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898B1 - 온도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898B1
KR101610898B1 KR1020140044112A KR20140044112A KR101610898B1 KR 101610898 B1 KR101610898 B1 KR 101610898B1 KR 1020140044112 A KR1020140044112 A KR 1020140044112A KR 20140044112 A KR20140044112 A KR 20140044112A KR 101610898 B1 KR101610898 B1 KR 10161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loads
loa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361A (ko
Inventor
박우만
Original Assignee
박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만 filed Critical 박우만
Priority to KR102014004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98B1/ko
Priority to PCT/KR2015/003589 priority patent/WO201516014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온도를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에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전력을 차단하고 다음의 난방부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조절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열선 또는 히팅 레일 등과 같은 발열부재에 전력을 인가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의 난방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난방기기들은 통상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발열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발열부재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상기 발열부재가 발열되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난방기기는 통상적으로 상기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축적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난방기기는 전력이 차단되는 시간부터 빠르게 난방온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발열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축적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난방기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축열 기능이 있는 난방기기는 상기 발열부재를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발열부재의 상부에는 모르타르 등과 같이 열을 축적할 수 있는 축열부재를 소정의 두께로 타설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이러한 축열식의 난방기기들은 온돌과 같은 원리로서 상기 발열부재에서 발열된 열이 축열부재에 축열되고, 상기 축열부재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장시간동안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축열식 난방기기들은 요구되는 온도로 난방하기까지 다소의 시간이 소요되나, 축열부재에 요구되는 난방온도가 축열된 이후에는 전력이 차단되더라도 축열부재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축열식 난방기기들은 축열부재에 요구되는 온도가 축열된 이후에는 난방전력이 차단되더라도 축열부재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해당 온도를 유지하면서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축열식 난방기기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요구되는 온도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62호(2013. 03. 07. 등록)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온도조절장치가 복수의 난방기기들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시킬 전력공급시간을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온도조절장치가 상기 복수의 난방기기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기기의 난방부하에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여 난방부하를 발열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난방기기들 전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난방기기들 전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전력을 공급하므로 복수의 난방기기들 전체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체 전력량이 비하여, 전력량이 적은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난방기기들 전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하나의 온도조절장치가 상기 복수의 난방기기들을 모두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상기 복수의 난방기기들 중에서 특정의 난방부하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없고, 또한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전력공급시간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온도를 각기 상이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62호(2013. 03. 07.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온도를 각기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온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전원을 오프한 난방기기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발열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서버를 두고, 하나의 온도조절장치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난방기기들에 난방 예약시간을 설정하고, 설정한 난방 예약시간이 될 경우에 해당 난방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온도조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일실시 예는,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에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전력을 차단하고 다음의 난방부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 부하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해당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시간은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에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합산하여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될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다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다음 난방부하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의 전력공급시간을 합산한 전체 전력공급시간은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은,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온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전원을 오프한 난방기기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발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온도조절장치로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온도를 각기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전원을 오프한 난방기기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은 서버를 구비하여 복수의 온도조절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버에서 복수의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온도조절장치들 각각이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은 복수의 난방기기들에 각각 난방 예약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정한 난방 예약시간이 될 경우에 해당 난방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이 적용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방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인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이 적용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하나의 온도조절장치이고, 부호 200, 201, …, 20N은 복수의 난방기기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발열선 또는 히팅 레일 등의 발열부재인 복수의 난방부하들이며, 부호 250은 상기 온도조절장치(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서버이다.
상기 하나의 온도조절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난방기기들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발열시키기 위한 난방전력 예를 들면, 상용 교류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절장치(10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110)와, 표시부(120)와, 메모리(130)와, 통신부(140)와, 난방 컨트롤러(150)와, 복수의 스위칭부(160, 161, …, 16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난방온도를 모두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과 난방온도를 각기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을 설정함과 아울러 난방온도를 0단 내지 9단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하나의 온도조절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된 난방온도의 단수인 0∼9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설정된 난방 예약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난방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중에서 현재 선택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에는 상기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에 미리 설정되는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1∼10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으로서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모두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의 발열능력과, 축열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 축열부재의 축열능력 등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의 설정온도 0∼9 범위의 단수에 따라,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의 범위 내에서 해당 난방부하(200, 201, …, 20N)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시간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30)는 플래시 타입(flash type) 메모리,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메모리,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메모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250)가 설정하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난방온도를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40)는 유선 통신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서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서버(250)로부터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난방 예약시간 및 난방온도를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을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의 온도를 0∼9 범위의 단수로 각기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과 설정온도의 단수를 상기 메모리(130)를 통해 확인하며, 확인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해당되는 전력공급시간동안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로 전력을 공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부호 160, 161, …, 16N은 복수의 스위칭부이다.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160, 161, …, 16N)들 각각은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여기서, 하나의 온도조절장치(100)가 하나의 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250)가 전송하는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서버(250)와 복수의 온도조절장치(100)가 통신을 수행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난방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난방 컨트롤러(150)는 먼저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하고(S300), 통신 수행결과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판단 결과 상기 서버(25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동작명령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04).
그리고 상기 서버(250)로부터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명령,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6).
판단 결과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명령,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선택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또는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08).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 및 상기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명령을 상기 메모리(130)에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상기 메모리(130)에 갱신 저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가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모리(150)에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저장되면,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S310).
그리고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30)를 검색하여,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12),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설정된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4).
상기 판단 결과,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설정된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검색하여 판단한다(S316).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1∼10분의 범위 내에서 미리 고정적으로 일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의 축열능력이 모두 동일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에 모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축열능력이 상이할 경우에 상기 축열능력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판단되면,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30)를 통해,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에 대하여 설정된 난방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한다(S318).
상기 난방 설정온도의 단수가 판단되면,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현재 선택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0).
여기서, 상기 전원의 오프상태 판단은 예를 들면,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난방 설정온도 단수가 0일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아닐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설정온도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동안 해당 스위칭부(160) 또는 스위칭부(161, …, 16N)를 접속시켜 난방전력을 공급한다(S322).
즉,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설정온도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동안 스위칭부(150) 또는 스위칭부(151, …, 15N)를 접속시켜 전력을 공급 및 발열되게 하고, 상기 전력공급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해당 스위칭부(160) 또는 스위칭부(161, …, 16N)를 개방시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로 전력을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320)에서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322)에서 난방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24),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상기 단계(S300)로 복귀하여 동작명령의 수신 또는 동작명령의 입력을 판단하는 동작부터 반복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방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인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난방 컨트롤러(150)는 먼저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하고(S400), 통신 수행결과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2).
판단 결과 상기 서버(25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동작명령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404).
그리고 상기 서버(250)로부터 소정의 동작명령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명령,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6).
판단 결과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명령,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선택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의 난방 예약시간 또는 설정온도 등을 비롯한 소정의 동작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408).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일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 및 상기 서버(25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명령을 상기 메모리(130)에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상기 메모리(130)에 갱신 저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난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먼저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전체에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판단한다(S410).
여기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모두에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미리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 각각에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합산하여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판단되면,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한다(S412).
그리고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30)를 검색하여,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414),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설정된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6).
상기 판단 결과,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설정된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현재 선택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에 설정된 난방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한다(S418).
그리고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현재 선택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상기 전원의 오프상태 판단은 예를 들면,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설정온도 단수가 0일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아닐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설정온도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동안만 해당 스위칭부(150) 또는 스위칭부(151, …, 15N)를 접속시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로 전력을 공급한다(S422).
즉,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설정온도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동안만 스위칭부(150) 또는 스위칭부(151, …, 15N)를 접속시켜 전력을 공급 및 발열되게 하고, 상기 전력공급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해당 스위칭부(150) 또는 스위칭부(151, …, 15N)를 개방시켜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로 전력을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단계(S420)에서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422)에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른 전력공급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전체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이 모두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4).
상기 전체 난방부하(200, 201, …, 20N)들의 선택이 모두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150)는 상기 단계(S412)로 복귀하여 다음의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난방 예약시간의 설정 여부 및 난방 설정온도에 따라 해당 난방부하(200) 또는 난방부하(201, …, 20N)들로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424)에서 전체 난방부하(200, 201, …, 20N)의 선택이 모두 완료되었을 경우에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26),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상기 단계(S400)로 복귀하여 서버(250)와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부터 반북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온도조절장치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메모리
140 : 통신부 150 : 난방 컨트롤러
160, 161, …, 16N : 스위칭부 200, 201, …, 20N : 난방부하
250 : 서버

Claims (17)

  1.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에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다음의 난방부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여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현재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해당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시간은 상기 전력공급 허용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온도조절방법.
  9.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에 설정된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합산하여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다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 난방온도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복수의 난방부하들 각각의 난방 예약시간 및 설정된 난방온도를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에 난방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난방 예약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력공급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다음 난방부하를 순차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난방부하의 설정온도의 단수가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난방부하들의 전력공급시간을 합산한 전체 전력공급시간은 상기 전체 전력공급 허용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온도조절방법.
KR1020140044112A 2014-04-14 2014-04-14 온도조절방법 KR10161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12A KR101610898B1 (ko) 2014-04-14 2014-04-14 온도조절방법
PCT/KR2015/003589 WO2015160144A1 (ko) 2014-04-14 2015-04-10 온도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12A KR101610898B1 (ko) 2014-04-14 2014-04-14 온도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61A KR20150118361A (ko) 2015-10-22
KR101610898B1 true KR101610898B1 (ko) 2016-04-11

Family

ID=5432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12A KR101610898B1 (ko) 2014-04-14 2014-04-14 온도조절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898B1 (ko)
WO (1) WO20151601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5297A (zh) * 2017-03-24 2017-06-23 成都扬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点监测的取暖器温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097Y1 (ko) * 2001-08-31 2001-12-24 박인성 다중온도 조절장치
KR100790597B1 (ko) * 2006-07-11 2008-01-02 박진수 난방용 온수분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43362B1 (ko) * 2012-08-21 2013-03-13 박우만 전기총량 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097Y1 (ko) * 2001-08-31 2001-12-24 박인성 다중온도 조절장치
KR100790597B1 (ko) * 2006-07-11 2008-01-02 박진수 난방용 온수분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43362B1 (ko) * 2012-08-21 2013-03-13 박우만 전기총량 절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5297A (zh) * 2017-03-24 2017-06-23 成都扬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点监测的取暖器温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144A1 (ko) 2015-10-22
KR20150118361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4804B2 (ja) 温度制御システム及び温度制御方法
EP3116247B1 (en) Home automation device pairing by nfc-enabled portable device
EP3941163A1 (en) Commissioning load control systems
US11609018B2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apparatuses in linkage
CN105788214A (zh) 遥控控制方法、遥控器和遥控控制系统
US10697650B2 (en) Automatic balance valve control
EP3124885B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JP4794176B2 (ja) アドレス自動設定方法及びアドレス自動設定システム
KR101610898B1 (ko) 온도조절방법
US11153709B2 (en) Method of adjusting bluetooth connectivity for expediting access controls
EP3795916B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2008190853A (ja) 空気調和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US20180153024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JPWO2017017791A1 (ja) 判定支援装置、判定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94208A (ja) 制御装置、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方法
JP5815314B2 (ja) 保守作業用端末装置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0228154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698396A (zh) 热水机及其控制方法和装置和移动通讯终端
KR20180054106A (ko) 스마트 조명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4636226A (zh)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存储介质
JP2016031179A (ja) 制御システム、最適解選択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140683A (zh) 空调及空调导风条的调整方法、装置
CN103322649A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
CN104266313A (zh) 一种控制调整方法、装置和空调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