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37B1 -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37B1
KR101610437B1 KR1020130120031A KR20130120031A KR101610437B1 KR 101610437 B1 KR101610437 B1 KR 101610437B1 KR 1020130120031 A KR1020130120031 A KR 1020130120031A KR 20130120031 A KR20130120031 A KR 20130120031A KR 101610437 B1 KR101610437 B1 KR 10161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uter body
inner body
whee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473A (ko
Inventor
신성수
정희석
정세훈
홍덕화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X-shaped or fork-shaped construction, i.e. having members which form an X or fork as the frame is seen in plan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시 차량 점유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주차공간의 축소와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차난 해소에 기여할 수 있고, 주차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골격 프레임에 차체 패널을 조립하여 구성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교차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교차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양측의 바디가 상대 회전하여 교차 각도가 조절될 경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설치된 전륜과 후륜 간의 휠 베이스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Vehicle having joint connected body}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공간의 축소와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차난 해소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신개념의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한 가구당 한 대 이상의 차량을 소유할 정도로 차량 등록대수가 늘면서 자동차 산업이 더욱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차량 등록대수는 꾸준한 증가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정해진 지역 내에서 차량 대수의 증가는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자동차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주차난 문제가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다.
차량 증가추세에 따른 주차공간 부족의 문제는 도심과 같은 인구 밀집지역은 물론이고 급격한 인구 유입으로 차량 대수가 늘고 있는 지역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 등과 같이 차량 대수가 급격히 증가추세에 있는 국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공간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공간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주변 지역을 개간하거나 주차타워를 신설하여 새로운 주차공간을 확보하거나,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한정된 주차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주차시의 차량 간격을 조절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주차 배치를 변경하고 있지만, 이 역시 한정된 효과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새로운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개발을 통해 주차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주차시에 차량이 점유하는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주차난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골격 프레임에 차체 패널을 조립하여 구성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교차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교차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양측의 바디가 상대 회전하여 교차 각도가 조절될 경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설치된 전륜과 후륜 간의 휠 베이스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에 의하면,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상대 회전하여 교차 각도가 조절될 경우 전륜과 후륜 간의 휠 베이스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 차체 구조를 가짐으로써 주차시 차량 점유 공간이 축소될 수 있고, 주차공간의 축소와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차난 해소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의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각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주차 모드와 편의 모드로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사이에 설치된 각도조절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시 차량 점유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주차공간의 축소와 주차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차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의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체를 구성하는 이너 바디(inner body)(10)와 아우터 바디(outer body)(20)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인트 연결된 구조, 즉 'X' 자 형태로 교차 배치되어 양측의 바디(10,20)가 교차점 위치에서 힌지 결합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바디(20)는 이너 바디(10)에 그 바깥쪽에서 조인트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X' 자 형태의 구조에서 양측 바디(10,20)의 교차부인 힌지결합부 아래의 이너 바디(10) 하부와 아우터 바디(20) 하부가 도로상에서 바퀴(11,21)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되고,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이너 바디(10) 상부와 아우터 바디(20) 상부가 주행시나 주차시 상측으로 위치되는 차체 상부가 된다.
여기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는 각각 골조 역할을 하는 골격 프레임(13,22)에 차체 형태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차체 패널(14,23)(보강패널, 보강멤버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을 조립하여 차체 부분을 이루도록 한 구성부이다.
특히, 이너 바디(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와 승객이 탑승하게 되는 승객실(cabin)로 구성되는 바디(차체) 부분으로, 이너 바디(10)에 탑승자(운전자/승객)를 수용할 수 있는 탑승 및 거주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사이드 패널 및 플로어 패널 등과 같이 승객실 구성에 필요한 각종 패널(14)류와 트림(trim)류가 조립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바디(10)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승객실 내부에는 탑승자 착석을 위한 시트(12)가 설치된다.
그 밖에,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승객실에는 차량 운전에 필요한 기본 구성인 조향장치, 클러스터와 같은 정보제공장치, 차량의 가/감속 및 제동 조작, 주차 조작 등 운전조작 및 차량조작에 필요한 각종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운전장치들이 탑재된다.
상기 아우터 바디(20)는 이너 바디(10)에 조인트 연결되어 지상에서 이너 바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우터 바디(20)가 이너 바디(10)와 함께 지면을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에는 모두 바퀴(차륜, 즉 전륜과 후륜)(11,21)가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에 각각 좌우측으로 바퀴(11,21)가 장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고, 이너 바디(10)의 바퀴(11)를 전륜), 아우터 바디(20)의 바퀴(21)를 후륜으로 하여 4륜으로 주행하는 차량 구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주행을 위한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구동계가 탑재되어야 하며, 차량 구동을 위한 내연기관 또는 구동모터가 탑재되어 동력장치로 사용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력장치로 인휠 모터(In-Wheel Motor)를 포함하는 구동계가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휠 모터가 장착될 경우 각 바퀴마다 모터, 감속기, 브레이크 등이 모듈화되어 장착되므로, 복잡한 동력전달계와 연료공급계, 배기계를 구비해야 하는 내연기관을 적용할 경우와, 복잡한 동력 전달 및 분배가 요구되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동력장치로 적용할 경우에 비해, 장치 구성과 그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회생제동 및 각 바퀴의 독립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인휠 모터 차량으로 구성할 경우 동력원으로 배터리와 같은 축전 및 급전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야 하고, 더불어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차량 내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들이 차량에 함께 탑재된다.
한편, 도 3은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골격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각 골격 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프레임(13,22)은 좌우 양측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13a,22a)와, 상기 좌우 양측의 두 사이드 멤버(13a,22a)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멤버(13b,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에서 각 프레임(13,22)의 하단에는 좌우측의 각 바퀴(11,21)가 장착 지지되는 휠 장착부(13c,22c)가 구비된다.
또한 이너 바디(10)의 사이드 멤버(13a)와 아우터 바디(20)의 사이드 멤버(22a)는 좌우 양측에서 각각 'X'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어 그 교차점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횡축(24)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좌우 양측 각 사이드 멤버(13a,22a)에서 교차 중심이 되는 위치에 각각 브라켓(15a,25a)이 설치되고, 각 브라켓(15a,25a)에는 베어링(15b,25b)이 장착된다.
또한 횡축(24)은 각 사이드 멤버(13a,22a)에서 상기 베어링(15b,2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이너 바디(10)의 골격 프레임(13,22)과 아우터 바디(20)의 골격 프레임(13,22)이 횡축(24) 및 베어링(15b,25b)에 의해 'X' 자 형태로 힌지 결합된 바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결국, 상기한 바디 결합 구조에 의해 승객실을 구성하게 되는 이너 바디(10)와, 이너 바디(10)를 지지하는 아우터 바디(20)가 횡축(24)을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상대 회전될 수 있는 자유도를 갖게 되고, 이때 횡축(24)은 양측 바디(양측 골격 프레임) 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횡축(24)은 각 골격 프레임(13,22)의 베어링(15b,25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아우터 바디(20) 바깥쪽에서 아우터 바디측 패널(23)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데, 앞서 횡축(24)이 아우터 바디(20)의 사이드 멤버(22a)와도 베어링(25b)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횡축(24)은 적어도 이너 바디(10)에 대해서만 베어링 지지가 이루어지면 된다.
따라서, 횡축(24)을 아우터 바디(20)의 패널(23)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아닌 아우터 바디(20)의 사이드 멤버(22a)에 직접 고정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도 6은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프레임이 'X' 자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 6에서 (a)는 주차 모드, (b)는 주행 모드, (c)는 편의 모드의 차체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프레임(13,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횡축(24)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수단(도 9에서 도면부호 30임)의 구동에 의해 상대 회전될 경우 바디 간의 교차 각도가 조정될 수 있고, 특히 교차 각도가 변경될 경우 각 바디(10,20) 하단부에 장착된 전륜(11)과 후륜(21) 간의 거리, 즉 차량의 휠 베이스가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차체 구조에서는 주차 모드에서 휠 베이스가 축소될 수 있게 바디를 접어줌으로써 주차공간을 줄일 수 있고(b), 주행 모드에서는 휠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바디를 전개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
여기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가 접혀지는 동작상태는 양측 바디가 휠 및 바퀴(11,21)를 중심으로 동시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방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전개되는 동작상태는 양측 바디가 소정의 경사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휠 및 바퀴(11,21)를 중심으로 동시에 하방 회전하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차량에서는 이원화된 이너 바디(10)(승객실)와 아우터 바디(20)가 'X'자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차체 구조에 의해 주행과 주정차 상황에 맞게 휠 베이스를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주차시에는 차량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주차 자유도 향상의 이점이 있음).
또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교차 각도를 조정하게 되면 휠 베이스의 조절과 동시에 시트 착좌 높이(H-point) 및 착좌 자세가 변경될 수 있는바, 다양한 형태의 착좌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시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조절장치(미도시됨), 예컨대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시트(12)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를 조절해주는 시트조절장치가 이너 바디(10)의 승객실에 구성된다면, 바디의 여러 각도에 따라 시트(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착좌 자세의 변화 없이 안정된 자세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도 8은 주차 모드와 편의 모드로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주차 모드에서는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가 세워지면서 휠 베이스가 축소될 수 있는바, 좁은 주차공간에서도 주차가 가능하고, 한정된 주차공간에서 보다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되므로 주차공간의 효율적 활용 및 주차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 상태를 편의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6의 (c)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바디(10)(승객실)와 아우터 바디(20)를 모두 수평상태로 눕혀 양측 바디가 겹쳐지도록 하는 편의 모드로 변경할 경우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편히 쉴 수 있고, 더불어 차량 내 공간을 넓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6은 편의 모드에서 이용되는 이너 바디(10)의 안착홈부(16)(패널에 형성함)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착홈부(16)에는 아우터 바디(20) 하단에 구비되는 크로스 멤버(22b)가 삽입되며,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가 포개지도록 눕혀질 경우 아우터 바디(20)의 크로스 멤버(22b)가 안착홈부(16)에 삽입됨으로써 이너 바디(10)가 아우터 바디(20)에 안착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차량 바디가 주행 모드, 주차 모드, 편의 모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바, 모드 변환 및 바디의 각도 조정을 위해 각도조절수단(30)이 구비되며, 이는 위치결정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텝 모터(31)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동식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텝 모터(31)는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 간의 상대 회전을 위하여 양측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대측 바디를 횡축(힌지축)(24)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9는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전각 규제가 가능한 스텝 모터(31)를 브라켓(미도시)에 지지시켜 이너 바디(10)(예, 골격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나 사이드 멤버 등 위치)에 장착하고, 스텝 모터(31)의 회전축과 횡축(양측 바디 간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24) 사이에 동력전달수단(32)을 개재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2)은 복수 개의 기어들이 조합 구성된 기어장치가 될 수 있으며, 교차 각도의 제어를 위해 스텝 모터(31)가 구동하면 규제된 회전각도로 횡축(24)이 회전되고, 횡축(24)의 회전각도가 규제되면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교차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결국, 운전자가 승객실 내 조작장치(미도시)를 조작할 때, 그 조작신호를 제어장치(미도시)가 입력받아 스텝 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 이너 바디(10)에 장착된 스텝 모터(31)의 구동에 의해 횡축(24)이 회전되면,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가 상대 회전되면서 양측 바디 간의 교차 각도가 원하는 만큼 조절될 수 있다.
모드 전환을 위해 각도조절수단(30)의 구동과 더불어 바퀴(11,21)가 보조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데, 그 예로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의 전환시에 아우터 바디(20)의 후륜(21)이 제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너 바디(10)의 전륜(11)을 후진 구동시킬 경우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가 모두 세워지면서 주차 모드로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전륜 제동과 후륜 구동(전진)으로도 주차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의 변환시에도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한쪽을 제동상태로 두고 나머지 한 쪽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행 동안 승객이 탑승한 승객실 내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아우터 바디(20)와 이너 바디(10) 간에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40)이 개재될 수 있다.
충격흡수수단(4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 아래에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쇽업소버(41)와 스프링(42)이 조합된 구성이 될 수 있는바, 쇽업소버(41)와 스프링(42)이 힌지결합부의 서스펜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쇽업소버(41)는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도록 링크기구(43)를 매개로 바디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기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링크기구(43)가 함께 움직이면서 교차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쇽업소버(41)와 스프링(42)이 조합된 충격흡수수단(40)이 힌지결합부 하측에서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의 양측 사이드 멤버(13a,22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실시예의 차량에서 구동계는 스프링상질량(sprung mass)에 해당하는 이너 바디(10)의 구동계와 스프링하질량(unsprung mass)에 해당하는 아우터 바디(20)의 구동계로 구성된다.
가진원이 노면상태라 할 때 진동은 직접적으로 전륜(11)과 후륜(21)의 타이어로 먼저 전달되는데, 실시예의 차량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체 구성을 이너 바디(10)와 아우터 바디(20)로 이원하여 그 사이에 쇽업소버(41)와 스프링(42)을 개재하였으므로 주요 전달계는 이들로 구성되는 힌지결합부의 서스펜션이 된다.
따라서, 스프링(42)하질량을 감소시켜 승객실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저중심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이너 바디 11 : 전륜(바퀴)
12 : 시트 13 : 골격 플레임
13a : 사이드 멤버 13b : 크로스 멤버
13c : 휠 장착부 14 : 패널
15a : 브라켓 15b : 베어링
16 : 안착홈부 20 : 아우터 바디
21 : 후륜(바퀴) 22 : 골격 프레임
23 : 패널 22a : 사이드 멤버
22b : 크로스 멤버 22c : 휠 장착부
23 : 패널 24 : 횡축
25a : 브라켓 25b : 베어링
30 : 각도조절수단 31 : 스텝 모터
32 : 동력전달수단 40 : 충격흡수수단
41 : 댐퍼 42 : 스프링
43 : 링크

Claims (11)

  1. 각각의 골격 프레임에 차체 패널을 조립하여 구성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교차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우터 바디가 교차점 위치에서 이너 바디 바깥쪽으로 조인트 결합되고, 양측 바디의 교차부인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이너 바디 하단부와 아우터 바디 하단부에 전륜과 후륜의 차륜이 장착되고,
    동력장치로서 전륜과 후륜의 각 바퀴에 인휠 모터(In-Wheel Motor)가 장착되어, 급전장치를 동력원으로 하는 인휠 모터의 구동으로 주행하면서, 제어장치에 의한 인휠 모터 제어를 통하여 각 바퀴의 독립 제어가 가능한 인휠 모터 차량으로 구성되며,
    주행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 전환 시 바퀴의 구동을 통해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되, 전류과 후륜 중 어느 한 쪽을 제동상태로 두고 나머지 한 쪽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져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설치된 전륜과 후륜 간의 휠 베이스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에 탑승자를 위한 시트와 조향장치, 그리고 차량 가/감속 및 제동 조작, 주차 조작을 포함하는 운전조작 및 차량조작에 필요한 조작기구가 탑재되어 승객실이 구성되고,
    상기 이너 바디의 승객실에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시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를 조절해주는 시트조절장치가 구비되어, 바디의 여러 각도에 따라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착좌 자세의 변화없이 안정된 자세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골조를 이루고 있는 골격 프레임은 좌우 양측에 길게 배치되는 사이드 멤버와, 상기 좌우 양측의 사이드 멤버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너 바디의 사이드 멤버와 아우터 바디의 사이드 멤버가 좌우 양측에서 각각 'X'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의 사이드 멤버와 아우터 바디의 사이드 멤버는 교차점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횡축을 힌지축으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횡축은 양단부가 아우터 바디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상태로 이너 바디의 좌우 양측 각 사이드 멤버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횡축은 양단부가 아우터 바디의 좌우 양측 각 사이드 멤버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각각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아우터 바디의 패널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어 차체를 구성하는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는 서로에 대한 상대 회전을 통하여 'X' 자 형태로 교차 배치된 상태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주행 모드와;
    상기 주행 모드에 비해 양측의 바디 모두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휠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축소된 상태로 있게 되는 주차 모드와;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가 모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있게 되는 편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9. 청구항 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의 교차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양측의 바디가 상대 회전하여 교차 각도가 조절될 경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에 설치된 전륜과 후륜 간의 휠 베이스가 조정될 수 있게 되되,
    각도조절수단은 양측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대측 바디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회전각 규제가 가능한 스텝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스텝 모터를 이너 바디에 설치하고
    아우터 바디에 일체 결합된 상태로 아우터 바디에 이너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과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동력전달수단을 개재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사이에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양측 바디 간 힌지결합부 아래에서 이너 바디와 아우터 바디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쇽업소버와 스프링이 조합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KR1020130120031A 2013-10-08 2013-10-08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KR10161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031A KR101610437B1 (ko) 2013-10-08 2013-10-08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031A KR101610437B1 (ko) 2013-10-08 2013-10-08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73A KR20150041473A (ko) 2015-04-16
KR101610437B1 true KR101610437B1 (ko) 2016-04-07

Family

ID=5303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031A KR101610437B1 (ko) 2013-10-08 2013-10-08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00A (ja) * 2003-10-10 2005-04-28 Toyota Motor Corp 乗り物
JP2005231415A (ja) 2004-02-17 2005-09-02 Toyota Auto Body Co Ltd ホイールベース可変式車輌
JP2010167809A (ja) 2009-01-20 2010-08-05 Aisin Seiki Co Ltd 車両及び姿勢制御システム
JP2013112096A (ja) 2011-11-28 2013-06-10 Kobot Co Ltd ホイールベース可変型車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00A (ja) * 2003-10-10 2005-04-28 Toyota Motor Corp 乗り物
JP2005231415A (ja) 2004-02-17 2005-09-02 Toyota Auto Body Co Ltd ホイールベース可変式車輌
JP2010167809A (ja) 2009-01-20 2010-08-05 Aisin Seiki Co Ltd 車両及び姿勢制御システム
JP2013112096A (ja) 2011-11-28 2013-06-10 Kobot Co Ltd ホイールベース可変型車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73A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9413B1 (ko) 자동차용 휠 모듈
JP4541201B2 (ja) 自動車
JP5728019B2 (ja) 四輪自動車
CN205615576U (zh) 具有四轮轮边电机驱动和四轮独立转向的电动汽车底盘总成
KR20210099558A (ko) 자동차용 휠 모듈 및 해당 자동차
JPH10278596A (ja) 電気自動車
WO2022134087A1 (zh) 一种悬架结构、角模块系统及汽车
CN102015419A (zh) 带有至少一个存储箱的多用途车辆
US6808033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00320499B1 (ko)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JP3840461B2 (ja) 8輪駆動の電気自動車
KR101610437B1 (ko) 조인트 연결형 차체 구조를 가지는 차량
JP4624151B2 (ja) 自動車の操舵装置
JP6999130B2 (ja) 電動式乗用車両
JP3369546B2 (ja) 電気自動車
CN212473787U (zh) 一种可折叠自平衡电动汽车
CN207997909U (zh) 一种可伸缩上移式微型电动汽车
KR20220063372A (ko) 자동차용 휠 일체형 서스펜션 및 스티어링 장치
CN208393558U (zh) 三轮汽车
WO2019207879A1 (ja) 電動車両
CN113492735B (zh) 一种汽车座椅及其防抖装置、具有该座椅的汽车
CN108045438A (zh) 一种可伸缩上移式微型电动汽车
CN214647608U (zh) 一种前轮麦弗逊独立悬挂新能源车
CN211676259U (zh) 碰碰车
JP3943384B2 (ja) キャビン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