 화학세정(CIP, cleaning in place)을 수행한다.
가장 효과적인 것은 화학세정(CIP)이라 할 수 있는데, 잦은 화학세정(CIP)을 수행할 경우 처리수 생산 정지로 인하여 생산 성능이 크게 악화되고, 소요되는 화학약품비 및 세정폐액 처리비의 등의 증가에 따른 유지 관리 성능도 악화되며, 더불어 사용된 분리막의 배제(rejection) 성능 악화 및 분리막의 변형 및 노화 등 궁극적으로 분리막 교체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전체 운영 관리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을 적절한 시점에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막오염 물질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평가하는 방법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종래에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사용되고 있는바,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SDI(Silt Density Index) 지수 측정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입원수의 SDI를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SDI 지수는 현재 역삼투막과 나노여과막을 사용하는 담수화 공정에서 유입원수의 막오염 경향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SDI 지수값이 2~3 미만이면 막오염은 심하지 않은 유입원수라고 것으로 판단하고, SDI 지수값이 5 이상이 될 경우 막오염 발생이 심한 유입원수라고 판단한다.
다만, SDI 지수는 막오염의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불과하며, 특히 직경 47 mm(달리 말하면, 0.45 공경(pore size))의 분리막을 이용하여 30psi의 압력으로 유입수를 통과시켜 측정하기 때문에 이보다 작은 크기의 콜로이드나 유기물 등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는 큰 문제가 있다.
또한, 역삼투막과 나노여과막을 주로 사용하는 담수화 공정은 유입수가 흐르는 방향과 여과막의 투과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전되는 십자류(Cross-flow) 여과 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량여과(Dead-end) 모드와 여과 원리가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SDI 지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FI(Modified fouling index) 측정 방법, MFI-UF(Modified fouling index by Ultrafilter) 측정 방법, MFI-NF(Modified fouling index by Nanofilter) 측정 방법 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들 모두 한 개의 분리막을 사용하고, 마찬가지로 전량여과 모드로서 측정되기 때문에, 실제 담수화 공정에서의 십자류 여과모드와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을 먼저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971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641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726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143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6197호는 다양한 정밀여과(MF), 한외여과(UF), 나노여과(NF) 분리막을 조합 사용하여, 입자물질, 콜로이드물질, 유기물질 등의 의한 막오염 현상을 정량적인 막오염 지수로서 구분하고 막오염원별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측정 휴대성을 강화하고, 막오염 지수의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측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복수의 분리막으로 직렬 방식에서 병렬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역시 SDI 지수와 동일하게 0.45 공경의 막을 사용한다는 문제와, 실제 담수화 공정에서의 십자류 여과모드와 상이하다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4670호는, 정밀여과(MF)과 한외여과(UF)의 저압으로 운전되는 막여과 공정에서 막오염 지수를 실시간으로 순간 막간 차압(TMP, trans-membrane pressure)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막오염 지수에 따른 최적의 화학세정(CIP)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막오염 지수를 이용한 막오염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마찬가지로, SDI 지수와 동일하게 0.45 공경의 분리막을 사용한다는 문제, 와, 실제 담수화 공정에서의 십자류 여과모드와 상이하다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5220호는, 해수담수화 설비의 유량계, 압력계 등 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역삼투막의 막오염 정도를 산출하여 제어부를 통해 진단 및 제어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를 제안한다.
막오염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장점이나, 결과적으로 유량계, 압력계, pH 미터, 온도계 등 센서의 실시간 측정 및 정보를 해석을 통한 간접적인 막오염 진단이라는 점이 한계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119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18578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2750호는, 크로마토그래피처럼 분자량 및 입자 크기 분포의 측정에 유용한 흐름장 흐름 분획(Flow Field Flow Fraction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자연유기물질의 분리 크로마토그램의 면적을 계산하여 막의 특성에 따른 흡착 정도를 분석하는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역삼투막과 나노여과막의 다이나믹 히스테리시스(Dynamic hysteresis)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막오염을 예측 및 화학적, 물리적 불균일성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는 유기 막오염에 한정된다는 점, 직접적인 측정 압력 범위에 한계가 있어 연속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문제이어서, 실제 담수화 시설에서 적용하기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7357호는, 막오염 지수를 통해 막오염 정도를 예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염된 분리막을 세정하여 수처리 공정을 정상화 시키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오염된 막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정제의 선정 및 세정 성능에 관한 가이드라인 등의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즉, 오염된 상태의 분리막 표면에 세정제를 공급하고, 분리막에 세정수를 흘려줌으로써, 세정제에 의해 이물질에 제거되는 상태에 따라 분리막을 통과하는 세정수의 양을 측정하여 계산되는 막세척 지수와 막세척 지수 측정 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0.45 공경 이하의 막오염 확인이 어렵다는 점, 세정제 종류와 양 등이 모두 전처리 정밀여과(MF) 분리막의 여과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어 실제 담수화 공정에서의 공경이 없는 나노여과(MF) 및 역삼투(RO) 분리막의 세정 조건과는 상이하기에 적용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질과 용매 확산이동 원리에 의해 고압으로 운전되는 나노여과 분리막과 역삼투 분리막은 공경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경을 갖고 체거름 방식 원리에 의해 저압으로 운전되는 정밀여과 분리막과 한외여과 분리막의 여과 메커니즘은 차이가 있다는 것에 기인한다.
즉, 나노여과 분리막과 역삼투 분리막은 정밀여과 분리막과 한외여과 분리막과 달리 일반적으로 화학약품을 첨가한 수세정 또는 에어스크라빙 등의 방법으로 공경을 막고 있는 입자물질, 유기물질, 무기물(스케일링), 생물 막오염에 대해 역세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여기에 제안된 기술을 역삼투와 같은 담수화 설비에 적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음, 관련된 실제 상용화된 기기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담수화 설비에서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을 감지하는 설비를 도시한다(www.rowaterpurifiers.com 참조). 실제 대부분의 담수화 설비는 하루에 수천 내지 수만 톤을 처리하기에, 주된 설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담수화 설비를 모사할 수 있는 도 2와 같은 별도의 스키드(skid) 설비가 사용된다.
실제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는 다수의 역삼투막 베셀이 포함되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키드 설비는 실제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 적용된 역삼투막 베셀 1개 정도 채택한다. 1개의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 정도를 살펴보면서, 실제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 정도를 추정한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 역삼투막 베셀이 적용된다는 점, 해당 베셀에 투입되는 원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설비들이 부착된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초기 설치비 및 운영비가 높으며, 그럼에도 운영이 어려워서 실제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막오염을 효과적으로 모사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한국등록번호 제10-1533554호에서 역삼투막 베셀 내 막오염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사 모델을 이용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모사 모델만이 제안되었을 뿐, 막오염 정도를 어떠한 방식으로 판단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기에, 정확한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데 여전히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실제 담수화시설에서 역삼투막의 오염 정도를 생산수의 처리유량 또는 생산수의 염분농도 또는 막간차압(different pressure)을 기초로 세정 시점을 간접적으로 결정하거나, 종래의 한국등록번호 제10-1533554호에서와 같이 막오염을 모사한 역삼투막 셀내의 모사 분리막 시트(sheet)를 오프라인(off-line) 방식으로 꺼내어 막오염의 정도를 해석한다면 번거롭고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9710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6417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7262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1436호
(특허문헌 5)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6197호
(특허문헌 6)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4670호
(특허문헌 7)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5220호
(특허문헌 8) 한국등록특허 제10-0811199호
(특허문헌 9) 한국등록특허 제10-1318578호
(특허문헌 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2750호
(특허문헌 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7357호
(특허문헌 12) 한국등록특허 제10-1533554호
(특허문헌 13)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34875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역삼투막 처리 공정에 있어서 역삼투막의 막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감시함으로써, 세정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입수 저장부(100); 시험수 저장부(200);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입수 또는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며, 역삼투막 베셀을 모사하여 이를 RO 처리함으로써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하는 RO 처리 모사부(300); 및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는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을 포함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는 상기 RO 셀(310, 320, 370) 각각에 동일한 수질조건 및 동일한 운전조건으로 유입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과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을 비교하거나, 또는 처리수의 전기전도도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를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의 처리시 측정된 막간차압과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세정 진단을 위한 기 설정된 시험수의 시험조건은 역삼투막 제조사별로 제시하는 조건인 예를 들어 해수담수화 역삼투막의 경우 염화나트륨(NaCl) 32,000mg/L, 55 bar, pH 8, 수온 25℃, 설정 회수율, 설정 시험시간의 조건일 수 있고, 또는 실제 담수화 현장에서 가동초기 설정한 시험조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은 서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는 상기 각각의 RO 셀(310, 320, 37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각각의 RO 셀(310, 320, 370)마다의 세정 시점을 구분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1);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부터 드레인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각각 구비된 밸브(V3, V4, V5);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부터 유입수가 유출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부터 시험수가 유출될 수 있는 라인에 구비된 고압펌프(HP);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와 상기 RO 처리 모시부의 연결 라인에 구비된 밸브(V1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와 상기 RO 처리 모시부의 연결 라인에 구비된 밸브(V2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 시험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1);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부터 드레인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들(V1, V2, V3, V4, V5)은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그 개폐가 결정되며, 상기 고압펌프(HP)는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그 작동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 저장부(400)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의 원수 온도를 각각 조절하는 다수의 수온조절장치(H); 및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의 원수를 각각 교반하는 다수의 구동기(M)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세정 진단 장치에 부가하여, 원수가 유입되어 전전처리되는 전전처리부(10); 상기 전전처리부(10)로부터 전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부(20); 및 상기 전처리부(20)로부터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RO 처리되어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RO 처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RO 처리부(30)는 역삼투막 베셀로서, 서로 연결된 다수의 RO 엘리먼트(element)(31~37)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RO 엘리먼트(31~37)은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선단의 리드 엘리먼트(lead element)(31), 농축수가 유출되는 엔드 엘리먼트(end element)(37) 및 상기 리드 엘리먼트(31)와 상기 엔드 엘리먼트(37)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미들 엘리먼트(middle element)(32~36)로 이루어지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 중 상기 제 2 RO 셀(320)의 비율은, 상기 RO 처리부(30) 중 상기 다수의 미들 엘리먼트(32~36)의 비율에 상응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삼투막 베셀은 SWRO 베셀 및 BWRO 베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역삼투막 베셀이 SWRO 베셀 및 BWRO 베셀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시험수의 조건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세정 진단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이 이루어지는 제 1 모드(mode 1)에 따른 운용 방법과,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모드(mode 2)에 따른 운용 방법을 포함하며, 제 1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a)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인 경우, 유입수가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1 수위(L1)인 경우, 제 1 RO 셀(31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2 RO 셀(320)로 유입되는 단계; 및 (c)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2 수위(L2)인 경우, 제 2 RO 셀(32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3 RO 셀(370)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1)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 유입되어 처리되고,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측정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과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와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막간차압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과 비교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이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2 모드에 있어서, (1)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에 유입되어 처리되고, 각각의 RO 셀에서의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각각 측정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과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와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막간차압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과 비교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이 각각의 상기 RO 셀마다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는 교번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운영 이전에 즉, 역삼투막이 오염되지 않는 운전 초기 시점에서 상기 제 2 모드가 먼저 수행되어 세정 진단의 기준을 먼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3 수위(L3)인 경우, 제 3 RO 셀(37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남은 유체가 드레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에 이르도록, 원수가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0) 단계는, 제어부가 밸브(V1)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3)를 개방하며 상기 고압펌프(HP)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4)를 개방하고, 밸브(V3)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5)를 개방하고, 밸브(V4)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압펌프(HP)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밸브(V2)를 개방하고 밸브(V5)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남은 유체가 모두 드레인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a0) 단계로 회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 단계 이전에, (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 기 설정된 수질조건의 시험수가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0) 단계는, 제어부가 밸브(V21)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3)를 개방하고 상기 고압펌프(HP)를 작동시키며, 이후 기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어부가 밸브(V4)를 개방하고 밸브(V3)를 폐쇄하며, 이후 기 설정된 다른 시점에 상기 제어부가 밸브(V5)를 개방하고 밸브(V4)를 폐쇄하며, 이후 기 설정된 또 다른 시점에 상기 고압펌프(HP)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밸브(V2)를 개방하고 밸브(V5)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계 이후에, 밸브(V22)가 개방되어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남은 시험수가 드레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의 막오염 상태에 따라, 상기 RO 처리부(30)의 막오염 상태가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실제 담수화 설비의 역삼투막 베셀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여과되는 처리수량과 막오염을 상용 분리막보다 수백 배 작은 막면적을 갖는 소형의 3개의 셀이 장착된 연속 담수화 장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재현하는 것에서 나아가, 주기적인 모드 변경을 통하여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분해하여 막을 떼어보지 않은 온라인(on-line) 상태에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역삼투막 장치로서, 특히 해수 담수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역삼투막 장치를 이루는 역삼투막 베셀인 RO 처리부 내의 엘리먼트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역삼투막 베셀의 막오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종래 장치인 역삼투막 스키드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의 RO 셀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 중 제 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b는 제 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밸브와 고압펌프의 작동/개폐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제 1 모드와 제 2 모드가 교번적으로 이루어짐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원수"는 역삼투막 베셀에서 여과되도록 투입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해수 담수화 장치에서 원수는 해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RO 모사 처리부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실제 역삼투막 베셀의 RO 처리부에 유입되는 유체와 동일한 유체의 개념이다.
이하에서, "RO 엘리먼트(RO element)"는 역삼투막 베셀을 이루는 단위를 의미하며, "RO 모듈(module)"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수위센서(LS)"는 유입수의 수위만을 감지하는 수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위, 무게, 유량 등의 정보를 감지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수위센서, 무게센서, 유량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세정 진단"의 용어는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 세정이 필요하다면 어느 시점에 어떠한 방법의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 등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보다 특정하면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세정 진단 장치의 설명
본 발명은 세정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세정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역삼투막 처리 장치(도 1a 참조)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분해하여 막을 떼어보지 않은 상태, 즉 오프라인(off-line)이 아닌 온라인(on-line) 상태에서 세정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세정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세정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장치가 필요하다.
첫째는, 실제 운용 중인 역삼투막 처리 장치를 모사하여 역삼투막 처리 장치를 분해하지 않으면서도 실시간 막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이다.
둘째는, 첫째의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에 테스트 시료인 시험수를 주입시키는 시험수 저장부(200) 및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써 세정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세정 진단 장치"이다.
(1)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 중 일부를 구성하는 역삼투막 베셀 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전술하였던,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33554호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도 3의 상측에는 일반적인 역삼투막 처리 장치가 도시된다. 도 1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어떠한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원수가 유입되는 전전처리부(10), 여기에서 전전처리된 전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부(20), 여기에서 전처리된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실제 역삼투막 여과가 이루어지는 RO 처리부(30)를 포함한다.
RO 처리부(30)는 역삼투막 베셀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엘리먼트(31~37)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역삼투막 베셀은 3~10개의 엘리먼트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는 예시적으로 7개의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한다.
RO 엘리먼트(31~37)은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선단의 리드 엘리먼트(lead element)(31), 처리수가 유출되는 최후단의 엔드 엘리먼트(end element)(37)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미들 엘리먼트(middle element)(32~36)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미들 엘리먼트(32~36)는 5개이나, 그 개수에 제한이 없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리드 엘리먼트(31)와 엔드 엘리먼트(37)가 중요하다. 전처리수가 각각의 엘리먼트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기에, 역삼투막 처리 장치가 가동된 후 많은 시간이 경과하면 두 엘리먼트의 막오염 양상이 극명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전처리수가 바로 유입되는 리드 엘리먼트(31)와, 선단의 엘리먼트들에서 어느 정도 처리가 이루어진 후 유입되는 엔드 엘리먼트(37)의 막오염 상태는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다.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막오염 상태를 확인하고 세정 타이밍 및 주기를 결정하여야 하는 실제 현장에서도 최선단과 최후단의 엘리먼트 오염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구체적인 막오염 양상을 살펴보면,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리드 엘리먼트(31)는 주로 입자막오염, 유기막오염이 이루어지며, 최후단의 엔드 엘리먼트(37)의 경우 주로 무기막오염(스케일링)이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리드 엘리먼트(31)에 대응하는 제 1 RO 셀(310)과 엔드 엘리먼트(37)에 대응하는 제 3 RO 셀(370)을 별도로 구분하며, 그 사이의 미들 엘리먼트(32~36)는 하나의 제 2 RO 셀(320)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제 2 RO 셀(320)의 크기는 실제 막오염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미들 엘리먼트(32~36)의 크기 내지 용량에 상응하게 설정된다.
전술한 역삼투막 처리 장치를 모사하여 실시간 막오염 감시를 이루고자 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는, 실제 작동 중인 역삼투막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그 처리 절대량만을 감소시켜 동일한 수준으로서 작동하게 된다. 즉, RO 처리 모사부(300)의 각 RO 셀(310, 320, 370)의 막오염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작동 중인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막오염 정도를 해당 장치를 분해하거나 분석하지 않고도 추정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세정 진단 장치에 의하여 최적의 세정 효과를 거두기 위한 세정 시점 역시 추정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핵심 부품은 RO 처리 모사부(300)이다. 이는, 실제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RO 처리부(30)의 처리 과정을 모사하여 작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O 처리부(30)의 리드 엘리먼트(31)에 대응하는 제 1 RO 셀(310), 엔드 엘리먼트(37)에 대응하는 제 3 RO 셀(370), 그 사이의 미들 엘리먼트(32~36)는 하나의 제 2 RO 셀(320)로 이루어진다.
도 4a와 도 4b는 RO 셀(310, 320, 370)을 이루는 멤브레인을 도시한다.
도 4a의 좌측 도면은 역삼투막 중에서도 나선 방식 멤브레인(spiral wound membrane)의 예시이다. 이러한 종류의 내측에는 다수의 멤브레인이 감겨져 있는바, 그 일부를 작은 크기로 절취한 멤브레인 섹션을 이용하여 RO 셀(310, 320, 370)을 구성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막의 일부를 절취하여 멤브레인 섹션을 준비하고, 그 상단 및 하단에 하우징(도 4b의 좌측 하단)을 부착하고 유로를 설정함으로써, 도 4b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RO 셀(310, 320, 37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b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총 3개의 RO 셀(310, 320, 370)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하우징 크기는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운데의 RO 셀이 제 2 RO 셀(320)에 해당하며, 내측에 포함되는 멤브레인 섹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미들 엘리먼트(32~36)의 크기, 개수, 또는 용량에 상응하게 맞추어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멤브레인 섹션의 크기를 유사하게 하되, 제 2 RO 셀(320)을 다수 사용하거나, 또는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멤브레인의 크기에 비례를 이용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RO 처리 모사부(300)에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 투입되는 원수(또는 전처리수)에 상응하는 양의 유입수를 주입시키면, 결과적으로 RO 처리 모사부(300)의 막오염 진행은 실제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RO 처리부(30)의 막오염 진행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이제, RO 처리 모사부(300)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저장되는 유입수 저장부(100)를 설명한다.
RO 처리 모사부(300)가 RO 처리부(30)를 근사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RO 처리부(30)에 주입되는 전처리수가 유입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수 저장부(100)에는, 원수 온도를 조절하는 수온조절장치(H), 원수를 교반하기 위한 구동기(M)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와 교반 정도를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RO 처리 모사부(300)가 RO 처리부(30)를 근사하게 모사할 수 있다.
유입수 저장부(100)에서 RO 처리 모사부(300)로 투입되는 유입수는,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제어된다. 유입수 저장부(100)에는 그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LS)가 구비된다.
또한, 유입수 저장부(10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밸브(V1)가 구비되고, 유입수 저장부(100)로부터 드레인되는 라인에 다른 밸브(V2)가 구비된다.
또한, 유입수 저장부(100)에서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수가 공급되는 라인에 밸브(V10)가 구비되고,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각각의 라인에는 각각 다른 밸브(V3, V4, V5)가 구비된다.
또한,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는 별도의 고압펌프(HP)가 더 구비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밸브들(V1, V2, V3, V4, V5)과 고압펌프(HP)를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제어부(미도시)는 다른 밸브들(V10, V20, V21, V22) 역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지면 유입수는 농축수와 처리수로 구분된다. 처리수는 별도의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는데, 농축수가 다시 유입수 저장부(100)로 재유입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농축수가 재유입되어야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별로 다른 막오염 정도를 모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농축수가 재유입되기에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는 결국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처리수의 양에 상응하게 되며, 다시 말하면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의 변화는 RO 처리 모사부(300)의 회수율에 상응하며, 또 다르게 표현하면 RO 처리 모사부(300)의 처리수량 내지 농축율에 상응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RO 처리 모사부(300)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기 설정된 비율에 따른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실제 RO 처리부(30)의 처리량에 상응하여 RO 처리 모사부(300)의 처리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RO 처리 모사부(300)의 막오염 진행은 RO 처리부(30)의 막오염 진행에 상응하게 진행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의 감소는 결국 처리수 저장부(400)의 수위 증가에 상응하므로, 처리수 저장부(400)에 별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이를 기준으로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를 추정하여 밸브와 고압펌프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2) 세정 진단 장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는 밸브(V10)를 개방함으로써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RO 처리 모사부(300)에 이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유입수는 실제 RO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원수이다. 후술하겠지만, 처리수 저장부(400)로 이동되는 라인에는 다수의 유량센서(S1, S11, S21, S71) 및 전기전도도센서(S2, S12, S22, S72)가 구비되는데, 유입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이들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유량과 전기전도도는 원수의 수질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기에, 이를 통해서는 정확한 세정 시점을 결정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정 진단 장치를 더 제공한다.
세정 진단 장치에는 시험수 저장부(200)가 구비되고, 이를 통하여 기 설정된 일정한 수질조건의 시험수를 일정한 운전조건으로 적용하며, RO 처리 모사부(300)에 구비된 센서들에 의하여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을 측정함으로써 세정 진단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하 이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수 저장부(200)에는 기 설정된 수질조건의 시험수가 저장되며, 이들은 기 설정된 운전조건으로 RO 처리 모사부(300)에 적용된다.
기 설정된 시험수 운전조건과 수질조건은 실제 운용 중인 RO 처리부(30)의 막의 성질에 따라 또는 막 제조사에 따라 다를 것이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RO 처리부(30)가 SWRO(해수담수용 역삼투막)인 경우]
32,000 mg/L
수온 25도(℃)
55bar
pH8
NaCl 시험수
[RO 처리부(30)가 BWRO(기수용 역삼투막)인 경우]
2,000mg/L
수온 25도(℃)
15.5bar
pH8
NaCl 시험수
한편, 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시험수 저장부(200)에는 별도의 수온조절장치(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시험수를 교반하기 위한 구동기(M)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시험수 저장부(200)는 별도의 밸브(V20)를 통하여 RO 처리 모사부(300)에 연통된다.
후술하겠지만, RO 처리부(30)가 실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RO 처리 모사부(300) 역시 유입수를 막여과 처리하면서 RO 처리부(30)를 모사 중인 모드인 "제 1 모드(mode 1)"에서는 밸브(V10)가 개방되어 RO 처리 모사부(300)와 유입수 저장부(100)가 연통된 상태이며, 이 경우 밸브(V20)는 폐쇄되어 있다.
이와 달리, RO 처리 모사부(300)에 시험수가 유입되고 이를 통하여 실시간 세정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드(mode 2)"에서는 밸브(V10)는 폐쇄되고 밸브(V20)가 개방되어, 시험수 저장부(200)가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된다. 즉, 제 2 모드에서는 원수(즉, 유입수)의 유입이 배제되는 것이다.
또한, 시험수 저장부(200)에는 시험수를 유입시키는 라인에 밸브(V21)이 구비되며, 제 2 모드가 완료된 후 잔여 시험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되는 라인에 밸브(V22)가 구비된다.
후술하겠지만, 제 2 모드에 따라 실시간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밸브(V21)를 계속 개방시켜 시험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서 시험수 저장부(200)의 저장 용량과 무관하게 연속적인 제 2 모드 운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험수 저장부(200)에 별도의 수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어서, 시험수 저장부(200)의 수위가 만수위에 이른 경우 밸브(V21)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수 저장부(400)로 연통되는 배관에는 다수의 유량센서(S1, S11, S21, S71) 및 전기전도도센서(S2, S12, S22, S72)가 구비되어, 제 2 모드들 사이에서의 유량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거나 연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막오염 정도가 세정이 필요한 정도인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수의 유량센서(S1, S11, S21, S71) 및 전기전도도센서(S2, S12, S22, S72)는,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서 처리수가 배출되는 라인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으며(S11, S21, S71 및 S12, S22, S72 참조), 또는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서 합쳐진 처리수가 처리수 저장부(400)로 유입되기 이전의 라인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S1, S2).
전자의 유량센서(S11, S21, S71) 및 전기전도도센서(S12, S22, S72)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RO 셀(310, 320, 370) 마다의 세정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제 운용 중인 RO 처리 장치에서 이들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리드 엘리먼트(31), 미들 엘리먼트(32~36), 엔드 엘리먼트(37) 각각의 세정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리드 엘리먼트(31)에서 엔드 엘리먼트(37)로 진행됨에 따라 농축수(RO brine)의 농축 정도가 증가하므로 막오염이 차이 나게 진행되기에, 이러한 방법은 유용한 효과를 가져온다.
물론, 후자의 유량센서(S1) 및 전기전도도센서(S2)를 사용할 경우, RO 처리 장치 전체의 세정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에 비교하여 각각의 엘리먼트에 대한 정교한 세정은 어려울 수 있으나, 운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엘리먼트마다 세정 시점을 다르게 잡을 경우 세정으로 인한 운용 중지 시간이 증가하는바, 후자에 의한 발명은 운용 및 경제적 관점의 이점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 포함된 막에 대하여 막간차압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측정된 막간차압을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과 비교함으로써 세정 진단을 행하는 것이다. 즉, 유량에 의한 세정 진단 방법, 전기전도도에 의한 세정 진단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막간차압에 의한 세정 진단도 가능하다.
한편, 세정 진단 장치에 의하여 제 2 모드가 실행될 경우 RO 처리 모사부(300)의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서는 처리수와 함께 농축수가 발생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와 동일하게 처리수 저장부(400)로 유동되되 농축수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의 농축수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외부로 드레인될 것이다.
2. 세정 진단 방법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방법은, 제 1 모드와 제 2 모드가 교번적으로 반복되어 실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1 모드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를 위하여 운용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밸브(V10)가 개방되고 밸브(V20)는 폐쇄되어, 유입수 저장부(100)가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시험수 저장부(200)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달리 말하면, 원수인 유입수가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되어 막여과되면서 막오염도 함께 진행되어 RO 처리부(30)를 모사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5a에 순서도로서 도시된다.
제 2 모드는 원수의 유입을 중단하고 시험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원수의 수질조건 등을 배제하여 세정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 등을 고려함으로써 정확한 세정 진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밸브(V20)가 개방되고 밸브(V10)는 폐쇄되어, 유입수 저장부(100)가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지 않고 시험수 저장부(200)는 연통되는 상태이다. 달리 말하면, 원수인 유입수는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되지 않으며, 엄격한 설정 수질조건에 따른 시험수만이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되는 상태이다. 도 5b에 순서도로서 도시된다.
제 1 모드는 일반적으로 1일 내지 7일 정도 지속되나, 이러한 주기는 사용자가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제 2 모드를 운용하는 시간은 RO 처리 모사부(300)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으나, 본 발명자가 실험한 조건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건에서는 약 5분 내지 30분 정도면 족하다. 제 2 모드의 1회당 운영 시간이 짧기에, 제 2 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RO 처리부(30)가 연속적으로 원수를 계속 막여과하여도 RO 처리 모사부(300)가 RO 처리부(30)를 모사하는 정확도가 실질적으로 감소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6은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하는 모든 밸브들(V1, V2, V3, V4, V5, V10, V20, V21, V22)의 개폐와 고압펌프(HP)의 작동을 도시한 것인데, 아래의 설명에서는 제어부에 대한 표현은 생략하도록 한다.
(1) 제 1 모드: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의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를 참조하여, 이를 이용하여 막오염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방법, 즉 제 1 모드를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준비 단계로서, 밸브(V10)는 개방되고 밸브(V20)는 폐쇄되어 있다. 즉, 유입수 저장부(100)가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시험수 저장부(200)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밸브(V1)를 개방하여 유입수 저장부(100)에 유입수가 유입된다(S101). 유입되는 유입수는 RO 처리부(30)에 유입되는 것과 동일하게 전처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에 이른 경우(S102), 밸브(V1)가 폐쇄된다.
이제, 리드 엘리먼트(31)를 모사하는 제 1 RO 셀(310)에 유입수가 유입된다(S110). 이를 위하여, 밸브(V3)가 개방되고 고압펌프(HP)가 작동한다.
유입수가 유입되면 제 1 RO 셀(31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유입수 저장부(100)에 재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RO 셀(310)의 막오염이 진행되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는 점차 낮아진다.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미리 결정한 수위(L1)까지 낮아진 경우(S111) 제 1 RO 셀(310)은 미리 설정한 만큼의 막오염이 진행된 것이므로, 이제 제 2 RO 셀(320)로 진행한다.
미들 엘리먼트(32~36)를 모사하는 제 2 RO 셀(320)에 유입수가 유입된다(S120). 이를 위하여, 밸브(V4)가 개방되고, 밸브(V3)는 폐쇄된다. 고압펌프(HP)는 계속 작동 중이다.
이 때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유입수인 전처리수와 달리, 제 1 RO 셀(310)에서 처리수와 구분된 농축수가 포함된 유입수이므로, 실제 미들 엘리먼트(32~36)로 유입되는 유입수와 유사하다.
유입수가 유입되면 제 2 RO 셀(32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유입수 저장부(100)에 재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RO 셀(320)의 막오염이 진행되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는 점차 낮아진다.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미리 결정한 수위(L2)까지 낮아진 경우(S121) 제 2 RO 셀(320)은 미리 설정한 만큼의 막오염이 진행된 것이므로, 이제 제 3 RO 셀(370)로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엔드 엘리먼트(37)를 모사하는 제 3 RO 셀(370)에 유입수가 유입된다(S130). 이를 위하여, 밸브(V5)는 개방되고, 밸브(V4)가 폐쇄된다. 고압펌프(HP)는 계속 작동 중이다.
이 때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유입수인 전처리수나 제 2 RO 셀(320)로 유입되는 유입수와 달리, 제 2 RO 셀(320)에서 처리수와 구분된 농축수가 포함된 유입수이므로, 실제 엔드 엘리먼트(37)로 유입되는 유입수와 유사하다.
유입수가 유입되면 제 3 RO 셀(37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유입수 저장부(100)에 재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 3 RO 셀(370)의 막오염이 진행되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는 점차 낮아진다.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미리 결정한 수위(L3)까지 낮아진 경우(S131) 제 3 RO 셀(320)은 미리 설정한 만큼의 막오염이 모두 진행된 것이다.
이와 같이 1회의 사이클이 모두 완료되면, 밸브(V5)가 폐쇄되고 고압펌프(HP)는 작동을 정지하며, 유입수 저장부(100)를 드레인하기 위하여 밸브(V2)가 개방된다(S150).
추가 작동이 필요한 경우(S160) 다시 S101 단계로 진행한다.
(2) 제 2 모드: 세정 진단 방법의 설명
도 5b,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모드를 설명한다.
RO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막으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막은, 일반적으로 세정 진단을 위해 시험수 운전조건과 수질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건 하에서 처리수에 대한 초기 유량(Q0)은 물론 세정이 필요한 만큼 막오염이 진행된 상태로 감소한 값인 세정 시점 유량(QCIP)이 미리 정하여져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활용하고자 한다. 전기전도도와 막간차압 역시 마찬가지이다.
사용자는 RO 처리 모사부(300)에 원수를 유입시키기 이전 시점(t0)에, 즉 막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 2 모드에 따라 RO 처리 모사부(300)를 운용할 수 있다.
해당 막이 오염되기 이전이므로, 정확한 세정 진단을 위한 운전조건 및 수질조건에 따른 시험수를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시키게 되면, 막의 품질에 이상이 없는 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유량(Q0) 값이 유량 센서에 의하여 측정될 것이다.
먼저, 준비 단계로서, 밸브(V20)는 개방되고 밸브(V10)는 폐쇄된다. 즉, 시험수 저장부(200)가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유입수 저장부(100)는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밸브(V21)를 개방하여 시험수 저장부(200)에 시험수가 유입된다(S201). 유입되는 시험수의 수질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RO 처리부(30)의 막의 성질 또는 막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운전조건 역시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다.
여기에서, 밸브(V21)는 S201 이후의 단계에서도 계속 개방되어 연속적으로 시험수를 유입시킬 수도 있으며, 만수위가 되는 등 특정 조건에서는 폐쇄될 수도 있다. 즉, 개방(open)이 될 수도, 또는 폐쇄(close)가 될 수도 있는바, 도 6에서는 이를 "o/c"로 표기하였다.
이제, 리드 엘리먼트(31)를 모사하는 제 1 RO 셀(310)에 시험수가 유입된다(S210). 이를 위하여, 밸브(V3)가 개방되고 고압펌프(HP)가 작동한다.
시험수가 유입되면 제 1 RO 셀(31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의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여 드레인된다.
이 과정에서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가 유량센서(S11) 또는 전기전도도센서(S12)에 의해 감지된다. 막간차압이 감지될 수도 있다. 감지된 유량 및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제 1 RO 셀(310)의 막오염 상태를 의미한다. 유량의 예를 들면, RO 처리 모사부(300)에 원수를 유입시키기 이전 시점(t0)에 수행한 제 2 모드에서의 유량은 초기 유량(Q0)이 될 것이며, 제 1 모드를 거쳐 교번적으로 수행되는 그 다음 제 2 모드 수행 시점(t1, t2, t3)에서의 유량이 Q1, Q2, Q3 등으로 표현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시험수 저장부(200)의 수위는 점차 낮아질 수 있으나, 밸브(V21)가 개방되어 있는바 시험수는 지속적으로 유입될 것이다.
기 설정된 시점에 되면(또는 기 설정된 유량만큼의 시험수가 모두 유입되면), 제 1 RO 셀(310)의 세정 진단이 종료되고, 다음 제 2 RO 셀(320)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다음 셀로 진행하는 시점 내지 시험수 유량은 RO 처리 모사부(300)의 운전 상태, 막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
이제, 미들 엘리먼트(32~36)를 모사하는 제 2 RO 셀(320)에 시험수가 유입된다(S220). 이를 위하여, 밸브(V4)가 개방되고, 밸브(V3)는 폐쇄된다. 고압펌프(HP)는 계속 작동 중이다.
전술한 제 1 모드에서는 제 2 RO 셀(320)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제 1 RO 셀(310)의 처리 이후 농축수가 유입수 저장부(100)로 저장된 이후의 유입수이기에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유입수와 수질조건이 상이하였으나, 제 2 모드에서는 동일한 수질조건의 시험수가 제 2 RO 셀(320)로 유입된다. 제 1 모드는 막오염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는 것이었는데 반하여, 제 2 모드는 세정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기에 조건을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다.
제 2 RO 셀(320)에 시험수가 유입되면, 제 1 RO 셀(310)과 동일하게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의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여 드레인되며,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가 유량센서(S21) 또는 전기전도도센서(S22)에 의해 감지된다. 막간차압이 감지될 수도 있다. 감지된 유량 및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제 2 RO 셀(320)의 막오염 상태를 의미한다.
막오염 정도에 따라서는, 제 2 RO 셀(320)에서 감지되는 유량,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은 제 1 RO 셀(310)에서와 다를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의 그래프가 제 1 RO 셀(310)에서와 별도로 제 2 RO 셀(320)에서도 생성된다.
기 설정된 시점이 되면(또는 기 설정된 유량만큼의 시험수가 모두 유입되면), 제 2 RO 셀(320)의 세정 진단이 종료되고, 다음 제 3 RO 셀(370)로 진행한다.
엔드 엘리먼트(37)를 모사하는 제 3 RO 셀(370)에 시험수가 유입된다(S230). 이를 위하여, 밸브(V5)가 개방되고, 밸브(V4)는 폐쇄된다. 고압펌프(HP)는 계속 작동 중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RO 셀(370)로 유입되는 시험수의 수질조건 및 운전조건은 제 1 RO 셀(310) 및 제 2 RO 셀(320)로 유입된 시험수의 수질조건 및 운전조건과 동일하다.
역시 마찬가지로, 제 3 RO 셀(370)에서 RO 처리가 이루어져서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되며,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농축수는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의 라인을 그대로 활용하여 드레인되며,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가 유량센서(S71) 또는 전기전도도센서(S72)에 의해 감지된다. 막간차압이 감지될 수도 있다. 감지된 유량 및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제 3 RO 셀(370)의 막오염 상태를 의미한다. 제 3 RO 셀(370)에서도 별도의 그래프가 생성된다.
기 설정된 시점이 되면(또는 기 설정된 유량만큼의 시험수가 모두 유입되면), 제 3 RO 셀(370)의 세정 진단도 종료된다.
다음, 밸브(V5)가 폐쇄되고 고압펌프(HP)는 작동을 정지하며 시험수 저장부(200)를 드레인하기 위하여 밸브(V22)가 개방된다(S250).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제 2 모드의 진행이 완료되고,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제 3 RO 셀(370)의 세정 진단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서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측정된다. 이러한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 5분 내지 30분 동안에 완료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서의 측정과 더불어, 또는 이를 대체하여, 전체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유량이 유량센서(S1)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전기전도도 역시 전기전도도센서(S2)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막간차압 역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으로 인하여, 전체 RO 처리 모사부(300)의 세정 진단이 추가로 또는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2 모드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밸브(V1)가 개방되어 유입수 저장부(100)에는 유입수가 계속 유입됨으로써, 그 다음의 제 1 모드를 준비할 수도 있다. 물론, 만수위에 이르렀다면 밸브(V1)가 폐쇄될 것이다. 이는 도 6에서 "o/c"로 표기된다.
(3)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의 교번적 수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 2 모드의 수행이 완료되어 유량(Q0)이 측정되면, 제 1 모드가 기 설정된 주기만큼 운영된다. 이에 따라 막오염이 진행될 것이다.
다음, 기 설정된 주기가 경과하면 해당 시점(t1)에 제 2 모드를 운용하여 유량(Q1)을 측정한다. 만약, 이 때에 측정한 유량(Q1)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세정 시점 유량(QCIP)보다 크다면, 세정이 필요할 정도로 막오염이 진행된 것이 아니므로 다시 제 1 모드가 진행된다.
다음, 기 설정된 주기가 경과하면 해당 시점(t2)에 제 2 모드를 운용하여 유량(Q2)을 측정한다. 만약, 이 때에 측정한 유량(Q2)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세정 시점 유량(QCIP)보다 크다면, 세정이 필요할 정도로 막오염이 진행된 것이 아니므로 다시 제 1 모드가 진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기 설정된 주기가 경과하면 해당 시점(t3)에 제 2 모드를 운용하여 유량(Q3)을 측정하였는데, 그 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세정 시점 유량(QCIP)보다 작다면 세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 때에 비로서 실제 운영 중인 RO 처리 장치의 운영이 중지되고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대상 원수의 수온, pH, 전기전도도, 부유물, 유기물 등 수질 변동에 따른 변수를 차단하여, RO 처리 장치는 운전을 계속 하면서도 RO 처리 장치의 분해 없이 온라인으로 정확한 세정 시점을 진단할 수 있다.
전기전도도센서를 통하여 센싱한 전기전도도를 활용하여 전기전도도의 변화량 즉, 제거율 감소를 이용하여도 동일하게 세정 시점을 확인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세정 진단을 위한 운전조건 및 수질조건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세정 시점의 진단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일정 주기 단위로 유량의 변화 정도, 즉 도 7에서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기울기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면, 이는 전처리가 잘못되었거나(또는 부적절했거나), 또는 원수의 수질이 급격히 나빠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한다면, 어떠한 기간(또는 타이밍, 시점)에 전처리 수준이 불량해졌거나 원수 수질이 악화되어 불량해진 것인지 사후 추적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전처리부
20: 전처리부
30: RO 처리부
31, 32, 33, 34, 35, 36, 37: RO 엘리먼트
100: 유입수 저장부
200: 시험수 저장부
300: RO 처리 모사부
310: 제 1 RO 셀
320: 제 2 RO 셀
370: 제 3 RO 셀
400: 처리수 저장부
V1, V2, V3, V4, V5, V10, V20, V21, V22: 밸브
HP: 고압펌프
LS: 수위센서
H: 수온조절장치
M: 구동기
S1, S11, S21, S71: 유량센서
S2, S12, S22, S72: 전기전도도센서

Claims (17)

  1.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세정을 진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입수 저장부(100);
    시험수 저장부(200);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저장된 유입수 또는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며, 상기 역삼투막 베셀을 모사하여 이를 RO 처리함으로써 처리수와 농축수로 구분하는 RO 처리 모사부(300); 및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는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을 포함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는 상기 각각의 RO 셀(310, 320, 370)에 동일한 수질조건 및 동일한 운전조건으로 유입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유량과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을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수의 전기전도도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를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의 처리시 측정된 막간차압과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은 서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을 측정하는 센서는 상기 각각의 RO 셀(310, 320, 37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각각의 RO 셀(310, 320, 370)마다의 세정 시점을 구분하여 결정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1);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부터 드레인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로 유입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각각 구비된 밸브(V3, V4, V5);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부터 유입수가 유출되며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부터 시험수가 유출될 수 있는 라인에 구비된 고압펌프(HP);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의 연결 라인에 구비된 밸브(V1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의 연결 라인에 구비된 밸브(V2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 시험수가 유입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1);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부터 드레인되는 라인에 구비된 밸브(V22)를 더 포함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들(V1, V2, V3, V4, V5)은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그 개폐가 결정되며, 상기 밸브(V10)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고압펌프(HP)는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에 따라 그 작동이 결정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 저장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 저장부(400)의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연산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의 원수 온도를 각각 조절하는 다수의 수온조절장치(H); 및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 및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의 원수를 각각 교반하는 다수의 구동기(M)를 더 포함하는,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7. 제 3 항에 따른 세정 진단 장치;
    원수가 유입되어 전전처리되는 전전처리부(10);
    상기 전전처리부(10)로부터 전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부(20); 및
    상기 전처리부(20)로부터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RO 처리되어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RO 처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RO 처리부(30)가 상기 역삼투막 베셀로서, 서로 연결된 다수의 RO 엘리먼트(element)(31~37)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RO 엘리먼트(31~37)은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최선단의 리드 엘리먼트(lead element)(31), 농축수가 유출되는 엔드 엘리먼트(end element)(37) 및 상기 리드 엘리먼트(31)와 상기 엔드 엘리먼트(37)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미들 엘리먼트(middle element)(32~36)로 이루어지며,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 중 상기 제 2 RO 셀(320)의 크기, 개수 또는 용량의 비율은, 상기 RO 처리부(30) 중 상기 다수의 미들 엘리먼트(32~36)의 크기, 개수 또는 용량의 비율에 상응하는,
    역삼투막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막 베셀은 SWRO 베셀 및 BWRO 베셀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역삼투막 베셀이 SWRO 베셀 및 BWRO 베셀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시험수의 조건이 상이한,
    역삼투막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따른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서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세정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이 이루어지는 제 1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과, 세정 시점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을 포함하며,
    제 1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a)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인 경우, 유입수가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1 수위(L1)인 경우, 제 1 RO 셀(31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2 RO 셀(320)로 유입되는 단계; 및
    (c)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2 수위(L2)인 경우, 제 2 RO 셀(32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3 RO 셀(370)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1)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에 유입되어 처리되고,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측정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과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와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막간차압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과 비교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이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
  10. 제 7 항에 따른 역삼투막 처리 장치에서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세정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실시간 막오염 감시 방법이 이루어지는 제 1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과, 세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을 포함하며,
    제 1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a)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인 경우, 유입수가 제 1 RO 셀(310)에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1 수위(L1)인 경우, 제 1 RO 셀(31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2 RO 셀(320)로 유입되는 단계; 및
    (c)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2 수위(L2)인 경우, 제 2 RO 셀(32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유입수가 제 3 RO 셀(370)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모드에 따른 운용 방법은,
    (1)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가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 내에 저장된 시험수가 상기 제 1 RO 셀(310), 제 2 RO 셀(320) 및 제 3 RO 셀(370)에 유입되어 처리되고, 각각의 RO 셀에서의 처리수의 유량 또는 전기전도도 또는 막간차압이 각각 측정되는 단계; 및
    (2) 상기 (1) 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유량(QCIP)과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전기전도도가 기 설정된 세정 시점 전기전도도와 비교되거나 또는 측정된 막간차압이 기 설정된 세정 시점 막간차압과 비교됨으로써, 상기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시점이 각각의 상기 RO 셀마다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는 교번적으로 수행되는,
    세정 진단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막 처리 장치의 운영 이전에 상기 제 2 모드가 먼저 수행되는,
    세정 진단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 3 수위(L3)인 경우, 제 3 RO 셀(370)로의 유입이 중단되고,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남은 유체가 드레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만수위(L0)에 이르도록, 원수가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로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0) 단계는, 제어부가 밸브(V1)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3)를 개방하며 상기 고압펌프(HP)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4)를 개방하고, 밸브(V3)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5)를 개방하고, 밸브(V4)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압펌프(HP)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밸브(V2)를 개방하고 밸브(V5)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유입수 저장부(100)에 남은 유체가 모두 드레인되었음을 확인한 후 상기 (a0) 단계로 회귀하는,
    세정 진단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이전에,
    (0)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로 기 설정된 수질조건의 시험수가 유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0) 단계는, 제어부가 밸브(V21)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밸브(V3)를 개방하고 상기 고압펌프(HP)를 작동시키며, 이후 기 설정된 시점에 상기 제어부가 밸브(V4)를 개방하고 밸브(V3)를 폐쇄하며, 이후 기 설정된 다른 시점에 상기 제어부가 밸브(V5)를 개방하고 밸브(V4)를 폐쇄하며, 이후 기 설정된 또 다른 시점에 상기 고압펌프(HP)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밸브(V2)를 개방하고 밸브(V5)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계 이후에, 밸브(V22)가 개방되어 상기 시험수 저장부(200)에 남은 시험수가 드레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정 진단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O 처리 모사부(300)의 막오염 상태에 따라, 상기 RO 처리부(30)의 막오염 상태가 감지되는,
    세정 진단 방법.
KR1020150119435A 2015-08-25 2015-08-25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1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35A KR101612231B1 (ko) 2015-08-25 2015-08-25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35A KR101612231B1 (ko) 2015-08-25 2015-08-25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231B1 true KR101612231B1 (ko) 2016-04-14

Family

ID=5580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435A KR101612231B1 (ko) 2015-08-25 2015-08-25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2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23B1 (ko) * 2017-09-08 2018-08-17 효림산업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용해수를 이용한 분리막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척방법
KR101901343B1 (ko) 2017-04-28 2018-09-27 주식회사 멤텍리서치앤컨설팅 역삼투막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906287B1 (ko) 2018-07-16 2018-12-05 (주) 워텍 자동관리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102037008B1 (ko) * 2018-12-28 2019-10-25 주식회사 한화건설 유로 전환 밸브를 이용한 swro 막오염 분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swro 막오염 분산 유지관리 방법
KR20210076485A (ko) * 2019-12-16 2021-06-24 남은경 무정지 삼투역세정공정이 가능한 해수담수화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54B1 (ko) 2015-03-05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역삼투막 베셀 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54B1 (ko) 2015-03-05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역삼투막 베셀 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343B1 (ko) 2017-04-28 2018-09-27 주식회사 멤텍리서치앤컨설팅 역삼투막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889323B1 (ko) * 2017-09-08 2018-08-17 효림산업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용해수를 이용한 분리막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척방법
KR101906287B1 (ko) 2018-07-16 2018-12-05 (주) 워텍 자동관리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102037008B1 (ko) * 2018-12-28 2019-10-25 주식회사 한화건설 유로 전환 밸브를 이용한 swro 막오염 분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swro 막오염 분산 유지관리 방법
KR20210076485A (ko) * 2019-12-16 2021-06-24 남은경 무정지 삼투역세정공정이 가능한 해수담수화방법
KR102276832B1 (ko) * 2019-12-16 2021-07-14 남은경 무정지 삼투역세정공정이 가능한 해수담수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31B1 (ko) 역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533554B1 (ko) 역삼투막 베셀 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 및 방법
JP3902227B2 (ja) 瀘過の監視及び制御システム
US6077435A (en) Filt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hew et al. Advanced process control for ultrafiltration membrane water treatment system
Sioutopoulos et al. Correlation of organic fouling resistances in RO and UF membrane filtration under constant flux and constant pressure
KR101462565B1 (ko) 해수담수화 장치의 역삼투막에 대한 실시간 막오염 포텐셜 감시방법 및 실시간 막오염 포텐셜 감시기능을 가지는 해수담수화장치
KR100979096B1 (ko) 간헐폭기식 공기세정방식을 이용한 막분리 공정의 최적운전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7245084A (ja) 膜ろ過制御装置
Alhadidi et al. Effect of testing conditions and filtration mechanisms on SDI
KR101897864B1 (ko) 정삼투 막오염 예측 장치 및 정삼투 막오염 예측 방법
KR101560524B1 (ko) 정삼투막 베셀 내 실시간 막오염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815932B1 (ko) 고압 정유량 실린지펌프와 여과막을 이용한 다채널 막오염지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Zhan et al. Application of fouling index for forward osmosis hybrid system: A pilot demonstration
CN106215709A (zh) 一种反渗透膜元件测试方法与装置
Ju et al. Multiple MFI measurements for the evaluation of organic fouling in SWRO desalination
CN112752604B (zh) 分离膜模块的检查方法
KR101674831B1 (ko) 정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80100011A (ko) 정삼투-역삼투 처리 공정에서 삼투압 역세정을 이용한 물리 세정 방법
KR101277199B1 (ko) 해수담수화 전처리 장치 및 방법
EP3056259B1 (en) Device for measuring membrane fouling index
KR102218025B1 (ko) 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의 노후화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JP2003210949A (ja) 膜ろ過装置の膜破損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Johnson et al. Issues of operational integrity in membrane drinking water plants
Lipp State of the art in drinking water treatment by MF/UF in Germany—a survey among MF/UF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