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558B1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558B1
KR101607558B1 KR1020090114911A KR20090114911A KR101607558B1 KR 101607558 B1 KR101607558 B1 KR 101607558B1 KR 1020090114911 A KR1020090114911 A KR 1020090114911A KR 20090114911 A KR20090114911 A KR 20090114911A KR 101607558 B1 KR101607558 B1 KR 10160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panel
storage tank
gas storage
liquefi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206A (ko
Inventor
강중규
우제혁
김광석
권영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외판에 단열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상기 탱크 외판에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널 하부의 스터드 홈에 수용된 스터드와, 상기 단열패널의 상부측 밀착홈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수용되며, 가림 홈이 상부에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단열패널을 연속 관통하여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가림 홈 내에 완전히 가려지는 머리부를 갖는 머리 붙이 볼트를 포함한다.
액화가스, 저장탱크, 독립형, 단열패널, 스터드, 패드, 볼트, 머리부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INSULATION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LIQUI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설치되는 독립형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는 해상 LNG 생산ㆍ저장ㆍ하역 시설인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그리고 해상 LNG 생산ㆍ저장ㆍ재기화의 역 할을 하는 LNG-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에도 적용되거나 그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통상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눠지고, 독립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SPB형으로 나눠진다. MOSS형의 독립형 저장탱크의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15063 호 등에 기재되어 있고, SPB형의 독립형 저장탱크의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305513 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독립형 저장탱크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SUS, 및 9% 니켈 등 저온에 강한 합금으로 제조된 탱크 몸체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단열패널을 부착시켜 만들어지며, 선체의 내부 바닥에 배열되는 복수의 탱크 지지체 상에 놓여진다.
폴리우레탄 폼에 의해 제조된 다수의 단열패널을 탱크 몸체의 외부에 설치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는 대한민국 특허 제 10-16660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는, 단열패널을 탱크 몸체의 외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많은 부품이 필요하였고 이들 부품을 조립하는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우선 탱크 몸체의 외부에 장착부재를 용접으로 부착시킨 후 이 장착부재에 지지부재, 원통형 부재, 패드 등을 설치하고, 계속해서 단 열패널을 설치한 후 와셔 및 너트를 지지부재에 체결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지지부재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막대이고, 원통형 부재는 단열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장착부재와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부품이고, 패드는 탱크 몸체와 단열패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탱크 몸체와 단열패널 사이에 개재되도록 원통형 부재의 외주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따라서, 단열패널을 탱크 몸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고, 저장탱크의 외부로부터의 열전달을 가능한 한 감소시킬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탱크 몸체와 단열패널 사이의 통기공간 확보, 안정적인 단열패널의 지지구조 확보, 인접한 단열패널 사이의 틈을 통한 액화가스 누출방지를 위한 기밀성 확보 등에 대한 연구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단열패널을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판에 고정하기 위해, 일정 두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되, 저장탱크 외판에 용접된 스터드에 볼트를 체결하고, 너트를 목재 플레이트(wooden plate) 위에서 볼트에 체결하는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너트가 목재 플레이트 위에 돌출하여 있으므로, 그 위에 다른 단열패널의 설치가 불편하고, 경제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단열패널의 온도 변화 에 따른 수축/팽창 변형으로 인해, 그 수축/팽창 변형의 영향이 적은 단열패널의 중앙 영역으로 그 설치 위치가 제한되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단열패널 결합구조 위로 너트 또는 그와 유사한 돌출물이 없도록 하여, 그 위로 패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열패널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 변형이 있다 하더라도, 단열패널의 모서리 측에 시공될 때, 단열패널을 신뢰성 있게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판에 결합시킬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외판에 단열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제공되며, 이 결합구조는, 상기 탱크 외판에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널 하부의 스터드 홈에 수용된 스터드와; 상기 단열패널의 상부측 밀착홈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수용되며, 가림 홈이 상부에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단열패널을 연속 관통하여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가림 홈 내에 완전히 가려지는 머리부를 갖는 머리 붙이 볼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와 상기 밀착홈 바닥면은 서로 상응하는 쐐기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서로 상하 이격된 상부재와 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와 상기 하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끼워진 스프 링이 개재된다. 상기 하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안착 홈이 형성된다. 상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모두 수평인 평판재이고, 상기 하부재는 하부면이 쐐기 형태를 갖는 쐐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단열패널의 모서리에 시공되기에 적합하다. 그렇지만, 상기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단열패널의 모서리 아닌 다른 영역, 예컨대, 단열패널의 중앙 영역에도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상기 단열패널의 중앙에 시공되되, 상부면과 하부면이 수평인 단일 평판재인 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단열패널의 모서리 영역보다는 단열패널의 중앙 영역 시공에 더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밀착부재를 단열패널에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단열패널을 관통하는 패스너에 의해 상기 단열패널을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판에 결합하는 결합구조로서, 상기 단열패널의 팽창 또는 수축 대응하여 상기 결합구조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단열패널에는 쐐기형의 밀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밀착홈에 끼워지는 쐐기형의 하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패스너는 스터드에 체결될 수 있는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따른 측면에 따라, 밀착부재를 단열패널에 밀착시키고,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단열패널을 관통하는 패스너에 의해 상기 단열패널을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판에 결합하는 결합구조로서, 상기 단열패널의 팽창 또는 수축 대응하 여 상기 결합구조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패스너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재와 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재와 상기 하부재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개재된다. 이때, 탄성수단은 압축 스프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탄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수단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위쪽, 특히, 밀착부재 위쪽으로 너트 또는 그와 유사한 돌출물이 없도록 하여, 그 위로 패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패널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 변형이 있다 하더라도, 단열패널의 모서리 측에 시공될 때, 단열패널을 신뢰성 있게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판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몸체 외판에 복수의 단열패널이 결합된 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몸체 외판(이하 '탱크 외판'이라 함; 1)에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단열패널(10)이 서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단열패널(10)들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열패널(10, 10)들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간을 두며, 그 공간에는 글래스 울(glass wool; 미도시됨)과 같은 단열 충전 물질이 채워진다. 복수의 단열패널(10)들을 탱크 외판(1)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단열패널 결합구조(S)들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패널 결합구조(S)들 각각은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팽창이 덜 고려되는 단열패널(10)의 중앙에서 그 단열패널(10)들 각각을 탱크 외판(1)에 고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탱크 외판(1)의 외부에 폴리우레탄 폼과 같이 비교적 경질의 단열패널(10)이 부착됨으로써 탱크 몸체의 외부에는 단열층이 형성된다. 외판(1)과 단열패널(10)의 사이는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스페이서 또는 패드(2)에 의해 간극(C)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외판(1)과 단열패널(10) 사이의 간극(C)은, 통기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탱크 몸체의 외판(1)이 손상되어 누출이 발생되는 때에는, 누출액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스터드(3), 머리 붙이 볼트(7), 밀착부재(5) 및 패드(2)를 포함한다. 밀착부재(5)는, 머리 붙이 볼트(7)의 머리를 받쳐주는 한편 그 반대측에서는 단열패널(10)의 일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와셔의 역 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부재(5)는, 나무 판재(wooden plate)로, 상부와 하부 모두가 수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스터드(3)의 일단은 탱크 외판(1)의 외부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스터드(3)의 타단은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터드(3)는 그것이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된 구멍에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패드(2)는, 탱크 외판(1)과 단열패널(10) 사이에 개재되며, 패드(2)의 양면은 탱크 외판(1)과 단열패널(10)에 각각 밀착된다.
스터드(3)는 상기 패드(2)를 관통하며, 그 관통된 스터드(3)를 거의 꼭 맞게 수용하도록, 상기 단열패널(10)의 하부에는 스터드 홈(11)이 형성된다. 단열패널(10)의 상부에는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덮기 위해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재 충전홈(101)과, 그보다 작은 크기로 단열재 충전홈(101) 아래에 놓이는 밀착홈(12)이 차례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열패널의 상부와 하부는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며, 따라서, 상기 단열재 충전홈(101)의 바닥면도 단열패널(10)의 상부인 것으로 정의한다. 단열패널(10) 상부의 밀착홈(12) 내에는 밀착부재(5)가 삽입된다. 밀착부재(5)의 상부는 단열패널(10)의 상부인 단열재 충전홈(10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밀착부재(5)의 하부는 밀착홈(12)의 수평 바닥면에 밀착된다.
상기 머리 붙이 볼트(7)는 수나사부(7b)와 상기 수나사부(7b)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7a)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 붙이 볼트(7)는 육각 머리 볼 트이지만, 볼트의 머리부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해서는 아니 된다. 한편, 상기 수나사부(7b)는 밀착부재(5)와 단열패널(10)을 관통하여 스터드(3)의 암나사부에 삽입 체결된다. 밀착부재(5)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7)의 머리부(7a)를 완전히 가리는 가림 홈(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7)의 머리부(7a)의 상면은 상기 단열패널(1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있거나 또는 상기 단열패널(10)의 상면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볼트(7)가 스터드(3)에 대해 의도된 깊이로 체결될 때, 상기 머리부(7a) 및/또는 그 아래에 추가로 끼워진 평와셔(6)가 밀착부재(5)의 상면을 누르며, 이에 의해, 단열패널(10)은 패드(2)를 사이에 두고 탱크 외판(1)에 단단히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밀착부재(5)의 상면 위로 어떠한 요소도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밀착부재(5) 상면 위에 임의의 평평한 단열패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밀착홈(12) 내에 삽입된 상기 밀착부재(5) 상에는 조인트 테이프(20)가 LNG의 누설을 막도록 부착 설치되며, 그 위의 단열재 충전홈(12) 내에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충전 단열패널(15)이 채워진다. 그리고, 그 위로는 다른 조인트 테이프(20)가 부착되어 마감된다.
실시예 2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도 3에 도시 된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적용된 한 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재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쐐기 형태의 하부를 갖는 밀착부재(50)를 포함한다. 단열패널(10)에는 상기 밀착부재(50)의 쐐기 형태에 상응하는 쐐기형의 밀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50)는, 쐐기 형태를 갖도록, 중앙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형의 밀착홈(12)은 바닥면이 중앙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50)의 하부와 상기 밀착홈(12)의 바닥면은 면 접촉한다.
밀착부재의 하부가 수평면인 앞선 실시예의 경우, 처음에는 밀착부재의 하부와 밀착홈의 수평 바닥면이 대략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면 접촉하겠지만, 온도 변화에 따라, 단열패널의 팽창 또는 수축이 있다면, 단열패널의 밀착홈에도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 밀착부재와 단열패널 사이에 균일한 면 접촉이 방해받는다. 따라서, 예전에는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설치 위치가 온도에 의한 팽창/수축의 기준이 되는 단열패널 중앙으로 제한되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연패널 결합 구조는, 상기 밀착부재(50)의 하부가 쐐기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밀착부재(50)가 밀착되는 밀착홈(12) 또한 쐐기형을 가져, 단열패널의 팽창 또는 수축 변형이 있다 하더라도, 밀착부재(50)는 밀착홈(12)에 대해 쐐기식으로 맞물려 접촉하므로, 면 접촉을 거의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재(50)는 서로 이격된 평판형의 상부재(52)와 쐐기형의 하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재(52)와 하부재(54)는 모두 목재(wooden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재(52)는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재(52)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7)의 머리부(7a)를 완전히 가리는 가림 홈(5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쐐기형 하부재(54)의 상부면은 평면이되, 하부면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쐐기형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쐐기형 하부재(54)의 상부면에는 압축스프링(55)이 안착되는 안착홈(54a)이 형성된다. 상기 머리 붙이 볼트(7)의 수나사부(7b)는 단열패널(10)을 관통하여 탱크 외판(1)에 부착된 스터드(3)의 암나사부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55)은, 상기 머리 붙이 볼트(7)의 수나사부(7b)에 끼워진 채, 밀착부재(50)의 상부재(52) 하부와 하부재(54) 상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하 두 개의 부분으로, 그 두 개의 부분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한 본 실시예의 밀착부재(50) 구조는 단열패널이 수축 등으로 인해 유격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일정한 결합력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3에서, 부재번호 15 및 부재번호 16은 단열패널(10)의 상부 단차부에 형성된 단열재 홈 내에 차례로 적층, 충전되는 제1 충전 단열패널 및 제2 충전 단열패널을 나타내며, 이때, 제1 충전 단열패널(15)은 폴리에틸렌 폼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충전 단열패널(16)은 폴리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착홈(12)에 삽입된 상기 밀착부재(50)의 상면은 단열패널(10) 의 상면, 특히, 단열패널 하부 단차부의 상면과 거의 동일평면 상에 있으며, 그 위로는 LNG가 새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인트 테이프(20)가 부착되어 마감된다. 또한, 다른 조인트 테이프(20)가 단열재 충전홈 내에 최종적으로 채워지는 제2 충전 단열패널(16)을 덮도록 그 위에 부착된다. 이때, 제2 충전 단열패널(16)은 단열패널과 단열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플러그 패드로 신축성을 지닌 단열재의 역할을 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결합 구조는, 단열패널의 수축/팽창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단열패널의 결합력을 거의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결합구조(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패널(10)들 각각의 모서리 끝단에 시공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밀착부재(50')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밀착부재와 마찬가지로, 하부에 쐐기형 구조를 갖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밀착부재와 달리, 하부가 쐐기 형태를 갖는 단일 판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선 실시예에 있었던 스프링은 생략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밀착부재(50")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밀착부재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판재(52", 54")들, 즉, 상부재와 하부재가 압축 스프링(55")에 의해 지지된 채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앞선 실시예와 달리, 하부재(54")는 쐐기형 구조가 아닌 평판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몸체 외판에 복수의 단열패널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도 3에 도시된 단열패널 결합구조가 적용된 한 예를 독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Claims (9)

  1.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탱크 외판에 단열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로서,
    상기 탱크 외판에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널 하부의 스터드 홈에 수용된 스터드;
    상기 단열패널의 상부측 밀착홈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수용되며, 가림 홈이 상부에 형성된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단열패널을 연속 관통하여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가림 홈 내에 완전히 가려지는 머리부를 갖는 머리 붙이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와 상기 밀착홈 바닥면은 서로 상응하는 쐐기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서로 상하 이격된 상부재와 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재와 상기 하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끼워진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재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모두 수평인 평판재이고, 상기 하부재는 하부면이 쐐기 형태를 갖는 쐐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의 결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 결합구조는 상기 단열패널의 모서리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114911A 2009-11-26 2009-11-26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160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11A KR101607558B1 (ko) 2009-11-26 2009-11-26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11A KR101607558B1 (ko) 2009-11-26 2009-11-26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435A Division KR101722612B1 (ko) 2016-03-16 2016-03-16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06A KR20110058206A (ko) 2011-06-01
KR101607558B1 true KR101607558B1 (ko) 2016-03-30

Family

ID=4439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11A KR101607558B1 (ko) 2009-11-26 2009-11-26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992B1 (fr) * 2011-12-21 2015-03-27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munie d'un dispositif de retenue
US20170144733A1 (en) * 2014-07-04 2017-05-25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751837B1 (ko) * 2015-07-21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장치
FR3073270B1 (fr) * 2017-11-06 2019-11-1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des dispositifs d'ancrage des panneaux isolants primaires sur des panneaux isolants secondaires
FR3105342B1 (fr) * 2019-12-23 2022-06-03 Gaztransport Et Technigaz Barrière thermiquement isolante pour une paroi d’une cuve
FR3111178B1 (fr) * 2020-06-03 2022-05-06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égré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06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55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20110046627A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2387173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90도 코너 부의 단열 구조, 및 그 단열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US20170144733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72261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2538602B1 (ko) 멤브레인 손상 방지를 위한 브릿지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614525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15864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10051407A (ko) 이중 단열층을 가지는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
KR102203735B1 (ko) 극저온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
KR10110370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11003524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181444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패널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화물창
JP7346572B2 (ja)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における断熱壁の固定装置
KR1012155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인슐레이션 구조
KR102095427B1 (ko) 극저온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
KR102095425B1 (ko) 극저온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
KR20220063693A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의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
KR2021008191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2626182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고정장치
KR10216506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66378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부 단열구조
KR10218581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150460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고정장치
KR10217654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