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65B1 -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65B1
KR101609865B1 KR1020140121329A KR20140121329A KR101609865B1 KR 101609865 B1 KR101609865 B1 KR 101609865B1 KR 1020140121329 A KR1020140121329 A KR 1020140121329A KR 20140121329 A KR20140121329 A KR 20140121329A KR 101609865 B1 KR101609865 B1 KR 101609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fixing
core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1663A (en
Inventor
이준호
이병송
김재희
박찬배
정신명
이승환
박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3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에 관한 것으로; 열차 선로의 레일들 사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용 튜브 및 마그네틱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전모듈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케이블 고정용 튜브의 균일한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base plate mounted between the rails of the train line, a core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cable fixing tu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fixing plate, and a magnetic cor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located above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module, uniform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can be maintained constant to increas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를 추진동력으로 활용하는 열차에 비접촉식으로 필요한 대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선로의 설치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급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large power required for non-contact type of a train using electric energy as a propulsion power, To the power supply module.

최근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와 도로 교통의 정체 등 타 육상교통 수단이 한계에 이르면서, 전기철도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확장되는 추세이다.Recently, the demand for electric railroad has been increasing and expanding, as the rapid increase of automobiles and congestion of road traffic have reached the limits of other land transportation.

한편, 전기철도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한 공급이 확대됨에 따라 대량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전기철도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확보가 더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supply of electric railroad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it is urgently required to secure safety and reliability of electric railway as mass public transportation means.

이와 같은 전기철도의 급전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 동력으로서 필요한 교류 25,000V 또는 직류 1,500V의 전기에너지를 선로를 따라 설치된 가공차선(혹은, '트롤리선' 이라고 함) 또는 제3궤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그 운행 및 제어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 예로 접촉식 급전 방식을 갖는 판토그라프는 등록특허 제10-0531749호, 등록특허 제10-0858370호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가 제안된 바 있다. Such an electric railway power supply system supplies electric power of 25,000 V alternating current or 1,500 V direct current required as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to a processing lane (or 'trolley line') installed along the line or power from the third rail For example, a pantograph having a contact-type power supply system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forms through Patent Documents 10-0531749 and 10-0858370.

상기 가공차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차량에 탑재한 팬토그라프를 이용하여 접촉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제3궤조의 경우에는 레일 측면 또는 레일 사이에 제3궤조를 설치하고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며 열차에 부착된 급전슈를 통해 접촉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In order to receive electric power through the machining lane, power is supplied by contact using a pantograph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case of the third rail, a third rail is provided between the rail side and the rail,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substation And is powered by contact through the feed shoe attached to the train.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공차선을 이용하는 접촉식 급전시스템은 급전을 위한 접촉에 의한 유지보수 비용 발생, 도심지 내 전차선이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도시 미관의 침해, 전차선에 의한 사고 발생의 위험이 존재한다.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ct-type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processing lane causes a maintenance cost due to contact for power supply, a catenary line in the urban area is connected like a spider web, thereby causing an accident caused by a catenary line.

또한, 종래의 가공차선은 폭우, 강풍 등 날씨의 영향을 받아 운영시간 축소 및 고객 불편이 자주 발생하고, 레일을 귀선전류 궤환루프로 이용해야하며, 가공차선과의 이격거리 확보를 위한 터널 단면적이 증가하고, 고속운행시에 판토그라프의 공기저항 급상승에 의한 에너지 효율의 저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chining lane is affected by the weather such as heavy rain or strong wind, and therefore the operation time is reduced and the customer inconvenience frequently occurs. The rail should be used as a return current feedback loop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unnel And the energy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sudden increase in air resistance of the pantograph at the time of high-speed operation.

아울러, 종래의 제3궤조를 이용하는 접촉식 급전시스템은 승객 접촉 및 침수에 의한 감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tact type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third rai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accident due to passenger contact and immersion.

한편, 이상의 종래 접촉식 급전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선 급전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으며, 대용량 무선급전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의하면 지상의 전원배전반(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인버터(2)에서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여 급전선로(3)에 공급하고 급전선로(3)를 흐르는 고주파 전류는 급전 선로에 고주파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급전 선로(3)에 형성된 고주파 자기장은 차상의 집전모듈(4)에 부착되어 있는 코일(도체)과 쇄교하여 집전모듈(4)의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정류기를 통하여 직류성분으로 평활한 후 양질의 전력을 차량(5)에 공급한다.Meanwhile, a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tact type power supply system has been proposed.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arge capacity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is as shown in FI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ground power distribution board 1 generates a high frequency current in the inverter 2 and supplies it to the feed line 3 and the high frequency current flowing in the feed line 3 forms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n the feed line . Thus, the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formed on the feed line 3 is linked with the coil (conductor) attached to the current collector module 4 to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coil of the current collector module 4, And supplies high-quality electric power to the vehicle 5 after smoothening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이 경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급전선로에는 높은 주파수의 고전류가 흐르고 선로의 길이에 따라서 급전선로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In this case, high-frequency high current flows in the feeder lin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he inductance of the feeder line increas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ne.

이와같은 특성은 아래 식(1)으로 표현된다.
This characteristic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v = 2πfLi ---------------- (1)
v = 2? fLi - (1)

이때, v는 선로 전압, f는 주파수, L은 선로 인덕턴스, i는 선로 전류이다.Where v is the line voltage, f is the frequency, L is the line inductance, and i is the line current.

예를 들어, L = 2.5μH/m 인 경우 급전선로 길이가 150 m인 경우 선로 인덕턴스 L = 375 μH이고, 선로 전류 i = 350 As, f = 60 kHz인 경우에 선로 전압 v = 50kV의 고압이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if L = 2.5 μH / m, the line inductance L = 375 μH when the feed line length is 150 m and the line voltage v = 50 kV when the line current i = 350 A s and f = .

이 경우 50 kV의 내압을 견디기 위해서는 선로용 cable 에 특수한 절연처리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절연 처리는 시스템의 단가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제성에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선전력전송용 급전선로는 내압을 낮출 수 있는 설계를 포함해야 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of 50 kV, a special insulation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cable for the line. Such insulation treatment is a factor for improving the unit price of the system, which is a serious disadvantage to the economical efficiency. Therefore, the feed lin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ust include a design that can lower the breakdown voltage.

또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급전선로(3)와 집전모듈(4) 간의 공극은 전체 시스템의 효율 및 집전모듈(4)에 유기되는 유기기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기 때문에 일정공극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In addition, since the gap between the feed line 3 and the current collecting module 4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system and the organic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current collecting module 4, very important.

따라서, 급전선로(3)와 집전모듈(4) 간 일정공극 유지를 위해서는 급전선로(3)의 평탄도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feed line 3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feed line 3 and the current collecting module 4. [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0531749호Reference 1: Registration No. 10-0531749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0858370호Reference 2: Registration No. 10-0858370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추진동력으로 활용하는 열차에 비접촉식 무선전력 전송 기술을 적용하여 열차에서 필요로 하는 수백 KW 급의 대용량 전력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급전선로와 집전모듈간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s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a non-contac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to a train that utilizes electric energy as a propulsion power so as to uniformly supply a larg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a feeder line and a current collecting modul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열차 선로의 레일들 사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용 튜브 및 마그네틱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을 제공한다.A base plate mounted between the rails of the train line, a core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cable fixing tu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fixing plate, and a magnetic core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용 튜브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to maintain uniform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판상의 제1몸체 전후측 테두리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에는 판상의 제2몸체 전후측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제2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고정공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는 체결수단이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has a first fixing hol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plate-shaped first body, a first fixi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he core fixa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second body front and rear rims formed with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hol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ture hole of the base plate, A second fixing hole is formed; And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과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공을 관통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에 체결되는 조정너트로 구성되는 앵커볼트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n anchor bolt passing through a first fix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second fix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re fixing plate,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ground; And an adjusting bolt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assembly.

이때, 상기 앵커볼트는 하단 지면에 고정시 지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턱이 형성되는 쐐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anchor bolt is formed with a wedge portion formed with a support jaw to prevent the anchor bolt from being detached and separated from the ground during fixing.

아울러,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덮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re fixing plate.

이때, 상기 덮개는 양측에 지지부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lid is bent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the third fixing hol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in the support.

본 발명에 따르면, 급전모듈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케이블 고정용 튜브의 평탄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can be uniformly maintain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located above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module, thereby enhancing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또한, 이와 같은 급전모듈의 조립 구조는 대용량 무선급전 시스템의 급전선로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모듈화된 급전모듈의 구성에 의해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확보됨은 물론 시공 및 유지보수도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assembly structure of such a power supply module can be applied to various feed lines of a large-capacity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The modularized power supply module ensures maintenance efficiency an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도 1은 일반적인 대용량 무선 급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튜브 고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앵커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최저 및 최고 높이 설정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덮개를 씌우기 전 설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의 덮개를 씌운 후 설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large capacity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2 is a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ube fixing state of a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ver of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anchor bolt assembly of a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setting of a minimum and a maximum height of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vering the cover.
FIG. 8 is a photograph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vering the cover.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feed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100)은 전기에너지를 추진동력으로 활용하는 열차에 비접촉식 무선전력 전송 기술을 적용하여 열차에서 필요로 하는 수백 KW 급의 대용량 전력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급전선로와 차량에 설치되는 집전모듈 간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2 to 6, the feed module 100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non-contac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ique to a train that uses electric energy as a propulsion power, The gap between the feeder line and the current collecting module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maintained consta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100)은 크게 열차가 주행하는 선로의 레일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용 튜브(130) 및 마그네틱코어(140)로 구성된다. The power supply module 100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10 mounte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rails of a railway line on which a train travels, A cable fixing tube 130 provided on the core fixing plate 120, and a magnetic core 140. The core fixing plate 120 is fixed to the core fixing plate 120,

구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용 튜브(130)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And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to maintain uniform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130 is provided.

물론,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상측에는 덮개(160)가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용 튜브(130) 및 마그네틱코어(140)를 보호한다.
Of course, a lid 16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to protect the cable fixing tube 130 and the magnetic core 140.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열차가 주행하는 선로의 레일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상의 제1몸체(111) 전후측 테두리에 제1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제1몸체(1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113)이 형성된다. First, the base plate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rails of a line on which a train travels. A first coupling hole 112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body 111, The first fixing holes 1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holes 113 are formed.

이때, 상기 제1결합공(112)은 제1몸체(111) 전후측 테두리에 복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공(113)은 복수가 상기 선로의 길이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113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body 111,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holes 11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결합공(112)은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고정을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가 일체로 장착된다.The first coupling hole 112 of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for fixing the core fixing plate 120 and the core fixing plate 120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do.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는 판상의 제2몸체(121) 전후측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결합공(112)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122)이 형성되고, 제2몸체(121)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고정공(113)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123)이 형성된다. The core fixing plate 120 has a second coupling hole 1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112 of the base plate 110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plate-shaped second body 121, A second fixing hole 1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13 of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wo body 121.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를 밀착시키고 제1결합공(112)과 제2결합공(122)에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관통 체결하여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한다.Therefore, the core fixing plate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nuts are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112 and 122, (120)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이와 같은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에는 급전선로를 고정하는 고정용 튜브(130)와, 자기장의 분포밀도를 접전모듈에 집중시키기 위한 선로용 마그네틱 코어(140)가 설치된다.The core fixing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fixing tube 130 for fixing the feed line and a magnetic core 140 for a line for concentrating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magnetic field on the engaging module.

이때, 상기 급전선로는 표피효과를 고려하여 여러 가닥의 소선으로 이루어진 급전 케이블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skin effect, the feed cable preferably uses a feed cab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

한편,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용 튜브(130)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높이조절수단이 사용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앵커볼트 어셈블리(150)를 이용하여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구성되는 단위 급전모듈(100) 별로 높이조정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uniform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130 installed on the core fixing plate 120, and height adjusting means is used for this purpose. The height adjusting means adjusts the height of each unit feeding module 100 including the core fixing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10 by using the anchor bolt assembly 150.

이때, 상기 앵커볼트 어셈블리(150)는 앵커볼트(151)와 조정너트(152)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anchor bolt assembly 150 includes an anchor bolt 151 and an adjustment nut 152.

상기 앵커볼트(15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고정공(112)을 관통하며 하단을 선로의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고정공(112) 및 그에 대응되는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제2고정공(122)을 관통하며, 상기 앵커볼트(151)의 상단에 조정너트(152)를 나사 체결한다. The anchor bolt 1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hole 112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anchor bolt 151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hole 112 of the base plate 110 while fixing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151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line. And an adjusting nut 152 is screwed on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151. The anchor bolt 151 is screw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122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

이때, 상기 앵커볼트(151)의 하단에는 지면에 고정시 지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턱(153)이 형성되는 쐐기부(154)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151 is formed with a wedge part 154 formed with a support step 153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15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groun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조정너트(152)를 조여줌으로써 선로의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단위 모듈별로 코어 고정용 플레이트(1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급전선로의 길이가 길더라도 전체 선로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can be adjusted for each unit module even if the ground surface of the line is uneven by tightening the adjustment nut 152. Thus, even if the length of the feed line is long, It is possible to do.

이와 같은 평탄화 작업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덮개(160)를 씌워서 급전선로 구축작업을 마무리한다.When the flattening operation is finished, the cover 160 is finally put on and the construction with the feeder line is completed.

즉,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고정용 튜브(130)와 선로용 마그네틱 코어(140)를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날씨 변화 등으로 인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덮개(160)가 장착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core fixing plate 120 is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tubes 130 and the magnetic core 140 for lines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due to external physical impact, A lid 16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

이때, 상기 덮개(160)는 양측에 지지부(162)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61)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고정공(112)에 대응되는 제3고정공(162)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cover 160 is bent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62, and a third fixing hole 162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12 of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in the supporting portion 161 .

따라서, 상기 제3고정공(163)으로 평탄도 유지를 위한 앵커볼트(151)의 타단부를 관통시켜 일체로 코어고정용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덮개(160)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고정용 튜브(130)와 선로용 마그네틱 코어(140)를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cover 160 is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by integrally passing the other end of the anchor bolt 151 for maintaining the flatness with the third fixing hole 163, The tube 130 and the magnetic core 140 for a line can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한편, 도 6의 (a) 및 (b)는 단위 급전모듈(100)을 연속적으로 설치시, 코어 고정용 플레이트(120) 별로 높이를 최대한 낮게 한 경우와 높게 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코어 고정용 플레이트(120)를 급전모듈(100) 별로 높이 조절할 수 있어 급전모듈(100)내에 설치되는 급전선로의 길이가 길더라도 전체 선로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core feeding plate 120 is minimized and the case where the height is increased for each unit feeding module 100 when the unit feeding module 100 is continuously installed. The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120 can be adjusted for each power feeding module 100, so that uniform flatness of the entire line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length of the power feeding line provided in the power feeding module 100 is long.

이때, 실제 급전선로를 구축한 모습은 덮개를 쉬우기 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고, 덮개를 쉬운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construction of the actual feeder line is as shown in Fig. 7 before the lid is easy, and the lid is as shown in Fig. 8 after the lid is ready.

이와 같은 급전선로의 평탄도 유지를 위한 모듈화된 구성품에 의한 선로 지지방식을 적용하여, 모듈화 방식에 의한 선로 지지로 선로길이에 대한 제한이 없고, 마그네틱 코어 지지부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경우 코어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우며, 덮개(160)를 도입하여 선로 내부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고, 단위 모듈의 높낮이 조정을 통한 평탄도 유지도 가능하다.
By applying the line support method by the modularized components for maintaining the flatness of the feeder lin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line length by the modularization method, and when the flexibility is given to the magnetic core support por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inside of the line by introducing the lid 160 and to maintain the flatnes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nit modu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급전모듈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코어고정용 플레이트 130: 케이블 고정용 튜브
140: 마그네틱코어 150: 앵커볼트 어셈블리
160: 덮개
100: power supply module 110: base plate
120: core fixing plate 130: cable fixing tube
140: Magnetic core 150: Anchor bolt assembly
160: cover

Claims (7)

열차 선로의 레일들 사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코어고정용 플레이트,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용 튜브 및 마그네틱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A base plate mounted between the rails of the train line, a core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cable fixing tu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fixing plate, and a magnetic core A power supply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용 튜브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core fixing plate to maintain uniform flatness of the cable fixing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판상의 제1몸체 전후측 테두리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에는 판상의 제2몸체 전후측 테두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제2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고정공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는 체결수단이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includes a first fixing hole formed at a front and rear edge of a plate-shaped first body, a first fixing hol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dy, The core fixation plate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second body front and rear rims formed with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hole of the base plate,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ture hole of the base plate, A second fixing hole is formed; And a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과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공을 관통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에 체결되는 조정너트로 구성되는 앵커볼트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n anchor bolt passing through a first fix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second fix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re fixing plate,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ground; Wherein the anchor bolt assembly is an anchor bolt assembly composed of an adjusting nut to be fasten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하단에 지면에 고정시 지면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턱이 형성되는 쐐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nchor bolt is formed with a wedge portion having a support tab to prevent the anchor bolt from separating from the ground when the anchor bolt is fixed to the ground at the lower e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고정용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덮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re fixing pl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양측에 지지부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3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급전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id is formed by bending supports on both sides thereof, and a third fixing hol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on the supporting portion.
KR1020140121329A 2014-09-12 2014-09-12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KR101609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29A KR101609865B1 (en) 2014-09-12 2014-09-12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29A KR101609865B1 (en) 2014-09-12 2014-09-12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63A KR20160031663A (en) 2016-03-23
KR101609865B1 true KR101609865B1 (en) 2016-04-08

Family

ID=5564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29A KR101609865B1 (en) 2014-09-12 2014-09-12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39B1 (en) 2017-09-15 2020-03-11 주식회사 아모센스 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1351A (en) 2009-12-21 2011-08-04 Nok Corp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1351A (en) 2009-12-21 2011-08-04 Nok Corp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63A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189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m Vehicle
KR101826649B1 (en) Ground-based power supply system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s
JP4824690B2 (e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via floor"
US11712969B2 (en) Current collector device for a vehicle
KR102055353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with electric energy by magnetic induction
KR101535284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DK2839982T3 (en) Railway vehicle pantograph comprising de-icing means and method of de-icing a pantograph
JP2009113691A (en) Ground power supply system of battery-driven type vehicle in railroad vehicle
KR101609865B1 (en) Power supply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CN105480119A (en) Independent return current rail technique of DC traction electricity supply system for railway traffic
KR10086976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light electric railway
Huh et al. High efficient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implemented for on line electric vehicles
KR101559806B1 (en) power supply and pickup for tracked vehicle with inwheel pick-up coil
US20220115978A1 (en) Solar assisted electric transportation
CN204669048U (en) Super capacitor trolley bus quick charge structure
KR101306873B1 (en) Power supply line system for high speed railroad
RU2353531C1 (en) Method of powering electric vehicles and device to this end
RU2505427C2 (en) Contactless method of powering electric vehicles
RU2490146C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contactless transfer to vehicle
CN111717079B (en) Aerial rail transit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1587126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Same
CN112248885B (en) Contact net device at cross crossover line
KR20150067462A (en) Pantograph
KR20180094645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a voltage stabilizer module for railway vehicle
KR102226946B1 (en) Tram Contractless Energy Transf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