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08B1 -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Google Patents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08B1
KR101609808B1 KR1020150004078A KR20150004078A KR101609808B1 KR 101609808 B1 KR101609808 B1 KR 101609808B1 KR 1020150004078 A KR1020150004078 A KR 1020150004078A KR 20150004078 A KR20150004078 A KR 20150004078A KR 101609808 B1 KR101609808 B1 KR 101609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r
dummy doll
sensing signal
screen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to KR102015000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The apparatus can obtain sens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raine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and can simply send such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ors to an external device by embodying a plurality of sensors, a zigbee, an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The sensors are installed on the chest, abdomen, airway, etc., on a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and can detect information on the pressure, location changes, etc., during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zigbee can wirelessly transmit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ors. Also, visual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can be enhanced by embodying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results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actice performed by a trainee a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graphic picture, or an actual image, while enabling a user to objectively check the results of the practice performed by the trainee.

Description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for CPR training, a device and a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 method and a device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상 가슴, 복부, 기도 영역 등에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압력, 위치 변화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와 센싱된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현하고,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과 연동하여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결과 정보를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실습의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실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PR trai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PR manikin for a CPR training,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pressure, position change, etc. according to a CPR exercise in a chest, abdomen, (ZigBee), Bluetooth (bluetooth), and the like,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CPR exercises performed by the trainee in cooperation with the CPR manikin can be displayed on a 2D, 3D graphic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a simul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ining CPR training, which can enhance the visual education effect of CPR exercises by realizing a CPR simulator device,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란 심장이 정지된 환자에게 가슴압박, 약물투여 및 제세동 등을 행하는 응급처치법을 의미한다. In gener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refers to a first-aid procedure that performs chest compressions, drug administration, and defibrillation to a patient with a heart failure.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가 보다 나은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을 때까지 도와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응급처지 중 하나로써 심폐소생술의 보급을 위해 여러 공인단체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Thes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mergency situations that can help patients in emergency situations to receive better hospital treatment, and is continuing education in several accredited organizations for the spread of CPR.

한편, 이러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의 교육에 있어서는 인체 형상과 유사한 마네킹을 이용하여 교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common to educate people using CPR manikins in CPR training such as CPR.

이러한 심폐소생술의 대표적인 동작으로는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환자의 고개를 뒤로 젖히는 동작이나, 심장이 위치한 가슴 부분에 대해 압박을 가하는 동작, 또는 하임리히 구조법에 따른 복부 압박 동작 등이 있으며, 교육자들은 심폐소생술에 필요한 동작을 마네킹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심폐소생술을 연습하게 된다. The CPR is typically performed by lifting the patient's head back to gain airway pressure, compressing against the chest where the heart is located, or abdominal compression due to the Hamilton structure, CPR is perform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necessary actions for the resuscitation on the manikin.

그러나, 종래에 심폐소생술의 교육을 위해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마네킹은 사람의 형상으로 제작된 더미 마네킹으로써, 피교육자가 교육받은 대로 마네킹에 대해 흉부압박 또는 복부 압박 동작을 수행하더라고 교수자의 입장에서 피교육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필요한 압박을 정확히 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nnequin that has been manufactured and used for CPR training is a dummy mannequin made in the shape of a human, so that the trainee performs chest compression or abdominal pressing motion on the mannequin as instructed by the traine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or not the required pressure is accurately applied at the position.

즉, 종래 더미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에서는 피교육자가 교수자의 지시에 따라 해당 동작을 흉내내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피교육자가 교육받은 응급처지 동작을 정확히 수행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는 방법이 없어서 교육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CPR training using conventional dummy mannequins, the trainee is only at a level that imitates the ac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instructor, and there is no way to objectively ascertain whether the trainee is correctly performing the trained emergency con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ect was inferior.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267384호(등록일자 2013년 05월 20일)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67384 (registered on May 20, 2013)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상 가슴, 복부, 기도 영역 등에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압력, 위치 변화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와 센싱된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현하고,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과 연동하여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결과 정보를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실습의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실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information such as pressure, position chang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PR exercise in the chest, abdomen, and airway regions of a CPR manikin for training of CPR, ZigBe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sensed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a CPR simul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a CPR exercise performed by a trainee in a 2D, 3D graphic screen or a real image screen in cooperation with a manikin for CPR edu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nequin for CPR training, a simulation apparatus, and a method, which can enhance the visual education effect of the training and can objectively confirm the result of the training of the trainee.

상술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으로서, 사람의 상반신 형체를 갖도록 제작된 더미 인형과, 상기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여 제1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센서와,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제2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제1 센싱 신호의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제1 센싱신호 또는 제2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nequin for CPR education, comprising: a dummy doll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of an upper half of a human body;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bust area and an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to detect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 second sensor disposed in the airway region of the dummy doll for detecting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and outputting the detected change in the airway position as a second sensing signal;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is generate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first sensing signal or the second sensing signal.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상기 제1 센싱 신호의 발생 회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ing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sensing signal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sensing signal is counted by the counter when receiving the first sensing signal, .

또한, 상기 제1 센싱 신호는, 상기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magnitud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chest region or the abdomen region.

또한, 상기 제2 센싱 신호는, 상기 기도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더미 인형의 머리 부분이 뒤로 젖혀진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ngle at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dummy doll is bent back around the airway region.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이 가능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ay be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a signal including Zigbee or Bluetooth.

또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더미 인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그래픽 처리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을 모니터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prising: a receiver for wirelessly receiving a sensing signal generated by performing a CPR operation using a dummy doll from a senso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regions of a dummy doll; Analyzing means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a posi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nd a size of the pressure or information on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A graphic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2D or 3D graphic screen or a real image by performing a CPR operation on the dummy figur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generat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to a monitor device do.

또한, 상기 그래픽 처리부는, 서로 다른 다수의 더미 인형으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a CPR operation performed in each dummy doll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ummy dolls, as a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for each dummy doll .

또한, 상기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은, 상기 모니터 장치상 상기 더미 인형의 수에 대응되게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for each dummy doll is displayed on a screen di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ummy dolls on the monitor device.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여 제1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센서와,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제2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chest area and a stomach area of the dummy doll to detect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nd output the detected pressure as a first sensing signal,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and outputting it as a second sensing signal.

또한, 상기 제1 센싱 신호는, 상기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nsing signal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magnitud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chest region and the abdomen region.

또한, 상기 제2 센싱 신호는, 상기 기도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더미 인형의 머리 부분이 뒤로 젖혀진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ngle at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dummy doll is bent back around the airway region.

또한, 상기 센싱 신호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ZigBee or Bluetooth.

또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의 표시가 가능한 영상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 device is a video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더미 인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동작에 따라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더미 인형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상기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을 모니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 CPR operation using a dummy doll from sensors installed in predetermined regions of a dummy dol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wirelessly from the device; analyzing the sensing signal to calculat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 magnitude of the pressure, or information on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Generating a 2D, 3D graphic screen or a real imag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performing a CPR operation on the 2D / 3D graphic screen or a real image scree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To the monitor device.

또한,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에서, 서로 다른 다수의 더미 인형으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각각의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ummy dolls in the step of generating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the CPR operations performed in the respective dummy dolls are performed in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상 가슴, 복부, 기도 영역 등에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압력, 위치 변화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와 센싱된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심폐소생술 피교육자의 실습에 대응되는 센싱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 장치로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PR educ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pressure, position chang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CPR exercise in a chest, abdomen,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of the CPR trainee and to easily transmit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by implement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ZigBee or Bluetooth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have.

또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과 연동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하고,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위와 같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결과 정보를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실습의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실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PR simulator is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the CPR manikin,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CPR exercises performed by the traine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screen The visual education effect of the CPR exercise can be improved, and the result of the training of the subject can be easily and objectively confirmed.

또한,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 구현을 통해 기존 교육과 다른 상황별 현실감과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1인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피교육자의 실습에 대한 동시 처리도 가능하여 다수의 피교육자에 대한 동시 실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realistic reality and sense of reality different from existing education through 2D or 3D graphic screen or actual screen realization,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training of a plurality of students as well as one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acticed.

또한, 미국, 일본, 중국 등 심폐소생술 및 하임리히와 관련된 고가의 마네킹에 대해 본원 발명에서와 같은 특화된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을 통해 새로운 수요 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최근 안전 교육의 부각으로 보다 많은 분야의 잠재수요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new demand will be cre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pecialized technolog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expensive mannequins related to CPR and Himiri,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nd in particular, The potential demand of the marke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을 이용한 응급처치 방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명의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 시의 그래픽 화면 구현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 시의 그래픽 화면 구현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명의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 시의 실사화면 구현 예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annequin for CP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first-aid treatment using a mannequ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PR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 conceptual diagram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screen in a CPR exercise by one train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screen in CPR exercises by a plurality of traine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ctual view screen realization at the time of CPR training by one train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더미 인형(102), 제1 센서(104), 제2 센서(106), 카운터(108),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mannequin for CPR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doll 102, the first sensor 104, the second sensor 106, the counter 108, A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lik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PR educational maniki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더미 인형(102)은 피교육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의 (a), (b)에서와 같이 인체의 상반신 형태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의 (c), (d)에서와 같이 소아 및 성인 전신 형태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더미 인형(102)은 예를 들면 수지,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PVC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미 인형(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재료는 그 형상을 신축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다.2 (a) and 2 (b), the dummy doll 10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f the upper half of the human body, or alternatively, , (d),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dummy doll 10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esin, rubber, or urethan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ummy doll 102 is made of PVC. Further, any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the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dummy doll 102 can maintain its shape in a stretchable state, for example, a urethane foam can be used.

또한, 이러한, 더미 인형(102)은 머리부와 몸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머리부와 몸통부는 관절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머리부와 몸통부를 관절 형태로 연결하는 경우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처치 교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도 확보 등의 동작에서 몸통부에 대한 머리부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doll 102 may be composed of a head and a body, and the head and the body may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joint. When the head and the torso are connected jointly, educat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head to the torso may be possible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first aid training such as CPR.

제1 센서(104)는 더미 인형(102)의 기설정된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에 따라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해 더미 인형(102)의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더미 인형(102)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여 제1 센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1 센싱신호에는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 압력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정보와 압력이 발생한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서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때 가슴 영역에 압박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2의 (a)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복부 영역에 압박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2의 (b)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ensor 104 may be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chest area and the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102 and th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chest area and the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102 by the instructor or the instructor according to CPR train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102 can be detected and output as the first sensing signal. At this time, the first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pressure has been generated in the chest region or the abdomen reg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structor or the trainee in the chest region or abdomen region where the pressure is generated. In addition, a method of performing compression on the chest area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2 (a), and a method of performing compression on the abdominal area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2 (b)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센서(106)는 더미 인형(102)의 기도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에 따라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가 기도 확보를 위해 더미 인형(102)의 머리부를 뒤로 젖히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싱 신호에는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도 위치 변화라 함은 예를 들어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가 기도 확보를 위해 머리부를 뒤로 젖히는 경우 몸통부와 머리부가 이루는 각도에 대한 정보, 즉 더미 인형(102)의 머리부가 뒤로 젖혀진 각도가 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106 may be installed in the airway region of the dummy doll 102 and may be operated by a trainer or trainee in accordance with the CPR training such as lifting the head of the dummy doll 102 backward ,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102 and output a second sensing signal. The second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102. The change in the airway position means that the angle of the head and the head is changed when the head of the instructor or the instructor is lifted back to secure airway, .

카운터(counter)(108)는 더미 인형(102)의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센서(104)로부터 해당 영역에서 압력에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센싱 신호의 발생 회수를 카운트한다. 즉, 카운터(108)는 더미 인형(102)의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대해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가 압력을 가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이는 심폐소생술 기준에 따라 정해진 압박 회수가 있는 경우, 피교육자가 해당 영역에 대해 정확한 회수만큼 압박을 가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The counter 108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rea from the first sensor 104 installed in the bust area and the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102 . That is, the counter 108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teacher or the trainee presses the bust area and the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102. If there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presses according to the CPR standards, It may be information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pressure has been applied for the correct number of times.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11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제1 센서(104)와 제2 센서(106)로부터 제1 센싱 신호 또는 제2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이와 같이 발생된 제1 센싱 신호 또는 제2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a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or Bluetooth. The short- When the first sensing signal or the second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sensor 104 and the second sensor 106, the first sensing signal or the second sensing signal thus generated is wirelessly transmitted.

따라서, 위와 같은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을 이용하여 피교육자가 교수자에 의해 교육받은 것을 기반으로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경우,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가슴, 복부 영역에서의 압박의 회수, 압박된 부위에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 등의 정보와 기도 확보에 따른 머리부의 젖혀진 각도 등의 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0)를 통해 후술될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분석되어 피교육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이 그래픽 화면으로 주변 영상기기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폐소생술 실습의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동작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CPR based on the training of the instructor by the instructor using the above-mentioned CPR educational manikin (100), the pressure on the chest, abdomen region performed by the trainee, Information such as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pressure and the angle of the head part according to the airway maintenan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PR simulator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CPR operation of the trainee can be displayed on the peripheral display device with a graphic screen. Thu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visual education effect of the CPR exercise and to confirm objectively the behavior of the stud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수신부(302), 분석부(304), 그래픽 처리부(306), 통신부(3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PR s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302, an analyzing unit 304, a graphic processing unit 306, a communication unit 308, and the like .

한편, 이러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과 연동될 수 있으며, 마네킹(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0)를 통해 피교육자에 의해 마네킹(100)에서 수행된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피교육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PR teaching manners 100 shown in FIG. 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nnequin 100 by a trainee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pparatus 110 of the mannequin 100, Whe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PR operation is received, the CPR analyzer may analyze the information to generate a 2D or 3D graphic screen, for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수신부(302)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주변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의 더미 인형(102)상 기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104, 106)로부터 발생한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rst, the receiving unit 302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y wirelessl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or Bluetooth.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302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dummy doll 102 of the mannequin 100 for CPR education, The sensing signals generated from the sensors 104 and 106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the set regions can be receiv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이러한 센서(104, 1060는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의 동작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더미 인형(102)의 기설정된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센서(104) 또는 더미 인형의 기도 영역에 설치되는 제2 센서(106)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s 104 and 1060 may be used as the first sensor 104 or the second sensor 104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chest region and the abdomen region of the dummy doll 102,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PR manikin 100 And the second sensor 106 installed in the airway region of the dummy doll.

또한, 제1 센서(104)는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해 더미 인형(102)의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더미 인형(102)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여 제1 센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1 센싱신호에는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 압력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정보와 압력이 발생한 가슴 영역 또는 복부 영역에서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sensor 104 may occur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chest area and the abdomen area of the dummy doll 102 by the instructor or the traine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102 is detected, Signal. At this time, the first sens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pressure has been generated in the chest region or the abdomen reg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structor or the trainee in the chest region or abdomen region where the pressure is generated.

또한, 제2 센서(106)는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가 기도 확보를 위해 더미 인형(102)의 머리부를 뒤로 젖히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제2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2 센싱 신호에는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106 may occur when a pedestrian or a trainer performs operations such as backing the head of the dummy doll 102 to secure airway, and detects a change in the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102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second sensing signal.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102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sensing signal.

분석부(304)는 수신부(302)로부터 수신된 위와 같은 제1 센싱신호, 제2 센싱신호 등의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더미 인형(102)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The analysis unit 304 analyzes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sensing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302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102, Information on the airway position change of the dummy doll 102 is calculated.

그래픽 처리부(306)는 분석부(304)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른 위와 같이 더미 인형(102)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더미 인형(102)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더미 인형(102)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한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102 according to the result analyzed by the analyzing unit 304 or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102 And generates a 2D or 3D graphic screen on the CPR operation performed in the dummy doll 102 based on this information.

즉, 그래픽 처리부(306)는 위와 같은 정보에 기반하여 교수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라 더미 인형(102)에서 압박이 가해진 위치나 압박시 발생한 압력의 크기를 확인하고, 더미 인형(102)의 머리부분이 젖혀진 각도 등을 확인한다. 또한, 확인된 사항에 따라 피교육자 등에 의해 행해진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그래픽 처리부(306)는 이러한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 생성에 있어서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 4의 참조번호 400에 도시된 화면 예시에서와 같이 더미 인형(102)을 응급상황에 처한 사람1(401)과 심폐소생술을 행하는 사람2(402) 등의 구성으로 시나리오 형식으로 표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checks the size of the pressure applied at the position or the pressure of the dummy doll 102 according to the CPR exercises performed by the instructor or the trainee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And the angle at which the head of the head is bent. In addition, the CPR operation performed by the trainee or the like is generated as a 2D or 3D graphic screen according to the confirmed items. At this time, in order to enhance the visual education effect in the 2D or 3D graphic screen generatio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sets the dummy doll 102 to the person 1 ( 401) and the person 2 (402) who perform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그래픽 처리부(306)에서는 다수의 피교육자 등이 동시에 다수의 더미 인형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실습을 수행하는 경우 다수의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되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Also, in the graphic processor 306, when a plurality of students or the like simultaneously perform CPR exercises using a plurality of dummy puppets, the CPR operation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trainees may be generated as 2D or 3D graphic screens have.

즉, 그래픽 처리부(306)는 다수의 피교육자에 의한 실습에 따라 수신부(302)로부터 서로 다른 각각의 더미 인형으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되고, 분석부(304)에서 각각 센싱 신호의 분석에 따른 다수의 더미 인형에서의 압력 관련 정보, 기도 위치 변화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도 5의 참조번호 500에 도시된 화면 예시에서와 같이 각각의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receives the sensing signals from the respective different dummy figures from the receiving unit 302 according to the practice by a plurality of trainees, and the analyzing unit 304 analyzes a plurality of dummy When the pressure-related information in the doll and the airway position change information are input, the CPR operations performed in the respective dummy puppets,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shown in reference numeral 500 in FIG. 5, Can be generated.

또한, 그래픽 처리부(306)는 피교육자 등에 의해 행해진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구현시키는 것 외에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서와 같은 실제로 사람이 응급상태에 처함 사람에 대해 수행하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그래픽 처리부(306)는 이러한 실사화면 생성에 있어서도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응급상황에 처한 사람1(601)과 심폐소생술을 행하는 사람2(602) 등의 구성으로 시나리오 형식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may be a 2D or 3D graphic screen for performing a CPR operation performed by a trainee or the like, and may be a real screen image . At this time,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also displays the real-time image in a scenario forma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person 1 601 i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person 2 602 performing the CPR as shown in Figs. 4 and 5 .

통신부(308)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로써, 그래픽 처리부(306)에서 생성된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을 일정 거리 영역내 위치한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모니터 장치(410)로 전송하여 모니터 장치(410)에서 도 4의 참조번호 400 또는 도 5의 참조번호 500에서와 같이 심폐소생술 동작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08 is a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and Bluetooth. The communication unit 308 is an example of a 2D or 3D graphic screen generat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306, 4 or FIG. 5 to display a 2D or 3D graphic screen of the CPR operation, such as at reference numeral 400 in FIG. 4 or 500 in FIG.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과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 모니터 장치(410)가 연동되어 심폐소생술 실습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이 구현되는 동작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S.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operations in which a mannequin 100 for CPR education, a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and a monitor apparatus 410 are interlocked to implement a 2D or 3D graphic screen of a CPR exercise Lt; / RTI >

이때, 도 4는 한 명의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 시의 그래픽 화면 구현을 위한 동작 개념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다수의 피교육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실습 시의 그래픽 화면 구현을 위한 동작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n operation concept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screen during a CPR exercise by one trainee, and FIG. 5 illustrates an operation concept for implementing a graphic screen during CPR exercises by a plurality of trainees will be.

위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을 이용하여 피교육자가 교수자에 의해 교육받은 것을 기반으로 더미 인형(102)에 대해 가슴, 복부 등에 압박을 가하거나, 기도 확보를 위해 더미 인형(102)의 머리부를 뒤로 젖히는 등의 심폐소생술 수행하는 경우,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가슴, 복부 압박의 회수, 압박된 부위에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 등의 정보와 기도 확보에 따른 머리부의 젖혀진 각도의 등의 정보가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에 탑재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10)를 통해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ummy doll 102 is pressed against the chest, abdomen or the like based on the training of the instructor by the instructor using the mannequin 100 for CPR training, When performing a CPR such as lifting the head of the head 102 backward, information such as the chest performed by the trainee, the number of abdominal compressions performed,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at the urged site, and the angle of the head May be transmitted to the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110 mounted on the CPR educational maneuver 100.

그러면,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100)으로부터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피교육자의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한 후, 모니터 장치(410)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Then, the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receiv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PR operation from the CPR 100 and analyzes the CPR operation of the trainee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in 2D, 3D graphics,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 apparatus 410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이에 따라, 모니터 장치(410)에서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심폐소생술 동작에 대응되는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을 참조번호 40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도 6에서와 같은 실사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Accordingly, in the monitor apparatus 410, a 2D or 3D graphic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PR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CPR simulator 300 is display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400, .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피교육자 등이 동시에 다수의 마네킹(150)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실습을 수행하는 경우,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에서는 다수의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되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a plurality of trainees simultaneously perform CPR exercises using a plurality of mannequins 150, the CPR simulator 300 performs CPR operations performed by a plurality of trainees Or a 2D or 3D graphic screen of the user.

이와 같이 생성된 다수의 피교육자에 대한 각각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은 모니터 장치(410)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러면 모니터 장치(410)에서는 다수의 피교육자에 대한 각각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을 참조번호 50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Each 2D or 3D graphic screen for a plurality of created trainees thus genera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 device 410 and the monitor device 410 then displays each 2D or 3D graphic screen for a number of trainees 500 as shown in FIG.

즉, 모니터 장치(410)는 예를 들어 화면을 더미 인형의 수에 대응되게 분할하고, 각각의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을 각 분할된 화면에 하나씩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onitor device 410 can divide the screen into, for example, the number of dummy dolls, and display each 2D or 3D graphic screen on the divided screens one by one.

이때, 이러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300)는 독자적인 장치로 구현되거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MP, 스마트패드, 스마트북, 태블릿 PC 등에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니터 장치(410)는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의 표시가 가능한 영상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TV 또는 빔프로젝트 등의 영상기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PR simulation apparatus 3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MP, a smart pad, a smart book, a tablet PC,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onitor device 410 mean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2D or 3D graphic screen, and may be, for example, a TV or a beam proje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상 가슴, 복부, 기도 영역 등에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압력, 위치 변화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와 센싱된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심폐소생술 피교육자의 실습에 대응되는 센싱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 장치로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과 연동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하고,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위와 같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피교육자에 의해 수행된 심폐소생술 실습에 따른 결과 정보를 2D 또는 3D 그래픽 화면으로 생성함으로써 심폐소생술 실습의 시각적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실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PR training, it is possible to detect information such as pressure, position chang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PR exercise in the chest, abdomen, and airway area of the CPR manikin By implement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ZigBee or Bluetooth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sens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of CPR trainee, and this sensing information can be easily Lt; / RTI > In addition, the CPR simulator is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CPR manikin, and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CPR exercises performed by the traine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2D or 3D graphic screen in the simulation device, The visual education effect of the training can be enhanced, and the results of the training of the trainee can be easily and objectively confirm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102 : 더미 인형
104 : 제1 센선 106 : 제2 센서
108 : 카운터 110 : 근거리 통신장치
300 :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302 : 수신부
304 : 분석부 306 : 그래픽 처리부
308 : 통신부 410 : 모니터 장치
100: CPR Educational Mannequin 102: Dummy Doll
104: first sensor line 106: second sensor
108: Counter 110: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300: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apparatus 302:
304: Analysis section 306: Graphics processing section
308: communication unit 410: monitor device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더미 인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며, 서로 다른 다수의 더미 인형으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각각의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그래픽 처리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을 상기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및 실사화면을 모니터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A receiving unit for wirelessly receiving a sensing sign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performance of a CPR operation using the dummy doll from sensor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dummy doll;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sensing signal to calculat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nd information about a magnitude of the pressure or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analyzing unit, and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ummy dolls A graphic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PR operation performed in each dummy doll as a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for each dummy dol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2D, 3D graphic screen or actual screen generat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to the monitor device,
Wherein the CPR simulator comprises: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은,
상기 모니터 장치상 상기 더미 인형의 수에 대응되게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2D, 3D graphic screen or actual screen according to the dummy doll type may be,
Wherein the plurality of dummy puppets are displayed on a screen di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ummy dolls on the monitor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하여 제1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1 센서와,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제2 센싱 신호로 출력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chest area and a stomach area of the dummy doll to detect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nd output the detected pressure as a first sensing signal;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and outputt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as a second sensing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신호는,
상기 가슴 영역과 복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ensing signal may include:
And information on a magnitud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chest area and the abdomen are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신호는,
상기 기도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더미 인형의 머리 부분이 뒤로 젖혀진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ensing signal may include:
And information about an angle at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dummy doll is bent back around the airway reg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는,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nsing signal,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ZigBee or Bluetoo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의 표시가 가능한 영상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a video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2D or 3D graphics screen or the real image screen.
더미 인형의 기설정된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상기 더미 인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동작에 따라 센싱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더미 인형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상기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 가해지는 압력의 위치 및 상기 압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더미 인형의 기도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을 모니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단계에서,
서로 다른 다수의 더미 인형으로부터 상기 센싱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각각의 더미 인형에서 행해지는 심폐소생술 동작을 각각의 더미 인형별 2D, 3D 그래픽 화면 또는 실사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방법.
Generating a sens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PR operation using the dummy doll from sensors installed in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dummy doll;
Wirelessl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in a simulation devic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dummy doll;
Analyzing the sensing signal to calculat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dummy doll and a magnitude of the pressure or information on a change in airway position of the dummy doll;
Generating a 2D / 3D graphic screen or a real imag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performing a CPR operation on the dummy doll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2D, 3D graphic screen or actual screen to the monitor device,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Wherein when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ummy dolls, a CPR operation performed in each dummy doll is generated as a 2D, 3D graphic screen, or real image screen for each dummy doll.
삭제delete
KR1020150004078A 2015-01-12 2015-01-12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1609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78A KR101609808B1 (en) 2015-01-12 2015-01-12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78A KR101609808B1 (en) 2015-01-12 2015-01-12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808B1 true KR101609808B1 (en) 2016-04-06

Family

ID=5579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78A KR101609808B1 (en) 2015-01-12 2015-01-12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0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12A (en) * 2018-01-17 2019-07-2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first aid treat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20200111901A (en) 2019-03-19 2020-10-05 (주)판타웍스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CN111862758A (en) * 2020-09-02 2020-10-30 思迈(青岛)防护科技有限公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nd chec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91027B1 (en) 2019-12-20 2020-12-15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WO2020259764A1 (en) * 2019-06-27 2020-12-30 AA-REA GmbH Cpr training manikin
JP2021015147A (en) * 2019-07-10 2021-02-12 学校法人立命館 Sensor system for medical training support
KR20210044570A (en) * 2019-10-15 2021-04-23 정성호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imu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40A1 (en) 2007-07-30 2009-02-05 Monster Med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led interactive training and certification
KR101232869B1 (en) * 2011-02-16 2013-02-14 주식회사 비티 Simulator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40A1 (en) 2007-07-30 2009-02-05 Monster Med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led interactive training and certification
KR101232869B1 (en) * 2011-02-16 2013-02-14 주식회사 비티 Simulator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912A (en) * 2018-01-17 2019-07-2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first aid treat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102045260B1 (en) 2018-01-17 2019-12-0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Simulation method for training first aid treat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20200111901A (en) 2019-03-19 2020-10-05 (주)판타웍스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WO2020259764A1 (en) * 2019-06-27 2020-12-30 AA-REA GmbH Cpr training manikin
JP2021015147A (en) * 2019-07-10 2021-02-12 学校法人立命館 Sensor system for medical training support
KR20210044570A (en) * 2019-10-15 2021-04-23 정성호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imulation
KR102276009B1 (en) 2019-10-15 2021-07-13 정성호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imulation
KR102191027B1 (en) 2019-12-20 2020-12-15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CN111862758A (en) * 2020-09-02 2020-10-30 思迈(青岛)防护科技有限公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nd chec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808B1 (en) Mannequin for educ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2045260B1 (en) Simulation method for training first aid treat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101445978B1 (en) Education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20160328998A1 (en) Virtual interactive system for ultrasound training
US11749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psychomotor skill training
US200901488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erification of training
JP5754708B2 (en) Auscultation training system and simulated stethoscope
KR101232868B1 (en) System for training of CPR and Defibrillator with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
CN107527542B (en) Percussion training system based on motion capture
JPH0478997B2 (en)
KR20130098770A (en) Expanded 3d space based virtual sports simulation system
Muangpoon et al.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digital rectal examin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system validation
Wattanasoontorn et al. A kinect-based system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A pilot study
CN107945601A (en) Interacti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eaching tool auxiliary device
Boonbrahm et al. Interactive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for CPR training
Yang et al.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teractive learning support system
KR1017401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e-to-man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mong heterogeneous devices
KR20180097343A (en) System for training of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W201719599A (en) Interactive CPR train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from operating data for fast, accurate, and repetitive skillful practices
KR20170013091A (en)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KR101554429B1 (en) Education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using AED
KR20180097334A (en) Simulation method for training of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won et al. HeartiSense: a novel approach to enable effective basic life support training without an instructor
KR20210077454A (en) System for Providing AR Education of CPR and AED by Using Smart Glasses and Method Thereof
Park et al. Projected AR-based interactive cpr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