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86B1 -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86B1
KR101609386B1 KR1020150053611A KR20150053611A KR101609386B1 KR 101609386 B1 KR101609386 B1 KR 101609386B1 KR 1020150053611 A KR1020150053611 A KR 1020150053611A KR 20150053611 A KR20150053611 A KR 20150053611A KR 101609386 B1 KR101609386 B1 KR 10160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ground
coupling
fixed
groun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걸
Original Assignee
이윤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걸 filed Critical 이윤걸
Priority to KR102015005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으로 형성된 접지부재 사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접지망을 배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접지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접지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서지방전침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지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방전침을 형성하므로 서지전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전시키도록 하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지장치{earthing device}
본 발명은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형성된 접지부재 사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접지망을 배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접지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접지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서지방전침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지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방전침을 형성하므로 서지전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전시키도록 하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란 전력설비의 사고나 절연불량, 전원회로나 전자장치에 뇌서지(Lightning Surge) 또는 개폐서지(Switching Suege)와 같은 과도한 이상전압이 침입할 때 취급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고 설비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설비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정보전송의 양질화를 이룩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대지에 전기적으로 단자를 접속하는 것이다.
즉, 금속 또는 도전성 물체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의 전위를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전위차를 최소화시키는 수단을 말한다.
이와 같은 접지에는 그 사용 토양층의 구조 또는 접지 규모에 따라 많은 시공방법이 및 다양한 접지판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접지구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7699호호 탄소 접지판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선 등록발명은, 대지에 매설되는 접지판본체와, 전기,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접지선과 결속될 수 있도록 전도성을 갖는 접지연결봉과, 접지판본체 내부에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는 접지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접지연결봉을 접지판본체 내부에 관통형성하고 그물망 형태의 접지망이 접지판본체에 넓게 배치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쌍으로 형성된 접지부재 사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접지망을 배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접지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접지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서지방전침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지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방전침을 형성하므로 서지전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전시키도록 하는 접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사이를 타공망으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접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로 형성된 접지망과;
상기 접지부재의 상·하부에서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접지망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접지부재의 테두리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서지전류를 방전시키는 서지방전침과;
상기 접지부재의 상·하부 중앙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나동선과;
상기 나동선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으로 형성된 접지부재 사이에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접지망을 배치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접지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접지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서지방전침을 형성함과 동시에 접지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방전침을 형성하므로 서지전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전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접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지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접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접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접지장치(100)는, 지중에 매설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111)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1) 사이를 타공망(112)으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접지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재(110) 사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로 형성된 접지망(120)이 구성되며, 상기 접지부재(110)의 상·하부에서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접지망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재(110)의 테두리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서지전류를 방전시키는 서지방전침(140)이 구성되며, 상기 접지부재(110)의 상·하부 중앙에 결합수단(170)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나동선(150)이 구성되고, 상기 나동선(1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지부재(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170)은, 상기 접지부재(110)의 프레임(111)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171)이 구비되고, 성기 접지부재(110)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나동선(150)의 하부와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접지부재(110)에 밀착되는 결합편(17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편(172)의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어 나동선(150)을 접지부재(110)에 결합시키는 결합볼트(173)/결합너트(17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170)은, 상기 접지부재(110)의 상·하부에 고정되어 나동선(150)을 프레임(111)의 상·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7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접지봉(160)에 결합되며 외향으로 뾰족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서지전류를 외부로 방전시키는 외부방전침(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외부방전침(180)은 접지봉(16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나동선(150)의 상부에 고정되며 한 쌍의 고정틀(191) 가장자리에 탄소매트(192)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매트전극(19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접지장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부재(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된 한 쌍의 프레임(111)으로 틀을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111)의 틀 사이를 타공망(112)으로 덮어서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110)의 사이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접지망(120)이 위치한다.
상기 탄소섬유는 강도가 10~20g/d, 비중은 1.5~2.1이며, 내열성,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상기 접지망(120)을 접지부재(11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접지망(120)의 끝단부를 접지부재(110)의 테두리와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접지부재(110)의 상부에서 볼트로 된 고정부재(130)를 접지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고정공(131)에 결합하고, 접지부재(110)의 하단부에서 너트로 된 고정부재(13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접지부재(110)의 하부 테두리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서지방전침(140)이 형성된다.
상기 서지방전침(140)은 전기기기의 절연파손으로 발생하는 누선전류와 낙뢰시 유입되는 서지전류를 지중으로 방전시키게 된다.
상기 서지방전침(140)은 서지전류를 지중으로 방전시키는 역할이 주 기능이며, 접지부재(110)를 지중에 매설할 때, 접지부재(110)가 지중에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110)의 상·하부에는 나동선(150)이 결합되며, 상기 나동선(150)은 결합수단(170)에 의해 접지부재(110)와 결합된다.
먼저, 나동선(150)의 각 단부에 절곡형성된 결합편(172)을 접지부재(100)의 프레임(111) 중앙에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접지부재(100)의 상부에서 결합볼트(173)를 체결하고 접지부재(110)의 하부에서 결합너트(174)로 결합시켜 나동선(150)을 접지부재(110)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수단(170)은 접지부재(110)의 프레임(111) 중앙에 나동선(15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결합부재(175)가 고정되며, 상기 결합부재(175)의 수용공간에 나동선(150)을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지봉(160)에는 서지전류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외부방전침(180)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방전침(180)은 외향으로 뽀족하게 돌출형성되게 제작되며 접지봉(160)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동선(150)의 상부에는 지중에 매립되는 매트전극(190)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매트전극(190)은 한 쌍의 고정틀(191) 사이의 가장자리에 탄소매트(192)를 위치시킨 후 볼트/너트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접지장치 110: 접지부재
111: 프레임 112: 타공망
120: 접지망 130: 고정부재
140: 서지방전침 150: 나동선
160: 접지봉 170: 결합수단
171: 결합공 172: 결합편
173: 결합볼트 174: 결합너트
175: 결합부재 180: 외부방전침
190: 매트전극

Claims (7)

  1. 지중에 매설되도록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사이를 타공망으로 고정하여 형성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접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소섬유로 형성된 접지망과;
    상기 접지부재의 상·하부에서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접지망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접지부재의 테두리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서지전류를 방전시키는 서지방전침과;
    상기 접지부재의 상·하부 중앙에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나동선과;
    상기 나동선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기 접지부재의 프레임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성기 접지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나동선의 하부와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접지부재에 밀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어 나동선을 접지부재에 결합시키는 결합볼트/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상기 접지부재의 상·하부에 고정되어 나동선을 프레임의 상·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에 결합되며 외향으로 뾰족하게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서지전류를 외부로 방전시키는 외부방전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방전침은 접지봉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동선의 상부에 고정되며 한 쌍의 고정틀 가장자리에 탄소매트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매트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장치.
KR1020150053611A 2015-04-16 2015-04-16 접지장치 KR10160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611A KR101609386B1 (ko) 2015-04-16 2015-04-16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611A KR101609386B1 (ko) 2015-04-16 2015-04-16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386B1 true KR101609386B1 (ko) 2016-04-05

Family

ID=5580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611A KR101609386B1 (ko) 2015-04-16 2015-04-16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32A (ko) 2017-09-22 2019-04-0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탄소 접지바 조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90057625A (ko) 2017-11-20 2019-05-29 이윤걸 가변 구조의 접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45Y1 (ko) 2001-07-13 2001-10-17 김학근 복합형 접지 설비
KR200387578Y1 (ko) 2005-03-30 2005-06-20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판형 접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45Y1 (ko) 2001-07-13 2001-10-17 김학근 복합형 접지 설비
KR200387578Y1 (ko) 2005-03-30 2005-06-20 한국엑스아이티주식회사 판형 접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32A (ko) 2017-09-22 2019-04-0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탄소 접지바 조립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90057625A (ko) 2017-11-20 2019-05-29 이윤걸 가변 구조의 접지장치
KR102003994B1 (ko) * 2017-11-20 2019-07-25 이윤걸 가변 구조의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9393A (ko) 이상 전자 펄스로부터 전력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24764A (ko) 초음파 용접기 및 초음파 용접기 조립 방법
KR101609386B1 (ko) 접지장치
CN106953188A (zh) 一种转接连接器
CN203760899U (zh) 一种耐压实验免拆除式母线连接结构
CN205005341U (zh) 电路板上电子元件的简易接地连接结构
CN207215983U (zh) 一种提高低压断路器试验稳定性的结构
RU2015123818A (ru) Система токопроводяших шин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истемы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шин
CN106102308A (zh) 移动终端的屏蔽支架的接地结构及移动终端
CN104953802A (zh) 电磁兼容滤波器
CN206516775U (zh) 转接连接器
CN204794664U (zh) 电磁兼容滤波器
CN212587728U (zh) 等电位连接的接地线就近连接装置
CN208637232U (zh) 电缆护层保护器
CN207518229U (zh) 一种等电位连接端子箱
CN207251132U (zh) 一种阀厅金具
CN210326394U (zh) 一种多合一连接器
CN204375909U (zh) 一种内置型天线接触结构及移动终端设备
CN207938561U (zh) 一种高压组合电器柜用导电铜件
CN219893516U (zh) Pcb板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CN210665825U (zh) 一种便于接地电阻测试的杆塔接地引下装置
CN208256447U (zh) 一种电流互感器用屏蔽套
CN220065532U (zh) 用于高压开关的导电触片结构
CN206412690U (zh) 一种可与避雷器共车使用的电压互感器
CN102946035B (zh) 一种电路转接装置及使用该电路转接装置的电子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