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50B1 - Wireless audi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less audibl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950B1 KR101609950B1 KR1020140136562A KR20140136562A KR101609950B1 KR 101609950 B1 KR101609950 B1 KR 101609950B1 KR 1020140136562 A KR1020140136562 A KR 1020140136562A KR 20140136562 A KR20140136562 A KR 20140136562A KR 101609950 B1 KR101609950 B1 KR 1016099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module
- wireless
- user
- mobile terminal
- body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음향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음향 장치의 단자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꽂아서 음향 케이블을 통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서 무선 통신 방식의 무선 음향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 sound device may be defined as an apparatus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terminal of a sound device is plugged into a ear jack of a terminal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through an acoustic cable. Howeve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ity and ease of use.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무선 음향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의 무선 음향 장치는, 머리에 밴드 형상을 착용하는 헤드셋 타입, 귀에 거는 귀걸이 타입, 귀에 꽂는 이어폰 타입 및 목에 거는 넥밴드 타입 등이 있다.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wireless sound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o allow users to easily carry them to the user's body. For example, a wireless acoustic device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headset type for wearing a band shape on the head, an ear type for ear, an earphone type for ear, and a neck band type for neck type.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음향 장치가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음악 또는 라디오 방송을 무선 음향 장치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sinc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wireless sound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music or radio broadcast stored in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sound device.
한편, 최근에는 무선 음향 장치에 별도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wireless audio apparatus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r an image desired by a user by attaching a separate camera module to the wireless audio apparatus without removing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음악 기능과 함께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무선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audio apparatus having a camera function together with a music fun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도록, 탄성을 가지고 휘어짐이 가능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스피커 모듈과 이어폰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전방 및/또는 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촬영 동작은 이미지 촬영 동작 및 영상 촬영 동작을 포함하고, 특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audio apparatus including: a band unit that is elastic and warps around a neck of a user; A body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nd portion; A power switch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 acoustic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 speaker module and an earpho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at least the mobile terminal;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body and photographing a subject in front of and / or behind the user;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body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camera module is ready for photographing operation, And the camera modu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automatically perform a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ireless acoust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무선 음향 장치를 통하여 음악을 청취하면서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amera can be photographed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a wireless sound device.
둘째, 무선 음향 장치에 전방 카메라 모듈과 후방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전후방 상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a front camera module and a rear camera module are mounted on a wireless audio device, and the front and rear situations can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셋째, 무선 음향 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화여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mage or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wireless audio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넷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의 방향을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audio apparatus can be manually adjusted or adjust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다섯째, 무선 음향 장치에 카메라 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mera modul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의 구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의 틸팅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로서, 전방 카메라 모듈의 틸팅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로서, 전방 카메라 모듈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b는 상기 제 2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c는 전방 카메라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무선 음향 장치에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가능한 전방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9a는 상기 팝업 가능한 전방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바디부의 부분 평면도.
도 19b는 도 17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19c는 도 18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바디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 acoustic system including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mechanism of a rear camera modul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ront camera module provided in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forward;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ing mechanism of a front camera modul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showing a state before the front camera module is tilted. FIG.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 7,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mera module is tilted. Fig.
10A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FIG. 10B is a view showing a screen state displayed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application is touched. FIG.
FIG. 10C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when a front camera icon is select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of FIG. 13; FIG.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perspective views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p-up front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body part on which the pop-up possible front camera module is seated. FIG.
FIG. 19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7; FIG.
Figure 19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ure 18;
2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dy portion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nd 30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of a rear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n acoustic system including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시스템은, 무선 음향 장치(200)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acoustic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상세히,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되는 음악 또는 라디오 방송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는 음향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detail, the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된 촬영 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동작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 초점 조정 또는 카메라 렌즈의 방향 조정 및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명령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로 무선으로 전송되고,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wireless
그리고,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무선 전송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The image or mov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또한,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카메라에 맺히는 화상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프리뷰(pre-view)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맺히는 화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mage formed on the camera of the wireless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outline of the wireless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밴드부(210)와, 상기 밴드부(band portion)(2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부(body portion)(220)와,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귀에 꽂아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어폰(240) 및 촬영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상기 밴드부(2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10)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를 포함한다. The radio
또한, 상기 밴드부(210)는, 사용자의 우측 목부분과 어깨 부분에 놓이는 제 1 밴드(210a)와, 사용자의 좌측 목부분과 어깨 부분에 놓이는 제 2 밴드(2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밴드(210a)와 제 2 밴드(210b)의 일 단부들은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에 의하여 한 몸으로 연결되어 상기 밴드부(210)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밴드부(210)의 형태는 상기에서 제시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부(210)는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부(210)의 외주면에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이 회전 가능하게 감기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또한, 상기 제 1 밴드(210a)와 제 2 밴드(210b)의 타 단부들에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가 각각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는, 상기 제 1 밴드(21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1 바디부(220a)와, 상기 제 2 밴드(21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바디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air of
그리고, 상기 밴드부(210)의 외주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도 센서(2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260)로부터 밝기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240)을 귀에 꽂고 음악을 들으면서 걸어가는 도중에, 사용자 쪽으로 차량이 접근하면, 상기 조도 센서(260)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불빛을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이어폰(240)을 통하여 경고음 또는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고 위험을 신속히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One or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바디부(2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장착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렌즈부가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는 음악 재생 및 정지를 위한 플레이 버튼(22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 버튼(223)으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작동을 위한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작동을 위한 버튼부는, 촬영 버튼(233)과, 상기 촬영 버튼(23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각도 조절 버튼(23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버튼(233a)은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 또는 회동시키기 위한 버튼으로서, 상기 촬영 버튼(233)의 전방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이 상측으로 틸팅 또는 회동하고, 후방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이 하측으로 틸팅 또는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상기 바디부(2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버튼들 외에도 다양한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과 라디오 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235)과, 라디오 방송이 선택되었을 때 방송국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선국 버튼(232)과,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이용한 촬영을 위한 촬영 버튼(231)과, 상기 이어폰(240)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224) 및 상기 이어폰(240)의 음향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기 위한 릴 버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들은 상기 바디부(220)의 외주면에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들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회로 기판의 돔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하는 푸쉬 버튼 형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량 회전시켜서 명령을 입력하는 휠키 형태,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터치식 버튼 형태 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두드릴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명령을 입력받는 진동 감지 버튼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버튼 구조가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uttons, various buttons may be provided on any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 중 다른 하나에는 통화 버튼(223a)과, 통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 버튼(224a)과, 상기 이어폰(240)에 연결된 음향 케이블이 자동으로 감기게 하는 릴 버튼(234)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of the pair of
상세히, 상기 통화 버튼(223a)은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볼륨 버튼(224a)과 상기 릴 버튼(234)은 상기 바디부(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20)의 측면에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229)가 구비되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바디부(220)의 측면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228)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USB 포트(228)는 미 사용시에는 커버에 의하여 막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충전을 위하여 USB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를 열어서 케이블 단자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SB 포트(228)를 개폐하는 상기 커버에 자석이 부착되고, 상기 USB 포트(228)의 가장자리 부분이 금속체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커버를 닫지 않더라도 상기 커버가 자력에 의하여 상기 USB 포트(228)를 닫도록 하는 구조도 제안 가능하다. In addition, an interface such as a universal serial bus (USB)
여기서, 상기 버튼들의 위치는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되는 위치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Here, it is noted that the positions of the buttons are not limited to the position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nstalled at appropriate positions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버튼들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 둔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들 중 일부에 대하여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해당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가 된다고 할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buttons are equally applied to a radio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below. Therefore, in the other embodiments presented below, some of the buttons will be described a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s even if they are not described separately.
한편,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는 음성 통화시 소리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 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통화 음성이 상기 이어폰(240) 또는 상기 스피커 홀(241)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을 위한 버튼이 상기 바디부(220)의 외주면 일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홀(241)의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부(220)의 내부에는 스피커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또한, 상기 바디부(220)의 외주면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면 일측에 마이크홀(221c)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화 통화 시 자신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외관 구성을 이루는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제어 구성에 대하여 블럭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블럭도에 개시되는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도 4에 개시되는 무선 음향 장치의 분해도에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블럭도에만 개시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들의 바디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모듈 형태 또는 전기 소자 형태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부품 또는 소자 형태로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 요소임을 밝혀 둔다. Hereinafter,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와 무선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USIM부(13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개시되는 구성요소들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2, 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IM 카드(130)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signal may be enco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echnical standar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or a broadcasting system, for example, ISO, IEC, DVB, ATSC, etc.)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ing a method conforming to the technical standard defined by the technical standards.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3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or LTE-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connected to the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in, another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u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etection.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such as a stereoscopic system (glasses system), an autostereoscopic system (no-glasses system), and a projection system (holographic system) can be applied.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성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들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들 일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 및 작동을 하는 구성 요소들일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may b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operation as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01), 입력부(202), 센싱부(204), 출력부(205), 인터페이스부(206), 메모리(207), 제어부(208), USIM부(203) 및 전원 공급부(2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wireless
상기 무선 통신부(201)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201)는, 라디오 수신 모듈(201a), 이동통신 모듈(201b), 근거리 통신 모듈(201c), 위치정보 모듈(201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입력부(202)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202a)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202b),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0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202c)들은 위에서 설명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되는 마이크(248,도 4 참조)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센싱부(204)는 근접센서(204a), 조도 센서(204b),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센서들과 동일한 센서들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도 센서(204b)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밴드부(210)에 구비되는 조도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출력부(205)는, 음향 출력부(205a), 햅틱 모듈(205b), 광 출력부(205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205a)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바디부(220)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243,도 4 참조) 및 상기 이어폰(240)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인터페이스부(206)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06)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상기 USB 포트(228)와 같은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IM부(203)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메모리(207)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07)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0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상기 전원공급부(209)는 상기 제어부(208)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09)는 배터리(270, 도 4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201)의 라디오 수신 모듈(201a)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모듈(201b)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 내에 상기 이동 통신 모듈(201b)과 USIM 카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 자체가 모바일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다면, 문자/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송수신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If the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
상기 위치정보 모듈(201d)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모듈의 경우,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모듈의 경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202)는,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Next, the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07)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된 상기 화상 프레임(207)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카메라(202a), 즉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one or more camera modules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stored in the
마이크로폰(202b)은 통화 과정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한편, 마이크로폰(202b)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사용자 입력부(202c)는, 버튼,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센싱부(204)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 내의 정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208)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20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센싱부와 동일한 개념의 센싱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상기 입력부(202)의 구성 요소로써 살펴본, 상기 카메라(202a)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상기 음향 출력부(205a)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01)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07)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5a)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05a)에는 이어폰(240), 스피커 모듈(243)이 포함될 수 있다.The
상기 햅틱 모듈(haptic module)(205b)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05b)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205b)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바디부(220)를 손가락으로 두드려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햅틱 모듈(205b)에서 상기 진동을 감지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햅틱 모듈(205b)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05b)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광출력부(205c)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등이 알림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USIM부(130)를 포함하는 식별 모듈은, 상기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부 외에,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하여 무선 음향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identification module including the
메모리(20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부(210)와, 상기 밴드부(110)의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바디부(220)와, 상기 바디부(220)와 상기 밴드부(210) 중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밴드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밴드(210a) 및 제 2 밴드(2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부(220)는 제 1 바디부(220a)와 제 2 바디부(2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a,220b) 각각은,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에 의하여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221)과 상기 하부 하우징(22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각종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a,220b)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이어폰(240)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In detail, each of the pair of
여기서, 상기 제 1 바디부(220a)는 우측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바디부(220b)는 좌측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바디부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21)에는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조작을 위한 상기 촬영 버튼(233) 및 각도 조절 버튼(233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바디부의 상부 하우징(221)에는 상기 플레이 버튼(233)이 삽입되는 버튼홀(221a)과,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삽입되는 카메라 홀(221b)이 형성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우측 바디부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250)이 장착되며, 상기 회로 기판(250)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실장되며, 상기 회로 기판(250)의 일단에는 연성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251)이 연결될 수 있다. A
또한, 상기 우측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209)에 해당하는 배터리(27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이어폰(240)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 케이블(245)을 감거나 풀어주는 릴(230)이 장착된다. 상기 릴(230)의 내부에는 음향 회로 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음향 회로 기판은 상기 연성 기판(251)에 의하여 상기 회로 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240)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한편, 상기 우측 바디부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222)의 내부에는 릴 버튼(234), 볼륨 버튼(224), 선국 버튼(232), 모드 선택 버튼(235), 촬영 버튼(231)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바디부의 하부 하우징(222)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상기 버튼들이 형성되기 위한 홀이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22)의 전단부에는 이어폰 홀더(225)가 장착되며, 상기 이어폰 홀더(225)는 상기 이어폰(240)의 외주면을 적절히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홀더(225)의 후면에는 이어폰 스위치(2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어폰(240)이 상기 이어폰 홀더(226)에 안착되면 상기 이어폰 스위치(226)가 이를 감지하여, 음향 출력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An
또한, 상기 이어폰 홀더(225)와 상기 이어폰(240) 중 어느 일측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자석에 붙는 금속성 도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어폰(240)이 상기 이어폰 홀더(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이어폰 홀더(226)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magnet may be attached to either one of the
한편, 상기 밴드부(21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연장단(211)이 돌출되고, 상기 연장단(211)에는 끼움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22)의 바닥면에는 체결 보스(227)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보스(227)가 상기 끼움홀(212)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220)가 상기 밴드부(21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단(211)은 상기 밴드부(210)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220)가 상기 밴드부(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좌측 바디부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21)에는 상기 통화 버튼(223a)이 삽입되는 버튼홀(2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홀(221a)의 근처에는 상기 스피커 홀(241)과 마이크홀(221c)이 각각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좌측 바디부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볼륨 버튼(224a)과 상기 전원 스위치(229)와, 상기 usb 포트(228)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221)의 좌측 면과 우측면에는 상기 볼륨 버튼(224a), 전원 스위치(229) 및 usb 포트(228)가 장착되기 위한 홀이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물론, 상기 좌측 바디부의 단부에도 우측 바디부에 구비되는 이어폰 홀더 구조가 장차된다. Of course, the earphone holder structu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body part is also provided on the end of the left side body part.
또한, 상기 좌측 바디부의 내부에도 회로 기판(250)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250)에는 스피커 모듈(243),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248)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243)은 상기 스피커 홀(241)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24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스피커 홀(241)을 통하여 음향이 출력된다. A
또한, 상기 좌측 바디부의 내부에도 릴(230)이 장착되어, 상기 이어폰(240)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245)을 감거나 풀어준다. 그리고, 상기 릴(230) 내부에 구비되는 음향 회로 기판은 상기 회로 기판(2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성 기판(2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lso, a
한편, 상기 좌측 바디부와 우측 바디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능 모듈과 전장 부품들이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다수의 기능 모듈과 전장 부품들의 장착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와 스피커 모듈(243)이 상기 우측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좌측 바디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된 각종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사상이며, 상기 구성들이 어느 바디부에 어떻게 장착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구조는 종된 사상이라 하겠다. In the meantim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and electrical parts are provided in the left body part and the right body part, respectively, and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and the electrical part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발명적 특징은 하나 또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설치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n inventive feature of the wireless
한편, 상기 밴드부(210)는, 제 2 밴드(210a)와 제 1 밴드(2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밴드(210a)와 제 1 밴드(210b)의 단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에 의하여 한 몸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이 상기 제 2 밴드(210a)와 제 1 밴드(210b)의 연결 부재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은, 힌지(291)와, 상기 힌지(291)에 장착되는 카메라(292)와, 상기 카메라(292)의 전면에 장착되는 렌즈(293) 및 상기 힌지(291)의 일측에 장착되는 오토 포커싱 센서(Laser Detecting Auto Focusing sensor)(294)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 2 밴드부(210a)의 단부와 상기 우측 벤드부(210b)의 단부는 상기 힌지(29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291)는 상기 밴드부(2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디부(220)에 설치된 각도 조절 버튼(233a)의 조작을 통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힌지(29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ends of the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이용한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각각 프로그램되어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카메라의 상향 회전 명령 입력을 위한 터치 아이콘과 하향 회전 명령 입력을 위한 터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해당 아이콘이 가지는 동작 명령이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110)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슨 음향 장치(200)의 제어부(208)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이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구동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or example, a photographing application for photographing an image or an image using the
상기 오토 포커싱 센서(294)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292)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서, 상기 피사체와 카메라(292)의 거리를 감지하여 단시간에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The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의 구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mechanism of a rear camera modul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 모터(M)에 의하여 상향 회전 또는 하향 회전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A, the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M)는 상기 밴드부(210)에 내장될 수 있는 소형 크기의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riving motor M may include a small-sized servo motor or a step motor that can be embedded in the
또한, 상기 힌지(291)는, 상기 카메라(292)가 장착되는 힌지 바디(292a)와, 상기 힌지 바디(292a)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힌지축(292b)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힌지축(292b)은 상기 제 2 밴드(210a)와 제 1 밴드(210b)에 끼워져서, 상기 좌제 1 밴드(210a,210b)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292b) 중 어느 일측에는 축 삽입홀(29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M)의 회전축(S)이 상기 축 삽입홀(295)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S)과 상기 힌지(292)가 한 몸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상기 구동 모터(M)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제어부(208)로부터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208)에는 상기 구동 모터(M)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IC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The driving motor M receives a driving command from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플레이 버튼(223)과 모드 선택 버튼(235)이 상기 바디부(22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플레이 버튼(223)의 후측에 구비된다. 다른 제안 가능한 예로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좌측의 바디부(2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좌측의 바디부(220)에 구비되고, 상기 통화 버튼(223a)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실시예도 제안 가능함을 밝혀둔다.Referring to FIG. 5, the wireless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이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forward. to b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전방카메라 모듈(280)이 좌측 바디부와 우측 바디부에 각각 장착되고, 전방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인 것에 차이가 있다. 6 and 7,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부(또는 상면부), 즉 렌즈부는 상기 바디부(220)의 전면부(또는 상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ront (or top) portion of the
더욱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을 목에 착용하면, 상기 바디부(220)는 사용자의 쇄골과 앞가슴 부분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을 위해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켰을 때,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틸팅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전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틸팅 메카니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wears the wireless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의 틸팅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lting mechanism of a front camera module included in a wireless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의 틸팅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바디부(220)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2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수용되는 장홀 형태의 카메라 홀(221b)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홀(221b)의 후측에는 틸팅 부재(27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틸팅 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틸팅 부재(271)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후측 측면부를 감싸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홀(221b)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측 측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 a tilting structure of the front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세히, 상기 틸팅 부재(271)는, "ㄱ"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 홀(221b)의 후측 부분을 덮는 커버부(271b)와, 상기 커버부(271b)의 전단에서 상면으로 절곡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측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는 파지부(271a)와, 상기 커버부(271b)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다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는 형태의 가압부(271d) 및 상기 커버부(271b)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리브(271c)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ilting
또한, 상기 카메라 홀(221b)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드 홈(221c)이 소정 깊이와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221c)에는 상기 슬라이드 리브(271c)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리브(271c)가 상기 슬라이드 홈(221c)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틸팅 부재(27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A
또한, 상기 카메라 홀(221b)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지지단(221e)이 하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단들(221e)의 면에는 가이드 돌기(221d)가 각각 수평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좌측과 우측 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28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81)에 상기 지지단들(221e)이 각각 삽입된다. In addition, supporting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281)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곡선 형태로 연장된다. In detail, the
이하에서는 상기 틸팅 모듈에 의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이 어떻게 틸팅되는지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how the front camera module is tilted by the tilting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도 7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로서, 전방 카메라 모듈의 틸팅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and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ront camera module is tilt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또는 상면)은 상기 바디부(220)의 전면(또는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룬다. 즉, 상기 바디부(220)의 상부 하우징(221)과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또는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룬다. 9, when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221d)는 상기 가이드 홈(28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281)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하단부는 상기 틸팅 부재(271)의 가압부(271d)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 하단부는 상기 가압부(271d)의 상향 경사가 시작되는 부분에 접촉한 상태이다. 물론, 상기 틸팅 부재(271)의 슬라이드 리브(271c)는 상기 카메라 홀(221b)의 슬라이드 홈(221c)에 삽입된 상태이다. The
도 10은 도 7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로서, 전방 카메라 모듈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and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mera module is tilted.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271a)를 잡고 상기 틸팅 부재(271)를 뒤로 밀면, 상기 틸팅 부재(271)가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가압부(271d)가 후퇴하면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 하단부를 민다.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user holds the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은 상기 가이드 돌기(221d)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하게 된다.The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에 미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221d)는 상기 가이드 홈(281)을 따라 상대 이동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221d)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홈(281)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281)이 원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회전 중심(X)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a forward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상기 회전 중심(X)이 상기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 상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221)의 하측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면부가 상기 바디부(2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렌즈부 화각이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만일,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회전 중심(X)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중심 쪽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면, 촬영 과정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221)이 함께 촬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화각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If the rotation center X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틸팅 메카니즘은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 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전방으로 틸팅 가능한 것이며, 위에서 설명한 틸팅 구조는 본 발명의 틸팅 메카니즘에 대한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틸팅 메카니즘이 제안 가능함을 다시 한 번 밝혀 둔다. It is noted that the tilting mechanism of the
뿐만 아니라, 위에서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틸팅되는 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틸티되는 사상에 대해서 배재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example in which the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동일한 형태의 구동 모터가 장착되고, 랙/피니언 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틸팅 부재(27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driving motor of the same type as that of the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또다른 틸팅 메카니즘의 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 상면 가장자리에 힌지축이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축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 어셈블리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전단부 상면 가장자리를 지나는 접선과 일치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2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As another method of the other tilting mechanism, a hinge axis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틸팅 가능하게 되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통신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틸팅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예를 들어, 위에서 짧게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틸팅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부를 통하여 틸팅 동작을 위한 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명령 신호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서는 수신된 명령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의 작동 제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as mentioned briefly above, a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도 10a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A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 정보 또는 라디오 정보가 표시되는 재생 화면(151a)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A, the
상기 재생 화면(151a)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전체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 화면(151a)의 하측에는 카메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제 1 촬영 어플리케이션(10)과 제 2 촬영 어플리케이션(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촬영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20)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한 넥밴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다.The reproduction screen 151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a size smaller than the entire size of the
그리고, 상기 재생 화면(151a)과 상기 카메라 실행 어플리케이션(10,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잠금상태(lock state)에서 표시될 수도 있고, 풀림 상태(unlock state)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The playback screen 151a and the
도 10b는 상기 제 2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And FIG. 10B is a view showing a screen state displayed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application is touched.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고, 촬영 명령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 2 촬영 어플리케이션(20)을 터치한다. Referring to FIG. 10B, when a user wishes to take a picture by using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wireless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바뀌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전방 카메라 아이콘(21)과, 후방 카메라 아이콘(22)과, 듀얼 모드 아이콘(23)이 표시될 수 있다. The
상기 전방 카메라 아이콘(21)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카메라 아이콘(22)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된다. 그리고,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23)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후방 카메라 모듈(290)을 동시에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된다.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23)이 터치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에 맺히는 제 1 피사체가 주피사체가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290)에 맺히는 제 2 피사체가 서브 피사체가 되어, 상기 제 1 피사체의 전면에 겹쳐져서 화면 속 화면(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피사체가 서브 피사체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피사체가 주피사체로 전환될 수 있다. The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피사체가 상기 상측과 하측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피사체가 상측과 하측 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 1 피사체와 제 2 피사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도 10c는 전방 카메라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C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front camera icon is selected.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도 10b의 상태에서 상기 전방 카메라 아이콘(21)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켜져서 촬영 대기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10C, when the user selects the
상세히, 촬영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이미지 센서에 맺히는 피사체의 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측 영역에는 촬영 아이콘(31)과 확인창(32 및 선택 아이콘(3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image sensing standby state, an image of a subject formed on the image sensor of the
상기 촬영 아이콘(31)은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입력부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촬영 아이콘(31)을 터치하면 촬영 음향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피사체가 촬영된다. The photographing
상기 확인창(32)은 이전에 촬영한 이미지가 작게 표시되는 부분이고, 상기 확인창(32)을 터치하면 이전에 촬영되었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The
상기 선택 아이콘(33)은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할 지 동영상을 촬영할 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 아이콘(33)을 터치한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면 이미지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상기 촬영 아이콘(31), 확인창(32) 및 선택 아이콘(33)은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도 구비되어 있는 기능으로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한편, 상기 촬영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도 조절 아이콘(34)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아이콘(34)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상향 또는 하향 회전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버튼이다. 상기 각도 조절 아이콘(34)은 상향 회전 버튼(341)과 하향 회전 버튼(342)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graphing waiting state,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각도 조절 아이콘(34)을 터치하면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지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지향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피사체도 변경되어, 사용자가 상기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지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바디부(220)를 손으로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원하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촬영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ng angle of the
한편, 본 도면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상기 후방 카메라 아이콘(22) 및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23)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 둔다. 특히, 상기 듀얼 모드 아이콘(23)이 선택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용 각도 조절 아이콘과 후방 카메라 모듈용 각도 조절 아이콘이 각각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drawing apply equally to the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들 중, 카메라 틸팅이 가능한 무선 음향 장치들(200)은 모두 상기 카메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동일하게 제어 가능함을 밝혀 둔다. In addition, among the wireless sound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below, all of the
한편,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2 촬영 어플리케이션(20)을 터치 및 활성화시켜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 및/또는 후방 카메라 모듈(29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제시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touch and activate the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전원이 온되면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of the wireless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를 목에 착용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229)를 온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들, 일례로 블루투스 모듈들 간에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져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메고 있는 가방 안 또는 사용자의 옷에 구비되는 주머니에 수납되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In detail, when the user wears the wireless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간의 페어링이 완료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이미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로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ing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completed, and the
또는,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플레이 버튼(223)을 눌러서 음악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when the user presses the
다른 방법으로,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바디부(220)에 진동 센서 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220)를 터치하거나 두드리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220)를 터치하거나 두드리는 횟수에 대응하여 이미지 촬영 모드 명령 또는 영상 촬영 모드 명령이 결정되고, 해당 모드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an image shooting mode command or a video shooting mode command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uches or hits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220)를 2회 터치하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제어부(208)에서는 이미지 촬영 모드로 인식하고, 3회 터치하면 영상 촬영 모드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촬영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설성 시간 내에 설정 횟수의 이미지 컷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디부(220)를 2회 터치하면 1초 간격으로 이미지가 3회 촬영되도록 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또한, 상기 바디부(220)를 3회 터치하여 영상 촬영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영상이 촬영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촬영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command is input by touching the
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전원이 온되어, GPS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정보 모듈(201d)이 온되고, 상기 마이크로폰(202b)을 포함하는 입력부(202)가 온되어,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280,290)이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 a further alternative, when the wireless
상기의 특정 이벤트라 함은 아래와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pecific events include the following cases.
첫째, 상기 마이크로폰(202b)을 통하여 특정 음향(sound) 또는 음성(voice)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자동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웃음 소리 또는 자동차 충돌 소리 등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작동하여 설정 회수 만큼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설정 시간 동안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First, when a specific sound or voice input is sensed through the
둘째, 상기 위치 정보 모듈(201d)에 의하여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현재 위치(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설정 거리 이상 변동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Second,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200 (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s vari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y the
셋째,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센싱부(204) 중에서 근접 센서(204a)에 의하여 임의의 물체가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고를 유발하는 물체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는 거리, 즉 위험 반경 내로 갑자기 들어오면, 상기 카메라 모듈들(280,290)이 작동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추후 사고의 원인을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rd, whe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고, 상기 바디부(220)의 일부가 틸팅 가능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 자체가 틸팅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장착된 바디부(220)의 일부분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a,220b) 각각은, 상기 밴드부(210)에 고정되는 고정부(220d)와, 상기 고정부(220d)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22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부(220c)의 후단부 양 측면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힌지축이 상기 고정부(220d)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회동부(220c)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또는, 상기 힌지축에 위에서 설명한 구동 모터와 기어 어셈블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동으로 상기 회동부(220c)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Alternatively,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drive motor and gear assembly structure to the hinge shaft, the user can automatically rotate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FIG.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되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장착 위치와 장착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12 and 13, the wireless
상세히,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detail, the wireless
더욱 상세히, 상기 이어폰(240)이 장착되는 이어폰 홀더(225)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바디부와 우측 바디부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각각 장착되거나, 좌측 바디부와 우측 바디부 중 어느 한 쪽에만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설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의 전단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이어폰(240)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었다. 상세히, 상기 바디부(220)의 저면, 즉 상기 하부 하우징(222)의 바닥부에 상기 이어폰(240)이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향 케이블(245)은, 상기 함몰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어폰(2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부(220)의 저면에 안착되는 상기 이어폰(240)을 잡아당겨서 귀에 꽂을 수 있고, 릴 버튼을 눌러서 상기 이어폰(240)의 음향 케이블이 릴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이어폰(240)이 상기 함몰부에 다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도 14는 도 13의 무선 음향 장치에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of Fig.
도 14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280)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4, the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은, 카메라(282)와, 상기 카메라(282)의 전면에 결합되는 렌즈(283)와, 상기 카메라(282)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오토 포커싱 센서(289)와, 상기 카메라(282)의 후면에 결합되는 연결부(285)와, 상기 연결부(285)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삽입부(286)를 포함한다. The
상기 카메라(282)의 후면에는 구 형상의 베어링(284), 즉 저널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85)의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284)이 안착되는 베어링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284)이 상기 연결부(285)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282)가 3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A
또한, 상기 삽입부(286)의 측면에는 전원과 전기 신호 전달을 위한 단자부(288)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86)의 후단에는 마그넷(287)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20)의 전단에는 상기 삽입부(286)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자부(288)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에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상기 마그넷(287)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86)를 상기 바디부(220)의 전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면, 자력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286)가 상기 바디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부(288)가 상기 삽입홈에 형성된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은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220)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287)의 자력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바디부(22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뛰더라도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282)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베어링(284)이 구형의 저널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282)의 후면이 상기 연결부(285)의 전면에 닿는 범위 내에서는 각도 제한이 없다. 즉, 상기 카메라(282)의 지향각 범위는 파라볼릭 안테나 형상의 3차원 궤적을 형성한다.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장착 위치에 차이가 있다.15 and 16, the wireless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에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280)은 도 14에서 제시된 전방 카메라 모듈(2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바디부(2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detail, the
또한, 본 도면에서는 상기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 후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제시된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조에 제공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장착되는 자리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각종 버튼부들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In this figure, the detachable
정리하면,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특징은,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의 전단부 뿐만 아니라 상면에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카메라(282)의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285)와 상기 삽입부(286)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필요는 있을 수 있다. In summary, the wireless
다른 방법으로, 상기 카메라(282)의 회전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충분한 화각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282)의 후면과 상기 연결부(285)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 상기 카메라(282)의 회전 각도 범위, 즉 포물선 궤적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282)의 회전 범위를 더 크게 하거나 더 작게 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17 and 18 are perspective views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전방 카메라 모듈의 구조와 작동 메카니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17 and 18, the wireless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200)에 구비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380)은,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에 팝업(pop-up)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detail, th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동작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상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바디부(220) 내부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00)의 상부면과 상기 바디부(22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17, when th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방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전면부가 소정 각도만큼 상측으로 팝업시킨다. 그러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을 향하게 된다. 18, when the
기타,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구성들은 이전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이하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팝업 동작을 위한 메카니즘은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 아래에서 제시되는 구조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팝업 동작을 위한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즉,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팝업 가능하게 바디부(220)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적인 메카니즘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가능한 전방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a는 상기 팝업 가능한 전방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바디부의 부분 평면도이다.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p-up front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A is a partial plan view of a body part where the pop-up front camera module is seated.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 가능한 전방 카메라 모듈(380)은, 케이스(381)와, 상기 케이스(381)의 전면에 안착되는 카메라(382)와, 상기 카메라(382)의 전면에 놓이는 렌즈(383)를 포함할 수 있다. 19, a pop-up
상세히, 상기 케이스(381)의 후단부 양 측면에는 힌지축(38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84)에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38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89)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381)가 상기 힌지축(38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팝업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 상기 탄성 부재(389)의 복원력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a
또한, 상기 케이스(381)의 전면부 하단에는 걸림 돌기(387)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81)의 저면에는 래치(38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locking
한편, 상기 케이스(381)의 외주면, 일실시예로서 상부면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포커싱 렌즈(388)가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도 19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음향 장치(200)의 바디부(220), 구체적으로는 상부 하우징(221)에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수용홈(221g)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19A, a camera
상세히, 상기 카메라 모듈 수용홈(221g)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걸림 돌기(221f)가 돌출될 수 있고, 바닥면에는 래치 리시버(221h)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386)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래치(386)와 래치 리시버(221h) 구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푸쉬 앤 푸쉬 버튼(push and push buttom)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381)를 눌러서 상기 래치(386)가 상기 래치 리시버(221h)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81)를 눌렀다 떼면 상기 래치(386)가 상기 래치 리시버(221h)로부터 분리되는 버튼 구조이다. In detail, a latching
또한, 상기 케이스(381)의 측면에 돌출되는 상기 힌지축(384)은 상기 상부 하우징(2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도 19b는 도 17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FIG. 19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상기 카메라 모듈 수용홈(221g)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상면만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상면은 상기 바디부(220)의 상부 하우징(22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19B, when the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상기 카메라 모듈 수용홈(221g)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386)가 상기 래치 리시버(221h)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탄성 부재(389)에는 복원력이 축적된다. The
도 19c는 도 18의 II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Fig. 19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도 19c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을 팝업 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상면을 눌렀다 떼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래치(386)가 상기 래치 리시버(221h)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389)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381)가 상기 힌지축(38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전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221)의 상측으로 팝업된다. Referring to FIG. 19C, in order to pop up the
이때, 상기 케이스(381)의 전면 하단에 돌출된 걸림 돌기(387)는 상기 상부 하우징(221)의 전면 상단에 돌출된 상기 걸림 돌기(221f)에 걸려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 돌기(387,221f)가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latch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팝업 메카니즘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이 제안 가능함을 재차 밝혀둔다.It is again revealed that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proposed for the pop-up mechanism of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wearing the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300)는 헤드셋 또는 헤드폰 형태의 무선 음향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무선 음향 장치(300)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to 22, the wireless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음향 장치(300)는, 밴드부(310)와 상기 밴드부(3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바디부(320)와, 상기 한 쌍의 바디부(3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380) 및 상기 밴드부(310)에 장착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20, the wireless
상기 무선 음향 장치(300)가 밴드부(310)와 바디부(320) 및 카메라 모듈(380,390)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전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들과 동일하다.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밴드부(310)는 제 1 밴드(310a)와 제 2 밴드부(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밴드(310a)와 제 2 밴드(310b)의 일단에 상기 바디부(320)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밴드(310a)와 제 2 밴드(310b)의 타단은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39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즉,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390)은 상기 밴드부(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만큼 상향 및 하향 회전이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바디부(320)는, 원판 형태의 헤드폰일 수 있고, 상기 바디부(320)의 외측 면에는 아웃 커버(3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321)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32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 아웃 커버(321)에 고정되거나, 팝업 가능한 구조로 상기 바디부(3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에는 오토 포커싱 센서(388)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무선 음향 장치(300)를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a user may wear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바디부(320)의 내측 면에 구비된 스피커 홀이 사용자의 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부(320)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390)이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밴드부(310)를 사용자의 이마에 위치시킨다.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310)가 모자의 챙이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전방 카메라 모듈(380)과,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390)이 모두 사용자의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380,390)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다수의 카메라 모듈(380,390)을 동시에 작동시켜 3D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다른 형태의 착용 방법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부(320)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310)를 뒤로 회전시켜,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390)이 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type of wearing method, the user can rotate the
또는,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310)를 목에 걸고 상기 바디부(320)가 사용자의 가슴 위쪽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은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고, 후방 카메라 모듈(390)는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user may place the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바디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23 and 24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dy part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300)는, 상기 제 8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300)와 구성이 모두 동일하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380)이 상기 바디부(32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에 차이가 있다.23 and 24, the wireless
상세히, 상기 바디부(320)의 외측 면에 상기 아웃 커버(32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 커버(321)의 중앙에는 도 14에서 설명된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이 장착되기 위한 삽입홈(322)이 형성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착탈형 전방 카메라 모듈(280)의 삽입부(286)가 상기 삽입홈(322)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홈(322)의 바닥면에는 도체가 장착되어 상기 삽입부(286)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마그넷(287)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삽입홈(322)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단자부(288)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erminal portion that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평소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280)을 분리 보관하다가 촬영의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전방 캄라 모듈(280)을 상기 바디부(3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parate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400)는, 밴드부(410)와, 상기 밴드부(4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부(420)와, 상기 한 쌍의 바디부(420)의 전면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480)과, 상기 밴드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490) 및 상기 바디부(42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폰(440)을 포함할 수 있다.25, a wireless
상세히, 상기 밴드부(410)는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 1 밴드(410a)와 제 2 밴드(4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밴드(410a)와 제 2 밴드(410b)는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49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49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방 카메라 모듈(29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바디부(420)는, 상기 제 1 밴드(410a)와 제 2 밴드(410b)의 단부에 고정되는 리어 하우징(420b)과, 상기 리어 하우징(420b)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런트 하우징(42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20)의 내부에는 도 4에서 설명된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며, 상기 프런트 하우징(420a)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바디부(420)의 내부에 고정된다. The
상세히, 상기 리어 하우징(420b)과 프런트 하우징(420a)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기 프런트 하우징(420a)은 상기 리어 하우징(420b)에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하우징(420a)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확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런트 하우징(420a)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초점 거리가 길어지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초점 거리가 길어져서, 피사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촬영할 수 있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리어 하우징(420b)에는 이어폰 수용홈(42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수용홈(421)을 관통하여 음향 케이블(445)이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케이블(445)에 상기 이어폰(440)이 연결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릴 부재가 상기 바디부(42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케이블(445)이 인출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여, 상기 이어폰(440)이 상기 이어폰 수용홈(42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한편,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리어 하우징(420b)의 외주면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각종 버튼들과, 스피커 홀 및 마이크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buttons, speaker holes, and microphones described in FIGS. 1 to 4 can be appropriate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400)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전방 카메라 모듈이 별도의 유닛 형태로 상기 무선 음향 장치(4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20)의 하우징은 리어 하우징과 프런트 하우징으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인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 10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400)의 이어폰(440)은 상기 바디부(420)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S. 26 and 27, the wireless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카메라 모듈(480)은 상기 바디부(420)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고, 별도의 지지대(430)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4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은 케이스(481)와, 상기 케이스(481)의 전면에 장착되는 카메라(482) 및 렌즈를 포함하고,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481)의 일측에 오토 포커싱 렌즈가 장착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지지대(430)는, 지지 바(support bar)(431)와, 상기 지지 바(431)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 홀더(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홀더(432)는 상기 바디부(42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C"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바(431)가 상기 케이스(481)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이 상기 지지 바(43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홀더(432)가 상기 바디부(42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이 상기 무선 음향 장치(4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은 상기 지지 바(43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회전 가능할 뿐 아니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에서 연장되는 전력선, 신호선 또는 연성 기판들은 상기 지지 바(43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홀더(432)의 내주면에는 단자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20)의 외주면,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홀더(432)와 밀착되는 부분에 단자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홀더(432)가 상기 바디부(420)에 장착되면, 상기 단자부들(433,424)이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과 상기 바디부(420)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부들(433,424)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480)간 전력 송신, 데이터 송수신 및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power line, a signal line or a flexible board extending from the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의 사시도이다.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500)는, 밴드부(510)와, 상기 밴드부(5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부(520)와, 상기 바디부(520)의 외측 면에 결합되는 전방 카메라 모듈(580)과, 상기 밴드부(510)에 결합되는 후방 카메라 모듈(590)을 포함할 수 있다.28, a wireless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500)는 상기 제 1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장치(400)와 동일하게 헤드셋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510)는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 부분을 감싸도록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510)는 제 1 레일(510a)과, 상기 제 1 레일(510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2 레일(51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들(510a,510b)은 소정의 직격을 가지는 와이어가 아치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wireless
상기 바디부(52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 면에는 스피커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520)의 외측면에는 아웃 커버(52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 커버(521)에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580)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580)이 상기 바디부(52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카메라 모듈(5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전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전방 카메라 모듈들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또한,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은, 전면 또는 후면에 카메라 홀(591a)이 형성되는 케이스(591)와, 상기 케이스(591) 내부에 수용되는 카메라(592)와, 상기 케이스(591) 내부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594)과, 상기 케이스(591)의 저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더(593) 및 상기 슬라이더(593)의 저면을 덮는 로어 커버(59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카메라(592)는 상기 카메라 홀(591a)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93)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홈(593a)과 슬라이드 홀(593b)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더욱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홈(593a)은 상기 슬라이더(593)의 전단부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593a)에 상기 제 1 레일(510a)이 삽입된다. 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홀(593b)은 상기 슬라이더(593)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593)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홀(593a)에 상기 제 2 레일(510b)이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드 홀(593a)에 상기 제 2 레일(510b)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593)는 상기 밴드부(5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홈(593a)이 상기 슬라이더(593)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홀(593b)이 상기 슬라이더(593)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후방 카메라 모듈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9 and 30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of a rear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의 슬라이더(593)는 상기 밴드부(5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밴드부(51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29, the
또한, 상기 케이스(591)는 상기 슬라이더(593)의 상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591)의 저면과 상기 슬라이더(593)를 연결하는 수직축이 제공되고,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591)가 회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부(510)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무선 음향 장치(50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91)를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592)가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은 상기 제 2 레일(51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0, the
상세히, 상기 제 1 레일(520a)이 상기 슬라이드 홈(593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을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593)는 상기 제 2 레일(510b)에만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레일(510b)은 상기 슬라이드 홀(593b)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이 상기 밴드부(5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 모듈(59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592)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Claims (20)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스피커 모듈과 이어폰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촬영 동작은 이미지 촬영 동작 및 영상 촬영 동작을 포함하고,
특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바디부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진동 센서 또는 터치 센서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두드림 또는 상기 바디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상황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센서 또는 터치 센서에 의한 진동 또는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진동 센서 또는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진동 회수 또는 터치 회수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촬영 모드 또는 영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A band portion that is elastic and warpable so as to surround the neck of the user;
A body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nd portion;
A power switch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 acoustic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 speaker module and an earpho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at least the mobile terminal;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body and photographing at least one of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a user; And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an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becomes possible,
Wherei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and a photographing operation,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camera module to automatically perform a photographing operation,
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vibration or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f a user,
Wherein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situation in which the touch of the body part or the tapping of the body part is detec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or the touch sensor,
Wherein when the vibration or touch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or the touch sensor, the camera module performs an imaging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mage pickup mode or the image pickup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vibration or touch detected from the vibration sensor or the touch sensor.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는 상황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음향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stat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amera module perform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wireless acoustics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become wirelessly communicable.
상기 바디부는, 음악 재생 명령 입력을 위한 플레이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플레이 버튼에 의한 음악 재생 명령 입력 상황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 버튼에 의한 음악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play button for inputting a music reproduction command,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music playback command input state by the play button,
Wherein the camera module performs a photographing operation periodically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when a music reproduction command by the play button is input.
상기 제어부에서 이미지 촬영 모드로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설정 시간 동안 설정 회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mage photographing mode, the camera module photograph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set time.
상기 제어부에서 영상 촬영 모드로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설정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한 뒤에 자동으로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mage capturing mode, the camera module automatically stops capturing an image for a set time.
상기 바디부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GPS 모듈에 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설정 거리 이상 변동되었음이 감지되는 상황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변동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further comprises a GPS module,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situation where it is detected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has been chang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y the GPS module,
Wherein the camera module performs an imaging operation whenever a user's positional change is detected.
상기 바디부는, 외부의 음향 또는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특정의 음향 또는 음성의 입력을 감지하는 상황을 포함하며,
특정의 음향 또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sensing external sound or voice,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situation where a specific sound or voice input is sens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when the specific sound or voice is input, the camera module perform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상기 바디부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의 이벤트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하여 임의의 물체가 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상황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물체가 설정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n approach of an object,
Wherein the specific event includes a situation in which it is detected that an object approache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y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camera module performs an imaging opera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bject approaches the set distance range.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바디부와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1 바디부와 제 2 바디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전방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nd a first body part and a second body par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nd part,
The camera module includes:
And a first camera module installed at one or both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o photograph a user's front subject.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밴드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후방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음향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mera module includes:
And a second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band portion and photographing a rear subject of the user.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밴드부에 틸팅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camera module is tilted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nd portion.
상기 밴드부는,
일 단부에 상기 제 1 바디부가 연결되는 제 1 밴드와,
일 단부에 상기 제 2 바디부가 연결되는 제 2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타 단부들은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nd-
A first b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at one end,
And a second band to which the second body part is connec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amera module.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ens unit of the first camera module is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camera module is til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밴드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one or both of the first body portion
A fixing part fixed to the band part,
And a turn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camera module is installed in the rotary unit.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전단부 또는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camera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on a front end portion or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팝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camera module is pop-upabl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토 포커싱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음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dule includes:
An image sensor,
A lens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sensor,
And an auto focusing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ns.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562A KR101609950B1 (en) | 2014-10-10 | 2014-10-10 | Wireless audible apparatus |
EP15001289.6A EP3007029B1 (en) | 2014-10-07 | 2015-04-30 | Mobile terminal and wearable device |
JP2015098995A JP6130432B2 (en) | 2014-10-07 | 2015-05-14 | Mobile terminal |
US14/731,213 US10216312B2 (en) | 2014-10-07 | 2015-06-04 | Mobile terminal |
CN201510368828.7A CN106200773B (en) | 2014-10-07 | 2015-06-29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562A KR101609950B1 (en) | 2014-10-10 | 2014-10-10 | Wireless audibl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9950B1 true KR101609950B1 (en) | 2016-04-07 |
Family
ID=5578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6562A KR101609950B1 (en) | 2014-10-07 | 2014-10-10 | Wireless audibl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950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527B1 (en) * | 2016-06-17 | 2017-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KR101790528B1 (en) * | 2016-06-22 | 2017-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sound equipment |
KR101813103B1 (en) * | 2016-04-19 | 2017-12-29 | 홍진철 | Neck Band Type Camcorder |
WO2018021629A3 (en) * | 2016-07-29 | 2018-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udio device |
KR101880465B1 (en) * | 2017-09-22 | 2018-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CN108513106A (en) * | 2018-06-07 | 2018-09-07 | 广州鼎飞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nimal video frequency tracking instrument and system |
WO2019231027A1 (en) * | 2018-06-01 | 2019-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udio equipment |
KR102136348B1 (en) * | 2019-02-22 | 2020-07-23 |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 Wearable camera device |
JP2021090144A (en) * | 2019-12-04 | 2021-06-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Wearable speaker system |
CN113037903A (en) * | 2021-03-05 | 2021-06-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US11184698B2 (en) * | 2016-12-21 | 2021-11-23 | Amosense Co., Ltd. | Headset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nd headset charging system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mprising same |
EP4321086A1 (en) * | 2022-08-08 | 2024-02-14 | Decentralized Biotechnology Intelligence Co., Ltd. | Neckband sens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56760A (en) * | 2011-01-26 | 2012-08-16 | Casio Comput Co Ltd | Head-mounted type imaging apparatus |
KR101250951B1 (en) * | 2012-07-23 | 2013-04-09 | 정윤석 |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hereof |
-
2014
- 2014-10-10 KR KR1020140136562A patent/KR1016099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56760A (en) * | 2011-01-26 | 2012-08-16 | Casio Comput Co Ltd | Head-mounted type imaging apparatus |
KR101250951B1 (en) * | 2012-07-23 | 2013-04-09 | 정윤석 |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hereof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3103B1 (en) * | 2016-04-19 | 2017-12-29 | 홍진철 | Neck Band Type Camcorder |
WO2017217588A1 (en) * | 2016-06-17 | 2017-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KR101790527B1 (en) * | 2016-06-17 | 2017-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KR101790528B1 (en) * | 2016-06-22 | 2017-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ireless sound equipment |
WO2017222121A1 (en) * | 2016-06-22 | 2017-12-28 | Lg Electronics Inc. | Wireless sound equipment |
US10034075B2 (en) | 2016-06-22 | 2018-07-24 | Lg Electronics Inc. | Wireless sound equipment |
WO2018021629A3 (en) * | 2016-07-29 | 2018-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udio device |
US11184698B2 (en) * | 2016-12-21 | 2021-11-23 | Amosense Co., Ltd. | Headset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nd headset charging system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mprising same |
KR101880465B1 (en) * | 2017-09-22 | 2018-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US10250729B1 (en) | 2017-09-22 | 2019-04-0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US10686923B2 (en) | 2017-09-22 | 2020-06-1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WO2019231027A1 (en) * | 2018-06-01 | 2019-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udio equipment |
CN108513106A (en) * | 2018-06-07 | 2018-09-07 | 广州鼎飞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nimal video frequency tracking instrument and system |
WO2020171319A1 (en) * | 2019-02-22 | 2020-08-27 |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 Wearable camera device |
KR102136348B1 (en) * | 2019-02-22 | 2020-07-23 |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 Wearable camera device |
JP2021090144A (en) * | 2019-12-04 | 2021-06-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Wearable speaker system |
CN113037903A (en) * | 2021-03-05 | 2021-06-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CN113037903B (en) * | 2021-03-05 | 2023-10-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equipment |
EP4321086A1 (en) * | 2022-08-08 | 2024-02-14 | Decentralized Biotechnology Intelligence Co., Ltd. | Neckband sens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9950B1 (en) | Wireless audible apparatus | |
KR101785458B1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CN105549839B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9595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system | |
KR20150133056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70139408A (en) |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dual cameras | |
KR20170130952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000345A (en) |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13183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6001746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90057286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8222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37123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70004706A (en) | Iris identification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rthod thereof | |
KR20170054922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60053691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47057A (en) | Wearable glass-typ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 |
KR20160081698A (en) | White balanc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4386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20689A (en) | Mobile device | |
KR20170085358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KR2017003575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141426A (en) | Potable accessary device | |
KR20150140050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12526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