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36B1 -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36B1
KR101609336B1 KR1020140053105A KR20140053105A KR101609336B1 KR 101609336 B1 KR101609336 B1 KR 101609336B1 KR 1020140053105 A KR1020140053105 A KR 1020140053105A KR 20140053105 A KR20140053105 A KR 20140053105A KR 101609336 B1 KR101609336 B1 KR 10160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al
terminal
search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433A (ko
Inventor
한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05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품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deal) 대상으로 등록하는 등록 모듈, 검증자 단말기에, 딜 대상의 검증을 통하여 딜 대상을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딜 승인을 선택하거나, 또는 딜 대상에 불량이 검출되어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을 불허하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정보 제공 모듈, 및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딜 승인 선택신호를 수신한 딜 대상에 대하여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DUCT}
본 발명은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이란 컴퓨터 통신망상의 가상적 세계를 뜻하는 사이버 공간과 보행자 전용 상가를 뜻하는 쇼핑몰의 합성어로,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서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점포들을 모아 놓은 가상 상가. 간단히 사이버몰이라고 도 한다. 하나의 점포보다 여러 점포가 모여 상가를 형성하는 것이 고객의 주목도 가 높고 고객에게도 편리하다는 발상에서 상가라고 하며, 인터넷상에는 사이버 쇼핑몰을 비롯한 수많은 가상 점포가 등장하고 있다.
사이버 쇼핑몰은 컴퓨터 그래픽스 처리로 설계, 작성한 가상 점포로서 월드 와이드웹 서버의 홈페이지에 개설된다. 고객은 웹 브라우저로 사이버 쇼핑몰에 접속하여 컴퓨터 화면상에서 상품 목록과 정보를 살펴보고 원하는 상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로서, 일정 수 이상의 구매자가 모일 경우 파격적인 할인가로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 방식인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소셜 커머스 방식의 상품 거래 사이트는 거래를 중개하는 사이트 운영자가 수요자들의 니즈(Needs)를 추측하여 수요자들이 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접촉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거래 계약을 체결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수량을 확보한 뒤, 이에 대한 정보를 사이트에 등록하여 소비자들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사이트 운영자는 소비자들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검증하고, 불량이 없는 정상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불량이 발생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에게 수정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트 운영자 입장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증과 관련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검증에서 누락된 불량 상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이로부터 공정 거래 위원회, 한국 소비자원, 또는 소비자들에게 지적을 당하여 법적 책임을 지거나 대외적으로 이미지를 실추 하는 등의 사이트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6090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검증을 통해 소비자에게 정상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거래 위원회, 한국 소비자원, 또는 소비자들에게 지적을 당하여 법적 책임이나 대외적인 이미지 실추 등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증과 관련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상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외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증과 관련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증 시간을 절감시키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deal)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딜 대상을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딜 승인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불량이 검출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을 불허하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딜 승인 선택신호를 수신한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하는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거래 정보 및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의 검증 결과에 따른 상기 딜 승인 또는 상기 딜 거부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조건을 기반으로, 등록한 복수의 딜 대상들 중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세 거래 정보 또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또는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기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및 상기 판매자와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딜 거부된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딜 거부의 이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deal) 대상으로 등록하는 등록 모듈;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딜 대상을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딜 승인을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불량이 검출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을 불허하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딜 승인 선택신호를 수신한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하는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거래 정보 또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의 검증 결과에 따른 상기 딜 승인 또는 상기 딜 거부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조건을 기반으로, 등록한 복수의 딜 대상들 중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 제공 모듈 또는 제2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상기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및 상기 판매자와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딜 거부된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딜 거부의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검수를 통해 소비자에게 정상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거래 위원회, 한국 소비자원, 또는 소비자들에게 지적을 당하여 법적 책임이나 대외적인 이미지 실추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수와 관련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상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외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수와 관련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량 여부 검수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자 단말기가 딜 대상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생성한 관리정보를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관리정보 검증 결과를 수신하여 판매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검증자 단말기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검증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정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관리 장치는, 판매자 단말기(100), 검증자 단말기(200), 소비자 단말기(300), 관리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는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 서버(400)로부터 딜 대상으로 등록되었는지 여부 및 검증자 단말기(200)의 검증 결과 예를 들어, 딜 승인 또는 딜 거부를 수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400)로부터 딜 거부를 수신한 경우 딜 거부의 이유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딜 거부의 이유를 수신한 판매자 단말기(100)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한 후 관리 서버(400)로 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기(100)가 입력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명칭, 카테고리 정보, 판매 기간, 판매자 정보(예를 들어, 업체 ID, 업체 명, 업종, 사업자 번호, 대표자명,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거주 주소 등),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 견적서 추가 파일 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 이미지 및 딜 승인 시에 소비자 단말기(300)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상세 거래 화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딜 대상으로 등록이라 함은, 판매자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400)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 후, 관리 서버(400)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 검증 대상으로 설정하고, 검증자 단말기(200)의 검증 절차를 거쳐 딜 승인 또는 딜 거부 대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딜 승인이라 함은, 검증자 단말기(200)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검증하여 불량이 검출되지 않아 소비자 단말기(300)에 판매정보로 제공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딜 거부라 함은 검증자 단말기(200)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검증하여 불량이 검출되어 소비자 단말기(300)에 판매정보로 제공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딜 대상으로 등록, 딜 승인 및 딜 거부는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는 딜 대상으로의 등록 여부 및 검증자 단말기(200)의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제1 상품 관리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상품 관리 프로그램이 판매자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검증자 단말기(20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검증자 단말기(200)는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딜 대상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딜 승인 또는 딜 거부를 선택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거부 선택 시에 딜 거부의 이유를 작성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검증자라 함은, 검증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딜 대상의 검증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써의 검증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정보라 함은, 임의의 검색조건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을 검색할 수 있는 정보(도 6의 610),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도 6의 620) 및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도 6의 6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거부된 딜 대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검증자 및 관리 정보는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대상의 검색 또는/및 딜 대상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딜 승인 또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상품 관리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상품 관리 프로그램이 검증자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상품 관리 프로그램은 제1 상품 관리 프로그램의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상품 관리 프로그램은 제1 상품 관리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딜 대상의 검색 또는/및 딜 대상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딜 승인 또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30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300)는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딜 검증을 통하여 딜 승인된 판매자의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여 딜 대상으로 등록하고, 딜 대상을 검색할 수 있는 정보,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및 딜 대상에 대한 검증 결과로 딜 승인 또는 딜 거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기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딜 대상의 검증 결과인 딜 승인 또는 딜 거부 신호를 수신하고, 딜 승인된 딜 대상에 대하여 판매정보를 생성한 후 소비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관리정보를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관리 서버(400)는 등록 모듈(410), 관리정보 제공 모듈(420) 및 판매정보 제공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 모듈(410)은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여 딜 대상으로 등록한다. 등록 모듈(410)은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딜 번호, 딜 명, 판매 기간을 포함하는 딜 대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등록 모듈(410)은 딜 대상으로의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가 딜 대상으로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딜 대상 등록 여부를 판매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정보 제공 모듈(420)은 검증자 단말기(200)로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관리정보 제공 모듈(420)은 검색 모듈(421), 제1 정보 제공 모듈(422) 및 제2 정보 제공 모듈(423)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모듈(421)은 검증자 단말기(200)가 입력한 검색조건을 수신하고, 복수의 딜 대상 중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의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검색조건이라 함은, 검증자가 검증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딜 대상 검색 구분자 예를 들어, 팀 명, 딜 정보, 판매자 정보, 노출 카테고리 정보와,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로써 예를 들어, 팀 명 검색 구분자에 대한 상세 팀 정보, 딜 정보 검색 구분자에 대한 딜 명 또는/및 딜 번호, 판매자 정보 검색 구분자에 대한 업체 명 또는/및 업체 ID, 노출 카테고리 검색 구분자에 대한 대분류 정보 및 소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조건에는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모듈(421)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에 대하여,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미 승인된 딜 대상을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보 제공 모듈(422)은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세 거래 정보라 함은,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 견적서 추가 파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견적서 정보, 계약서 정보 추가 파일 정보 등은 해당 정보의 선택에 의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색 결과 정보와 상세 거래 정보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동일한 화면 내에서 각각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정보 제공 모듈(423)은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라 함은, 검증자 단말기(200)의 검증 결과 딜 승인된 딜 대상이 소비자 단말기(300)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 정보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미지, 가격, 판매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는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딜 승인, 딜 거부를 포함하여, 딜 거부 시 검증자 단말기(200)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검증 메뉴(도 6의 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증 메뉴는 반드시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세 거래 정보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동일한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에 별도의 검증 메뉴창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판매정보 제공 모듈(430)은 검증자 단말기(200)의 딜 대상 검증 결과, 딜 승인된 딜 대상에 대하여 판매정보를 생성한 후 소비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정보라 함은, 딜 승인된 딜 대상에 대하여 검증 메뉴창이 제외된 상세 거래 화면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500)와 연결되어, 판매자 단말기(100), 검증자 단말기(200) 및/또는 소비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관리 서버(400)에서 생성한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고, 판매자 단말기(100), 검증자 단말기(200) 및/또는 소비자 단말기(300)는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에는 판매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라 함은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자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는 검증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여 관리자의 이름, 연락처를 포함하는 고유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0)에는 등록된 딜 대상 정보, 딜 대상 정보와 함께 정렬된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0)에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검증 과정을 거쳐 생성한 딜 승인 정보, 딜 거부 정보, 딜 거부의 이유 정보,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제1 상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210), 판매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한다(S220). 이때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가 미리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으면 회원가입 절차를 먼저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100)가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이 승인되면, 판매자 단말기(100)에는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딜 대상 등록 화면이 출력된다(S230).
판매자 단말기(100)는 딜 대상 등록 화면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정보가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S240).
이 후, 판매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에 딜 대상 등록 여부를 요청하고,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100)가 제공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딜 대상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매자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판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50).
판매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딜 대상이 딜 승인 되었는지 여부를 요청하고(S260), 등록된 딜 대상이 딜 승인된 경우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판매정보 생성결과를 수신한다(S270).
그러나, 판매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딜 대상이 딜 승인 되었는지 여부를 요청하여, 등록된 딜 대상이 딜 거부된 경우, 판매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400)로 딜 거부의 이유를 요청한다(S280).
판매자 단말기(100)의 딜 거부 이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가 작성한 딜 거부의 이유를 판매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판매자 단말기(100)는 딜 거부의 이유를 보고,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한 후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여 재 검증 받을 수 있도록 한다(S29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증자 단말기(200)가 딜 대상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증자는 검증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제2 상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310), 검증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한다(S320). 이때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가 미리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으면 회원가입 절차를 먼저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검증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400)로부터 인증이 승인되면, 검증자 단말기(200)에는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상품 관리 정보 화면이 표시된다(S330). 여기서 상품 관리 정보 화면은 상기의 상품 관리 정보가 검증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도 6과 같다.
상품 관리 정보 화면으로부터,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대상 검색을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고, 검색조건을 수신한 관리 서버(400)는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검증자 단말기(200)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S340).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대상 검색이 완료되어, 임의의 한 딜 대상을 선택하면, 딜 대상 선택 신호를 수신한 관리 서버(400)가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검증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350).
또한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대상 검색이 완료되어, 임의의 한 딜 대상을 선택하면, 딜 대상 선택 신호를 수신한 관리 서버(400)가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검증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360).
검증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토대로 검증을 수행하고, 딜 성사 또는 딜 거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370). 여기서 검증이라 함은,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 불량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 불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검증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해 딜 승인을 선택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 할 수 있고,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 불량이 검출된 경우, 예를 들어, 상세 거래 화면 정보에 가격 또는/및 할인율이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제출해야 할 서류(견적서 또는 계약서 등)가 제출되지 않은 경우, 검증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해 딜 거부를 선택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정보,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동일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거나, 각각이 서로 다른 화면에 표시될 수 있거나, 두 개(예를 들어,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고 나머지 한 개(예를 들어, 검색 정보)가 다른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상세 거래 정보 수신 단계(S350) 이후에 상세 거래 화면 정보 수신 단계(S360)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세 거래 정보 수신 단계(S350) 와 상세 거래 화면 정보 수신 단계(S360)는 그 순서를 바꿔가며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에서 생성한 관리정보를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관리정보 검증 결과를 수신하여 판매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에서 검증자 단말기(200)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 대상으로 등록한다(S410). 관리 서버(400)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딜 번호, 딜 명, 판매 기간을 포함하는 딜 대상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딜 대상으로의 등록이 완료되면 판매자 단말기(100)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S420).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로 관리 정보(이하, 관리 정보 화면이라 표기함)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관리 정보 화면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관리 서버(400)가 검증자 단말기(200)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400)가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조건을 수신하면(S421),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 복수의 딜 대상들 중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S422). 이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조건을 수신한 관리 서버(400)가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S423),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및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S434).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관리 서버(400)가 생성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을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6으로 돌아와서, 검증자 단말기(200)로 관리 정보를 전송한 후, 관리 서버(400)는 관리 정보의 검증을 완료한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딜 승인 또는 딜 거부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430). 여기서 관리 서버(400)는 딜 승인 또는 딜 거부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딜 거부의 이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또는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검증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검증 결과와, 검증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이미지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 서버(400)는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딜 승인 선택 신호를 수신한 딜 대상에 대하여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S440). 관리 서버(400)가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딜 거부 선택 신호와 함께 딜 거부의 이유를 수신하는 경우, 딜 거부의 이유를 판매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판매자 단말기(100)가 해당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검증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정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6은 관리 서버(400)가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관리 정보 화면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정보 화면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제3 영역(630) 및 제4 영역(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610)은 임의의 검색조건 입력을 통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을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영역(610)은 제1 설정영역(611), 제2 설정영역(612), 제3 설정영역(613) 및 검색결과 표시영역(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영역(611)에서는 딜 대상 검색 구분자 예를 들어, 검증자가 속해있는 팀 정보, 딜 정보, 판매자 정보, 노출 카테고리 정보와 같은 구분자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설정영역(612)에서는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딜 대상 검색 구분자가 팀 정보인 경우 제2 설정영역(612)에서는 검색 조건으로써 상세 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의류실 및 브랜드 의류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딜 대상 검색 구분자가 딜 정보인 경우, 제2 설정영역(612)에서는 하위 카테고리로써 딜 명 또는/및 딜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딜 대상 검색 구분자가 판매자 정보인 경우, 제2 설정영역(612)에서는 하위 카테고리로써, 업체 명 또는/및 업체 ID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딜 대상 검색 구분자가 노출 카테고리인 경우, 제2 설정영역(612)에서는 하위 카테고리로써 대분류 또는 대분류+중분류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쇼핑 및 스포츠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제3 설정영역(613)에서는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0140326-20140326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검색결과 표시영역(614)에는 제1 설정영역(611) 내지 제3 설정영역(613)에 설정한 검색조건에 따른 검색 수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결과 표시영역(614)에는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에 대하여,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미 승인된 딜 대상을 검색 결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영역(620)에는 검색 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630)에는 검색 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로써의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4 영역(640)에는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딜 승인, 딜 거부를 포함하여, 딜 거부 시 검증자 단말기(200)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또는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검증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영역(640)은 제2 영역(62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4 영역(640)은 제1 영역(610) 또는 제3 영역(63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제4 영역은 제1 영역(610) 내지 제3 영역(630)과 다른 곳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검증자 단말기(200)로부터 검색조건을 수신한 관리 서버(400)가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팀 정보로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상세 팀 정보 예를 들어, 의류실 및 브랜드 의류팀을 설정하고, 검색 날짜를 20140326-20140326으로 설정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 후, 관리 서버(400)가 검색 결과로,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미승인된 딜 대상 등을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400)로부터 도 7과 같은 검색결과를 제공받은 후, 검증자 단말기(200)의 통계정보 선택에 의해 관리 서버(400)가 도 7의 검색 결과에 대해 통계정보(810)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딜 정보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딜 명으로 설정하고 딜 명을 입력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딜 명에 한 글자씩 입력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딜 대상이 검색되고, 해당 딜 대상을 선택하면 딜 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딜 정보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딜 번호로 설정하고 딜 번호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딜 번호를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딜 명이 검색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딜 정보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도 9a 및 도 9b와 같은 딜 명 및 딜 번호로 설정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 후, 관리 서버(400)가 검색 결과로, 설정된 딜 명 및 딜 번호를 포함하는 딜 대상을 검색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판매자 정보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업체 명으로 설정하고 업체 명을 입력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업체 명에 한 글자씩 입력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딜 대상이 검색되고, 해당 딜 대상을 선택하면 업체 ID가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판매자 정보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판매자 ID로 설정하고 판매자 ID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판매자 ID를 입력한 후 조회 버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딜 대상이 검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색 조건으로,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노출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하고, 딜 대상 검색 구분자의 하위 카테고리를 대분류+중분류 예를 들어, 쇼핑+스포츠를 설정하고, 검색 날짜를 20140326-20140326으로 설정하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 후, 관리 서버(400)가 검색 결과로,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미승인된 딜 대상 등을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있는 딜 대상 정보 중 전체보기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1번 버튼(1210) 및 2번 버튼(1220)을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로부터 1번 버튼(1210)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400)는 선택된 딜 대상에 해당하는 상세 거래 정보 화면 및 상세 거래 정보를 도 13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관리 서버(400)가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 및 상세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로부터 2번 버튼(1220)이 선택되면, 관리 서버(400)는 새로운 창에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 및 상세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 화면을 도 14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관리 서버(400)가 새로운 창에,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 및 상세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관리 정보 화면을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 및 도 16은 관리 서버(400)가 생성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을 검증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상세 거래 정보 화면에서 전체 화면 보기 1을 선택하면, 관리 서버(400)는 전체 화면 보기 1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딜 대상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 및 상세 거래 정보를 제외한 상세 거래 정보 화면만을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상세 거래 정보 화면에서 전체 화면 보기 2를 선택하면, 관리 서버(400)는 전체 화면 보기 2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 및 상세 거래 정보만을 생성하여 검증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화면 보기 1 또는 전체 화면 보기 2에서 검색 영역(제1 영역(도 6의 610)) 또는 상세 거래 정보 영역(제3 영역(도 6의 630))을 열거나 닫을 필요가 있을 경우, 각 영역 별 경계선을 선택하면 해당 영역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검증자 단말기(200)가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검증 결과와, 검증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관리 서버(400)가 제공하는 정보 또는 이미지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메뉴로부터 딜 승인을 선택하여 화면 상에 딜 승인을 문의하는 팝업창이 표시된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검증자 단말기(200)가 확인을 선택하는 경우, 관리 서버(400)는 확인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딜 대상의 딜 승인을 결정하고,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판매 정보로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메뉴로부터 딜 거부를 선택하고, 딜 거부의 이유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활성화된 것을 보여준다. 검증자 단말기(200)는 딜 거부의 이유를 입력하면, 관리 서버(400)는 딜 거부의 이유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고, 판매자 단말기(100)에 딜 거부 및 딜 거부의 이유를 전송하여 판매자 단말기(100)가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메뉴로부터 검증 이력을 선택하면, 관리 서버(400)가 검증 이력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해당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을 검출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메뉴로부터 정보 수정 이력을 선택하면, 관리 서버(400)가 정보 수정 이력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해당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을 검출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정 이력에 표시된 수정자는 판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정 정보를 수신한 검증자 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검증자 단말기(200)가 검증 메뉴로부터 컨텐츠 이미지를 선택하면, 관리 서버(400)가 컨텐츠 이미지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해당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검출하여 검증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판매자 단말기
200: 검증자 단말기
300: 소비자 단말기
400: 관리 서버
410: 등록 모듈
420: 관리정보 제공 모듈
421: 검색 모듈
422: 제1 정보 제공 모듈
423: 제2 정보 제공 모듈
430: 판매정보 제공 모듈
5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검증하는 검증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상품 관리 장치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의 등록 모듈에 의해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deal)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정보 제공 모듈에 의해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임의의 검색조건 입력을 통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을 검색결과로 제공하는 제1 영역, 상기 검색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상기 검색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 및 상기 딜 대상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딜 대상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딜 승인,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불량이 검출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을 불허하는 딜 거부를 포함하는 검증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검증 메뉴를 표시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딜 승인 선택신호를 수신한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검증자가 속해 있는 팀정보, 딜 정보, 판매자 정보 및 노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1 설정영역과,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2 설정영역과,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3 설정영역과, 상기 제1 설정영역 내지 제3 설정영역의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로써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미 승인된 딜 대상을 표시하는 검색결과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검증 결과 딜 승인된 딜 대상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 정보로서 상기 딜 대상의 이미지, 가격 및 판매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상세 거래 정보는, 상기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및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검증 메뉴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상기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딜 승인, 딜 거부를 포함하여, 상기 딜 거부 시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1 설정영역 내지 제3 설정영역에서 수신한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또는 상기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검색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등록한 복수의 딜 대상들 중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로써 상기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상기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상기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상기 미 승인된 딜 대상을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기 딜 대상 검색 결과 중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상기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기 딜 대상 검색 결과 중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하는 상기 딜 대상의 이미지, 가격 및 판매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상기 딜 승인 또는 딜 거부와, 상기 딜 거부 시에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와,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검증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검증하는 검증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상품 관리 장치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딜(deal) 대상으로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임의의 검색조건 입력을 통하여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을 검색결과로 제공하는 제1 영역, 상기 검색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 상기 검색결과로부터 선택된 딜 대상에 대한 상세 거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 및 상기 딜 대상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딜 대상을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딜 승인, 또는 상기 딜 대상에 불량이 검출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을 불허하는 딜 거부를 포함하는 검증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검증 메뉴를 표시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관리정보 화면을 제공하는 관리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검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딜 승인 선택신호를 수신한 상기 딜 대상에 대하여 상기 판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판매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검증자가 속해 있는 팀정보, 딜 정보, 판매자 정보 및 노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딜 대상 검색 구분자를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1 설정영역과,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2 설정영역과,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설정하는 제3 설정영역과, 상기 제1 설정영역 내지 제3 설정영역의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상기 딜 대상 검색 결과로써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미 승인된 딜 대상을 표시하는 검색결과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의 검증 결과 딜 승인된 딜 대상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화면 정보로서 상기 딜 대상의 이미지, 가격 및 판매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상세 거래 정보는, 상기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및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화면의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검증 메뉴는,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상기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딜 승인, 딜 거부를 포함하여, 상기 딜 거부 시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1 설정영역 내지 제3 설정영역에서 수신한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 상기 딜 대상 검색 구분자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또는 상기 딜 대상 등록일을 기준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 중 하나 이상의 상기 검색조건을 기반으로, 등록한 복수의 딜 대상들 중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딜 대상 검색 결과로써 상기 승인 대기 중인 딜 대상, 상기 승인 완료된 딜 대상, 상기 승인 거부된 딜 대상 또는 상기 미 승인된 딜 대상을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제공하는 검색 모듈;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기 딜 대상 검색 결과 중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딜 대상을 검증하는 검증자 정보, 상기 딜 대상의 판매자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해 거래 가격의 산정 내용을 표시하는 견적서 정보, 상기 판매자와의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검색결과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기 딜 대상 검색 결과 중 임의의 딜 대상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판매정보로 제공하는 상기 딜 대상의 이미지, 가격 및 판매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상세 거래 화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검증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관리정보 화면 중 상기 제4 영역에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검증 결과로 선택할 수 있는 상기 딜 승인 또는 딜 거부와, 상기 딜 거부 시에 상기 검증자 단말기가 입력할 수 있는 딜 거부의 이유 정보와, 상기 딜 대상에 대한 검증 이력 정보,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정보 수정 이력 정보 및 상기 딜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검증 메뉴를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53105A 2014-05-01 2014-05-01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09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05A KR101609336B1 (ko) 2014-05-01 2014-05-01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05A KR101609336B1 (ko) 2014-05-01 2014-05-01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33A KR20150126433A (ko) 2015-11-12
KR101609336B1 true KR101609336B1 (ko) 2016-04-06

Family

ID=5460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105A KR101609336B1 (ko) 2014-05-01 2014-05-01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94B1 (ko) * 2018-08-27 2019-06-19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276109B2 (en) 2020-03-25 2022-03-15 Coupang Corp.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scale product listing
KR102344371B1 (ko) * 2021-03-31 2021-12-29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407804B1 (ko) * 2021-10-13 2022-06-10 박예원 도매상 기반 의류 잡화 판매 및 구매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0497A (ja) * 2012-01-05 2013-07-18 Sunrich Inc 商品販売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0497A (ja) * 2012-01-05 2013-07-18 Sunrich Inc 商品販売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33A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0161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US202303514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management of a universal shopping cart
US10726460B2 (en) Network commerce system with lead processing
US20220414769A1 (en) Capturable code for automatically formatting and addressing a text message to apply for an offer
US10074146B2 (en) Buyer driven market system and method
WO2014027110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210174407A1 (en) Crowdsourcing seat quality in a venue
KR102094690B1 (ko)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38188B2 (ja) マシンベースの商取引対象検証
KR101609336B1 (ko) 상품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101744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n advertisement based single step electronic transaction with or without using a custom application
US10032209B2 (en) Message shopping over an electronic marketplace
CN116610765A (zh) 对象处置方法及装置
KR101689696B1 (ko) Sns 기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5149210B2 (ja) 移動通信端末機を利用したモバイル在庫管理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30297510A1 (en) Financial intermediary for electronic commerce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193522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ynamic customer/provider data pairing
US20190066115A1 (en) Calculation of benchmark dispute overage and rejection data with redress options
JP2007272617A (ja) 購買代行サーバ装置
US202203354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mmerce service using partnership service cart realized by api in shopping mall
KR20200064212A (ko) 점포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12196A (ko) 소셜 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81701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medium for monitoring system
KR20130013082A (ko)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