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55B1 -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55B1
KR101608855B1 KR1020150008951A KR20150008951A KR101608855B1 KR 101608855 B1 KR101608855 B1 KR 101608855B1 KR 1020150008951 A KR1020150008951 A KR 1020150008951A KR 20150008951 A KR20150008951 A KR 20150008951A KR 101608855 B1 KR101608855 B1 KR 10160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actor
gas
catalyst layer
re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대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1B3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01J2523/1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of Group I (IA or IB) of the Periodic Table
    • B01J2523/14Rubi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4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IV (IVA or IVB)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44L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기의 신속한 기동과 반응물의 유동적인 온도조절이 가능한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을 위하여,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구비된 내통과,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합성가스 제조를 위한 구비된 촉매층과, 상기 내통의 하단에는 구비된 확산부를 포함하는 반응기와, 상기 외통의 상단을 마감하며 그 외부에 전원부와 제1원료주입부가 형성된 헤드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촉매층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적어도 한줄 이상이 상,하로 배치되는 반응물 연통과 열교환기 하부에 형성되는 제2원료도입부와 상기 제2원료도입부에 연통되어 튜브의 하단까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판과 상기 튜브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어 반응기로 열교환된 반응물을 배출하는 반응물 배출공과 상기 튜브의 상단에 형성되는 생성물 배출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를 감싸며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분산화촉매층과, 상기 외통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서모커플을 포함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CO gas reform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 gas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개질 반응을 통해 제조된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개질 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합성가스 제조 기술은 수증기 개질법, 부분 산화법, 자열 개질법 등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각각의 제조방법의 장점을 고려하여 혼합개질법이 개발되고 있다. 개질반응에 의한 합성가스 제조는 잘 알려진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수소제조용, F-T반응에 의한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및 탄화수소 등 중요한 화학원료들을 제조하는 C1 화학의 출발물질로 석유화학 원료 생성용 및 최근 고기능성 섬유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료로 쓰이는 CO 제조용등으로 활용성이 넓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질기의 신속한 기동과 반응물의 유동적인 온도조절이 가능한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외통(111)과, 상기 외통(111)의 내부에 구비된 내통(112)과, 상기 외통(111)과 상기 내통(112) 사이에 CO 제조를 위한 구비된 촉매층(113)과, 상기 내통(112)의 하단에는 구비된 확산부(115)를 포함하는 반응기(110)와, 상기 외통(111)의 상단을 마감하며 그 외부에 전원부(121)와 제1원료주입부(122)가 형성된 헤드(120)와, 적어도 일부는 상기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1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131)와 상기 튜브(131) 내에 적어도 한줄 이상이 상,하로 배치되는 반응물 연통(132)과 열교환기 하부에 형성되는 제2원료도입부(133)와 상기 제2원료도입부(133)에 연통되어 튜브의 하단까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판(134)과 상기 튜브(131)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어 반응기로 열교환된 반응물을 배출하는 반응물 배출공(136)과 상기 튜브(1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생성물 배출부(136)을 포함하는 열교환기(130)와, 상기 외통(111)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131)를 감싸며 상기 전원부(121)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기히터(140)와, 상기 전기히터(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분산화촉매층(150)과, 상기 외통(111)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서모커플(170)를 포함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가 제공된다.
상기 튜브(131)는 상기 내통(11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131)의 상단은 상기 헤드(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제1원료도입부로 도입된 반응물이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황된 메탄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전기히터(140)로 가열된 반응물을 반응기(150)에서 600-1000℃의 개질 반응을 사용하고, Ni, Ru, P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촉매와 CeO2, ZrO2, Al2O3, Mg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금속모노리스위에 코팅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금속모노리스와 촉매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800℃이상에서 전 처리 한 후, 알루미늄 파우더와 알루미늄 졸을 사용하여 코팅하고 소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질기의 신속한 기동과 반응물의 유동적인 온도조절이 가능한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내장형 CO제조용 개질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은 전기발열식 변환장치에 의한 시간에 따른 온도 실험결과이다.
도 3은 CO 제조용 금속모노리스 촉매체 제조 공정이다.
도 4는 CO 개질 반응기를 사용한 메탄 전환율에 관한 반응 특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합성가스는 CO를 지칭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서 CO를 생산하는 부분산화(POX : Partial Oxidation) 반응기는 부분 산화 반응 개질 촉매를 코팅한 금속 모노리스형 촉매체를 반응기 내에 장착함으로써 반응의 반응열을 신속하게 제거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은 빠른 기동 특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전기 발열식 컨버터(EHC : Electrically Heated Convertor)를 장착한 start-up 시스템을 적용하여 신속한 기동과 장치 간편화를 실현하였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100)는 크게 원통형으로 된 외통(111)를 갖는 반응기(110)와, 반응기(110)의 상부를 마감하는 헤드(120)와, 외부에서 헤드(120)를 통과하여 반응기(110)내부로 연결되는 열교환기(130)와, 반응기(110)의 내부에서 열교환기(130)의 외부를 감싸는 전기히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110)는 외통(111)과, 외통(111)의 내부에 내통(112)을 구비하여 외통(111)과 내통 사이에 CO 제조를 위한 촉매층(113)와, 반응물 확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110)는 원통으로 된 외통(111)과, 그 내부에 외통(111)의 내측면 및 바닥면과 이격되게 통 형상으로 구획하는 원통의 내통(1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통(112)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30), 외부에는 촉매층(113)이 구비될 수 있다. 촉매층(113)은 주 반응이 일어나며, 부분산화 촉매층일 수 있다. 그리고 내통(112)의 하단에는 상, 하로 다수의 통공(116)이 뚫린 반응물 확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110)의 외통(111) 상단에는 헤드(120)가 결합되고, 헤드(120)에는 양 옆으로 전원부(121)가 결합되고, 상부면상 어느 일측에는 제1원료도입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적어도 일부가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하여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열교환기(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열교환기(130)는 통으로 된 튜브(131)가 헤드(120)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131)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적어도 일부가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통(1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된 바와 다르게 튜브(131)의 전체가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31)는 내통(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가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131)는 반응기(110)내부에 설치된 내통(112)의 상부면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튜브(131)의 상단은 헤드(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튜브(131)는 헤드(120)의 바깥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튜브(131)의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물 연통(132)이 배치되고, 열교환기(130)의 하단에는 반응물의 제2원료도입부(133)가 형성되며, 튜브(131)의 내부에는 제2원료도입부(133)에서 유입된 반응물이 상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통과하도록 다수의 지그재그판(13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그재그판(134)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생성물 연통(132)을 그 유로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튜브(131)의 일측 또는 양측 하단에는 반응기(110)쪽으로 반응물이 배출되도록 반응물 배출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131)의 상부에는 CO등의 가스를 배출되는 생성물 배출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히터(140)는 반응기(110) 외통(111)내에 위치한 열교환기(130)의 튜브(131)외측에 감싸지도록 설치되고, 이 전기히터(140)는 헤드(120)에 형성된 전원부(121)에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기히터(140)의 하측에는 부분산화촉매(Partial Oxidation Catalyst, POXC)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초기에 반응물은 제1원료도입부로 유입되면, 전기히터(140) 및 부분산화촉매층(150)에서 빠르게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시간은 대략 1~2분일 수 있다.
온도가 상승된 반응물은 주촉매층(113)에서 부분산화반응(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이로부터 고온의 생성물(CO가스)들이 열교환기(130)를 통해 생성물 배출구(136)로 배출될 수 있다.
서모커플(170)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촉매층(113)에서 반응물의 부분산화반응이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제1원료도입부(122)를 닫고, 제2원료도입부(133)을 열어 반응물을 열교환기로 보낼 수 있다. 제2원료도입부(133)로 유입된 반응물은 열교환기에서 제1원료도입부(122)로 유입된 반응물에 의해 온도 상승할 수 있다. 열교환에 의해 온도 상승된 반응물은 배출공(135)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전기히터(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원료도입부(122)로 도입된 원료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꺼질 수 있다. 즉, 전기히터(140)는 제1원료도입부(122)로 도입된 반응물이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140)는 제1원료도입부로 도입된 원료의 온도가 낮아지면 재차 가열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한편, 초기에 반응물이 제1원료도입부로 전기히터로 가열되고 부분산화촉매층(150)에서 발열반응에 의해 충분히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제1원료도입부(122)를 닫는다. 즉, 전기히터(140)는 제1원료도입부(122)로 도입된 반응물이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충분히 고온의 반응기 내부온도가 유지되면 제1원료도입부(122)를 닫고 제2원료도입부(133)를 열어 반응물이 들어가면 이전의 제1원료도입부(122)로부터 메탄과 산소가 들어가 전기히터(140)와 부분산화촉매층(150)의 발열반응에 의해 가열된 반응물들이 주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113)에서 부분산화반응이 일어나고 이때 발생된 고온의 생성 배출물들(주로 CO+H2)과 제2원료도입부(133)의 반응물들과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된 반응물이 배출공(135)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만일 제1원료도입부(122)의 온도가 낮아지면 전기히터(140)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기(110) 외통(111)에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은 위치에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서모커플(TC, Thermocouple)(17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모커플(170)은 내통(112)속 및 내통(112)과 외통(111) 사이에 내장된 촉매층(113)내의 온도감지, 외통(111)의 바닥쪽 온도감지, 부분산화촉매층(150)의 아래쪽 온도감지, 전기히터(140)의 위쪽 온도감지 등을 위해 각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장치(100)를 이용하여 원료를 개질시키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명에 따른 개질장치(100)는 제1원료도입부(122)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공기가 주입되면, 전원부(121)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이에 따라 전기히터(140)가 가동될 수 있다.
전기히터(140)의 가동으로 인해 약 350~400℃에 도달되면, 제1원료도입부(122) 통해 원료를 주입할 수 있다.
이후, 열교환기(130)측의 온도가 600~700℃에 도달되면, 반응물 도입부(133)를 통해 반응물이 도입할 수 있다. 반응물 도입부(133)로 주입된 반응물이 열교환기(Shell & Tube Heat Exchange)(130)내에서 지그재그판(134)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가다가 예열된 반응물을 반응물 배출공(135)을 통행 반응기(1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반응기(110)내부로 들어온 원료는 내통(112)의 바깥쪽 촉매층(113)을 통해 발열 반응한 후, 다시 내통(112)의 하단에 형성된 확산부(115)에 의해 확산되어 내통(112)의 안쪽 열교환기(113)의 반응물 연통(132)를 통해 생성물 배출부(13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합성가스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서 CO를 생산하는 개질 반응기는 크게 시동(start-up) 부분과 부분산화반응 부분으로 구성되며, 시동 부분에는 전기 발열식 변환장치(EHC : Electically Heated Convertor)를 장착하여 부분산화 개질 반응기를 2분 이내에 700℃ 이상으로 승온시켜 신속한 기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개질반응 부분은 개질 촉매를 코팅한 금속 모노리스형 촉매체를 반응기 내에 장착함으로써 반응열을 신속하게 제거 또는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금속 모노리스의 뛰어난 열전도도 능력에 의해 반응기 내의 촉매층 전체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 에너지형 개질 반응기이다.
개질 반응기를 start-up할 때의 시간에 따른 온도 그래프로 120초 이내에 700℃ 이상 승온 가능함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전압은 25V로, EHC를 반응기 내부에 장착한 후에 온도를 측정하였다. 발열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반응기 외부에서 EHC에 전압을 가하였으며, 그 결과 EHC의 발열체 부분이 전체적으로 붉게 변화되면서 승온 되었으며, 부근 온도가 700℃ 이상 올라갔다.
본 실시예에서, 탈황된 메탄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전기히터(140)로 가열된 반응물을 반응기(150)에서 600-1000℃의 개질 반응을 사용하고, Ni, Ru, P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촉매와 CeO2, ZrO2, Al2O3, Mg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금속모노리스위에 코팅하였다. . 추가적으로 600-1000℃ 주어진 온도 범위와 O2/CH4 비율이 0.3-0.7 범위에서 합성가스를 제조하였다.
금속 모노리스 지지체는 Fecralloy(Goodfellow 社, FE080240) strip을 사용하여 물결주름 판과 평평한 판을 겹쳐서 도 3과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허니컴 형태로 만들었다. 이때 셀은 약 640cells/inch의 밀도를 가진다. 제작한 금속 모노리스 지지체는 고온에서 전 처리하여 표면을 개질 후 세라믹인 촉매성분과의 접착력을 증진하였다. 부분산화반응(POX) 촉매는 Ni촉매를 기본으로 소량의 귀금속 촉매인 Pd과 Ru을 CeO2-ZrO2 지지체에 담지하여 금속 모노리스 지지체에 20wt% 이상 코팅하고 900℃에서 소성하여 촉매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메탄의 부분산화의 반응에 의한 CO 제조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CeO2-ZrO2 담체에 15 wt%의 Ni과 1 wt%의 귀금속 촉매 Pd, Ru 담지 하여 각각의 촉매 체를 제조하였다. CeO2과 ZrO2 담체의 몰 비는 합성가스 제조에 반응활성이 좋은 4:1로를 제조하였으며, 부분 산화 반응에서 400~900℃ 구간에서 메탄의 전환율과 각각의 촉매들에 대한 합성가스의 조성들을 도 4에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제조된 촉매에 대한 반응조건은 GHSV=10,000 h-1, O/C=0.55로 고정 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개발을 수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Ni/CeO2-ZrO2보다 귀금속 Pd, Ru를 첨가한 촉매를 사용 할 경우 더 높은 메탄 전환율을 보였고, 400~1000 ℃ 온도에서 테스트를 한 경우, 95% 이상의 높은 메탄 전환율과 90% 이상의 CO 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모노리스와 촉매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800℃이상에서 전 처리 한 후, 알루미늄 파우더와 알루미늄 졸을 사용하여 코팅하고 소성하여, 금속모노리스에 촉매 부착력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개질장치
110 : 반응기 111 : 본체 외통
112 : 내통 113 : 촉매층
115 : 반응물 확산부 116 : 통공
120 : 헤드 121 : 전원부
122 : 제1원료도입부 130 : 열교환기
131 : 튜브 132 : 생성물 연통
133 : 제2원료도입부 134 : 지그재그판
135 : 반응물 배출공 136 : 생성물 배출부
140 : 전기히터 150 : 부분산화촉매층
170 : 서모커플

Claims (6)

  1. 외통(111)과, 상기 외통(111)의 내부에 구비된 내통(112)과, 상기 외통(111)과 상기 내통(112) 사이에 CO 제조를 위한 구비된 촉매층(113)과, 상기 내통(112)의 하단에는 구비된 확산부(115)를 포함하는 반응기(110);
    상기 외통(111)의 상단을 마감하며, 그 외부에 전원부(121)와 제1원료주입부(122)가 형성된 헤드(120);
    적어도 일부는 상기 촉매층(113)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1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내통(112)의 상단에 결합되는 튜브(131)와, 상기 튜브(131) 내에 적어도 한줄 이상이 상,하로 배치되는 반응물 연통(132)과, 열교환기 하부에 형성되는 제2원료도입부(133)와, 상기 제2원료도입부(133)에 연통되어 튜브의 하단까지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판(134)과, 상기 튜브(131)의 어느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어 반응기로 열교환된 반응물을 배출하는 반응물 배출공(136)과, 상기 튜브(13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생성물 배출부(136)을 포함하는 열교환기(130);
    상기 외통(111)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131)를 감싸며 상기 전원부(121)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전기히터(140);
    상기 전기히터(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부분산화촉매층(150); 및
    상기 외통(111)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서모커플(170)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131)는 상기 내통(112)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131)의 상단은 상기 헤드(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140)는 촉매층(113)에서 반응물의 부분산화반응이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4. 제1항의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하여, CO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황된 메탄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히터(140)로 가열된 반응물을 반응기(150)에서 600-1000℃의 개질 반응을 사용하고, Ni, Ru, P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촉매와 CeO2, ZrO2, Al2O3, Mg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체를 금속모노리스위에 코팅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600-1000℃ 주어진 온도 범위와 O2/CH4 비율이 0.3-0.7 범위에서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금속모노리스와 촉매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800℃이상에서 전 처리 한 후, 알루미늄 파우더와 알루미늄 졸을 사용하여 코팅하고 소성하는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KR1020150008951A 2015-01-19 2015-01-19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KR10160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51A KR101608855B1 (ko) 2015-01-19 2015-01-19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51A KR101608855B1 (ko) 2015-01-19 2015-01-19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855B1 true KR101608855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51A KR101608855B1 (ko) 2015-01-19 2015-01-19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35A (ko) * 2021-12-02 2023-06-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개질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반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35A (ko) * 2021-12-02 2023-06-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개질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반응 시스템
KR102665428B1 (ko) * 2021-12-02 2024-05-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개질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반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8247B2 (en) Multi-tubular chemical reactor with igniter for initiation of gas phase exothermic reactions
US9627700B2 (en) Liquid fuel CPOX reformer and fue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electricity
EP3065857B1 (en) Integrated gaseous fuel cpox reformer and fue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electricity
CA2929680C (en) Liquid fuel cpox reformers and methods of cpox reforming
US11254568B2 (en) Liquid fuel CPOX reformer and fuel cell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electricity
CN100446324C (zh) 燃料电池系统的重整器
CN106629598B (zh) 填充高温相变材料的自热型重整制氢反应器
EP2198951B1 (en) Reformer
CN206666114U (zh) 一种填充高温相变材料的自热型重整制氢反应器
US20140030156A1 (en) Hydrocarbon Reforming Device Using Micro Channel Heater
KR20160118795A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연료 개질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857703B1 (ko) 반응 용기 및 반응 장치
KR101608855B1 (ko)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 및 co 가스 제조 개질 반응기를 이용한 co가스 제조방법
KR101220120B1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예열 기능 내장형 자열 개질용 반응기
RU113729U1 (ru) Процессор для конверсии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топлив в синтез-газ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твердооксидных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ах
RU1384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й водородом газовой смеси
JP5145566B2 (ja) 外熱式水素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408209B1 (ko) 엘피지 수증기용 개질장치
KR20110096270A (ko) 기동장치를 가지는 미세유로 가열기를 이용한 탄화수소 개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