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42B1 -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42B1
KR101610342B1 KR1020150001437A KR20150001437A KR101610342B1 KR 101610342 B1 KR101610342 B1 KR 101610342B1 KR 1020150001437 A KR1020150001437 A KR 1020150001437A KR 20150001437 A KR20150001437 A KR 20150001437A KR 101610342 B1 KR101610342 B1 KR 10161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mart card
information
nfc module
wireless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158A (ko
Inventor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큐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큐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큐온
Priority to KR102015000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56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 H04B5/006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i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transceiver
    • H04B5/48

Abstract

본 발명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NFC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의 번호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스마트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분할한 면적 중 하나인 1번 위치에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할 면적 중 다른 하나인 2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인 3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3번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 후면 분할 면적을 순서대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이 확인되면 그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로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NFC모듈이 활성화되면 표시부를 통하여 내장 안테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Wireless Antenna Position Detection System of Mobile Terminal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 안테나 위치 확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은행의 금융거래 또는 구매 시스템에의 로그인과 같은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보안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 시에 근거리 통신을 하게 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와의 거리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가 제조 회사마다 상이하여 내장 안테나 위치에 스마트 보안 카드를 정확히 근접시켜야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와의 근거리 통신이 에러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29227호(2013. 11. 14.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무선인식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무선인식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는 저장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순위 정보와 소정의 응답 처리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RFID 단말기(500)에서 고유 ID 정보 요청시, 상기 보조 ID 정보에 포함된 응답 순위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시간 및/또는 응답 요청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유 ID 정보를 추출하여 소정의 RFID 단말기(5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200)를 이용하는 RFID 운용 시스템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RFID 운용 시스템은 고유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 이외에 소정의 응답 순위(Priority)를 결정하는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RFID 태그(200), 그리고 상기 RFID 태그(200)에 구비된 보조 ID 정보 저장영역에 기록할 소정의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데이터를 생성 및/또는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보조 ID 정보 생성/추출부와, 상기 보조 ID 정보 생성/추출부가 생성 및/또는 추출한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데이터를 상기 RFID 태그(200)에 구비된 보조 ID 정보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정보 기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RFID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RFID 운용 시스템은 고유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 이외에 소정의 응답순위(Priority)를 결정하는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RFID 태그(20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200)로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RFID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200)는, 상기 RFID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답 시간 및/또는 응답 요청 시점을 산출 및/또는 결정하고, 상기 산출 및/또는 결정된 응답 시간 및/또는 응답 요청 시점에 상기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고유 ID 정보를 상기 RFID 단말기(5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RFID 운용 시스템은 고유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 이외에 소정의 응답순위(Priority)를 결정하는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RFID 태그(20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200) 중 특정 RFID 태그(200)로 소정의 정보 요청을 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RFID 태그(200) 보조 ID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요청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정보 요청 명령을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200)로 송신하는 RFID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개의 RFID 태그(200)는 상기 RFID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 요청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가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여, 대응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고유 ID 정보를 상기 RFID 단말기(5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RFID 태그(200)는 소정의 RFID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또는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용 필드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구비된 데이터 필드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RFID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태그(200)의 메모리부는, 고유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 이외에 소정의 응답 순위(Priority)를 결정하는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ID단말기로부터 고유 ID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조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순위 정보(또는 보조 ID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답 시간 및/또는 응답 요청 시점을 산출 및/또는 결정하고, 상기 산출 및/또는 결정된 응답 시간 및/또는 응답 요청 시점에 상기 고유 ID 정보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고유 ID 정보를 상기 RFID 단말기(500)로 송신토록 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인식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는 다수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알에프아이디 단말기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알에프아이디의 응답 순서를 미리 결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저장된 응답 순수에 따라 응답하는 것으로 알에프아이디의 단말기의 안테나 위치를 확인하여 무선 인식 태그를 태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장 안테나 위치가 상이하게 제조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를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을 통하여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카드 소지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에 항상 정확하게 근접하도록 함으로써 통신 에러를 줄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NFC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의 번호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스마트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분할한 면적 중 하나인 1번 위치에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할 면적 중 다른 하나인 2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인 3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3번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 후면 분할 면적을 순서대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이 확인되면 그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로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NFC모듈이 활성화되면 표시부를 통하여 내장 안테나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를 인식시킴으로써 에러 없이 금융거래나 로그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제조사마다 안테나 내장 안테나 위치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인식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은 운영 프로그램, 모바일 단말기 후면의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메시지 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표시부(20)와,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송수신부(3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NFC 모듈(60)을 활성화하여 스마트 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분할 면적마다 부여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분할 면적에 부여된 특정 번호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근접시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5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70)로 구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예시도 이다. 상기도 3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는 제조 회사별로 상이함으로써 실제 이용자는 익숙하기 전까지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스마트 카드를 태그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면 모바일 단말기와 스마트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 시에 에러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는 시스템 오류로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도 3에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를 정확하게 찾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일정한 면적으로 분할하고 상기 매 분할된 면적에 번호가 부여된 번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내장 안테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S11)와,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2)와, 모바일 단말기가 스마트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분할한 면적 중 하나인 1번 위치에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지정된 1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와,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 중 다른 하나인 2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5)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6)와,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인 3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7)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3번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8)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 후면 분할 면적에 순서대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번호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이 확인되면 그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S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는 S19 단계 이후에 모바일 단말기가 판단된 모바일 단말기 내장 안테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활성화되면 표시부를 통하여 내장 안테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14, S16 및 S18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S14 단계 또는 S16 단계 또는 S18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가 확인되면 이후의 단계는 이행되지 아니하고 종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5에서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의 분할 면적에 대한 번호 부여 방식으로 제조 회사별 실제 내장 안테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31)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NFC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S32)와, 모바일 단말기가 메모리에 저장된 후면 분할 면적 중에서 실제 안테나 위치 번호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33)와, 스마트 카드가 카드 소지자로 하여금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된 내장 안테나 위치 번호 부근에 스마트 카드를 근접시켜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하고(S34)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 메모리, 20 : 표시부,
30 : 송수신부, 40 : 제어부,
50 : 모바일 단말기, 60 : NFC 모듈,
70 : 스마트 카드, 200 :RFID 태그,
500 : RFID 단말기

Claims (4)

  1.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은,
    운영 프로그램, 모바일 단말기 후면의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정보, 메시지 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표시부(20)와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송수신부(30)와 상기 스마트 카드의 NFC 모듈(60)을 활성화하여 스마트 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분할 면적마다 부여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하고 분할 면적에 부여된 특정 번호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근접시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분할 면적에 부여된 특정 번호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이 확인되면 그 분할 면적을 모바일 단말기 안테나 위치로 판단하여 저장하고 표출하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50);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2.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NFC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S11)와;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에 부여된 번호 위치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S12)와;
    모바일 단말기가 스마트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을 분할한 면적 중 하나인 1번 위치에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지정된 1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와;
    스마트 카드가 1번 위치에서 인식되지 아니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후면 분할 면적 중 다른 하나인 2번 위치에 스마트 카드를 접촉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5)와;
    모바일 단말기가 NFC 모듈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일정 횟수만큼 제어하여 스마트 카드가 2번 위치에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6);
    및 상기 S13 내지 S16과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모바일 단말기 후면 분할 면적에 순서대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번호 위치에서 스마트 카드의 인식이 확인되면 그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위치로 판단하는 단계(S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은,
    S19 단계 이후에 모바일 단말기가 판단된 모바일 단말기 내장 안테나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기가 NFC모듈이 활성화되면 표시부를 통하여 내장 안테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장형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4. 삭제
KR1020150001437A 2015-01-06 2015-01-06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KR10161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37A KR101610342B1 (ko) 2015-01-06 2015-01-06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37A KR101610342B1 (ko) 2015-01-06 2015-01-06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158A KR20150062158A (ko) 2015-06-05
KR101610342B1 true KR101610342B1 (ko) 2016-04-07

Family

ID=5350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437A KR101610342B1 (ko) 2015-01-06 2015-01-06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9744A (zh) * 2016-08-26 2017-01-18 易联(北京)物联网科技有限公司 基于nfc芯片的快递行业隐私保护方法
JP6656122B2 (ja) * 2016-09-02 2020-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位置特定プログラム
CN111610391A (zh) * 2020-05-09 2020-09-01 广东雷霆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nfc无线供电技术的供电效能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96B1 (ko) * 2010-12-08 2012-04-3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비접촉식 리더기용 안테나가 내장된 표시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JP2012100300A (ja) * 2011-12-15 2012-05-24 Kyocera Corp 通信端末
WO2012090494A1 (ja) * 2010-12-28 2012-07-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96B1 (ko) * 2010-12-08 2012-04-3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비접촉식 리더기용 안테나가 내장된 표시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WO2012090494A1 (ja) * 2010-12-28 2012-07-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2100300A (ja) * 2011-12-15 2012-05-24 Kyocera Corp 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158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1758C (zh) 一种rfid系统中阅读器与标签的通信方法
US201800754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JP5003104B2 (ja) アクセ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68894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rfid tag
KR101276878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10342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무선 안테나 위치 인식 방법
CN113361293A (zh) 刷卡方法、卡控制器、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15879A (ko) Rfid를 이용한 제품의 생산 및 유통의 관리 방법
US10915805B2 (en) Method for recording a reference biometric data item in a biometric smart card
GB258577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llot style validation
JP5056577B2 (ja) リーダライタ及び非接触icモジュール
US8183983B2 (en) Method for the at least temporary activation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transponder
KR101112535B1 (ko) 태그 내 플래그를 이용한 단말기 인증 방법
JP4845852B2 (ja) リーダライタ
CN103226718A (zh) 用于管理rfid标签的系统和方法
JP5010563B2 (ja) 情報記憶媒体用リーダライタ
EP2797025B1 (en) Mobile proximity coupling device with display
US10997378B2 (en) Tag management device, ta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90143345A (ko) 통합 결제 단말기 및 방법
KR101545088B1 (ko) 사용자 정보 저장 및 제공장치
KR101112571B1 (ko) 단말기 인증기능이 구비된 무선인식태그
KR101617880B1 (ko)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EP2797024B1 (en) Mobile proximity coupling device
KR200490769Y1 (ko) Qr 코드와 ic 칩을 포함하는 결제 키트
KR101820747B1 (ko) 보안 기능이 강화된 마우스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