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880B1 -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880B1
KR101617880B1 KR1020140051117A KR20140051117A KR101617880B1 KR 101617880 B1 KR101617880 B1 KR 101617880B1 KR 1020140051117 A KR1020140051117 A KR 1020140051117A KR 20140051117 A KR20140051117 A KR 20140051117A KR 101617880 B1 KR101617880 B1 KR 10161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ireless terminal
data
card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845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4005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8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따르면,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송수신되는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RF모듈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Handheld Phone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송수신되는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RF모듈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Label, Card, Tag 등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Reader와 송수신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자동인식기술을 말하며, 최근에는 비접촉식, 대용량 메모리, 장해물 투과 기능, Read/Write 기능(재사용가능) 이동중 인식 기능, 반영구적 사용, 데이터 처리의 높은 신뢰성 등의 강점을 갖고, 기존의 바코드나 자기 인식 장치의 결함을 제거하고, 사용의 편리상, 생산방식의 변화, 소비자의 의식 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에 따라 활용 범위가 비약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RFID는 배터리 내장 여부에 따라 Passive형과 Active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Passive형은 Tag와 Reader의 한테나 크기 등에 영향을 받으나 일반적으로 2~70cm 정도의 단거리 Read 범위를 가지며 저가격으로 Tag를 생산할 수 있어서, 물류, 제조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Active형은 Tag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어서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나 가격이 비싸고 배터리 수명에 따라 사용기간의 제약을 받아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RFID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투과력이 높고 비교적 응용 분야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Tag의 손상, 인식 속도가 늦은 저주파 형(125khz 이하)과, 투과력이 양호하고 소형, 박판형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낮은 생산비,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주파형(13.56 Mhx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RFID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RF Reader와 연계하여 동작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 RFID를 처리하기 위한 RF Reader는 해당 RFID 사용 가맹점이나, 물류센터 등에 보급되어 있어, 그 저변확대가 사용자에게까지 미치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RF관련 제품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소정의 보급화된 RF Reader 단말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송수신되는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RF모듈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송수신되는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RF모듈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 타입에 따른 데이터 교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입을 감지하기 위해 각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교대로 반복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를 교환 동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장치는, RF카드 또는 RF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휴대폰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은,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무선단말에 있어서,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 설정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 설정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활성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이 활성화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타입이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RF모듈을 통해 각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이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를 교환 가능한지 확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타입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RF장치는, RF카드 또는 RF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무선단말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에 제어부(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등)와 소정의 버스(BUS)를 통해 통신하며, 외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또는 RF 태그와 연동하는 RF Reader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무선 단말기 내의 복잡한 하드웨어의 추가없이 RF Reader 기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내의 협소한 공간에서 RF Reader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배치 공간 확보가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 및/또는 RFID 카드 수신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 포함되는 RF Reader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다른 도면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 수신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1000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 제어부(105), 화면 출력부(130), 키 입력부(135), 무선 처리부(115), 및/또는 음성 처리부(120)를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접근하는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연동하는 RF Reader(145)를 더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예컨대, 무선통화, 무선 데이터 송수신, 키입력, 화면 출력, 음성 출력 기능 등)을 제어하고 관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의 부팅 및 OS(Operating Systerm) 제어 관리 프로그램과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된 소정의 에이전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05)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RF Reader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와 버스(BUS)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RF Reader(145)를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상기 RF Reader(145)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예컨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을 전달하고, 상기 RF Reader(145)가 외부로부터(예컨대, RF 카드 또는 RF 태그 등) 수신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처리한다.
상기 RF Reader 제어부(110)는 RF Reader(145)에 구비된 RF Reader 인터페이스(200)를 제어 및 관리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RF Reader(14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쓰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 단말기(100) 내 무선 처리부(11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제어부(105)에서 생성되는 코드(Code)를 음성 채널 및/또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또는 장치와 무선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15)는 상기 RF Reader(145)가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처리된 소정의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 상의 관련 서버 또는 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 처리부(115)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RF(Radio Frequency)처리부, IF(Intermediate Frequency) 처리부, 및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처리부(115)에서 처리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유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과, 상기 제어국과 유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며 CDMA 스택에 기반하는 호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을 통해 다른 무선 단말기(100)와 음성 채널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는 과정은 이동 통신 특유의 호처리 절차에 따라 통신 세션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통신 세션을 통해 서버 또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무선 단말기(100)의 음성 처리부(12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무선 처리부(115)로 전달하고, 무선 처리부(11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제어부(105)를 통해 스피커에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음성 처리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RF Reader(145)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알리는 소정의 음성 또는 음향 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성 처리부(120)는 상기 RF Reader(145)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 및 기록 종료시, 소정의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25)는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으로써,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읽기 전용 메모리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나 FM(Flash Memory) 등의 읽기/쓰기 메모리 등의 형태로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5)에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출력부(130)는 키 입력부(135)에서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 및/또는 제어부(105)의 제어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와 신호 등을 입력받아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화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RF Reader(145)가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원활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부(130)는 상기 RF Reader(145)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 및 기록 과정을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키 입력부(13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한다.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는 접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예컨대, 제어부 내의 RF Reader제어부)로 전달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RF Reader(145)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무선 단말기(100)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와 연동하기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내부에 포함되는 RF Reader(145)를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 Reader(145)는 RF 송신부(205), RF 수신부(210) 및 RF 인터페이스(2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는 근접하여 무선 주파수(RF) 동작 범위안에 존재하는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예컨대, 별도의 전원을 내장하지 않은 RF 태그 및/또는 RF 카드 등)를 구동하기 위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테나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에 상기 RF Reader(145)와 동기화된 신호(예컨대, 시계 신호 등)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실시하는 등, 하기의 RF Reader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변조 또는 복조된 신호(주파수)를 상기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 송신한다.
RF Reader(145)의 RF 수신부(210)는 외부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응답되는 소정의 데이터(주파수)를 수신하여 필터링함으로써, 하기의 RF 인터페이스(200)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도록 돕는다.
RF 인터페이스(200)는 외부의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주파수 변조 및 복조를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 인터페이스(200)는 지정된 반송파(예컨대, 125Khz 또는 16.58Mhz 등)에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다양한 변조 방식에 맞추어 데이터를 반송파에 싣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RF Reader(145)의 인터페이스(215)는 RF 송신부(205) 및 RF 수신부(210)와 루프 안테나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루프 안테나에 최대 전력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단말기(RF Reader)와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를 연결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호 임피던스차에 의한 반사를 줄임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RF Reader)와 외부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흐름도이다.
무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또는, 음성 처리부 등)를 통해, 무선 단말기(100)내 RF Reader 기능 활성화 개시 명령을 제어부(110)로 전송하면(300),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 단말기(100) 내의 RF Reader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RF Reader 기능 초기화를 실시한다(305).
무선 단말기(100) 내 RF Reader 기능이 초기화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RF 인터페이스(200)로 근접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 감지 및 활성화를 위한 무선장(RF Field) 형성 명령을 전달하고(310), 상기 RF 인터페이스(200)는 RF 송신부(205)를 통해 RF 카드 및/또는 RF 태그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장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RF 카드와 결합하는 무선장은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통신을 위해 변조되며, 또한, 상기 RF 카드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과정을 통해 RF Reader 기능이 활성화된 무선 단말기(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또는 RF 태그 등) 접근하면(315), 상기 RF 카드는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 무선주파수(RF) 동작범위(Operating Field) 내에서 활성화를 개시한다(320).
예컨대, 무선주파수 동작범위의 주파수(fc)는 13.56MHz ± 7KHz가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RF Reader)는 제조자가 규정한 위치(동작범위, Operating Volume)에서 최소 Hmin값 이상, 최대 Hmax를 초과하지 않는 필드를 발생시키며, 또한 규정된 위치에서 RF 카드에 전원공급이 가능하여야 함은 명백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접근하는 RF 카드의 타입(예컨대, Type A 혹은 Type B 등)을 감지하기 위해, 변조방식을 교대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 무선주파수(RF) 동작범위(Operating Field) 내에서 상기 접근한 RF 카드의 활성화가 개시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근접한 RF 카드의 활성화를 검색하기 위해 소정의 요청명령(Request Commands)을 전송하고(32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내 RF Reader(145)의 RF 수신부(21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카드로부터 소정의 응답(Answer To Request)이 수신되는 지 확인한다(330).
만약, 둘 이상의 RF 카드(또는 RF 태그)로부터 응답이 있다면(33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는 다수의 RF 카드에 대한 충돌방지 처리를 실시함이 바람직하다(340)(예컨대, ISO/IEC 14443-3에 근거한 충돌방지 처리 등).
예컨대, 상기 충돌방지 처리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에서 실행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충돌방지 루프를 적용하여 충돌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일례로,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선택된 충돌방지 형태와 CLn(Cascade level)에 대한 코드를 SEL(Select Command)에 할당하고, NVB(Number of Valid Bits)에 '20'을 할당하고, 상기 값이 할당된 SEL과 NVB를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를 통해 무선장으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RF Reader(145)의 무선장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카드가 완전한 UID CLn을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답된 UID CLn의 값을 근거로 충돌을 확인하고, 충돌이전에 수신된 UID CLn의 유효한 bit 값을 NVB에 재할당하여 다시 전송함으로써, 상기 유효한 bit값을 가진 RF 카드만이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 예컨대, 32회정도 까지)
반면에, 하나의 RF 카드로부터 응답이 있거나, 충돌방지 루프를 통해 하나의 RF 카드가 선택되었다면(345),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RF Reader(145)의 RF 송신부(205)를 통해 상기 RF 카드와 형성된 무선장(RF Field)을 경유하여 SELECT 명령을 상기 RF 카드로 전달하고(350),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 간에 상호 인증을 실시함으로써(355), RF 카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인증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무선장(RF Field)을 통해, 상기 RF 카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RF 카드에 데이터 기록한다(360).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100)와 RF 카드간의 일련의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 카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RF 카드를 HALT 상태로 전환시킨다(365).
100 : 무선 단말기 105 : 제어부
110 : RF Reader제어부 115 : 무선 처리부
120 : 음성 처리부 125 : 메모리부
130 : 화면 출력부 135 : 키입력부
140 : 전원 공급부 145 : RF Reader

Claims (8)

  1.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RF모듈의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송수신되는 13.56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근접 위치의 RF장치와 교환될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RF모듈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 타입에 따른 데이터 교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입을 감지하기 위해 각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교대로 반복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를 교환 동작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된 타입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장치는,
    RF카드 또는 RF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상기 휴대폰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KR1020140051117A 2014-04-28 2014-04-28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KR10161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117A KR101617880B1 (ko) 2014-04-28 2014-04-28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117A KR101617880B1 (ko) 2014-04-28 2014-04-28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40A Division KR101413687B1 (ko) 2013-01-04 2013-01-04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939A Division KR20150064715A (ko) 2015-05-19 2015-05-19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845A KR20140072845A (ko) 2014-06-13
KR101617880B1 true KR101617880B1 (ko) 2016-05-04

Family

ID=5112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117A KR101617880B1 (ko) 2014-04-28 2014-04-28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6479A (zh) * 2017-01-24 2017-06-16 杭州雄伟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545A (ja) * 2001-07-23 2003-02-07 Nec Corp 近距離無線機能付き移動局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545A (ja) * 2001-07-23 2003-02-07 Nec Corp 近距離無線機能付き移動局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845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880B1 (ko)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KR101267410B1 (ko) 근접 통신 제어 방법
KR101413687B1 (ko)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단말
KR101354997B1 (ko) 무선단말과 그 방법
KR101477146B1 (ko) 근접 통신 처리 방법
KR101489445B1 (ko) 무선단말의 근접 통신을 제공하는 알에프 모듈
KR20150064715A (ko) 근접 통신을 제어하는 휴대폰
KR200446778Y1 (ko) 알에프 리더형 무선 단말기
KR100836015B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0446779Y1 (ko) 알에프 리더형 무선 단말기
KR100836012B1 (ko) 알에프 리더형 휴대폰
KR100836014B1 (ko) 알에프 리더형 휴대폰
KR20050081778A (ko) 알에프 리더형 무선 단말기
KR200446777Y1 (ko) 알에프 리더형 무선 단말기
KR200446780Y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0446783Y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0447134Y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0446782Y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0446781Y1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휴대폰
KR20130009725A (ko) 무선단말
KR20070014212A (ko) 알에프 리더형 휴대폰
KR20050081789A (ko) 알에프 리더 제어형 무선 단말기
KR20110089244A (ko) 무선단말
KR20120081059A (ko) 무선단말
KR20070010091A (ko) 알에프 리더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